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888A -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888A
KR20030045888A KR1020010075793A KR20010075793A KR20030045888A KR 20030045888 A KR20030045888 A KR 20030045888A KR 1020010075793 A KR1020010075793 A KR 1020010075793A KR 20010075793 A KR20010075793 A KR 20010075793A KR 20030045888 A KR20030045888 A KR 2003004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module
bidirectional
liquid crystal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009B1 (ko
Inventor
한상훈
정현중
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1-007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09B1/ko
Priority to EP02014550.4A priority patent/EP1316841B1/en
Priority to CNB021402957A priority patent/CN1187640C/zh
Priority to JP2002214711A priority patent/JP3773472B2/ja
Priority to US10/214,430 priority patent/US6801271B2/en
Publication of KR2003004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6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extracting light out both the major surfaces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 및 하측 표시모듈의 동작에 한꺼번에 기여할 수 있는 부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의 불필요한 증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추가 광원의 배치에 따른 제품의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반사 도트에 비해 향상된 광 산포 유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 예컨대, 다수의 산포라인들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광원의 밝기 증가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컬러 표시모드 대처문제, 광 균일도 문제 등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Dual way display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 및 하측 표시모듈의 동작에 한꺼번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 광원의 불필요한 증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추가 광원의 배치에 따른 제품의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있도록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 사회가 정보 사회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 표시 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의 중요성은 점차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정보 표시 장치들, 예컨대, CRT, PDP 등과 달리,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등의 많은 장점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근래에,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TV,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처리 디바이스에 다양하게 채용되어 폭 넓게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정보처리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채용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20)는 크게, 도광판(23)과, 이 도광판(23)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하측 표시모듈들(21,22)과, 앞의 상·하측 표시모듈들(21,22)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광판(23)의 측부에는 다수의 광원 칩들(24)이 배치되며, 이와 별도로, 도광판(23)의 저부에는 광원 시트(26)가 배치된다. 이 경우, 도광판(23)의 측부에 배치된 광원 칩들(24)은 상측 표시모듈(21) 쪽에 광선을 공급하는 역할을 전담하며, 도광판(23)의 저부에 배치된 광원 시트(26)는 하측 표시모듈(22) 쪽에 광선을 공급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3)의 저부에는 반사 시트(27)가 더 배치되는 바, 이러한 반사 시트(27)는 광원 칩들(24)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앞의 상측 표시모듈(21) 쪽으로 역 반사시킴으로써, 해당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21)의 반대측으로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통상, 이러한 반사 시트(27)는 상측 표시모듈(21) 쪽의 집광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100%에 가까운 반사율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반사 시트(27)와 함께, 도광판(23)의 저부에는 다수개의 반사 도트들(도시안됨)이 더 배치되는 바, 이 반사 도트들은 "광원 칩들(24)로부터 입사되는 광선", "반사 시트(27)로부터 반사되는 광선" 등을 상측 표시모듈(21) 쪽으로 산란·반사시킴으로써, 상측 표시모듈(21)쪽의 집광효과를 추가·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반사 도트들은 약 20㎛ 이상의 사이즈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상측 표시모듈(21)은 광원 칩들(24)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도광판(23)을 매개로 전달받은 후, 이 광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를 예컨대, 컬러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 표시모듈(22)은 광원 시트(2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직접 전달받은 후, 이 광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간단한 보조 정보를 예컨대, 흑백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는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상측 표시모듈(21)과 하측 표시모듈(22)은 예컨대, 광원 칩들(24), 광원 시트(26) 등과 같은 각기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경우, 액정표시장치는 전체적인 두께, 중량 등이 각 광원들의 점유 영역만큼 증가되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상측 표시모듈(21)과 하측 표시모듈(22)이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는 각 광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품들, 예컨대, 인버터를 구비할 수밖에 없게 되며,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는 전체적인 두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조립 자체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 또한 야기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표시모듈(21)은 광원 칩들(21)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이용하여,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를 경우에 따라, 컬러로 표시하게 되는 바, 이러한 컬러 표시모드 체제하에서, 상측 표시모듈(21)이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흑백 표시모드에 비해 약 10배 이상의 밝은 광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상측 표시모듈(21)의 밝기환경에 기여하는 광원 칩들(24)은 단지, 반사 도트들만을 이용하여 광선의 밝기 증가를 도모하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에, 자신의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컬러 표시모드의 밝기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일정 수준 이상의 표시 품질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광원 칩들은 도광판(23)의 한쪽 측면에만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구조에서, 상측 표시모듈(21)의 광원칩(24) 반대쪽 모서리는 광원 칩(24)쪽에 비해 어두운 상태를 나타낼 수밖에 없으며, 결국, 상측 표시모듈은 전체적인 광 균일도가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도광판(23)의 양쪽 측면에 광원 칩들을 모두 배치하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 제품의 단가가 대폭 상승할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 중량 등이 광원 칩들의 추가 점유영역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 및 하측 표시모듈의 동작에 한꺼번에 기여할 수 있는 부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의 불필요한 증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추가 광원의 배치에 따른 제품의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일괄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반사도트에 비해 향상된 광 산포 유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광원의 밝기 증가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컬러 표시모드 대처문제, 광 균일도 문제 등을 일괄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도광판을 뒤집어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뒤집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뒤집어 보인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쌍으로 배치된 상·하측 표시모듈과, 이 상·하측 표시모듈의 각각에 일정 크기의 광선을 일괄·공급하는 다수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과, 상·하부 각면에 앞의 상·하측 표시모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양방향 겸용 광원들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양방향 가이드 하는 도광판과, 앞의 도광판 및 하측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산포시켜,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키는 산포필름과, 도광판 및 하측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일부를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광선의 나머지 일부를 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투과시키는 반사/투과 겸용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10)는 크게, 다수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6), 이 양방향 겸용 광원들(6)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는 도광판(3), 이 도광판(3)의 상·하면 각각에 배치되는 상·하측 표시모듈(1,2), 앞의 상·하측 표시모듈들(1,2)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7)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광판(3)은 자신의 상·하부 각면에 앞의 상·하측 표시모듈을 안착시킨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양방향 겸용 광원들(6)은 상·하측 표시모듈(6)의 각각에 일정 크기의광선을 일괄·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광판(3)은 앞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하측 표시모듈(3) 쪽으로 양방향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상측 표시모듈(1)은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중의 일부를 도광판(3)을 매개로 전달받은 후, 이 광선을 이용하여, 예컨대, 자신이 소속된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측 표시모듈(2)은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중 도광판(2)의 후면으로 누설되는 나머지 일부를 전달받은 후, 이 광선을 이용하여, 예컨대, 자신이 소속된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간단한 보조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측 표시모듈(1) 또는 하측 표시모듈(2)의 일부에 일련의 컬러필터(도시안됨)가 구비되는 경우, 해당 표시모듈은 자신에게 부여된 정보를 컬러로 표시할 수 있다.
통상, 상측 표시모듈(1)은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컬러필터를 구비하여, 일련의 컬러모드로 구현되며, 하측 표시모듈(2)은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간단한 보조 정보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고가의 컬러필터 없이, 흑백모드로 구현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 상측 표시모듈(1) 또는 하측 표시모듈(2)의 컬러 구현모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처럼, 상측 표시모듈(1) 또는 하측 표시모듈(2) 중의 어느 하나가 컬러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은 컬러구현에 유리한 백색광을 이룬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광판(3)의 일면, 예컨대, 도광판(3)의 하측 표시모듈(2)쪽 일면에는 앞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일부, 예를 들어, 광선의 90% 정도를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해당 광선의 나머지 일부, 예컨대, 광선의 10% 정도를 하측 표시모듈(2) 쪽으로 투과시키는 반사/투과 겸용시트(5)가 배치된다.
이러한 반사/투과 겸용시트(5)의 작용에 따라, 상측 표시모듈(1) 및 하측 표시모듈(2)은 종래와 같은 별도의 전용 광원 없이, 단지, 양방향 겸용 광원(6) 하나만을 공유하고서도, 일련의 정보 표시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던 반사 시트는 상측 표시모듈 쪽의 집광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100%에 가까운 반사율을 유지하였으며, 그 결과, 메인광원(Main light source)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은 단지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만 반사될 수 있을 뿐, 하측 표시모듈 쪽으로는 투과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하측 표시모듈은 예컨대, 광원 시트와 같은 별도의 광원을 구비할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제품의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불필요한 문제점들을 야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반사 시트를 대체하여, 반사/투과 겸용시트(5)가 배치되고, 이 반사/투과 겸용시트(5)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일부, 예를 들어, 광선의 90% 정도를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해당 광선의 나머지 일부, 예컨대, 광선의 10% 정도를 하측 표시모듈(2) 쪽으로 투과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은 상측 표시모듈(1) 뿐만 아니라, 하측 표시모듈(2) 모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며, 결국, 하측 표시모듈(2)은 종래와 달리, 별도의 광원 없이도, 자신에게 부여된 일련의 정보 표시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1) 및 하측 표시모듈(2)의 동작에 한꺼번에 기여할 수 있는 부품환경이 구축되기 때문에, 광원의 불필요한 추가 배치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 상측 표시모듈(1)은 불가피하게 종래의 경우보다 적은 량의 광선을 조사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종래의 반사 시트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100% 가깝게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키는 작용을 수행하였는데 반해, 본 발명의 반사/투과 겸용시트(5)는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을 단지, 90% 정도만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반사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을 미리 감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의 하측 표시모듈(2)쪽 일면에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폭 넓게 산포시켜, 앞의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반사시키는 산포필름(4)을 더 배치시킴으로써, 상측 표시모듈(1) 쪽의 광선 부족량이 적절히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포필름(4)의 일면에는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선형으로 산포시키기 위한 다수의 산포라인들(4a)이 예컨대, 산포필름(4)의 표면을 따라, 랜덤(Random)하게, 또는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산포라인들(4a)은 종래의 반사 도트들과 달리, 0.5㎛~5.5㎛ 정도의 미세한 선폭으로 돌출되어, 길게 뻗은 마운트 구조(Mount structure)를 형성하기 때문에,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종래의 반사 도트들 보다 더 많이, 더 멀리, 더 균일하게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산포·반사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상측 표시모듈(1)은 반사/투과 겸용시트(5)의 영향에 의해 비록, 적은 량의 광선을 공급받더라도, 그 부족량을 산포필름(4)의 작용에 의해 보상받을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자신에게 주어진 정보표시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산포라인들(4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한 곡선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규칙적인 직선 형상을 이룰 수도 있으며, 불규칙한 곡선과, 규칙적인 직선이 혼합된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산포라인들은 상측 표시모듈(1)의 "표시면 균일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예컨대, "광원(6)쪽에서는 소(Low-density)하게 배치되고, 광원(6) 반대쪽에서는 밀(High density)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산포라인들(4a)의 형상, 배치구조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산포필름(4a)은 단지, 상측 표시모듈의 "광선 보상작용"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겸용 광원들(6)과의 연계과정을 통해"상측 표시모듈(1)의 밝기환경에 기여하는 역할", "상측 표시모듈(1)의 광 균일도 유지에 기여하는 역할" 등을 폭 넓게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포필름(4)에 형성된 산포라인들(4a)은 종래의 반사 도트들과 달리, 0.5㎛~5.5㎛ 정도의 미세한 선폭으로 돌출되어, 길게 뻗은 마운트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종래의 반사 도트들 보다 더 많이, 더 멀리, 더 균일하게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산포·반사시킬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게 되며, 결국, 산포라인들(4a)의 배치하에서, 상측 표시모듈(1)은 단지, 반사 도트들만을 이용하던 종래에 비해, 자신에게 공급되는 광선의 밝기가 대폭 증가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 양방향 겸용 광원들(6)은 앞의 산포필름(4)을 이용하여,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공급되는 광선의 밝기 증가, 균일도 증가를 손쉽게 도모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컬러 표시모드의 밝기 요구", "광 균일도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산포필름(4)은 일련의 인써트 몰딩 방식(Insert molding process)에 의해 도광판(3)의 일면에 가볍게 얹혀져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일련의 압착 몰딩 방식(Press molding process)에 의해 도광판(3)의 일면에 일체로 강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산포필름(4)의 안착방식 또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의 일면, 예컨대, 앞의 반사/투과 겸용시트(5), 산포필름(4) 배치면에는 일련의 안착홈(3a)이 더 배치된다.
이 경우, 안착홈(3a)은 반사/투과 겸용시트(5), 산포필름(4) 등의 기구적인 장착구조를 안정적으로 보강함으로써, 해당 반사/투과 겸용시트(5), 산포필름(4) 등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도 정상적인 배치구조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의 상측 표시모듈(1)쪽 일면에는 앞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측 표시모듈(1)쪽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여러 겹, 예컨대, 1겹~3겹의 투명 확산 시트들(8)이 더 배치된다.
이 경우, 각 투명 확산 시트들(8)은 자신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결(Grain)을 이용하여, 예컨대,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폭 넓게 산란·확산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상측 표시모듈(1)은 이러한 반사/투과 겸용시트(1)의 작용에 의해 비록, 적은 량의 광선을 공급받더라도, 그 부족량을 앞의 산포필름(4) 뿐만 아니라, 투명 확산 시트들(8)의 작용에 의해서도 보상받을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자신에게 주어진 정보표시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의 하측 표시모듈(2)쪽 일면, 예컨대, 반사/투과 겸용시트(5)의 일면에는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컬러화하기 위한 투명 컬러유도필름(9)이 더 배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측 표시모듈(1)은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중의 일부를 도광판(3)을 매개로 전달받은 후, 이광선을 이용하여, 자신이 소속된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를 예컨대, 컬러로 표시하게 되는 바, 이러한 컬러 표시모드에서, 양방향 겸용 광원들(6)은 통상, 컬러구현에 유리한 백색의 광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컬러모드 체제하에서, 본 발명의 하측 표시모듈(2)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방향 겸용 광원(6)을 상측 표시모듈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 표시모듈(1)과 마찬가지로, 백색의 광선을 전달받게 되며, 별도의 조치, 예컨대, 고가의 컬러필터를 구비하지 않는 한, 일련의 정보를 흑백으로 표시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하측 표시모듈(2)쪽 일면에 투명 컬러유도필름(9)을 더 배치하고, 이를 통해,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조사된 광선이 투명 컬러유도필름(9)을 통과함과 동시에 해당 컬러유도필름(9)의 색상으로 컬러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하측 표시모듈(2)이 백색의 광선을 전달받음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정보를 컬러화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앞의 투명 컬러유도필름(9)은 상술한 산포필름(4)과 유사하게, 예컨대, 인써트 몰딩 방식에 의해 도광판(3)의 일면에 가볍게 얹혀져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일련의 인쇄방식에 의해 하측 표시모듈(2)의 본체에 직접 인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 컬러유도필름의 배치방식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산포라인들(4a)은 산포필름(4)의 매개 없이, 도광판(3)의 하측 표시모듈(2)쪽 일면에 직접 성형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산포라인들(4a)은 종래의 반사 도트들과 달리, 0.5㎛~5.5㎛ 정도의 미세한 선폭으로 돌출되어, 길게 뻗은 마운트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양방향 겸용 광원들(6)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종래의 반사 도트들 보다 더 많이, 더 멀리, 더 균일하게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산포·반사시킬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상측 표시모듈(1)은 단지, 반사 도트들만을 이용하던 종래에 비해, 자신에게 공급되는 광선의 밝기가 대폭 증가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구현되는 경우에도, 양방향 겸용 광원(6)들은 앞의 산포라인들(4a)을 이용하여, 상측 표시모듈(1) 쪽으로 공급되는 광선의 밝기 증가, 균일도 증가를 손쉽게 도모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컬러 표시모드의 밝기 요구", "광 균일도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이 상측 표시모듈 및 하측 표시모듈의 동작에 한꺼번에 기여할 수 있는 부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의 불필요한 증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추가 광원의 배치에 따른 제품의 중량증가, 두께증가, 조립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반사 도트에 비해 향상된 광 산포 유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 예컨대, 다수의 산포라인들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광원의 밝기 증가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컬러 표시모드 대처문제, 광 균일도 문제 등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니트가 구비되어야 하는 다양한 전자기기,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형 컴퓨터, 이동 통신기, 전자 계산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일련의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쌍으로 배치된 상·하측 표시모듈과;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의 각각에 일정 크기의 광선을 일괄·공급하는 다수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과;
    상·하부 각면에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양방향 가이드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및 하측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산포시켜, 상기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키는 산포필름과;
    상기 도광판 및 하측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일부를 상기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선의 나머지 일부를 상기 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투과시키는 반사/투과 겸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측 표시모듈쪽 일면에는 일정 방향의 결(Grain)을 갖춘 상태에서,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기 상측 표시모듈쪽으로 확산시키는 여러 겹의 투명 확산 시트들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측 표시모듈쪽 일면에는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컬러화하기 위한 투명 컬러유도필름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산포필름 및 반사/투과 겸용시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필름은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일체로 부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선형으로 산포시키기 위한 다수의 산포라인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라인들은 0.5㎛~5.5㎛의 선폭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8. 일련의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쌍으로 배치된 상·하측 표시모듈과;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의 각각에 일정 크기의 광선을 일괄·공급하는 다수의 양방향 겸용 광원들과;
    상·하부 각면에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상기 상·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양방향 가이드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및 하측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일부를 상기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광선의 나머지 일부를 상기 하측 표시모듈 쪽으로 투과시키는 반사/투과 겸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는 상기 양방향 겸용 광원들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선형으로 산포시켜, 상기 상측 표시모듈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산포라인들이 직접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1-0075793A 2001-12-03 2001-12-03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KR10043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93A KR100432009B1 (ko) 2001-12-03 2001-12-03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EP02014550.4A EP1316841B1 (en) 2001-12-03 2002-07-01 Two-way display-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B021402957A CN1187640C (zh) 2001-12-03 2002-07-04 双向显示类型的液晶显示设备
JP2002214711A JP3773472B2 (ja) 2001-12-03 2002-07-24 両面ディスプレイ型液晶表示装置
US10/214,430 US6801271B2 (en) 2001-12-03 2002-08-08 Two-way display-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93A KR100432009B1 (ko) 2001-12-03 2001-12-03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88A true KR20030045888A (ko) 2003-06-12
KR100432009B1 KR100432009B1 (ko) 2004-05-22

Family

ID=1971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793A KR100432009B1 (ko) 2001-12-03 2001-12-03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01271B2 (ko)
EP (1) EP1316841B1 (ko)
JP (1) JP3773472B2 (ko)
KR (1) KR100432009B1 (ko)
CN (1) CN1187640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11B1 (ko) * 2002-10-24 2007-05-3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KR100760438B1 (ko) * 2003-10-17 2007-09-2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100828531B1 (ko) * 2002-07-26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48620B1 (ko) * 2003-07-03 201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KR100953424B1 (ko) * 2003-06-26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9884A1 (fr) * 2001-09-28 2003-04-10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US7034799B2 (en) * 2001-12-1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device fo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folder-type mobile phone therewith
JP3599022B2 (ja) * 2002-01-10 2004-1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719433B2 (ja) * 2002-10-30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079143B2 (ja) * 2003-12-22 2008-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43346A (ja) * 2004-02-25 2005-09-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両面発光照明装置
CN100376965C (zh) * 2004-12-24 2008-03-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20060086174A (ko) 2005-01-26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7027099A (ja) 2005-07-13 2007-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基板とこれら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表示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308244B (en) * 2006-04-07 2009-04-01 Innolux Display Corp Double-si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40105B2 (ja) * 2009-10-05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833969B1 (ko) 2011-01-03 2018-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KR20140002191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강도 보강 듀얼 표시장치 모듈
CN105116484A (zh) 2015-09-15 2015-12-02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一种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7687A (en) * 1984-06-14 1987-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Cascaded, dual cell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JPH01200232A (ja) * 1988-02-04 1989-08-11 Sharp Corp 強誘電性液晶表示装置
US5856812A (en) 1993-05-11 1999-01-05 Micron Display Technology, Inc. Controlling pixel brightness in a field emission display using circuits for sampling and discharging
JPH07120623A (ja) * 1993-10-25 1995-05-12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面状発光体
US6028649A (en) * 1994-04-21 2000-02-22 Reveo, Inc. Image display systems having direct and projection viewing modes
JPH08304759A (ja) * 1995-05-11 1996-11-22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990325A (ja) * 1995-09-26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516370B2 (ja) * 1996-03-14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装置、ビデオゲーム装置、モニタ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5856819A (en) * 1996-04-29 1999-01-05 Gateway 2000, Inc. Bi-directional presentation display
JP3986225B2 (ja) * 1999-11-26 2007-10-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積層型表示装置
KR20020040989A (ko) * 2000-11-25 2002-05-31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양면광 출력형 백라이트 유닛
JP4119085B2 (ja) * 2000-12-20 2008-07-16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立体視表示装置
KR20010035369A (ko) * 2001-02-07 2001-05-07 박종섭 듀얼 폴더의 백라이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31B1 (ko) * 2002-07-26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723111B1 (ko) * 2002-10-24 2007-05-3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KR100953424B1 (ko) * 2003-06-26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액정표시장치
US7922381B2 (en) 2003-06-26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wo-way backlight assembly and two-way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948620B1 (ko) * 2003-07-03 201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액정표시장치
KR100760438B1 (ko) * 2003-10-17 2007-09-20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6841A3 (en) 2003-10-22
KR100432009B1 (ko) 2004-05-22
CN1423157A (zh) 2003-06-11
US6801271B2 (en) 2004-10-05
EP1316841B1 (en) 2014-01-01
JP2003172933A (ja) 2003-06-20
CN1187640C (zh) 2005-02-02
JP3773472B2 (ja) 2006-05-10
US20030103174A1 (en) 2003-06-05
EP1316841A2 (en) 200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009B1 (ko) 이동형 정보통신 기기용 양방향 디스플레이형 액정표시장치
KR100626479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154695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60214174A1 (en) Backlight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2541312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68823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107786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783607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US11796859B2 (en) Display apparatus with micro light emitting diode light board
US7064741B2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and reflection sheets for use therewith
US20140333873A1 (en) Display device
US11822183B2 (en) Display apparatus
WO201109295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7786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240045266A1 (en) Backligh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17301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2028077A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684611B1 (ko) 액정표시장치
CN113189814A (zh) 一种显示装置
JP202014515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08364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118033943A (zh) 用于显示装置的直下式背光模组与显示装置
JP2011103236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30037446A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82884A (ko) 양방향 광출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