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881A -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881A
KR20030045881A KR1020010075769A KR20010075769A KR20030045881A KR 20030045881 A KR20030045881 A KR 20030045881A KR 1020010075769 A KR1020010075769 A KR 1020010075769A KR 20010075769 A KR20010075769 A KR 20010075769A KR 20030045881 A KR20030045881 A KR 2003004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transaction
credit car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스타브리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브리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브리지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881A/ko
Publication of KR2003004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881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 방법은 신용카드 거래시에 이용자와 가맹점 보관용 영수증을 발행하지 않고, 금융기관 대금 청구용 영수증만을 가맹점에 발행함으로써 영수증 분실로 인한 신용정보 노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방법은 신용카드 이용자 또는 가맹점이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거래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영수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카드를 가맹점에서 사용했다는 사용인증이 첨부된 전자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방법은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분류하고 가공하여 매출 분석/관리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에 가맹점에서 수기로 관리하던 부분을 신용카드사의 거래정보 DB를 통해 자동화하여 제공하고, 가맹점의 매출 데이터 관리 및 고객 정보 분석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어준다.

Description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RECEIPT BY DEALING OF CREDIT CARD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OF DEALING LIST}
본 발명은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및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용카드 거래시에 이용자와 가맹점 보관용 영수증을 발행하지 않고, 신용카드 이용자와 가맹점이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거래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영수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 인증이 첨부된 전자 영수증을 발급하는 신용카드 거래 방법 및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절세 효과, 신용카드 가맹점의 증가 및 현금 휴대의 불편함 등의 이유로 인해 신용카드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신용카드 제도는 카드 회원의 신용에 따라 카드회사가 적절한 사용 한도를 회원에게 부여하고, 카드 회원은 카드회사가 모집한 가맹점에서 물품이나 용역을 외상으로 구매한 후, 해당하는 대금 결제일에 카드회사에 이용대금을 납부하고, 가맹점은 카드 회원에게 판매한 물품 또는 용역의 대가를 카드회사로부터 지불받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맹점과 카드회사 사이에는 온라인 상으로 고객의 신용정보를 조회하거나 거래를 승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각 가맹점에는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고, 이 단말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인터넷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는 금융기관 서버와 다시 연결되어 있다. 거래가 발생하면, 가맹점 단말을 통해 카드 회원의 카드 정보가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로 통보되고,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는 금융기관 서버를 통해 카드의 불량 유무 즉, 도난 또는 분실 카드가 아닌지, 연체 카드가 아닌지, 카드의 사용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지 등을 조사하고, 승인 요청을 상기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에 송신한다. 금융기관에 의해 해당 거래가 승인되면, 승인 번호가 상기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를 통해 가맹점 단말에 도달하고, 가맹점 단말에 의해 3장의 매출전표가 출력된다. 카드 회원은 이 전표에 서명함으로써 카드 거래가 완료되며, 3장의 전표 중 하나는 카드 회원에게 발급되고, 다른 한 장은 가맹점에서 금융기관에 대금을 청구하기 위한 용도로 보관되며 금융기관은 가맹점이 제출한 전표상의 서명을 이용하여 카드회원의 본인사용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한장은 가맹점 보관용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신용카드 거래에서는 가맹점과 카드 회원이 매출 전표, 즉 영수증을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매출 전표를 소홀히 다루게 되어 다른 사람에게 노출될 위험도 있다. 통상, 매출 전표에는 신용카드의 번호와 유효기간이 기재되어 있고,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자 상거래를할 수도 있으므로, 신용카드 거래로 인한 영수증의 발생은 인터넷 전자 상거래의 안정성에도 많은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카드회사의 경우 가맹점이 제출한 카드전표상의 정보를 전산장비에 입력하여 정상승인 여부를 확인한 후 가맹점에 카드대금을 지급하고 회원에게 이용대금을 청구하였으며, 회원의 거래 부인시 카드전표상의 서명을 이용하여 본인확인 작업을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가맹점 측에서는 보관용 매출 전표를 관리하여, 일별 매출, 월별 매출, 카드사별 매출 등과 같은 매출 정보 관리를 수기 또는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정리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 실정인데, 그 또한 상당히 번잡하였다. 한편, 가맹점 측의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맹점에서 일일이 매출전표를 금융기관에 제시하여 대금을 청구하는 대신에, 가맹점 단말을 통해 매출이 발생할 때마다 대금의 정산이 되도록 하고, 동시에 가맹점에서 보관 중인 금융기관 제출용 매출전표를 수거하여 상기 정산된 내역과 비교한 후, 수거된 매출전표를 보관, 열람, 조회를 대행하는 데이터 드래프트 캡쳐(DDC : Data Draft Capture) 서비스가 도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드래프트 캡쳐 서비스를 가맹점에서 도입한다 하더라도, 수거하기 전까지는 매출전표를 보관하고 있어야 하며, 별도로 비용을 지불해야 이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매출전표가 카드 회원과 가맹점에 발급되므로, 매출전표의 분실 또는 도난으로 인한 개인 신용 정보의 유출 위험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용카드 거래시에 이용자와 가맹점 보관용 영수증을 발행하지 않고, 금융기관 대금 청구용 영수증만을 가맹점에 발행하거나, IC카드를 이용하여 금융기관 대금청구용 영수증도 발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영수증 분실로 인한 신용정보 노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용카드 이용자 또는 가맹점이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거래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영수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 인증이 첨부된 전자 영수증을 발급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분류하고 가공하여 매출 분석/관리 자료를 생성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거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에서의 매출내역에 대한 화면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에서의 회원 거래내역에 대한 화면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에서의 비회원 거래내역에 대한 화면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에서의 전표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신용카드가 IC카드일 경우의 카드대금 전자적 매입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핀패드 입력기 12 : 가맹점 단말
13 : POS 단말 20 : 전용 네트워크
30 : 관리자 서버 40 : 인증 서버
50 :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 60 : 신용카드 거래정보 DB
70 : 금융기관 서버 80 : PC
90 : 일반 네트워크 100 : 홈페이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영수증을 이용한 신용카드 거래 방법은, 가맹점 단말 또는 POS 단말이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가맹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액세스함과 동시에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된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거래 시스템에 적용되며,
카드 사용자가 상품 또는 용역을 구입하고, 신용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12) 또는 POS 단말을 통해 카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결재를 수행하는 제1단계;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내역을 상기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 및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전송된 카드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카드가 정상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맞지 않거나 카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올바르고 카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70)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 번호를 취득하고, 이를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제5단계;
해당 단말에 1장의 전표출력을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승인된 거래정보를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에 저장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은, 일반 웹브라우저에 의해 구동되는 PC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일반 네트워크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홈페이지는 로그인 화면과 거래내역 조회화면을 포함하고 있고, 가맹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서버를 구비한 관리자 서버에 의해 상기 홈페이지가 관리되며, 각 신용카드별 거래내역에 관한 데이터 및 이들 데이터를 가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액세스하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홈페이지 로그인 화면에서의 입력을 통해 회원인지 비회원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회원일 경우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비회원일 경우에는 카드정보를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른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가 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맞지 않거나,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가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상기 홈페이지 화면 상에 표시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르고 카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을 경우에, 가맹점 이용자에 대해서는 매출내역 및 매출 분석정보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고, 회원 이용자에 대해서는 등록 카드별 거래내역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고, 비회원 이용자에 대해서는 입력 카드정보에 대한 거래내역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는 제6단계; 및
전표 출력 요청이 있을 경우에,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에 저장된 거래내역을 확인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거래내역에 상응하는 거래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사용인증을 전표에 첨부한 후, 이 전표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핀 패드 입력기(11)(IC 카드 단말기에 사용되는 전용장비)가 구비된 가맹점 단말(12) 및 POS(Point Of Sale) 단말(13)이 TCP/IP 프로토콜 기반인 초고속 통신망(예를 들면, ADSL망)과 같은 전용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자 서버(30)에 연결되어 있고, 관리자 서버(30)에는 인증 서버(40)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30)에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를 액세스함과 동시에 금융기관 서버(7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30)에 의해 홈페이지(100)가 관리되고 있으며, 상기 홈페이지(100)와 일반 웹브라우저에 의해 구동되는 PC(80)는 통상의 인터넷 연결을 위한 일반 네트워크(9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가맹점 단말(12)과 POS 단말(13)은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를 사용하기 위한 전용 단말로서, 가맹점 기본 정보를 신용카드 조회회사에 등록하여 각 단말(12, 13)에 터미널 아이디(terminal ID)가 발급되어 있고, 상기 각 단말(12, 13)과 인증 서버(40) 사이에는 인증서가 교환되어 있다. 즉, 상기 각 단말(12, 13)에는 상기 인증 서버(40)로부터 부여된 SEED 키이(key)가 저장되어있어서, 전송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각 단말(12, 13)과 인증 서버(40)는 변형된 SSL(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증서를 교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 단말(12, 13)과 관리자 서버(30)는 변형된 SSL 프로토콜과 SEED 키이에 의해 이중으로 암호화되어 정보의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기 인증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35260호에 개제된 "지불 결제용 단말기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불 결제방법"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 인증은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을 적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핀 패드 입력기(11)는 IC 카드 거래시 IC 카드에 탑재된 개인전자 인증서를 인증하기 위해 IC 카드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상기 POS 단말(13)은 대형 유통점과 같이 판매시점(POS : Point Of Sale) 관리를 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통은 그 하부 계층에 다수의 단말이 부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신용카드 거래는 카드 정보의 조회, 승인 및 전표 발생의 세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말(12)에서 카드 정보 조회의 요청이 있으면, 관리자 서버(30)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에 연결된 금융기관 서버(70)의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신용카드의 불량유무를 조사한다. 즉, 카드가 도난 또는 분실된 것인지, 연체 카드가 아닌지 또는 사용 한도가 초과되지 않았는지 등이 조사된다. 정상 카드이면, 각 단말(12, 13)에 의해 거래 금액의 승인이 요청되고,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금융기관 서버(70)에서 승인 정보, 예를 들어, 승인 번호를 취득하여 해당단말(12, 13)에 통보하고, 승인 내용을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에 저장한다.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를 통해 접수된 모든 신용카드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있다. 즉, 각 신용카드별 거래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맹점 인증서 및 가맹점별 일매출, 월매출, 총매출, 매입사별 매출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한다.
상기 홈페이지(100)에는 이용자 로그인 화면, 각 이용자별 거래내역 조회화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는 세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카드회사 가맹점이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일반 카드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 회원이 아닌 일반 카드 사용자인 경우로 나누어진다. 카드회사 가맹점과 일반 카드 사용자는 회원 가입시에 사전 정보를 등록하며, 예를 들어, 가맹점의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의 아이디, 가맹점 기본정보 등을 등록하며, 일반 카드 사용자는 성명, 주민번호, 보유카드 번호 및 유효기간 등을 등록한다. 비회원 카드 사용자는 홈페이지를 통해 거래내역을 알고자 하는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을 입력하여 그 카드의 거래내역만을 조회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회원 등록한 카드 사용자는 등록된 카드별로 거래내역 및 그 상세 조회를 할 수 있고, 가맹점 회원은 총매출, 일매출, 월매출, 매입사별 매출 등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조회는 홈페이지(100)와 연동되어 있는 관리자 서버(30)가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에 연결된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를 액세스(access)함으로써 달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이용한 신용카드거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거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거래가 시작되어, 카드 사용자가 상품 또는 용역을 구입하면(S11), 신용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여 가맹점 단말(12) 또는 POS 단말(13)을 통해 결재한다(S12). 결재는 신용카드의 정보를 가맹점 단말에 입력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으로,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내역은 전용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자 서버(30) 및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로 전송된다(S13). 여기서, 신용카드 정보는 카드번호 및 유효기간이고, 거래내역은 거래일자와 거래대금이다.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전송된 카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70)에 저장된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카드정보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S14). 여기서, 카드정보의 검사는 카드정보가 맞는지에 대한 검사뿐만 아니라, 해당 카드가 분실 또는 도난 카드인지, 연체 카드인지, 거래 한도를 초과한 카드인지에 대한 검사도 포함한다. 따라서, 위 4가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해당하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단말(12, 13)에 전송함으로써 에러 처리를 하고(S18), 조회 작업을 종료시킨다.
상기 단계(S14)에서 카드 정보가 일치하고, 카드가 정상 상태이면,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금융기관 서버(70)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된 승인번호를 해당하는 단말(12, 13)에 전송한다(S15).
다음으로, 상기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해당 단말에 1장의 전표출력을 위한 정보를 송신하며(S16), 이 정보에 의해 해당 단말은 전표를 인쇄한다. 여기서 발행되는 전표는 가맹점에서 금융기관에 대금을 청구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가맹점과 카드 사용자의 보관용 전표는 상기 관리자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홈페이지(100)를 통해 조회 및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가맹점과 카드 사용자의 보관용 전표, 즉 영수증을 웹 상에서 조회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전자 영수증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도 1의 시스템에서, 인증 서버(30)에는 가맹점 인증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용자가 홈페이지(100) 접속시 비회원의 경우에는 카드정보를 입력하고, 회원의 경우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한다. 이용자가 전표 출력 요청을 할 경우, 관리자 서버(30)는 해당 거래내역을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를 통해 확인한 후, 이용자가 해당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하였다는 사용자 인증을 첨부하여 전표를 생성하게 된다. 즉, 서명을 관리자 서버(30)가 발행하는 사용인증으로 대체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경우 거래당사자 모두에게 먼저 인증서가 발급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당 시스템은 특정 신용카드가 특정 가맹점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전자영수증)을 불특정 다수의 모든 카드회원을 대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승인된 거래정보를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에 저장하며(S17), 상기 DB(60)에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거래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전자영수증을 이용한 신용카드 거래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를 통해 접수된 각 신용카드별 거래내역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이들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맹점별 일매출, 월매출, 총매출, 그 가맹점의 매입사별 매출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는 기존 카드사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기존 서비스는 회원등록을 통해 특정 카드사의 거래내역 조회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서비스에 의하면, 비회원의 경우에는 카드 정보를 입력하여 그 카드에 대한 거래내역을 별도의 회원가입절차 없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등록된 회원의 경우에는 등록한 모든 카드정보에 대한 거래내역을 보다 폭넓게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조회서비스가 수행되기 전에, 가맹점 또는 회원인 카드 사용자는 미리 회원가입 절차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회원 등록시에는 가맹점과 카드 사용자가 회원 정보를 입력해야 하며, 가맹점의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의 아이디, 가맹점 식별 번호, 업체명,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등록하며, 카드 사용자는 성명, 주민번호,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보유카드 번호 및 유효기간 등을 등록한다.
서비스의 동작이 시작되면, 가맹점 또는 카드 사용자는 일반 웹브라우저에의해 구동되는 PC(80)와 인터넷이 가능한 일반 네트워크(90)를 통해 홈페이지(100)에 접속한다(S210). 상기 홈페이지(100)에는 로그인 화면과 거래내역 조회화면이 미리 준비되어 있으며, 가맹점 또는 카드 사용자는 로그인 화면을 통해 회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홈페이지(100)를 통해 입력된 회원 정보로부터 회원인지 비회원인지 판단된다(S220). 상기 홈페이지(100)의 로그인 화면에는 회원란과 비회원란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회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시에 미리 등록해 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고(S231), 비회원인 경우에는 조회하고자 하는 카드정보를 입력받는다(S232). 상기 카드정보에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 비밀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른지 판단된다(S240). 회원의 경우에는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등록시의 것과 일치하는지 판단되고, 비회원의 경우에는 입력된 카드정보가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를 통해 금융기관 서버(70)에서 검색한 것과 일치하는지 판단된다. 이 단계(S240)에서는 단순히 입력된 정보가 올바른지에 대한 판단 뿐만 아니라, 회원의 경우에는 미리 등록한 카드, 비회원의 경우에는 현재 입력한 카드가 유효한지에 대한 판단도 수행된다.
상기 단계(S240)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페이지(100)에 표시함으로써 에러처리를 하고(S280), 조회서비스를 종료시킨다.
상기 단계(S240)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른 것으로 판단되면, 홈페이지(100)상에서 사용자의 아이콘(icon) 클릭유무를 통해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는지 판단된다(S250).
상기 단계(S250)에서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로그인 화면의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 종료가 가맹점, 회원, 비회원 중에서 어느 것인지 판단된다(S260).
상기 단계(S260)에서 이용자 종류가 가맹점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아이콘 클릭에 따라 매출내역과 매출 분석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S271). 도 4에는 그 화면 출력의 일예로서, 전체 매출내역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 종류가 가맹점일 경우에는 매출내역과 매출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매출내역은 전체 매출내역, 일별 매출내역, 월별 매출내역, 매입사별 총거래내역, 매입사별 상세조회내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매출 분석정보는 매출총괄 정보 및 기간별 매출비교 정보 등을 그래픽으로 표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영학적 기법에 따라 가공된 다양한 매출 분석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매출내역과 매출 분석정보는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에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홈페이지(100)를 통한 사용자의 클릭에 따라 관리자 서버(30)가 제어되어 상기 매출내역과 매출 분석정보가 추출되고 조회화면 상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S260)에서 이용자 종류가 회원일 경우에는, 회원 등록시의 등록 카드별 거래내역이 조회된다(S272). 도 5에는 회원의 거래내역에 대한 화면 출력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거래일자별로 가맹점명, 카드사명, 카드번호, 거래금액, 할부기간, 승인번호 등이 조회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단계(S260)에서 이용자 종류가 비회원일 경우에는, 로그인 화면에서 입력된 카드정보에 대한 거래내역이 조회된다(S273). 도 6에는 비회원의 거래내역에 대한 화면 출력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회원이 로그인시 입력한 카드정보에 대한 거래내역이 조회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클릭을 통해 전표 출력 요청이 있는지 판단된다(S290). 전표 출력 요청을 위한 아이콘은 각 거래내역 조회화면 중에서 개별 거래내역 조회화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거래내역을 검토하다가 전표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 아이콘을 누름으로써 전표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계(S290)에서 전표 출력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거래내역을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를 통해 확인하여 사용인증을 전표에 첨부시키고, 이 사용인증이 첨부된 전표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출력시킨다(S300). 도 7에는 이러한 전표의 출력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7에서, 전표의 서명란에는 "사용확인 인증"이 첨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전표를 확인하고, 이를 인쇄하거나, 다운로드(download)하거나, 이메일(E-mail)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표 출력이 완료되면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신용카드가 IC 카드인 경우의 카드대금의 전자적 매입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도 1의 시스템 상에서 이루어지며, 도 1 또한 참조된다.
IC 카드는 카드 사용자의 서명을 대체하기 위하여 IC 내에 개인 전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개인 전자 인증서는 금융기관에 의해 카드 발급시에 미리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IC 카드를 이용하여 거래를 할 경우에는, 카드 사용자의 개인 전자 인증서를 금융기관에 저장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간단히 인증을 할 수 있으므로, 카드 사용 내역에 대한 일종의 확인에 해당하는 전표 발행 및 서명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품 구입 단계(S81)와 결재(S82) 단계가 이루어지고 나서, 도 1에 도시된 핀패드 입력기를 통해 IC 카드의 비밀번호, 카드정보 및 개인 전자 인증서가 입력된다(S83). 이 정보는 전용 네트워크(20)를 통해 관리자 서버(30) 및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로 전송된다(S84).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전송된 카드정보를 금융기관 서버(70)에 저장된 내용과 비교하며, 이 때, IC 카드에서 입력된 개인 전자 인증서가 금융기관 서버(70)에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S85).
입력된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가 해당하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12, 13)에 전송함으로써 에러 처리를 하고(S86), 조회 작업을 종료시킨다.
상기 단계(S85)에서 카드 정보가 일치하고, 카드가 정상 상태이면,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금융기관 서버(70)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 번호를 취득하고(S87), 취득된 승인번호를 해당하는 단말(12, 13)에 전송한다(S88).
이어서,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50)는 승인된 거래정보를 신용카드 거래정보 DB(60)에 저장하며(S89), 상기 DB(60)에 거래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거래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신용카드가 IC카드일 경우의 신용카드 거래가 종료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용카드의 발급시에 미리 개인 전자 인증서를 탑재하고 있는 IC 카드에서는 탑재된 개인 전자 인증서가 금융기관에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서명을 대체함으로써 전표를 발행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 방법은 신용카드 거래시에 이용자와 가맹점 보관용 영수증을 발행하지 않고, 금융기관 대금 청구용 영수증만을 가맹점에 발행함으로써 영수증 분실로 인한 신용정보 노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비서비스 방법은 신용카드 이용자 또는 가맹점이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상으로 거래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영수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명 인증이 첨부된 전자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방법은 저장된 거래내역 데이터를 분류하고 가공하여 매출 분석/관리 자료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에 가맹점에서 수기로 관리하던 부분을 신용카드 조회회사의 거래정보 DB를 통해 자동화하여 제공하고, 가맹점의 매출 데이터 관리 및 고객 정보 분석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어준다.

Claims (6)

  1. 가맹점 단말 또는 POS 단말이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가맹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액세스함과 동시에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된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자영수증 발급방법에 있어서,
    카드 사용자가 상품 또는 용역을 구입하고, 신용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 또는 POS 단말을 통해 카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결재를 수행하는 제1단계;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와 거래내역을 상기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 및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전송된 카드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카드가 정상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맞지 않거나 카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올바르고 카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70)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 번호를 취득하고, 이를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제5단계;
    해당 단말에 1장의 전표출력을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승인된 거래정보를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에 저장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의 정상 상태 여부는 상기 금융기관 서버를 조사하여 카드가 도난 또는 분실된 것인지, 연체 카드가 아닌지 또는 사용 한도가 초과되지 않았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정상승인 처리된 거래에 대하여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3. 일반 웹브라우저에 의해 구동되는 PC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일반 네트워크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홈페이지는 로그인 화면과 거래내역 조회화면을 포함하고 있고, 가맹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서버를 구비한 관리자 서버에 의해 상기 홈페이지가 관리되며, 각 신용카드별 거래내역에 관한 데이터 및 이들 데이터를 가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액세스하는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 시스템을 사용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로그인 화면에서의 입력을 통해 회원인지 비회원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회원일 경우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비회원일 경우에는 카드정보를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른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가 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맞지 않거나,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가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상기 홈페이지 화면 상에 표시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가 올바르고 카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거래정보 열람 요청이 있을 경우에, 가맹점 이용자에 대해서는 매출내역 및 매출 분석정보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고, 회원 이용자에 대해서는 등록 카드별 거래내역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고, 비회원 이용자에 대해서는 입력 카드정보에 대한 거래내역의 조회 화면을 제공하는 제6단계; 및
    전표 출력 요청이 있을 경우에, 해당 거래내역을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통해 확인하여 사용인증을 전표에 첨부한 후, 이 전표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은 단말기 등록 절차를 거쳐 등록되어 있고, 카드 사용자는 회원가입절차를 통해 등록되어 있거나, 별도의 회원가입절차 없이 신용카드 정보 입력을 통해 제한된 범위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인증이 첨부된 전표는 인쇄, 다운로드 또는 이메일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 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6. 가맹점 단말 또는 POS 단말이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가맹점 인증서를 저장하고 있는 인증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를 액세스함과 동시에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된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신용카드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는 카드대금 전자적 매입방법에 있어서,
    개인 전자 인증서가 탑재된 IC 카드로 만들어진 신용카드를 가맹점에 제시하여 물품 또는 용역을 구매할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 또는 POS 단말을 통해 카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결재를 수행하는 제1단계;
    입력된 신용카드 정보, 거래내역 및 개인 전자 인증서를 상기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 및 신용카드 조회회사 서버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전송된 카드정보가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상기 카드가 정상 상태인지, 상기 개인 전자 인증서가 금융기관 서버에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맞지 않거나 카드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개인 전자 인증서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카드정보가 올바르고 카드가 정상 상태이며 개인 전자 인증서도 일치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70)에 거래 승인을 요청하여 승인 번호를 취득하고, 이를 해당하는 단말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승인된 거래정보를 상기 신용카드 거래정보 DB에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를 이용한 카드대금 전자적 매입방법.
KR1020010075769A 2001-12-03 2001-12-03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45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69A KR20030045881A (ko) 2001-12-03 2001-12-03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769A KR20030045881A (ko) 2001-12-03 2001-12-03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81A true KR20030045881A (ko) 2003-06-12

Family

ID=2957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769A KR20030045881A (ko) 2001-12-03 2001-12-03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8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36B1 (ko) * 2002-08-06 2005-03-10 비씨카드 주식회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신용카드의 매출전표 처리 방법
KR20050090846A (ko) * 2004-03-10 2005-09-14 주식회사 지아이씨하이테크 전자서명에 의한 디지털 매출전표 생성 단말기와 그처리방법, 및 디지털 전표 관리 서버와 그 처리방법
WO2007134378A1 (en) * 2006-05-19 2007-11-29 Gerard Vincent Iriks A receipt storage system
KR101703082B1 (ko) 2016-07-05 2017-02-06 주식회사 디리아 금융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80038591A (ko) * 2011-12-08 2018-04-17 펄스트 데이타 코포레이션 전자 영수증들의 저장 및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769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電子伝票承認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電子伝票承認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9990080102A (ko) * 1998-04-13 1999-11-05 손홍균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카드 단말기 및 그에 의한 카드 신용 조회방법
WO2000075834A2 (en) * 1999-06-04 2000-12-14 Receiptcity.Com, Inc. An electronic-receipts service
KR20010000120A (ko) * 2000-05-15 2001-01-05 양태균 인터넷을 통한 매출전표 작성시스템
KR20010085205A (ko) * 2000-02-29 2001-09-07 이수원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769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電子伝票承認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電子伝票承認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9990080102A (ko) * 1998-04-13 1999-11-05 손홍균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카드 단말기 및 그에 의한 카드 신용 조회방법
WO2000075834A2 (en) * 1999-06-04 2000-12-14 Receiptcity.Com, Inc. An electronic-receipts service
KR20010085205A (ko) * 2000-02-29 2001-09-07 이수원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00120A (ko) * 2000-05-15 2001-01-05 양태균 인터넷을 통한 매출전표 작성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36B1 (ko) * 2002-08-06 2005-03-10 비씨카드 주식회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신용카드의 매출전표 처리 방법
KR20050090846A (ko) * 2004-03-10 2005-09-14 주식회사 지아이씨하이테크 전자서명에 의한 디지털 매출전표 생성 단말기와 그처리방법, 및 디지털 전표 관리 서버와 그 처리방법
WO2007134378A1 (en) * 2006-05-19 2007-11-29 Gerard Vincent Iriks A receipt storage system
KR20180038591A (ko) * 2011-12-08 2018-04-17 펄스트 데이타 코포레이션 전자 영수증들의 저장 및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456A (ko) * 2011-12-08 2019-02-22 펄스트 데이타 코포레이션 전자 영수증들의 저장 및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03082B1 (ko) 2016-07-05 2017-02-06 주식회사 디리아 금융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953B2 (en) Negotiable instrument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7415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sted self-billing and payment for utilities including audit, verification, reconciliation and dispute resolution
US6721716B1 (en) Payment certification string and related electronic payment system and method
KR100877375B1 (ko) 영수증 제공 방법, pos 단말기, 전자 영수증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20030040403A (ko) 자동화 지불 시스템
JPH11511876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上での購買関連取引の電子的な支払い方法
JP2007536619A5 (ko)
JP2008305392A (ja) カード決済サービスの提供方法、カード決済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カード決済サービスの提供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013206A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EP1334440A1 (en) A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on-line transaction using cardholder authentication
KR20030045881A (ko) 신용카드 거래를 이용한 전자 영수증 발급 방법 및거래내역 조회서비스 제공방법
JP2002175418A (ja) 資産管理サービスの方法及び資産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108508B1 (ko) 스마트 할부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100457399B1 (ko) 클라이언트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넷 기반 전자 상거래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4838288B2 (ja) 信託型電子決済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37072A (ko) 통신망을 이용한 토털 금융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20014973A (ko) 중개 서버와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한 전자 상거래 대금의직접 지불 방법 및 시스템
JP3672066B2 (ja) 取引予約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KR20000050090A (ko) 인터넷 뱅킹 개인실명 확인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132255A (ja) スタンプサービスポイント管理装置およびスタンプサービスポイント管理方法
KR20020061084A (ko) 무선기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TW381240B (en) Automatic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JP4387534B2 (ja) 通信販売システム
KR2003000343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기업인터넷뱅킹 서비스 방법
KR20010023710A (ko) 보증 구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