KR100493080B1 -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080B1
KR100493080B1 KR10-2002-0060821A KR20020060821A KR100493080B1 KR 100493080 B1 KR100493080 B1 KR 100493080B1 KR 20020060821 A KR20020060821 A KR 20020060821A KR 100493080 B1 KR100493080 B1 KR 10049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power
switch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394A (ko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080B1/ko
Priority to US10/354,631 priority patent/US6977486B2/en
Priority to CNB031083161A priority patent/CN1323479C/zh
Priority to DE60328072T priority patent/DE60328072D1/de
Priority to EP03007497A priority patent/EP1406366B1/en
Publication of KR2004003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휴대하여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충전장치는,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의 전원단자와 같은 전원단자를 구비하며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측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1컨넥터와, 데이터 통신 컨넥터의 전원단자와 같은 전원단자를 구비하며 충전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급측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2컨넥터와, 제1컨넥터의 전원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수급측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제2컨넥터의 전원단자를 통해 수급측 단말기로 공급하여 수급측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1컨넥터의 전원단자와 충전 제어부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DEVICE FOR CHARGING BATTERY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되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배터리는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 또는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충전기는 상용 전원이나 차량 전원 등으로부터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장소는 상용 전원, 차량 전원 등에 충전기를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소로 제한되며, 별도의 충전기가 있어야만 한다. 또한 충전기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가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있거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조 배터리도 휴대하지 않았거나 방전된 상태라면,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이후에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 에너지나 태양 빛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발전기, 1차 전지를 사용하는 충전기 등이 제안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들은 단말기에 채용하기 곤란하거나 실효성이 낮아 실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다른 기술로서 컴퓨터 주변장치 접속 표준인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서 노트북 컴퓨터, 프린터 등과 같이 USB 포트를 갖는 장치의 USB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를 통해 공급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기술이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에 USB 포트를 설치하고, USB 포트를 갖는 장치의 USB 포트와 단말기의 USB 포트 간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USB 포트가 설치된 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처럼 충전기보다 더 휴대하기 곤란하며, 단말기에 USB 포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데이터 통신 컨넥터이외에 별도의 USB 포트를 단말기에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휴대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장치는,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의 전원단자와 같은 전원단자를 구비하며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측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1컨넥터와, 데이터 통신 컨넥터의 전원단자와 같은 전원단자를 구비하며 충전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급측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제2컨넥터와, 제1컨넥터의 전원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수급측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제2컨넥터의 전원단자를 통해 수급측 단말기로 공급하여 수급측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 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1컨넥터의 전원단자와 충전 제어부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측 단말기(102)와 수급측 단말기(104) 사이에 연결되는 충전장치(100)의 회로도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수급측 단말기(104)는 충전이 필요한 단말기를 의미하고, 공급측 단말기(102)는 자신의 배터리 전원의 일부를 수급측 단말기(104)에게 나누어 주어도 될만큼 배터리 전원이 충분한 상태로서 충전장치(100)를 통해 수급측 단말기(104)를 충전시키기 된다. 즉, 도 1은 충전장치(100)를 사용하여 공급측 단말기(102)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서 수급측 단말기(104)에 공급하여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았음)를 충전시키는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충전장치(100)는 공급측 단말기(102)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106)에 연결되는 제1컨넥터(110)와, 수급측 단말기(104)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108)에 연결되는 제2컨넥터(116)를 가진다. 제1,제2컨넥터(110,116)는 통상적으로 단말기들(102,104)에 각각 구비되는 데이터 통신 컨넥터들(106,108)의 전원단자와 같이 전원공급단자(P+)와 접지단자(P-)로 이루어지는 전원단자를 가진다. 이러한 제1,제2컨넥터(110,116)는 단말기들(102,104)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들(106,108)에 각각의 전원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인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의 컨넥터와 같은 구조이다. 상기한 제1컨넥터(110)의 접지단자(P-)는 제2컨넥터(116)의 접지단자(P-)와 연결되고, 제1컨넥터(110)의 전원공급단자(P+)는 스위치(112)를 거쳐 충전 제어부(114)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제2컨넥터(116)의 전원공급단자(P+)는 충전 제어부(114)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한 충전 제어부(114)는 제1컨넥터(110)의 전원단자(P+,P-)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제2컨넥터(116)의 전원단자(P+,P-)를 통해 수급측 단말기(104)로 공급하여 수급측 단말기(104)를 충전시킨다. 이때 스위치(11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1컨넥터(110)의 전원단자와 충전 제어부(114)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를 온/오프시킨다. 이러한 충전 제어부(114)는 스위치(112)와 전류 제한 저항(118)에 FET(Field Effect Transistor)(136)의 소오스단자와 드레인단자가 각각 접속되고, FET(136)의 게이트단자에는 비교기(134)의 출력단이 접속된다. 상기 전류 제한 저항(118)은 FET(136)의 드레인단자와 제2컨넥터(116)의 전원공급단자(P+) 사이에 접속되며,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과전류로부터 공급측 단말기(102)와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를 보호한다. 비교기(134)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FET(136)의 드레인단자와 전류 제한 저항(116)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반면에, 반전 입력단자(-)는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120)의 전압 출력 단자(VOUT)에 접속된다.
상기한 전압 레귤레이터(120)는 셧다운 제어 입력단자()에 논리 "하이"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 인에이블되어, 입력 단자(VIN)에 입력되는 전압을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가변시켜 전압 출력 단자(VOUT)로 출력한다. 이러한 전압 레귤레이터(120)로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icrochip Technology) 사의 TC1174를 사용한다.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입력 단자(VIN)와 셧다운 제어 입력단자() 사이에는 저항(122)이 접속되고, 전압 출력 단자(VOUT)와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 사이에는 저항(124)이 접속되며,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와 접지 사이에는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를 통해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3개의 저항(128∼132)이 병렬 접속된다. 상기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며, 이러한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의 스위칭에 따라 저항들(128∼132)중 하나가 선택되어 저항(124)과 접속된다. 이때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에는 전압 출력 단자(VOUT)로 출력되는 전압이 저항들(128∼132)중 하나와 저항(124)에 의해 분압되어 인가된다. 그러므로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의 스위칭에 따라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전압 출력 단자(VOUT)로 출력되는 전압이 가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전압 출력 단자(VOUT)가 비교기(134)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FET(136)는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전압 출력 단자(VOUT)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낮은 동안에는 온되는 반면에,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전압 출력 단자(VOUT)의 출력 전압 레벨보다 높아지게 되면 오프된다. 이에따라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저항들(128∼132)에 의해 결정되는 3가지의 충전 전압 레벨들 중에 사용자의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수급측 단말기(104)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항들(128∼132)은 3개를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들의 개수를 더 늘리고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를 저항들의 개수에 대응되게 스위칭을 할 수 있는 스위치를 사용하면 더 많은 단계로 충전 레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충전장치(100)를 사용하여 공급측 단말기(102)에 의해 수급측 단말기(104)를 충전시키고자 하면, 충전장치(100)의 제1,제2컨넥터(110,116)를 공급측 단말기(102)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106)와 수급측 단말기(104)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108)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를 조작하여 수급측 단말기(104)의 충전 전압 레벨을 설정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스위치(112)를 온시키면, 수급측 단말기(104)가 공급측 단말기(102)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이후 수급측 단말기(104)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의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에 의해 설정된 충전 전압 레벨이 되면 FET(136)가 오프됨으로써 충전이 종료된다.
상기한 충전 장치(100)는 작은 크기의 회로 소자들만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양단에 제1,제2컨넥터(110,116)를 가지는 케이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단말기 충전기에 비해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112), 충전 제어부(114)는 제1,제2컨넥터(110,116) 중에 어느 한쪽의 컨넥터에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제1,제2컨넥터(110,116)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가 용이한 충전 장치(100)를 충전기 대신에 휴대하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있거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도로서, 상기 도 1의 충전 장치(100)를 휴대하지 않고서도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을 시킬 수 있도록 단말기(200) 내에 충전 장치를 내장시킨 경우를 보인 것이다. 단말기(200)에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으며, 상기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에서 단말기(216)는 공급측 단말기 또는 수급측 단말기로서, 통상적인 단말기이거나 단말기(200)처럼 충전 장치를 내장한 단말기에 해당한다.
상기한 단말기들(200,2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218)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단말기(200)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의 전원단자 중에 접지단자(P-)는 접지되고, 전원공급단자(P+)는 제1스위치(204)를 거쳐 충전 제어부(208)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2스위치(206)를 거쳐 단말기(200)의 배터리(210)의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는 통상적인 데이터 통신 케이블(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단말기(216)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218)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제2스위치(204,2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게 되는데, 초기 상태는 제1스위치(204)는 오프상태로 정해지는 반면에 제2스위치(206)는 온상태로 정해진다. 그리고 단말기(216)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단말기(200)의 배터리(210)를 충전시키는 경우에만 제1스위치(204)는 온되고 제2스위치(206)는 오프되며, 단말기(200)의 배터리(210) 전원에 의해 단말기(216)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경우나 단말기(200)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과 상관없이 통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라면 제1,제2스위치(204,206)는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제2스위치(204,206)는 단말기(200)의 주제어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콘트롤러(212)에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사용한다. 또한 충전 제어부(208)의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도 도 1의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126)와 달리 콘트롤러(212)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사용한다. 즉, 제1,제2스위치(204,206)는 콘트롤러(212)로부터 출력되는 제1,제2스위칭 제어신호 SW1,SW2에 의해 각각 스위칭되고,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는 콘트롤러(212)로부터 출력되는 제3스위칭 제어신호 SW3에 의해 스위칭된다. 여기서 제1,제2스위치(204,206)는 온/오프만 되지만,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는 3단으로 스위칭된다.
이처럼 제1,제2스위치(204,206)와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를 콘트롤러(212)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구성한 것은, 충전 장치가 단말기(200)에 내장됨에 따라 단말기(200)에 스위치 버튼들을 더 설치하게 되면 단말기(200)의 소형화에 제한을 주게 되므로, 별도의 스위치 버튼들을 설치하지 않는 대신에 사용자가 메뉴 선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충전 기능은 예를 들어 "단말기간 충전 모드"로서 통상의 메뉴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콘트롤러(212)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제2스위치(204,206)와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 대신에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들을 단말기(2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제2스위치(204,206)에 대응되는 스위치들은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기구적으로 연동되어 서로 반대로 온/오프되는 스위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212)의 처리 동작을 (300)∼(314)단계로 보인 도 3의 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기(216)를 공급측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200)를 수급측 단말기로 하여 공급측 단말기(216)로부터 수급측 단말기(200)를 충전시키거나, 이와 반대로 단말기(200)를 공급측 단말기로 하고 단말기(216)를 수급측 단말기로 하여 공급측 단말기(200)로부터 수급측 단말기(216)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단말기(216)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218)와 단말기(200)의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200)의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았음)상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메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간 충전 모드를 선택하면, 콘트롤러(212)는 (3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302)단계에서 충전 레벨의 선택을 대기한다. 만일 사용자가 충전 모드의 메뉴에서 3가지의 충전 레벨들, 즉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에 의해 선택 가능한 충전 레벨들 중에 어느 하나의 충전 레벨을 선택하면 콘트롤러(212)는 (304)단계에서 그에 대응되게 충전 레벨 스위치(214)를 스위칭시킨 다음에 (306)단계로 진행하고, 충전 레벨이 선택되지 않으면 콘트롤러(212)는 충전 레벨 스위치(214)가 디폴트로 스위칭되어 있는 상태로 놔두고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306)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내부 충전 모드의 선택 여부를 대기한다.
상기 내부 충전 모드는 단말기(200)가 수급측 단말기로서 공급측 단말기(216)에 의해 충전시키는 모드를 의미하며, 내부 충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200)가 공급측 단말기로서 수급측 단말기(216)를 충전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내부 충전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공급측 단말기(216)로부터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제1전원 경로, 즉 제1스위치(204)와 충전 제어부(208)를 거치는 경로를 통해 배터리(210)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제1스위치(204)는 온되어야 하는 반면에 제2스위치(206)는 오프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내부 충전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200)가 공급측 단말기로서 제2전원 경로, 즉 제2스위치(206)를 거치는 경로를 통해 수급측 단말기(216)을 충전시켜야 하거나, 아니면 충전과 관계없이 통상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이므로 배터리(210)의 전원이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1스위치(204)는 오프되어야 하는 반면에 제2스위치(206)는 온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 (306)단계에서 내부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콘트롤러(212)는 (308)단계에서 제1스위치(204)를 온시키는 반면에 제2스위치(206)를 오프시킨다. 이와 달리 내부 충전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1,제2스위치(204,206)의 초기 상태, 즉 제1스위치(204)는 오프되어 있고 제2스위치(206)는 온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314)단계에서 단말기간 충전 모드를 종료한다. 이에따라 내부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공급측 단말기(216)로부터 데이터 통신 컨넥터(202)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제1스위치(204)를 통해 충전 제어부(208)에 입력되고 상기한 도 1의 충전 제어부(114)와 마찬가지의 충전 제어부(208)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21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충전 레벨까지 충전되어진다. 그리고 콘트롤러(212)는 (310)단계에서 충전 종료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는 비교기(134)의 출력에 의해 검사한다. 이를 위해 비교기(134)의 출력은 도 1처럼 FET(136)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도 2처럼 콘트롤러(212)에도 인가되어진다. 이에따라 콘트롤러(212)는 상기한 (308)단계에서 제1,제2스위치(204,206)를 스위칭시킨 다음에 비교기(134)의 출력이 논리 "하이"로 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 레벨까지 충전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면 콘트롤러(212)는 (312)단계에서 제1스위치(204)는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206)는 온시켜 초기 상태로 되돌린 다음에 (314)단계에서 단말기간 충전 모드를 종료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가 용이한 데이터 통신 컨넥터만 휴대하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있거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 충전 모드가 아니고 단말기(200)가 공급측 단말기로서 수급측 단말기(216)을 충전시키는 경우는 수급측 단말기(216)가 단말기(200)처럼 충전 장치를 내장한 경우이거나 상기한 도 1처럼 충전 장치(100)에 의해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만일 수급측 단말기(216)가 단말기(200)처럼 충전 장치를 내장한 경우에는 수급측 단말기(216)에서 상기한 도 3과 같은 충전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한 도 1처럼 충전 장치(100)에 의해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충전 장치(100)에 의해 상기한 도 1에서와 같은 충전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도로서, 상기한 도 2의 충전 제어부(208)에서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와 저항들(128∼132)을 사용치 않는 대신에 콘트롤러(408)의 펄스 출력 Pc에 의해 충전 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한 충전 제어부(402)를 구비하는 단말기(400)의 예를 보인 것이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408)는 충전 레벨에 대응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또는 PDM(Pulse Density Modulation) 펄스를 충전 레벨을 정하는 펄스신호 Pc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와 저항들(128∼132)과 저항(124)을 제거하는 대신에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와 콘트롤러(408)의 펄스신호 Pc 출력단 사이에 저항(404)과 캐패시터(406)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를 설치한다. 그러면 콘트롤러(408)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 Pc는 저항(404)과 캐패시터(406)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분회로에 의해 DC(Direct Current)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압 레귤레이터(120)의 출력 전압 조절 단자(ADJ)에 인가된다. 이때 적분회로에 의해 변환되는 DC 전압은 펄스신호 Pc에 의해 정하여지므로 콘트롤러(408)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충전 레벨에 대응되는 펄스폭을 가지거나 펄스 밀도를 가지는 펄스신호 Pc를 출력함으로써 충전 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도 2와 달리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214)와 저항들(128∼132)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충전 레벨도 더욱 많은 단계들로 세분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휴대가 용이한 충전 장치(100)나 데이터 통신 컨넥터를 부피가 큰 충전기 대신에 휴대하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있거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측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수급측 휴대용 통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도 2의 콘트롤러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 통신 컨넥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제1전원 경로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와 상기 충전 제어부 사이의 상기 제1전원 경로를 온/오프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제2전원 경로를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와 반대로 온/오프시키는 제2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다수의 충전 전압 레벨들 중에 하나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충전 레벨 선택 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데이터 통신 컨넥터를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의 전원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설정된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와 상기 충전 제어부 및 배터리 사이의 제1전원 경로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 컨넥터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제2전원 경로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2스위치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전압 레벨이 될 때까지 상기 제1스위치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충전 제어부의 상기 충전 전압 레벨을 미리 정해진 다수의 충전 전압 레벨들 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충전 전압 레벨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내부 충전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제2스위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8. 삭제
KR10-2002-0060821A 2002-10-05 2002-10-05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10049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1A KR100493080B1 (ko) 2002-10-05 2002-10-05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US10/354,631 US6977486B2 (en) 2002-10-05 2003-01-30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B031083161A CN1323479C (zh) 2002-10-05 2003-03-27 用于移动通信终端的电池的充电装置
DE60328072T DE60328072D1 (de) 2002-10-05 2003-04-07 Batterielad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EP03007497A EP1406366B1 (en) 2002-10-05 2003-04-07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1A KR100493080B1 (ko) 2002-10-05 2002-10-05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94A KR20040031394A (ko) 2004-04-13
KR100493080B1 true KR100493080B1 (ko) 2005-06-02

Family

ID=3198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21A KR100493080B1 (ko) 2002-10-05 2002-10-05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77486B2 (ko)
EP (1) EP1406366B1 (ko)
KR (1) KR100493080B1 (ko)
CN (1) CN1323479C (ko)
DE (1) DE6032807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76B1 (ko) * 2003-06-03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Usb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지털 카메라
KR200330467Y1 (ko) * 2003-08-01 2003-10-17 (주) 피엔텔레컴 전원공급원 자동 인식 충전형 데이터 통신 케이블
US8117651B2 (en) 2004-04-27 2012-02-14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n accessory
US7823214B2 (en) 2005-01-07 2010-10-26 Apple Inc.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8086281B2 (en) * 2007-01-06 2011-12-27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of power and information among electrical devices
TWI334235B (en) * 2006-12-20 2010-12-01 Compal Electronics Inc Device of battery power management having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8401473B2 (en) * 2007-01-06 2013-03-19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of power and information among electrical devices
US9806772B2 (en) 2007-01-06 2017-10-31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of power and information among radio frequency-based devices
US7902794B2 (en) * 2007-07-03 2011-03-08 Intersil Americas Inc. Over-voltage protected battery charger with bypass
US8222869B2 (en) * 2007-07-05 2012-07-17 O2Micro, Inc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KR101474421B1 (ko) * 2007-11-23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US20090134836A1 (en) * 2007-11-27 2009-05-28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 recharging
US7928698B2 (en) * 2008-03-25 2011-04-19 Spx Corporatio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8238811B2 (en) 2008-09-08 2012-08-07 Apple Inc. Cross-transport authentication
US9632969B2 (en) * 2012-08-07 2017-04-2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peripheral module
CN103475068B (zh) 2013-09-30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充电器、充电终端、充电系统及充电控制方法
US9711983B2 (en) 2014-04-09 2017-07-18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US10027146B2 (en) 2014-06-03 2018-07-17 Traxxas, LP Battery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396568B2 (en) 2014-06-03 2019-08-27 Traxxas Lp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US10431992B2 (en) * 2014-06-03 2019-10-01 Traxxas Lp Battery charger with user interface
KR20180045954A (ko) * 2016-10-26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050469A (ja) * 2017-12-21 2018-03-29 オズマ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及び充電器
US11320969B2 (en) * 2019-09-16 2022-05-03 Snap Inc. Messaging system with battery level shar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23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무선전화기의 보조전원 공급장치
JP2000339067A (ja) * 1999-03-25 2000-12-08 Sourcenext Corp USB(UniversalSerialBus)ケーブル及びUSBケーブルによる外部装置への充電方法
KR20020014870A (ko) * 2000-08-19 2002-02-27 공종열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KR20030023188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된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 장치
KR20030046074A (ko) * 2001-12-05 2003-06-12 김남진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KR20030062978A (ko) * 2002-01-21 2003-07-28 김대욱 방전된 핸드폰의 응급복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177A (en) * 1991-10-19 1994-07-26 Cell Port Labs, Inc. Universal connection for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US5661634A (en) * 1993-11-09 1997-08-2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unit and data communication adapter therefor
US5936381A (en) * 1998-01-13 1999-08-10 Suh; Soo Chan Charging apparatus for car storage batteries
JP2000201204A (ja) * 1999-01-08 2000-07-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用補助充電装置
CA2275041C (en) * 1999-06-17 2008-01-22 Vtech Communications, Ltd. Method and apparatus of extending useful life of a cordless telephone during a power outage condition
DE10008600A1 (de) * 2000-02-24 2001-09-06 Siemens Ag Mobiles Mehrgeräte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23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무선전화기의 보조전원 공급장치
JP2000339067A (ja) * 1999-03-25 2000-12-08 Sourcenext Corp USB(UniversalSerialBus)ケーブル及びUSBケーブルによる外部装置への充電方法
KR20020014870A (ko) * 2000-08-19 2002-02-27 공종열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KR20030023188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된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 장치
KR20030046074A (ko) * 2001-12-05 2003-06-12 김남진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KR20030062978A (ko) * 2002-01-21 2003-07-28 김대욱 방전된 핸드폰의 응급복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3479C (zh) 2007-06-27
US6977486B2 (en) 2005-12-20
KR20040031394A (ko) 2004-04-13
EP1406366B1 (en) 2009-06-24
EP1406366A2 (en) 2004-04-07
US20040066174A1 (en) 2004-04-08
EP1406366A3 (en) 2006-10-11
CN1487646A (zh) 2004-04-07
DE60328072D1 (de)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080B1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US7733060B2 (en) Charging IC,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3457348B (zh) 半导体集成电路及其操作方法
US6833686B2 (e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n adaptive charge rate power supply
US8051308B2 (en) Display device with USB connectivity
KR100965876B1 (ko) Usb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지털 카메라
US62885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current
US6628535B1 (en) Voltage converter with selectable DC output voltage level
CA2632898C (en) Charging and power supply for mobile devices
CN108123519B (zh) 电源转接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供电系统
CN1413374A (zh) 对电池充电的方法和装置
EP1994624A2 (en) Power supply for battery powered devices
US7679321B2 (en) Power circuit
US11791650B2 (en) Multiple output charging system and controller
CN113614919A (zh) 半导体集成电路
KR101728881B1 (ko) 하나의 포트를 이용한 보조배터리와 보조배터리의 충방전 제어방법
EP1595203B8 (e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n adaptive charge rate power supply
US20060279139A1 (en) Universal power converter having integral AC converter
KR20170098461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외부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JP5486527B2 (ja) 電気機器
KR20070000563A (ko) 이동단말기 보조전원장치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879880A (zh) 备用电池充电电路
KR200394884Y1 (ko) 충전케이블 장치
KR20170137314A (ko)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KR20070092074A (ko)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