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758A -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758A
KR20030045758A KR1020030032130A KR20030032130A KR20030045758A KR 20030045758 A KR20030045758 A KR 20030045758A KR 1020030032130 A KR1020030032130 A KR 1020030032130A KR 20030032130 A KR20030032130 A KR 20030032130A KR 20030045758 A KR20030045758 A KR 2003004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key
strings
keys
finge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현
Original Assignee
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승현 filed Critical 천승현
Priority to KR102003003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758A/ko
Publication of KR2003004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10D3/08Fingerboards in the form of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4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f ends of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현과 복수의 프렛(fret)으로써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현악기, 특히 기타의 연주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렛을 짚는 왼손의 운지(運指)를 쉽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보조장치는 복원력(復原力)을 가지는 복수의 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키는 각각의 현 및 각각의 프렛 위치에 대응한다. 손가락으로 상기 키를 누르면 상기 키는 해당하는 현을 해당하는 프렛위치에서 누른다. 손가락을 떼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키는 해당하는 현을 개방상태로 돌린다.
본 보조장치는 기타의 지판에 장착되며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떼어낼 수 있는 탈착식이다. 또한, 본 보조장치는 원하는 수만큼의 프렛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수만큼의 현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한 프렛 단위 또는 2이상의 프렛단위로 만들어진 복수개의 본 보조장치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연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보조장치의 키들의 배치는 현방향으로 축소 또는 확장할 수 있으며, 현에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키들의 모양(특히, 키의 높이)은 연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 Complementary Device for Playing the Stringed Instrument }
기타(Guitar)는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있는 악기의 하나이다. 그러나, 연주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반대중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림1-A는 일반적인 기타의 모습이다. 음높이가 다른 6개의 현과 지판에 설치된 다수의 프렛(fret)을 이용하여 현이 진동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음높이가 다른 소리를 만들어 낸다. 즉, 그림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왼손으로 지판의 프렛을 짚고, 오른손으로 공명통 근처에서 현을 퉁기면서 연주한다.(이하에서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현의 프렛을 짚는 왼손의 운지는 일반적으로 무척 어려운 기술이다. 그림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왼손가락은 현과 프렛을 짧은 시간 동안에 쉼 없이 변화시켜야하며, 동시에 복수의 현을 짚어야 한다. 또한, 복수의 현을 동시에 짚는 경우, 시간이 충분히 주어진 경우라도, 정확히 짚어지지 않는 화음이 상당히 많다. 또한, 왼손가락에 가해지는 통증도 매우 크다. 정확히 현을 누르는 것은 대부분의 연주자(특히, 초보자)에게 있어서 음정을 외우는 것보다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기존기술의 일례를 그림2에 도시하였다. 미국특허공보 제4331059호,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5-0007120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86958호,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1-0003205호 등에서 제시한 방법은 그림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화음(Code)을 하나의 키를 누름으로써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각각의 키는 각각의 화음을 만들도록 현과 프렛에 적용된다. 이러한 키 묶음을 기타의 지판에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만들 수 있는 화음의 수에 한계가 있다. (2)장치가 복잡하다. (3)연주의 자유도가 떨어진다. (4)연주자로 하여금 연주하는 즐거움을 빼앗는다.(연주가 너무 단조롭고, 기계적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과 복수의 프렛(fret)으로써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현악기, 특히 기타의 연주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이하에서는 기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렛을 짚는 손의 운지(運指)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보조장치는 현을 손가락으로 직접 누를 때의 난점을 제거하는 것 외에는, 일반적인 기타 연주법과 하등의 차이가 없다.
그림1 : 기타와 기타연주모습
( A : 기타의 구조, B : 기타의 일반적 연주모습, C : 기타 연주시의 왼손의 운지 )
그림2 : 종래기술의 일례( Code Helper )
그림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
( A : 지판에 설치된 모습, B, D : 키 부작동시, C, E : 키 작동시 )
그림4 : 본 발명의 제2실시예
( A : 지판에 설치된 모습, B, D : 키 부작동시, C, E : 키 작동시 )
그림5 : 본 발명의 제3실시예
( A : 키 부작동시, B : 키 작동시 )
그림6-A, 그림6-B : 본 발명의 제5실시예 ( 키의 배치 변형 )
그림6-A(키의 점선 부분), 그림6-C : 본 발명의 제6실시예 ( 키의 모양 변형 )
※ 공통된 도면부호의 설명
110 - 너트,
111 ∼ 118 - 각각 제1 ∼ 제8 프렛
121 ∼ 126 - 각각 제1 ∼ 제6 현
130 - 지판
140 - 손가락
<발명의 기본 개념>
본 발명은 기타 연주에 있어서 왼손의 운지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보조장치는 각각의 현을, 각각의 프렛에서 짚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키들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개개의 현, 개개의 프렛에 하나씩의 키를 배치한다. 각 키는 복원력(復原力)이 있어서 손가락으로 누르면, 해당하는 현을 해당하는 프렛의 위치에서 눌러주고, 손가락을 떼면, 해당하는 현을 개방상태로 돌린다. 즉, 왼손의 운지는 왼손가락으로 현을 직접 누르는 대신, 상기 키를 누르고, 눌러진 키가 현을 누르는 것이다. 상기 키는 손가락으로 직접 현을 누르는 것보다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진다. 그 외에는 일반적인 기타 연주와 하등의 차이가 없다.
이러한 키들의 묶음은 기타의 지판에 장착되며, 필요하지 않을 경우 떼어낼 수 있는 탈착식으로 만든다. 키의 배치 및 모양은 왼손의 운지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의 기본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그림3-A 내지 그림3-E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그림3-A는 기타의 지판에 설치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보조장치(30)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6개의 현(121 ~ 126)위에, 또한 5개의 프렛(111 ~ 115)위에 복수의 키(31)가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키는 각각의 현을 각각의 프렛 위치에서 누르게끔 되어 있다. 손가락(140)으로 누르지 않으면 그림3-B 및 그림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현(12x)은 개방상태이다.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그림3-C 및 그림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현을 해당하는 프렛(11y) 위치에서 누른다. 손가락을 떼면 그림3-B 및 그림3-D와 같은 상태로 복귀함은 물론이다. 키가 현을 누를 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키가 현과 맞닿는 부분은 얇은 연질수지, 실리콘, 고무판, 가죽, 섬유등을 붙인다. 여기서 제시하는 키의 복원력은 키판(31)자체의 판스프링에 의한 것이다. 얇은 플라스틱, 아크릴, 금속등은 본 실시예를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복원력을 지닐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보조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리(32), 키판(31), 용골(32)이다. 다리(32)는 키판(31)을 기타의 지판과 현이 닿지 않는 위치에 띄워주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보조장치를 지판에 부착하는 부가장치(예를 들어, 고무줄)가 부착된다.(미도시) 상기 부가장치는 본 보조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떼어낼 수 있는 탈착식으로 만든다. 키판(31)은 얇고 탄성력이 큰 재질로 만든다. 그림3-A에 도시한 모양으로 잘라서 만든다. 키판에는 개개의 현을 개개의 프렛 위치에서 누를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진다. 즉, 키는 키판의 일부분이다. 상기 키의 아래부분(현과 맞닿는 부분)은, 확실한 물림과 현을 보호하기 위한 연질의 얇은 막이 부착되어진다.용골(33)은 키판의 상부에 부착되어 유연한 키판이 휘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왼손의 운지에 방해되지 않도록, 프렛에 가까운 쪽에 프렛방향으로, 가능한 한 좁은 영역으로 만들되, 상기 다리와 함께 작용하여, 키판이 휘지 않을 정도로 보강하면 족하다.
상기 제1실시에는 본 발명의 개념을 실현시키는 가장 단순한 실시예의 하나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그림 4-A 내지 그림4-E를 참조로 설명하겠다. 상기의 제1실시예와 비교해서, Key의 복원력을 용수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별 차이가 없다. 상기의 제1실시예보다 유리한 점은 프렛의 대부분의 영역을 키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상기의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용골(33)부분은 키로써 사용하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보조장치(40)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42), 키뭉치(41), 용수철(43)이다. 프레임(42)은 용수철(43)과 키뭉치(41)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며, 본 보조장치(40)를 기타의 지판에 탈착식으로 고정해주는 보조 장치를 갖는다. 키뭉치(41)는 누름뭉치(46), 연결다리(45), 키(44)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44∼46)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그림4-B 내지 그림 4-E를 통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단, 누름뭉치(46)의 아랫부분은 현을 안정적으로 누르기 위해 연질의 얇은 막을 붙인다.(그 예는 제1실시예에서 제시하였다.) 용수철(43)은 키뭉치(41)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기능은 역시 그림4-B 내지 그림 4-E를 통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
상기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경우, 키의 작용시와 비작용시, 키가 움직이는 거리는 지판에서 개방현까지의 거리(d1)과 개방현에서 비작용시의 누름장치까지의 거리(d2)의 합(d1+d2)이다. (그림3-D 및 그림4-C 참조.) 이 거리가 너무 길다고 생각된다면, 그림5-A 및 그림5-B에서 제시하는 제3실시예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용수철(53)등으로 복원력을 갖는 키(52)와, 2개 이상의 레버(58,59)를 갖는 지렛대를 이용하여 키의 작은 이동거리로도 현을 누를 수 있는 구조이다. 즉, 프레임(52)에 고정된 힌지(54,55)와 자유럽게 이동할 수 있는 연결고리(56,57),레버(58,59)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키의 지판쪽으로 조금만 움직여도, 레버가 현을 누르게끔 된다. 키의 배치 모습은 그림4-A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다. 현을 직접 누르는 레버의 끝에 연질의 막을 입히는 것은 제1 및 제2실시예와 일반이다.
<제4실시예>
그림3-A 및 그림4-A에는, 일례로써 5개의 프렛에 걸쳐진 본 보조장치를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5개의 프렛으로 대다수의 곡들이 연주될 수 있다.) 그러나, 이용되는 프렛의 수는 필요에 따라 늘릴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하나 또는 2 이상의 프렛단위로 만들어진, 복수개의 보조장치를 기타 지판의 필요한 프렛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6개의 모든 현에 걸쳐있지 않고, 필요한 현에만 이용할 수 있도록 본 보조장치를 설계할 수도 있다. 단, 이런 경우, 본 보조장치가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현의 이용(연주)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제5실시예>
그림4-A에 도시한 키 배치를 이용하는 제2 및 제3실시예의 경우, 연주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키배치가 가능하다. 즉, 그림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다리(62)의 모양을 변형시키면 현의 방향으로 키배치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림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다리(62)의 모양을 변형시키면, 현의 수직방향으로 키배치를 확장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연주자에게 프렛사이의 길이(현의 방향)는 길고, 현 사이의 거리(현의 수직방향)는 짧기 때문에 연주에 어려움을 느낀다. 하지만,필요에 따라 이와 반대되는 응용도 가능하다.
<제6실시예>
그림4-A에 도시한 키 배치를 이용하는 제2 및 제3실시예의 경우, 연주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키의 형상변형이 가능하다. 즉, 그림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현에서 제6현으로 갈수록 키의 높이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림6-A(점선으로 도시된 키)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데 프렛의 키를 낮게 만들고, 양끝으로 갈수록 키의 높이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 모양의 변형은 왼손의 운지를 보다 쉽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연주자에게 보다 쉬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각 키마다 문자, 도안 및 색상 등으로 현과 프렛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기타(Guiter)등 프렛을 갖는 현악기를 연주할 때, 보다 쉬운 연주를 가능하게 한다. 기타 등의 현악기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이와 관련된 수요를 창출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상기 여러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실현하는 몇 가지의 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보다 많은 개량과 보다 상세한 구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허범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충실히 담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청구한다.

Claims (5)

  1. 복수의 현과 복수의 프렛으로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의 지판에 설치되며, 상기 현악기의 연주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춘 현악기 연주용 보조장치.
    (1)개개의 현과 개개의 프렛을 담당하는 복수의 키로써, 상기 키는 손가락으로 누르면 각 현을 각 프렛위치에서 상기 현을 지판에 누르며, 손가락을 떼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현을 개방상태로 환원시키는 상기 키.
    (2)상기 복수의 키와, 상기 복원력을 가지는 수단을 담고있는 프레임으로써, 상기 프레임은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며, 구성요소의 움직임 상태를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보조장치를 기타의 지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불필요한 경우 기타의 지판에서 뗄 수 있는 탈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복수의 보조장치를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의 키의 배치 모양은, 현의 방향으로 기타의 지판의 프렛길이보다 축소 또는 확장할 수 있으며, 현의 수직방향으로 현 사이의 거리보다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의 키는, 그 높이, 형상, 색상을 해당되는 프렛과 해당되는 현마다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KR1020030032130A 2003-05-21 2003-05-21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KR20030045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130A KR20030045758A (ko) 2003-05-21 2003-05-21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130A KR20030045758A (ko) 2003-05-21 2003-05-21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758A true KR20030045758A (ko) 2003-06-11

Family

ID=2957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130A KR20030045758A (ko) 2003-05-21 2003-05-21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7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449A1 (en) * 2012-07-17 2014-01-23 Brian Compton A musical instrument
KR101377211B1 (ko) * 2012-07-25 2014-03-26 이상진 연주 및 반주 겸용 우쿨렐레
CN105931618A (zh) * 2016-06-21 2016-09-07 蒲源东 一种琴弦助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449A1 (en) * 2012-07-17 2014-01-23 Brian Compton A musical instrument
US9865235B2 (en) 2012-07-17 2018-01-09 Brian Compton Musical instrument
KR101377211B1 (ko) * 2012-07-25 2014-03-26 이상진 연주 및 반주 겸용 우쿨렐레
CN105931618A (zh) * 2016-06-21 2016-09-07 蒲源东 一种琴弦助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233B1 (en) Chord aiding device for a fretted stringed instrument
US7304224B1 (en)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for acoustic guitar players
US4566365A (en) Chord playing attachmen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O1997033272A1 (en) Stringless twitch fret instrument
EP3788617A1 (en) An input device with a variable tensioned joystick with travel distance for operat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4545282A (en) Chord selecto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070256539A1 (en) Finger alignment training device
JP3217159U (ja) 弦楽器用コード押さえ補助具
US20080173163A1 (en) Musical instrument input device
AU747305B2 (en) Device for forming chords
KR20030045758A (ko) 프렛이 있는 현악기의 연주용 보조장치
KR102341491B1 (ko) 교육용 현악기
US4665789A (en) Chord selector for a stringed instrument
US3805664A (en) Chord selector apparatu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112805A (en) Chord locat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2008040439A (ja) バイオリン及びビオラの演奏の左手のトレーニング器
US4222303A (en) Musical justification for guitars and the like
KR200384051Y1 (ko) 휴대용 기타연습기
JP3246771U (ja) バイオリン
US1667925A (en) Stringed-instrument player
US11955023B1 (en) Stringed instrument bow hold training device
JP4592561B2 (ja) 弦楽器
KR101829882B1 (ko) 찰현악기
BR202019023801U2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dispositivo de acordes para instrumentos de cordas
WO2000055840A1 (en) Ca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