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031A - 투명수성탄성체 - Google Patents

투명수성탄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031A
KR20030045031A KR10-2003-7002213A KR20037002213A KR20030045031A KR 20030045031 A KR20030045031 A KR 20030045031A KR 20037002213 A KR20037002213 A KR 20037002213A KR 20030045031 A KR20030045031 A KR 20030045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elastic body
transparent
temperature
galactomann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다치카츠라
오야마케이이치
오이유키코
우즈하시유지
코지마마사아키
사카이타케히코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이나쇼쿠힝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980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450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52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60546A/ja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이나쇼쿠힝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4Hemi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3Xanthan, i.e. D-glucose, D-mann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saubstituted with acetate and pyruvate, with a main chain of (beta-1,4)-D-glucose unit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투명성이 뛰어나며, 또한 유연하여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뛰어난 투명 수성 탄성체를 얻는다.
투명 수성 탄성체는,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수불용 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이 투명 수성 탄성체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한 투과율이 온도 25℃, 측정 파장 655nm, 광로 10mm의 조건 하에서 90%T 이상이다.

Description

투명수성탄성체{TRANSPARENT, AQUEOUS ELASTOMER}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탄성을 갖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수성재료는 의약품, 의료기구, 의약재료, 화장품, 가정용품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물질로서는 폴리비닐알콜이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체 등의 수성 합성 고분자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천연다당류 등의 성분으로서는, 점탄성(粘彈性)이 있는 투명한 수성 조성물을 만드는 천연 다당류의 식품에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는 바, 그러한 성분으로서는 종래로부터 카라기난, 젤라틴, 제란감이 알려져 있으며, 일본국 특허공개소 61-252677와 일본국 특허공개평 1-040542에는 카라기난으로 만들어지는 조성물이, 일본국 특허공개평 1-074239와 일본국 특허출원공개평 10-248505에는 제란감으로 만들어지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수성조성물의 물성은 탄성율이 높은 점은 있지만 유연성은 약하여, 뒤틀면 파단되기 쉽다. 이 때문에, 강도를 높이려고 하면 수분에 대한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투명성은 손상되고 백탁(白濁)해 버리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합성고분자재료의 수성겔은 투명성은 높지만, 물성적으로는 아직도 불만족스러운 것이다. 또, 화학합성물질은 여러 환경이나 인체에의 영향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지향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천연다당류는 생분해성이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 화학합성반응에 의해 생기는 폐수, 폐가스, 폐용제 등의 환경에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산업상의 어느 분야에 있어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의 광범위한 물질이다. 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에의 응용이 몇몇 시도되고 있지만, 종래 기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카라기난, 제란감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이온과 반응시킬 필요가 있고, 파단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양을 늘리면 한천과 같이 얻어지는 수성 조성물은 백탁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 젤라틴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등전점이 있어, 등전점 부근의 pH에서는 불용화하여 백탁하여 버린다. 또, 단일의 수용액이 투명한 다당류의 조합에 의해, 양호한 수성조성물이 생성되어도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수성 조성물이 굳어질 때에, 투명성은 저하하여 백탁하여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투명성을 얻기 위해서 조성물 중의 농도를 내리면 유동성을 갖는 물성이 되어 버려 만족스러운 것이 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수성조성물은, 내냉동(耐冷凍) 특성에 있어서 냉동 하에서 냉동변성하고, 수성조성물의 조직이 파괴되어, 해동에 의해 이수(離水)해 버리는 결점이 있다. 이들을 이용한 상품에서는, 예를 들면 겨울동안 보존되어, 지역에 따라 냉동 상태로 되는 경우 상품의 열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명성이 뛰어나고, 또한, 유연하여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우수한 수성 탄성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糊料)와 투명성이 뛰어난 키산탄감을 조합시켜서 함유한 투명성이 뛰어난 수성탄성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품 3, 8, 비교품 10의 뒤틀림 의존성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물질로 만드는 수성재료로서 투과율이 높고, 또한 저탄성율로써, 미력으로 좀처럼 변형하지 않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즉, 투명성이 뛰어나며, 또한 유연하여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뛰어난 수성탄성체를 얻는 것, 또 냉동해동에 의해 냉동변성이 적고, 이수와 같은 상태로 되는, 낮은 내냉동특성이 뛰어난 수성탄성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한 결과,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수불용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성탄성체가 투명성의 손상없이, 유연성이 뛰어나 뒤틀림에 강한 탄성을 갖는 수성 조성물을 부여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말하는 투명성이 뛰어난 조성물은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한 투과율이 온도 25℃, 측정파장 655nm, 광로 10mm의 조건 하에서 90%T이상인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갈락토만난류 라 함은, D-만노스 주쇄에 D-갈락토오스 측쇄를 갖는 다당류로써, 천연다당류의 예로는, 로카스트빈감, 타라감, 구아감, 카시아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당류는 물성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투명성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서는, 정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로카스트빈감이 물성, 투명성의 면에서 가장 뛰어나다.
한편, 키산탄감은, 미생물 잔토모나스·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해, 전분, 글루코스, 자당 등의 탄수화물로부터 발효되어 만들어지는 미생물 다당류의 일종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키산탄감 중에 존재하는 수불용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이 사용된다. 이 키산탄감을 사용함으로서, 투명성이 뛰어난 조성물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인 유연한 수성 탄성체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들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반의 키산탄감을 사용하여 얻어진 조성물이 탄성체로 되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물성과는 다른 것이며, 물론 투명한 수성조성물은 부여되지 않는다. 수불용성 성분의 분해처리에는 알칼리, 산에 의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제거 처리에는 규조토(珪藻土), 백토(白土), 활성탄, 그 밖의 점토나 세라믹류 등의 흡착제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비용적 측면을 감안할 때, 일반적으로 유통되어 입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프로테아제에 의해 가수 분해 처리를 행한 것이 실용적이며 바람직하다. 이들 수불용성 성분은 단백질이 주성분이라고 생각되고, 그것들이 갈락토만난류와 병용한 수성 조성물의 물성에 아마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테아제로서는, 알칼리성 혹은 중성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지만, 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프로테아제에 의한 처리방법은 일본국 특개소 50-121493에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사용상 또는 유통상 등에서 더욱 파단 강도가 필요한 경우는, 갈락토만난류 중의 1부나 혹은 전부가 가열 처리되어 개질된 것을 이용하면 좋다. 가열 처리품으로서는 수분이 50% 이하로 갈락토만난류가 55∼100℃에서5분∼200시간, 혹은 100∼150℃에서 1분∼50시간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갈락토만난류는 일본국 특원평 10-19096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적당하다. 이 발명에는 키산탄감과의 병용이 기재되어 있고, 강고한 겔은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징인 키산탄감을 사용한 투명하고 유연한 탄성체와는 목적을 달리하는 것이다.
또, 같은 이유로 키산탄감에 있어서도 가열 처리되어 개질된 것을 키산탄감 중의 1부 또는 전부 이용하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좋다. 가열 처리품으로서는 수분이 50% 이하로 갈락토만난류가 55∼150℃에서, 1시간∼50시간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대해서도 일본국 특원평 10-19096에 개시되어 있다.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에 있어서는, 로카스트빈감이 바람직하며, 수불용성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과의 중량비가 1:4∼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카스트빈감과 수불용성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과의 중량비가 1:1.5∼1 .5: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부터 벗어나면 파단 강도는 약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파단 강도는 소망하는 바에 따라 비율을 조정하면 좋으며, 뒤틀림에 대한 강도라는 의미에 있어서는 하등의 문제가 없다.
또,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키산탄감의 총화의 농도는 수성 조성물 중의 중량비로 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이하에서는 파단 강도는 약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파단 강도는 소망하는 바에 따라 농도를 조정하면 좋으며, 뒤틀림에 대한 강도라는 의미에 있어서는 하등의 문제가 없다. 또, 10 중량% 이상에서는 분료를 수계에 용해시킬 때에 분산시키기 어렵다는 작업성에서의 결점과 투명성이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용도, 제조 기기가 소망의 허용 범위에서 탄성체를 얻으면 좋다.
또,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투명 수성 탄성체를 동적 점탄성의 특성치로 나타내면, 온도 25℃, 주파수 1Hz, 뒤틀림 10-1∼10%에서의 저장탄성율 G'가 1∼1000Pa이며, 또한, 손실 탄젠트 tanδ(손실탄성율 G”/저장탄성율 G')이 10-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고무 모양의 탄성체로서의 특성을 특정하는 수치이며, 탄성체로서의 성질을 나타내지만 탄성이 너무 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온도 25℃, 주파수 1Hz에서의 뒤틀림율이 1%와 100%일 때의 각각의 동적 탄성율의 대수의 비가 1/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저장탄성율 G'의 뒤틀림 의존성이 작고, 크게 뒤틀려도 물성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치는 스트레스 제어식 혹은 뒤틀림 제어식 레오미터 등의 점탄성 측정장치로 측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탄성체에 있어서,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호료와 수불용성 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을 함유하고 있는 수성탄성체가, 내냉동성에 있어서 -2.0℃/시간의 속도만큼의 온도 강하에 의해 온도 -20℃까지 냉동시킨 후, 2.0℃/시간의 속도만큼의 온도 상승에 의해 온도 10℃까지 복원시킨 수성탄성체에 있어서, 복원에 의해 수성탄성체로부터 분리된 이수량이, 냉동전의 수성탄성체 중량의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0.01∼2중량%인 특징을 가지는 뛰어난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수성탄성체에 수용성 다당류, 수용성 알콜을 목적의 물성에 따라 배합하여도 좋다. 또,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하는 것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되지 않는 범위라면 하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투명 고무 모양 수성 조성물에 대해서는, 의약품, 의료기구, 의약재료, 화장품, 가정용품, 식품뿐만 아니라, 재료로서 건축, 농약, 사료, 비료, 도료, 잉크, 세라믹, 수지 또는 접착제 등의 공업분야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환경이나 인체에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질로 만드는 수성재료로서, 투명성이 뛰어나며, 또한 유연하여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뛰어난 수성탄성체로, 의약품, 의료기구, 의약재료, 화장품, 가정용품, 식품뿐만이 아니라, 재료로서 건축, 농약, 사료, 비료, 도료, 잉크, 세라믹, 수지 또는 접착제 등의 공업분야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품은, 각 산업에 이용할 때에 다른 제 3 성분을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외관적으로도 아름답게 보인다는 점에서, 장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도 크다.
본 발명을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 비교예 1∼5
1. 수성탄성체의 조제
표 1에 따라, 25℃하에서 1L 용기 중에서 물을 날개형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호료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분산한 후 가온을 개시하여,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심형(深型) 샬레(60mmφ×60 mm)에 약간 흘러 넘칠 정도로 분주한 후, 25℃에서 12시간 정치(精置)하였다. 그 후에 샬레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을 나이프로 평평하게 자르고, 본 발명품과 비교품을 얻었다.
2. 수성탄성체의 물성평가시험
1에서 얻어진 시작품을 레오미터(부동공업제품:레오메타 CW형)를 이용하여, 물성평가를 하였다. 시작품을 직접 압축하는 어댑터로서 직경 10mm 원반형을 설치하고, 압축속도 30cm/분으로 30mm 압축하여 시작품을 뒤틀어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파단하지 않는 경우는 30mm 압축시켰을 때의 강도(g/㎠)(이하, 압축강도라고 함)(실시예 1∼10), 파단했을 경우는 파단했을 때의 거리와 파단했을 때의 강도(g/㎠)(이하, 파단강도라고 함)를 각각 측정하였다(비교예 1∼8). 또한 본 발명품, 비교품의 배합은 각각 표 1, 표 3에, 측정결과는 각각 표 2, 표 4에 나타내었다.
3. 수성탄성체의 투과율 측정
분광 광도계(일본분광제품:JASCO V-500)에 의해, 온도 25℃, 측정파장 655nm, 광로 10㎜(사면투명석영셀 10㎜ × 10㎜)의 조건 하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레퍼런스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품, 비교품의 측정결과는 표2,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 실시예 1∼10(배합) 단위:g
실시예 NO 1 2 3 4 5 6 7 8 9 10
키산탄감A주1) 1 1.8 3.2 0.5 1
키산탄감B주2) 1
키산탄감C주3) 1 0.5 0.5 0.2
로카스트빈감A주4) 1 1 1 4.2 0.8 0.5 0.5
로카스트빈감B주5) 0.5 0.2
그감주6) 1
수분 198 198 198 194 196 199 199 199 198 199.6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주1)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키산탄감을 프로테아제 처리에 의해 수불용 성분을 가수 분해 처리한 키산탄감으로서 케르코사 제품의 시판품을 사용.
주2)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키산탄감(수불용 성분의 분해 및 제거 처리하지 않은)인 케르코사 제품의 시판품을 1중량% 수용액으로서 가압 여과에 의해 세라이트 처리한 후, 백토처리에 의해 수불용 성분을 제거처리하고, 에탄올 침전하여 건조한 정제품을 사용.
주3)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키단탄감을 프로테아제 처리에 의해 수불용 성분을 가수 분해 처리한 후, 가열 처리한 키산탄감으로서 닛신제유사제품의 시판품을 사용.
주4)산에이겐 F·F·I사제품의 시판품을 사용.
주5) 주4)의 시판품을 120℃하에서, 10분간 가열처리하여 사용.
주6)산에이겐 F·F·I사제품의 시판품을 사용.
[표 2] 실시예 1∼10(평가결과) 파단하지 않음 ○ 파단함 ×
실시예 NO 1 2 3 4 5 6 7 8 9 10
파단 여부 O O O O O O O O O O
압축강도(g/㎠) 421 368 683 123 86.1 102 185 235 134 63.1
투과율(%T) 92.5 93.2 91.8 90.8 94.3 95.1 96.2 94.3 92.4 97.5
[표 3] 비교예 1∼10(배합) 단위:g
실시예 NO 1 2 3 4 5 6 7 8 9 10
키산탄감D주7) 1 1.8 3.2 0.5 1
키산탄감F주8) 1 0.5 0.5 0.2
로카스트빈감A 1 1 4.2 0.8 0.5 0.5
로카스트빈감B 0.5 0.2
카라기난 1
제란감 0.8
유산칼슘 0.2
수분 198 198 194 196 199 199 199 199.6 198 199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주7)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키산탄감으로서 케르코사제품의 시판품을 사용. 또한, 수불용 성분은 분해 및 제거처리되지 않는다.
주8)통상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키산탄감을 가열 처리한 키산타감으로서 닛신 제유사제품 시판품을 사용. 또한, 수불용 성분은 분해 및 제거 처리되지 않는다.
[표 4] 비교예 1∼10(평가결과) 파단하지않음 ○ 파단함 ×
비교예 NO 1 2 3 4 5 6 7 8 9 10
파단 여부 × × × × × × × × × ×
압축강도(g/㎠) 523 956 183 143 186 352 451 155 312 856
투과율(%T) 12.1 13.2 32.3 3.4 25.3 28.3 27.5 65.3 14.1 56.0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이 투명성이 뛰어나며, 또한 유연하여 좀처럼 부서지지 않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뛰어난 수성 탄성 조성물인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비교품은 투과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압축함으로서 크게 뒤틀면 파단하여 버린다. 파단 강도는 같은 배합으로 실시예의 압축강도보다 상대적으로 비교품이 높은 경향이며, 유연성이 손상되어 있다.
4. 1에서 얻어진 본 발명품의 동적 점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발명품 3, 8을 동적 점탄성 측정장치(레오메트릭사제품 : 아레스 동적 점탄성 장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1Hz, 탄성체의 온도 20℃에서 뒤틀림 의존성 측정 시험을 실시하여, 뒤틀림율 1%과 100%에서의 측정결과를 표 5, 6에 나타내었다. 또, 이와 같이 비교품 10의 측정결과도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품 3, 8, 비교품 10의 뒤틀림 의존성 측정이다.
[표 5] 본 발명품 3
뒤틀림율 1% 100%
저장탄성율 G' 2.6 × 102 2.7 × 102
손실탄성율G" 1.7 × 101 3.1 × 101
손실탄젠트 tanδ 6.5 × 10-2 1.1 × 10-1
뒤틀림율 1%과 100%의 저장탄성율의 비는 0.99
[표 6] 본 발명품 8
뒤틀림율 1% 100%
저장탄성율 G' 7.3 × 101 9.9 × 101
손실탄성율G" 5.5 × 100 7.3 × 100
손실탄젠트 tanδ 7.5 × 10-2 7.4 × 10-2
뒤틀림율 1%과 100%의 저장탄성율의 비는 0.93
[표 7] 비교품 10
뒤틀림율 1% 100%
저장탄성율 G' 5.1 × 103 1.7 × 100
손실탄성율G" 1.3 × 102 6.5 × 101
손실탄젠트 tanδ 2.4 × 10-2 3.8 × 101
뒤틀림율 1%과 100%의 저장탄성율의 비는 16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이 뒤틀림 의존성이 적으며, 적절한 유연한 탄성체라고 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한편, 비교품은 뒤틀림 의존성이 크고, 뒤틀림이 커지면 물성이 변화해 버려 안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수성탄성체의 내냉동성 시험(이수율시험)
1에서 얻어진 시작품에 의해 실시예 2, 3, 6과 비교예 9, 10에 대하여, 이수량을 측정하였다. 이수량은, 5cm × 5cm × 5cm의 본 발명품 및 비교품에 대하여, -2.0℃/시간의 속도로 온도가 강하시켜 온도 -20℃까지 냉각시킨 후, 2.0℃/시간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켜 온도 10℃까지 복원시켰을 때의 이수량을 표면을 여과지에서 닦아냄으로서 측정하였다. 이수율은, 냉동 전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냉동 후의 이수율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6 비교예9 비교예10
이수율(%) 0.3 0.2 0.4 6.2 8.8

Claims (10)

  1.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수불용 성분이 분해 처리 또는 제거 처리된 키산탄감을 함유한 투명 수성 탄성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 25℃, 측정파장 655nm, 측정 광로 10mm의 조건 하에서 투과율이 90%T이상인 투명 수성 탄성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키산탄감이 프로테아제에 의해 가수 분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4. 제 1 항에 있어서,
    호료로서 선택된 갈락토만난류의 1부 혹은 전부가 가열 처리되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탄성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키산탄감의 1부 혹은 전부가 가열 처리에 의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6. 제 1 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키산탄감의 중량비가 1:4∼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7. 제 1 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난류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와 키산탄감의 총화의 수성조성물 중의 농도가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레올로지 특성에 있어서, 온도 20℃하에서 주파수 1Hz에서 뒤틀림 10-1∼10%에 있어서의 동적 저장탄성율 G'가 1 ∼1000 Pa이며, 손실탄젠트 tanδ가 10-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9. 제 1 항에 있어서,
    레올리지 특성에 있어서, 온도 20℃하에서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뒤틀림율이 1%와 100% 때의 각각의 동적 저장탄성율 G'의 대수의 비가 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내냉동성 특성에 있어서, -2.0℃/시간의 속도의 온도 강하에 의해 -20℃까지 냉동시킨 후, 2.0℃/시간의 속도의 온도 상승에 의해 온도 10℃까지 복원시킨 수성 탄성체에서, 복원에 의해 수성탄성체로부터 분리된 이수량이, 냉동 전의 수성탄성체 중량의 0.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성 탄성체.
KR10-2003-7002213A 2000-08-16 2001-08-16 투명수성탄성체 KR20030045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6873 2000-08-16
JP2000246873 2000-08-16
JPJP-P-2000-00252192 2000-08-23
JP2000252192A JP2002060546A (ja) 2000-08-23 2000-08-23 透明水性弾性体
PCT/JP2001/007068 WO2002014420A1 (en) 2000-08-16 2001-08-16 Transparent, aqueous elasto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031A true KR20030045031A (ko) 2003-06-09

Family

ID=2659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213A KR20030045031A (ko) 2000-08-16 2001-08-16 투명수성탄성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40014717A1 (ko)
EP (1) EP1323773B1 (ko)
KR (1) KR20030045031A (ko)
CN (1) CN1198872C (ko)
AU (1) AU2001278751A1 (ko)
WO (1) WO2002014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016B2 (ja) 2004-06-29 2010-01-06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ゲル状吸水用組成物
US8480513B2 (en) 2008-11-05 2013-07-09 Sri Sports Limited Putter-type golf club hea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618A (en) * 1974-03-11 1976-06-29 Merck & Co., Inc. Clarification of xanthan gum
GB8431699D0 (en) * 1984-12-14 1985-01-30 Mars G B Ltd Gel system
US4952686A (en) * 1987-12-01 1990-08-28 Fmc Corporation Soluble dried cassia alloy gum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DE69221841T2 (de) * 1991-12-20 1998-01-22 Shinetsu Bio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reinigtem Xanthangummi
GB9226391D0 (en) * 1992-12-18 1993-02-10 Cpc International Inc Xanthan gelling agents
JP2000192100A (ja) * 1998-12-24 2000-07-11 Lion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1019943A (ja) * 1999-07-05 2001-01-23 Ina Food Ind Co Ltd 保冷剤
US6586590B1 (en) * 2000-07-03 2003-07-01 Marine Bioproducts International Clarified hydrocolloids of undiminished properti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32889A1 (en) 2005-10-20
EP1323773A1 (en) 2003-07-02
CN1198872C (zh) 2005-04-27
WO2002014420A1 (en) 2002-02-21
EP1323773A4 (en) 2004-04-07
EP1323773B1 (en) 2007-05-09
AU2001278751A1 (en) 2002-02-25
CN1447834A (zh) 2003-10-08
US20040014717A1 (en)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i et al. Gelation and rheology of xanthan/enzyme-modified guar blends
Harding et al. An introduction to polysaccharide biotechnology
Yuliarti et al. Characterization of gold kiwifruit pectin from fruit of different maturities and extraction methods
Whistler Industrial gums: 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Chenite et al. Rheological characterisation of thermogelling chitosan/glycerol-phosphate solutions
Morris Bacterial polysaccharides
Nordtveit et al. Degradation of partially N-acetylated chitosans with hen egg white and human lysozyme
JP4565745B2 (ja) カラゲナン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のための方法
CA2123602C (en) Gel production from plant matter
Sime Alginates
Sundaram et al. Retardation of thermal and urea induced inactivation of alpha-chymotrypsin by modification with carbohydrate polymers.
Makri et al. Study of emulsions stabilized with Phaseolus vulgaris or Phaseolus coccineus with the addition of Arabic gum, locust bean gum and xanthan gum
Tuvikene Carrageenans
Liu et al. Effects of collagenase type I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collagen fibres from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body wall
Mohamed et al. A review on physicochemical and thermorheological properties of sago starch
Boamah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log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gum tragacanth-A review
KR20030045031A (ko) 투명수성탄성체
Rajendran et al. EXTRACTION AND CHARACTERISATION OF PECTIN FROM BANANA PEEL.
Robert et al. Use of a Plackett− Burman experimental design to examine the impact of extraction parameters on yields and compositions of pectins extracted from chicory roots (Chicorium intybus L.)
Gutiérrez et al. Emulsifying properties of a glycoprotein extract produced by a marine Flexibacter species strain TG382
Li et al. Epidermal secretions of terrestrial flatworms and slugs: Lehmannia valentiana mucus contains matrilin-like proteins
US5786470A (en) Gel production from plant matter
JP2002060546A (ja) 透明水性弾性体
SHIN et al. The degradation of chltosan with the aid of lipase from rhizopus japonicus for the production of soluble chltosan
Sharma et al.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Isabgol husk, gum katira hydrocolloids, and their bl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