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40A -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 Google Patents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40A
KR20030046040A KR1020010076356A KR20010076356A KR20030046040A KR 20030046040 A KR20030046040 A KR 20030046040A KR 1020010076356 A KR1020010076356 A KR 1020010076356A KR 20010076356 A KR20010076356 A KR 20010076356A KR 20030046040 A KR20030046040 A KR 2003004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rizontal
detector
vertical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102001007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040A/ko
Publication of KR2003004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01V5/22Active interrogation, i.e. by irradiating objects or goods using external radiation sources, e.g. using gamma rays or cosmic 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4/00Conversion screens for the convers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X-rays or particle radiation into visible images, e.g. fluoroscopic scree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4/00Conversion screens for the convers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X-rays or particle radiation into visible images, e.g. fluoroscopic screens
    • G21K2004/02Conversion screens for the convers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X-rays or particle radiation into visible images, e.g. fluoroscopic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external panel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방향별로 검출되는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길이의 승강장(10); 윈치(12a, 12b) 및 상기 윈치(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이동 가능한 차량(20); 상기 차량(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유압실린더(23); 상기 유압실린더(23)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아(25);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2 수평검출기(30, 60);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 일단이 상기 수평바아(2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아(24); 상기 제 2 수직검출기(50)와 상기 제 2 수평검출기(6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는 제 1 선원상자(80); 상기 제 1 수평검출기(30)와 상기 제 1 수직검출기(4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2 선원상자(90); 및 상기 제 1, 2 수직검출기(40, 50) 및 제 1, 2 수평검출기(30, 60)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9)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A Vehicle with Security Checking System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방향별로 검출되는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는 승객들이 직접 들고 다니는 손가방, 여행 가방등 비교적 작은 물품들을 투시하기 위한 투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투시장치는 손가방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작은 물체에는 사용이 적합한 반면, 그 이상의 부피를 갖는 대형 화물의 경우에는 검사가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화물의 내부에 폭발물, 마약류, 총기류, 위장 농산물, 밀입국자 등이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색출하기 어려웠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통관이 숙련자의 경험이나 탐색견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편차가 심하고 정밀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공항, 항구, 국경지역에서 컨테이너와 같은 대량의 화물이 통관될 경우,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투시장치에 의할 경우 검사속도가 늦어 통관에 큰 불편이 따랐다. 그리고, 대형화물인 경우 투시되어지는 부분보다 가려지는 부분이 많고, 모노 비젼(Mono-Vision)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체의 형상이 왜곡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검출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를 응용한 일부 제품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2000-68783, 2000-68784, 2000-68785, 2000-68786, 2000-68787, 2000-68788, 2000-68789, 2000-68790, 2000-68791, 2000-68792호에는 대형 검출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이를 응용한 초기 제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15906, 2001-15907, 2001-15908, 2001-15909, 2001-15910, 2001-15911호에는 콘테이너를 투시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투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복수의 방사선원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정밀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제공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대량의 콘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윗면으로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지나가는 소정길이의 승강장(10); 상기 승강장(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을 견인하기 위한 윈치(12a, 12b) 및 상기 윈치(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이동 가능한 차량(20); 상기 차량(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유압실린더(23); 상기 유압실린더(23)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아(25); 상기 수평바아(25)의 일단에 상기 수평바아(25)의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평검출기(30); 일단이 상기 수평바아(2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아(24); 상기 회동바아(24)의 일면에 상기 회동바아(24)의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직검출기(40); 상기 회동바아(24)의 일면과 대응하는 타면에 상기 제 1 수직검출기(40)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수직검출기(50); 상기 제 2 수직검출기(5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수평검출기(60); 상기 제 2 수직검출기(50)와 상기 제 2 수평검출기(6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는 제 1 선원상자(80); 상기 제 1 수평검출기(30)와 상기 제 1 수직검출기(4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2 선원상자(90); 및 상기 제 1, 2 수직검출기(40, 50) 및 제1, 2 수평검출기(30, 60)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장(10)의 중간영역에는 상기 승강장(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수평검출기(60)가 매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원상자(80)는 상기 유압실린더(23)와 상기 수평바아(25)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량(20)의 적재영역에는 도어(21)가 구비된 조정실(8)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정실(8)의 내부에는 상기 컴퓨터(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수평바아(70)에는 진출입하는 트럭(16)을 촬영하기 위한 한쌍의 카메라(7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서 검출을 위한 준비상태(검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의 우측면도로서, 방사선이 조사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이동하기 위한 상태(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면도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우측면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구성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2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의 구성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3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3 : 공기압축기,5 : 비상전원,
7 : 스캔 구동기,8 : 조정실,
9 : 컴퓨터,10 : 승강장,
13 : 와이어,12a, 12 b : 윈치,
14 : 콘테이너,16 : 트럭
20 : 차량,21 : 도어,
23 : 유압 실린더,24 : 회동바아
25 : 수평바아,30 : 제 1 수평 검출기
40 : 제 1 수직 검출기.50 : 제 2 수직 검출기
60 : 제 2 수평 검출기,70 : CCD 카메라
80 : 제 1 선원상자,90 ; 제 2 선원상자,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서 검색을 위한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의 평면도이다. 도 1 및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차량(20) 및 승강장(10)으로 구분되고, 차량(20)은 크게 수평바아(25), 제 1, 2 수평 검출기(30, 60),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 회동바아(24) 등으로 구성된다.
승강장(10)은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일정한 속도로 지나가도 견딜 수 있도록 강철로 제작되며,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장(10)의 길이는 한대의 트럭(16)이 일정하게 중간부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대략 콘테이너(14) 길이의 두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아울러, 그 폭은 차량의 폭보다는 다소 크게 제작된다.
승강장(10)의 양단에는 트럭(16)이 부드럽게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도록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고, 윈치(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윈치(12a, 12b)는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13)의 중간영역은 트럭(16)의 앞부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윈치(12a)와 와이어(13)는 운전사가 없는 트럭(16)을 일정한 속도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제 2 윈치(12b)는 견인후 와이어(13)를 되감는 역할을 한다.
차량(20)은 10톤 규모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특장차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통상의 자동차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그 차량(20)의 적재영역에는 각종 검출기(추후 설명)와 바아(추후 설명)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4와 같이 조정실(8)을 구획하여, 조정실(8)의 내부에는 검출에 필요한 컴퓨터(9), 전원장치(5), 공기 압축기(3) 등을 구비하고 조작자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바아(25)는 평면상에서 약 90도 정도 회전 가능하고, 일단에는회동바아(24)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제 1 수평 검출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바아(25)의 타단에는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무게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검출상태에서는 차량(20)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하며, 이동상태에서는 차량(2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한다.
회동바아(24)는 일단이 수평바아(2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바아(24)는 검출상태일 때 도 1과 같이 수직하게 배열되며, 이동상태일 때는 도 5와 같이 수평위치에서 차량(20)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제 1 선원상자(80)는 상기 수평바아(25)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수평바아(2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선원상자(90)는 차량(20)의 측면 하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선원상자(80, 90)는 내부에 방사선 동위원소인 Co6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1.17 MeV 와 1.33 MeV의 에너지를 갖는 감마선이 방출된다. 또한, 방출구(미도시)는 수직한 슬릿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방출구(미도시)에는 전기신호로 제어되는 셔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의 우측면도로서, 방사선이 조사되는 상태(즉, 검출상태)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우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후면을 도시)으로부터 상승된 유압실린더(23)의 단부에는 가로방향의 수평바아(25)가 위치하고, 수평바아(25)의 일측면 단부에는 제 1 수평검출기(30)가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바아(25)로부터 90도 회동하여 수직상태를 이루는 회동바아(24)의 일측면에는 제 1 수직 검출기(40)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대칭적으로 제 2 수직 검출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수직방향으로서 세워진 제 1 수직 검출기(40) 및 제 2 수직 검출기(50)의 사이에 회동바아(2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수직 검출기(50)의 일단에는 제 2 수평 검출기(6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 2 수평 검출기(60)는 검출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승강장(10)의 중간영역에 홈을 마련하고, 그 홈 사이로 제 2 수평 검출기(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트럭(16)이 통과하더라도 제 2 수평검출기(60)와는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10)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한 쌍의 승강장(10)을 연결할 때,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그 간격에 제 2 수평 검출기(6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제 1 선원(80)은 수평바아(25)의 위치에서 트럭(16) 및 콘테이너(14)를 향해 방사선을 하향 조사한다. 이 때, 제 1 선원(8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중심각은 약 60 ~ 70도이다. 제 2 선원(90)은 차량(20)의 측면 하체에 설치되어 방사선을 상향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 2 선원(9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중심각은 약 77도이다.
또한, 수평바아(25)의 상면(또는 하면도 가능)에는 진입하는 트럭(16)과 진출하는 트럭(16)을 촬영하기 위한 한 쌍의 CCD 카메라(7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70)의 출력신호는 조정실(8) 내의 텔레비전(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에서, 수평아암(25)의 회동은 유압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지며, 회동아암(24)의 회동 및 제 2 수평 검출기(60)의 회동은 유입 피스톤의 팽창 및 수축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당업자의 용이한 선택에 따라 와이어, 체인, 기어, 모터 등으로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이동하기 위한 상태(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면도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의 적재영역에는 조정실(8)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정실(8)의 내부에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컴퓨터(9), 전원장치(5), 공기압축기(3) 등이 구비되어, 조작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상태에서는 유압실린더(23)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평바아(25)는 차량(2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제 1, 2수평검출기(30, 60) 및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는 모두 수평상태로 인접하면서 적재되어 최소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검출기(30, 40, 50, 60)는 비저항이 매우 높은 물질로 만든 전극판을 사용하고, 두께는 2∼3mm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검출기(30, 40, 50, 60)의 신호처리 스트립의 폭은 약 0.8 mm, 검출기(30, 40, 50, 60)는 4중 간극형을 사용하였다. 이 때, 시간 분해능은 2 x 10-9초 미만이었고, 공간분해능은 약 0.25cm 정도였다. 그리고, 하나의 컨테이너를 검색하는데 약 60초정도가 소요되었으므로, 시간당 약 60개 정도의 컨테이너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검출기로는 비저항이 높은 물질을 사용한 다중 간극형 기체검출기외에 크리스탈을 이용한 검출기,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검출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7,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가 이동상태에서 검출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우측면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이 정지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3)가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별도의 유압모터(미도시)에 의해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수평바아(25)가 90도 회전하면서, 수평바아(25)에 매달린 회동바아(24), 제 1, 2 수평 검출기(30, 60),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도 함께 회전한다.
도 7은 도 6의 구성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2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아(24)가 화살표를 따라 수직상태로 회전함에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 및 제 2 수평 검출기(60)가 함께 수직 상태가 된다. 이 때, 수평바아(25) 및 제 1 수평 검출기(30)는 움직임없이 고정된다.
도 8은 도 7의 구성도에서 검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 3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직 검출기(50)에 연결된 제 2 수평 검출기(60)가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수평바아(25), 회동 바아(24) 및 제 1, 2 수직 검출기(40, 50)은 움직임없이 고정된다. 도 8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 2 수평 검출기(60)의 양측에 승강장(10)을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20)을 이용한 검출준비는 일단 완료된다. 이 때, 선택적으로, 차량(20)을 미리 설치된 승강장(10)의 중간영역으로 이동한 뒤, 제 2 수평 검출기(60)을 회동하여 승강장(10) 내부로 매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를 검색상태에서 이동상태로 복원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과정을 역으로 실행함으로써 도 8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검색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검색을 위한 준비단계를 설명한다. 콘테이너(14)가 적재된 트럭(16)을 승강장(10)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트럭(16)의 앞부분에 견인할 와이어(13)를 연결한다. 이로서 도 1과 같은 준비단계가 완료된다.
그 다음 제 1 윈치(12a)를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트럭(16)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 1, 2 선원상자(80, 90)에서 방사선을 방출한다. 트럭(16)이 제 2 선원상자(90)를 통과할 때, 도 3과 같이 제 2 선원상자(90)로부터 소정 원호각의 방사선이 상향 방출된다. 트럭(16)을 통과하면서 방사선은 트럭(16)의 내용물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고 이렇게 변화된 방사선이 제 1 수평 검출기(30) 및 제 1 수직검출기(4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 1 수평 검출기(30) 및 제 1 수직 검출기(40)는 변화된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출력하게 된다.
제 2 선원상자(90)를 통과한 트럭(16)의 앞부분은 제 1 선원상자(80)를 통과하면서 도 3과 같은 구성의 방사선을 하향 조사받게 된다. 이렇게 조사된 방사선은 앞서 설명한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제 2 수직 검출기(50) 및 제 2 수평 검출기(60)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출력된다.
일정한 속도로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통과함에 따라, 제 1, 2 수평 검출기(30, 60) 및 제 1, 2, 수직 검출기(30, 40)에는 주기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검출은 트럭(16)이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일정한 샘플링 주기로 측정되는 각 검출기(30, 40, 50, 60)의 전기적 출력신호는 조정실(8)의 전달되어 컴퓨터(9)로 입력된다. 그 다음, 각 검출기(30, 40, 50, 60)의 기구적 데이터(크기, 설치위치와 간격) 및 특성(감도, 출력전압의 범위) 등을 종합하여 3차원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영상은 200만 화소 이상의 감마선 투과 영상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영상신호는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통과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통과가 완료된 후 일정한 영상신호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트럭(16)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 조정실(8)내의 조작자는 CCD 카메라(70)를 통해 검색상황(예를 들어, 트럭(16)의 진입 정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트럭(16)과 콘테이너(14)가 모든 검출기(30, 40, 50, 60)를 통과하고나면, 와이어(13)를 해제한 후, 제 2 윈치(12b)를 감아 와이어(13)를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그 다음, 운전자의 운전에 의해 트럭(16)이 승강장(10)에서 내려옴으로서 검색이 완료된다. 이렇게 검색이 완료되면, 다음 트럭의 준비단계가 뒤이어짐으로써 다수의 트럭을 연속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구성부품의 대략적인 치수는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승강장(10)의 길이는 약 35m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선원상자 및 이에 대응하는 검출기 셋트를 사용하였으나, 화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선원상자 및 검출기의 갯수를 3개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록, 트럭(16)과 콘테이너(14)의 화물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화물열차 또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동하는 기타 화물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검출기(30, 40, 50, 60)의 후면에는 투과된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방사선 쉴드막(또는 쉴드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는 조립식이기 때문에 국경지역, 항구, 항만, 공항 등에 쉽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고, 신속하게 해체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에 의하면, 다수의 방사선원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정밀한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정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조립 분해가 용이하면서도 대량의 콘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검색할수 있기 때문에 성능과 기동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 의해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적으로 마련된 검색초소(예를 들어, 운동장, 주차장 등)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 컨테이너의 형상을 왜곡없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부에 무기류, 마약류, 위장 농산물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적발해 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윗면으로 콘테이너(14)를 적재한 트럭(16)이 지나가는 소정길이의 승강장 (10);
    상기 승강장(1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트럭(16)을 견인하기 위한 윈치 (12a, 12b) 및 상기 윈치(12a, 12b)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3);
    이동 가능한 차량(20);
    상기 차량(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유압실린더(23);
    상기 유압실린더(23)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아(25);
    상기 수평바아(25)의 일단에 상기 수평바아(25)의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평검출기(30);
    일단이 상기 수평바아(2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아(24);
    상기 회동바아(24)의 일면에 상기 회동바아(24)의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수직검출기(40);
    상기 회동바아(24)의 일면과 대응하는 타면에 상기 제 1 수직검출기(40)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수직검출기(50);
    상기 제 2 수직검출기(5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사되는 방사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수평검출기(60);
    상기 제 2 수직검출기(50)와 상기 제 2 수평검출기(6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하향 조사하는 제 1 선원상자(80);
    상기 제 1 수평검출기(30)와 상기 제 1 수직검출기(40)를 향해 상기 차량(20)의 측면에서 방사선을 상향 조사하는 제 2 선원상자(90); 및
    상기 제 1, 2 수직검출기(40, 50) 및 제 1, 2 수평검출기(30, 60)의 각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컴퓨터(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10)의 중간영역에는 상기 승강장(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수평검출기(60)가 매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원상자(80)는 상기 유압실린더(23)와 상기 수평바아(25)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의 적재영역에는 도어(21)가 구비된 조정실(8)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정실(8)의 내부에는 상기 컴퓨터(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아(70)에는 진출입하는 트럭(16)을 촬영하기 위한 한쌍의 카메라(7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KR1020010076356A 2001-12-04 2001-12-04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KR20030046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56A KR20030046040A (ko) 2001-12-04 2001-12-04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356A KR20030046040A (ko) 2001-12-04 2001-12-04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40A true KR20030046040A (ko) 2003-06-12

Family

ID=2957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356A KR20030046040A (ko) 2001-12-04 2001-12-04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0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49B1 (ko) * 2007-05-14 2009-01-08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화물 검색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91153B1 (ko) * 2008-12-24 2009-04-06 이텍산업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 운반용기 운송트럭
CN113970793A (zh) * 2020-07-22 2022-01-25 清华大学 车载式ct安检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49B1 (ko) * 2007-05-14 2009-01-08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화물 검색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91153B1 (ko) * 2008-12-24 2009-04-06 이텍산업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 운반용기 운송트럭
CN113970793A (zh) * 2020-07-22 2022-01-25 清华大学 车载式ct安检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769B2 (en) Compact mobile cargo scanning system
JP4664907B2 (ja) 車両搭載検査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069101B2 (en) Integrated, portable checkpoint system
US4599740A (en) Radiographic examination system
US9285498B2 (en) Relocatable X-ray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commercial vehicles and cargo containers
US6542580B1 (en) Relocatable X-ray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vehicles and containers
JP6465867B2 (ja) ミューオン検出アレイステーション
EP2433152B1 (en) Compact mobile cargo scanning system
US20120236990A1 (en) X-Ray Inspection Based on Concealed Transmission Detection
US20060126772A1 (en) Container inspection system with CT tomographic scanning function
US20210173097A1 (en) Pass-Through X-Ray Backscatter Personnel Scanner
SA516371524B1 (ar) نظام وطريقة لفحص كامل غير متدخل لطائرة
EP3505974B1 (en) Vehicle-mounted type back scattering inspection system
KR20030046040A (ko) 화물 검색장치를 탑재한 차량
KR100479959B1 (ko) 콘테이너 화물 검색장치
KR20020075678A (ko) 타워형 화물열차 투시장치
KR20020076006A (ko) 타워형 차량 투시장치 및 그 투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