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991A -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991A
KR20030042991A KR1020010073946A KR20010073946A KR20030042991A KR 20030042991 A KR20030042991 A KR 20030042991A KR 1020010073946 A KR1020010073946 A KR 1020010073946A KR 20010073946 A KR20010073946 A KR 20010073946A KR 20030042991 A KR20030042991 A KR 2003004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pulley
light collecting
pl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728B1 (ko
Inventor
이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7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18Gathering means for material falling from the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야드에 적치되어 있는 광석의 수송을 위한 벨트 컨베이어에서 밸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풀리부에 광석이 떨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광 제거장치(1)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1)는, 벨트 컨베이어(10)의 벤드 풀리(16)사이를 통과하는 리턴벨트(12')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된 슈트(17)로 부터 떨어진 낙광(18')이 텐션풀리(20)와 벨트(12')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광판(32)과 이에 연결되고 벨트(12')에 접촉하는 러버판(34)을 갖춘 집광부(30);와, 상기 집광부(30)의 하부에 상기 벨트(12')와 접촉하여 구동되고, 다수의 구동 텃치바아(52)를 갖춘 구동부 (50); 및, 상기 구동부 텃치바아(52)의 개별 접촉으로 상기 집광광(32)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하는 타격바아(72)를 갖추어 집광판(32)위의 낙광(18')들을 제거하는 타격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 사이에 끼이면서 발생하는 벨트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ORE DROPPED ON TENSION PULLY PART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각 야드에 적치되어 있는 광석의 수송을 위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한 광석의 수송시 슈트가 막힘으로서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풀리부(TENSION PULLT PART)에 떨어진 낙광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 사이에 끼이면서 발생하는 벨트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원료처리 설비중 철광석과 부원료인 원료탄. 석회석등은 야드에 적치할때와 야드에 적치된 연,원료 광석을 다음 공정에 보내줄때 통상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광석 운송용 벨트 컨베이어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설비로 불출된 광석(100)등은 슈트 (110)를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120)의 벨트(122)를 통하여 운송된 광석(100)은 다른 라인의 벨트 컨베이어로서 연속 이송되기 위하여 다른 슈트(130)를 통하여 라인 변경되는데,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120)는 벨트(122)의 무한궤도 작동을 위하여 헤드풀리(124)와 다른 벤드풀리(126)로 이송된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120) 설비에는 그 사용기간에 따라 벨트부분의 텐션력이 감소되면서 풀리(124)(126)들에 느슨하게 감기어 이송되면서, 벨트가 사행되든가 심한경우 풀리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벨트의 덴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풀리(140)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벤드 풀리(126)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송경로가 조정된 벨트(122)는 웨이트(142)가 장착된 텐션풀리(140)를 통하여 벨트의 텐션이 항상 지속적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다른 라인으로 광석(100)을 낙하시키는 슈트(130)가 작동불량에 의하여 또는 광석중에 필요이상으로 부피가 큰 이상광석에 의하여 슈트(130)가 막히는 경우에, 작업자가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벨트 컨베이어 라인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후속조치를 취하지 못하면, 헤드 풀리(124)를 통과하는 리턴벨트(122')부분에 광석이 떨어 지게 된다.
결국,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벨트(122')에 덜어진 낙광(100')은 텐션풀리(140)와 이를 통과하는 벨트(122')사이에 까이면서 상기 텐션풀리(140)의 표면에 흠을 발생시키거나, 심한 경우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122')자체를 손상시키는 거나 벨트(122')를 절손시키는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슈트(130)가 막히지는 않아도 운송물의 수분함유가 과다한 경우 벨트에 부착되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벨트 크리너만으로 제거되지 않은 운송물이 탠션풀리와 벨트 사이에 끼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30) 막힘문제등을 해결하여도 텐션풀리(140) 또는 손상된 벨트(122')의 보수작업등으로 벨트 컨베이어(120) 자체의 가동이 중단되고, 이는 광석등의 운송물을 원활하게 공정투입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결국,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벨트 켄베이어의 텐션풀리부에 떨어지는 낙광등의 운송물을 별도의낙광제거장치로서 제거하여 풀리와 벨트의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츨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한 광석의 수송시 슈트가 막힘으로서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풀리부(TENSION PULLT PART)에 떨어진 낙광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 사이에 끼이면서 발생하는 벨트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텐션풀리부에 떨어진 낙광에 의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사이에 끼인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b)는 낙광에 의한 벨트의 손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낙광 집광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집광판과 러버판을 도시한 정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의 집광판 타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낙광 제거장치10.... 벨트 컨베이어
12.... 벨트14.... 헤드풀리
16.... 벤드풀리18'.... 낙광
20.... 텐션풀리22.... 웨이트
30.... 집광부32.... 집광판
34.... 러버판38.... 연결 플레이트
40.... 지지판50.... 구동부
52.... 텃치바아54.... 구동롤
56,74.... 회전축58,76.... 회전편
70.... 타격부72.... 타격바아
80....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벨트를 이송시키는 헤드 및 벤드풀리 및,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웨이트가 연결된 텐션풀리를 갖추고 양측의 슈트들을 통하여 운송물을 이송 및 라인변경시키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벤드 풀리사이를 통과하는 리턴벨트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된 슈트로 부터 떨어진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광판과 이에 연결되고 벨트에 접촉하는 러버판을 갖춘 낙광 집광부;와,
상기 집광부의 하부에 상기 벨트와 접촉하여 구동되고, 다수의 구동 텃치바아를 갖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 텃치바아의 개별 접촉으로 상기 집광광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하는 타격바아를 갖추어 집광판위의 낙광들을 제거하는 타격부;로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낙광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낙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낙광 집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의 집광판 타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낙광 집광부(30)와 구동부(50) 및, 타격부(70)로서 나누어 지고, 이들 각 구성부(30) (50)(7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벨트 컨베이어(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12)를 이송시키는 헤드 및 벤드풀리(14)(16) 및,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웨이트(22)가 연결된 텐션풀리(20)를 갖추고 있고, 또한 상기 벨트(12)는 운송물(18)을 이송시키는 이송라인과 헤드풀리(14)를 통과한후 운송물(18)이 없는 리턴벨트(12')가 무한궤도 이송되고, 상기 벤드풀리(160는 실제 본 발명에 따른 텐션풀리 (20)로의 리턴벨트(12') 이송경로를 조정하는 역활을 하고, 이때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벨트(12)(12')는 상,하측의 이송지지롤들로서 그 이송이 지지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집광부(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광부(30)는, 상기 벤드 풀리(16)사이를 통과하는 리턴벨트(12')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된 슈트(17)로 부터 떨어진 낙광(18')이 텐션풀리(20)와 벨트(12')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광판 (32)과 이에 연결되고 벨트(12')에 접촉하는 러버판(34)을 갖춘다.
즉,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광부 집광판(32)은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호형의 베이스(32a)사이에 고정되는 호형의 스틸 플레이트로 형성되는데, 상기 호형의 집광판(32)은 앞부분이 뒷부분 보다는 약간 높게 경사지게 형성시키야 한다,
또한, 상기 러버판(34)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2 러버판 (34a)(34b)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와 같은 제 1 러버판(34a)은 상기 집광판(32)의 우측으로 텐션풀리(20)측으로 진행되는 벨트(12')에 접촉하며, 상기 집광판(32)의 우측에 연결판(36)으로서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38)상에 지지판(40)을 개재하여 볼트(42)및 너트(44)로서 착탈 가능토록 수평 고정되어 그 에지부분이 상기 벨트 (12')에 근접하여 벨트(12')를 따라 떨어지는 낙광(18')을 집광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러버판(34b)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집광판(32)의 좌측으로 지지판(40)을 개재하여 볼트(42) 및 너트(44) 고정되는데, 상기 제 2 러버판(34b)은 실제 집광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벨트(12')에서 약간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지만, 벨트(12')와의 마찰발생을 줄이도록 러버판으로 설치되고, 이때 상기 제 2 러버판(34b)은 텐션풀리(20)을 통과하여 상승되는 벨트(12')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집광판(32)의 저부에 지지판(40)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4 내지 도 6 및, 도 9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구동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동부(50)의 구성적 특징은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동원을 설치하지 않고 벨트(12')의 이송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구동부(50)는, 상기 집광부(30)의 하부에 벨트(12')와 접촉하여 구동되는 구동롤(54)을 갖추고, 상기 구동력(54)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수의 구동 텃치바아(5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50)의 텃치바아(52)는, 도 4, 도 6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2')에 접촉하여 구동되는 전,후측 구동롤(54)사이에 연결된 회전축(56)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회전편(58)들에 각각 90도 간격으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구동롤(54)이 고정된 회전축(56)은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고정대(F)에 베어링으로 회전토록 커플링 연결된다.
다음,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타격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타격부(70)는 상기 구동부 텃치바아(52)의 개별 접촉으로 상기 집광광(32)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하는 타격바아(72)를 갖추어 집광판(32)위의 낙광(18')들을 집광판(32)에서 부터 용이하게 배출 제거토록 구성된다.
즉, 도 6 및, 도 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70)의 타격바아(72)는 다시 제 1 및 제 2 타격바아(72a)(72b)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상기 제 1 타격바아(72a)는 상기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고정대(F)에 베어링으로 회전토록 커플링 연결된 회전축(74)에 설치된 다수의 회전편(76)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30)의 텃치바아(52)로서 타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타격바아(72b)는 상기 제 1 타격바아(72a)의 타격시 회전되는 회전편(76)으로서 이동하여 상기 집광판(32)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토록 회전편(76)의 타측에 설치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타격바아(72a)에는 텐션풀리(20)의 폭방향으로 고정대(F)에 고정된 지지판(78)에 고정되는 스프링(80)이 연결되어 상기 타격바아(72)에 의한 집광판 낙광 제거작동을 용이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슈트(17)를 통하여 낙하된 광석(18)들은 벨트(12)를 통하여 이송롤들 및 헤드풀리(14)의 작동으로 이동하여 타측 슈트(17)를 통하여 다른 컨베이어라인으로 광석등의 운송물(18)이 투입되면, 운송물의 이송을 수행하지 않는 리턴벨트(12')는 벤드풀리(160로서 이송경로가 변경되면서 웨이트(22)가 연결된 텐션풀리(20)에 의하여 벨트의 장력이 조정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7)가 막히게 되어 텐션풀리(20)측의 벨트(12')를 따라 광석(18')이 떨어지면, 상기 텐션풀리(20)의 상측으로 설치된 집광판(32)의 러버판(34a)에서 걸러지면서 호형의 집광판(32)에 모이게 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12')의 이송시 이에 접촉하는 구동롤(54)은 회전축(56)을 일체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축(56)에 설치된 회전편(58)에 그 모서리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텃치바아(52)는 상기 회전편(58)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구동되는 텃치바아(52)는 상기 텐션풀리(20)의 상측으로 설치된 회전축 회전편(76)의 일측으로 수평 고정된 대략 4개의 제 1 타격바아(72a)를 순차로 상기 텃치바아의 설치각도에 따라 순차로 타격한다.
결국, 상기 제 1 타격바아(72a)가 연결된 제 1 회전편(76)은 제 1 타격바아 (72a)의 타격 이동폭만큼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편(76)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타격바아(72b)는 상기 집광판(32)의 저부를 위에서 아래로 순차로 타격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타격바아(72a)는 반복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제 2 타격바아(72b)를 연속적으로 집광판(32)의 저부를 위에서 아래로 타격하도록 하고, 이는 집광판(32)에 모이 낙광(18')들은 텐션풀리(20)의 외곽으로 벨트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낙광(18')들은 도면에서는 도지하지 않았지만, 수거함에 떨어져 제처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를 통한 광석의 수송시 슈트가 막힘으로서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풀리부(TENSION PULLT PART)에 떨어진 낙광을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낙광이 텐션풀리와 벨트 사이에 끼이면서 발생하는 벨트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손상 또는 벨트의 절손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중단등이 방지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보다 원활한 가동이 수행되어 이를 통한 광석등의 운송물이 공정에 원활하게 투입되어 운송물을 이용하는 공장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벨트(12)를 이송시키는 헤드 및 벤드풀리(14)(16) 및,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웨이트(22)가 연결된 텐션풀리(20)를 갖추고 양측의 슈트(17)들을 통하여 운송물(18)을 이송 및 라인변경시키는 벨트 컨베이어(10)에 있어서,
    상기 벤드 풀리(16)사이를 통과하는 리턴벨트(12')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된 슈트(17)로 부터 떨어진 낙광(18')이 텐션풀리(20)와 벨트(12')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광판(32)과 이에 연결되고 벨트(12')에 접촉하는 러버판(34)을 갖춘 집광부(30);와,
    상기 집광부(30)의 하부에 상기 벨트(12')와 접촉하여 구동되고, 다수의 구동 텃치바아(52)를 갖춘 구동부(50); 및,
    상기 구동부 텃치바아(52)의 개별 접촉으로 상기 집광광(32)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하는 타격바아(72)를 갖추어 집광판(32)위의 낙광(18')들을 제거하는 타격부(70);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30)의 집광판(32)은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호형의 베이스(32a)사이에 고정되는 호형의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러버판(34)은 상기 집광판(32)의 우측으로 진행되는 벨트(12')에 접촉하며, 상기 집광판(32)의 우측에 연결판(36)으로서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38)상에 지지판(40)을 개재하여 볼트(42)및 너트(44)로서 수평 고정되는 제 1 러버판(34a);및,
    상기 집광판(32)의 좌측으로 지지판(40)을 개재하여 볼트(42) 및 너트(44) 고정되는 제 2 러버판(3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의 텃치바아(52)는,
    상기 벨트(12')에 접촉하여 구동되는 전,후측 구동롤(54)사이에 연결된 회전축(56)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회전편(58)들에 각각 90도간격으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구동롤(54)이 고정된 회전축(56)은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고정대(F)에 베어링으로 회전토록 커플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70)의 타격바아(72)는,
    상기 텐션풀리(20)의 외곽 양측으로 설치된 고정대(F)에 베어링으로 회전토록 커플링 연결된 회전축(74)에 설치된 다수의 회전편(76)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 (30)의 텃치바아(52)로서 타격되는 제 1 타격바아(72a); 및,
    상기 제 1 타격바아(72a)의 타격시 회전되는 회전편(76)으로서 이동하여 상기 집광판(32)의 저부를 순차로 타격토록 회전편(76)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타격바아(72b); 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타격바아(72a)에는 텐션풀리(20)의 폭방향으로 고정대(F)에 고정된 지지판(78)에 고정되는 스프링(8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KR1020010073946A 2001-11-26 2001-11-26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KR10078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46A KR100782728B1 (ko) 2001-11-26 2001-11-26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46A KR100782728B1 (ko) 2001-11-26 2001-11-26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991A true KR20030042991A (ko) 2003-06-02
KR100782728B1 KR100782728B1 (ko) 2007-12-05

Family

ID=295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946A KR100782728B1 (ko) 2001-11-26 2001-11-26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7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350B1 (ko) * 2008-11-18 2011-01-04 비경시스템주식회사 적외선 감지기
KR101399858B1 (ko) * 2012-11-28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424430B1 (ko) * 2012-10-29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IT201900002653A1 (it) 2019-02-25 2020-08-25 Cefla Soc Cooperativa Apparato e metodo per l’essiccazione/polimerizzazione di prodotti chimic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01B1 (ko) 2009-01-28 2011-07-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텐션용 웨이트 구조체
KR101553151B1 (ko) 2014-03-27 2015-09-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36018Y1 (ko) * 1968-10-31 1971-12-11
JPS5549600Y2 (ko) * 1975-12-25 1980-11-18
JPS5715855Y2 (ko) * 1976-10-14 1982-04-02
JPH0246722U (ko) * 1988-09-26 1990-03-30
JP3360392B2 (ja) * 1994-01-17 2002-12-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付着荷剥離装置
JPH11349125A (ja) * 1998-06-05 1999-12-21 Kawasaki Steel Corp 横桟付きベルトコンベヤの付着物除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350B1 (ko) * 2008-11-18 2011-01-04 비경시스템주식회사 적외선 감지기
KR101424430B1 (ko) * 2012-10-29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99858B1 (ko) * 2012-11-28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IT201900002653A1 (it) 2019-02-25 2020-08-25 Cefla Soc Cooperativa Apparato e metodo per l’essiccazione/polimerizzazione di prodotti chimici
WO2020174352A1 (en) 2019-02-25 2020-09-03 Cefla Societa' Cooperativa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rying/curing of chemical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728B1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JP5321978B2 (ja) 連続式のコンベア式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
CA1289907C (en) Stripper device for a conveyor belt
CN208916158U (zh) 一种通风自清式输送带
KR10078272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 낙광 제거장치
US20110297591A1 (en) Conveyor system for separating mixed recycled materials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01221144B1 (ko) 브랜딩라인의 컨베이어 벨트 표면 브러쉬 회전장치
KR20100087470A (ko) 벨트 텐션용 웨이트 구조체
CN109018925A (zh) 一种通风自清式输送带
KR100798067B1 (ko)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낙광 자동 수거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75307B1 (ko) 리크레이머 장비의 동결광 처리장치
KR101299869B1 (ko)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풀리 샤프트 절손 방지장치
KR200431392Y1 (ko) 선별기용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청소날
JP5704128B2 (ja) 搬送前処理装置
KR100623357B1 (ko) 벨트 컨베이어 미세분진 제거장치
JP2676316B2 (ja) 氷の垂直搬送装置
KR200216723Y1 (ko) 철광석 또는 원료탄의 철편 및 고결광 제거장치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20030034897A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KR100878626B1 (ko) 벨트사행에 따른 벨트 편중 방지장치
KR200393299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S6384874A (ja) シヨツトプラスト装置
KR20110060007A (ko) 부착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