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087A -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087A
KR20030042087A KR1020010072599A KR20010072599A KR20030042087A KR 20030042087 A KR20030042087 A KR 20030042087A KR 1020010072599 A KR1020010072599 A KR 1020010072599A KR 20010072599 A KR20010072599 A KR 20010072599A KR 20030042087 A KR20030042087 A KR 2003004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filter cloth
intake chamber
discharg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178B1 (ko
Inventor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씨
Priority to KR10-2001-007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는 흄, 미스트 등으로 오염된 가스를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에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장치로서 흡착효율을 결정하는 균일한 흡착제의 도포와 도포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흡착제 재분산장치, 흡착제의 비산속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 및 탈 도포시 오염된 흡착제를 하우징 하부의 호퍼로부터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한 진동기를 설치하며 하부 개폐장치도 게이트밸브를 설치하여 탈 도포물의 배출시 걸림이 없도록 하고 도포효율의 향상과 도포시간의 단축, 탈 도포물의 배출문제 해결 등으로 오염가스 흡착효율의 상승 및 운전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Die-hume package system equipped with difussing apparatus of absorbent}
본 발명은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효율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흡착제 도포방법 및 탈 도포단계에 대한 운전방법과 장치에 대한 기슬이다.
도1은 종래의 여과포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외부로부터 밀폐된 원통형 또는 장방형의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를 하부의 흡기실(1a)과 상부의 배기실(1b)로 구분하는 격벽(1c)과, 상기 흡기실(1a) 내부로 유해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흡기실(1a)의 측면에 설치된 흡기구(1d)와, 상기 격벽(1c)에 현수되고 상기 흡기실(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 배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포(1e)와, 상기 여과포(1e)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된 세정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실(1b)에 설치된 배기구(1f)와, 상기 여과포(1e)의 외표면에 도포할 도포제를 상기 흡기실(1a)에 공급하는 도포제 분사구(1g)와, 상기 여과포(1e)의 표면에 부착된 포집물을 제거하는 포집물 제거수단(2)과, 상기 흡기실(1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유해가스 및 기타 분진 등의 포집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포집물 배출수단(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집물 제거수단(2)은 상기 배기실(1b)의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배기실(1b) 내부의 상기 여과포(1e)의 상부까지 연장설치되는 압축공기 도관(2a)과, 상기 압축공기 도관(2a)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포(1e)의 중심선상의 위치에 각각 노즐(2b)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 도관(2a)의 배기실(1b)의 벽면에 고정된 일단에는 펄스에어의 공급원인 공기압축기(2c)와 펄스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펄스밸브(2d)가 설치된다. 상기 포집물 배출수단(3)은 상기 흡기실(1a)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흡기실(1a)의 배출부(1h)에 포집된 포집물을 로타리밸브(31)에 의하여 배출한다.
이러한 종래의 여과포 집진장치는 비중이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난 유사 규조토를 여과포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분진을 제거 했으며, 여과포에 도포되지 못한 코팅제가 흡기실의 배출부에 낙하됨으로 인하여 유해가스와 반응되지도 않은 즉, 유해가스를 포집하는데 사용되지도 않은 코팅제를 유해 배기가스 및 기타 분진 등의 포집물과 함께 배출하여 폐기처리함으로써 많은 코팅제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포집물의 배출시 로타리밸브의 경우 배출부에서 체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흡기실의 경사면에 쌓인 포집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오염가스라 함은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분진, 미스트, 흄, 유해가스 그리고 두 물질 이상이 혼합된 혼합가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오염가스의 제거방법 또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분진은 여과(Filter)에 의한 장치, 흄과 미스트 등 습도가 높은 오염가스의 정화에는 세정흡수에 의한 장치, 불용성 가스 등은 흡착에 의한 장치 등이 사용되어 왔다. 분진이 포함된 혼합가스의 경우 1차 여과에 의한 장치에 습도 또는 점도가 높은 분진이 유입될 경우 여과포에 눈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압력손실로 인하여 배기상태가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수분 및 흄이 여과포에 부착되기 전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여과포에 흡착제를 도포하여 수분 및 흄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흡착제의 도포상태 즉, 여과포 외표면에의 전면도포와 도포두께의 균일성이 흡착 제거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기실 하부에 흡착제 분사구를 설치하여 흡착제를 흡기실에 산포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외부간에 차압을 발생시켜 여과포에 수분 및 흄 제거를 위한 흡착제를 도포하며, 흡기실의 하부에 흡착제 분산기를 설치하여 산포작업 후 여과포에 도포되지 않고 흡기실의 배출부에 낙하한 흡착제를 재차 산포시켜 여과포에 도포하며, 흡기실의 하부에 에어노커, 바이브레이터 등의 진동기를 설치하여 흡기실의 경사부에 쌓인 포집물을 배출부에 흘려 내리고 게이트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부에 포집물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여과포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도포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포집물 탈 도포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도관 흐름 및 연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1a. 흡기실
1b. 배기실 1c. 격벽
1d. 흡기구 1e. 여과포
1f. 배기구 1g. 코팅제 분사구
1h. 배출부 2. 포집물 제거수단
2d. 펄스밸브 3. 포집물 배출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를 하부의 흡기실(1a)과 상부의 배기실(1b)로 구분하는 격벽(1c)과, 상기 흡기실(1a) 내부로 유해 배기가스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흡기실(1a)의 측면에 설치된 흡기구(1d)와, 상기격벽(1c)에 현수되고 상기 흡기실(1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해 배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포(1e)와, 상기 여과포(1e)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세정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실(1b)에 설치된 배기구(1f)와, 상기 여과포(1e)에 부착된 유해 배기가스를 제거한 포집물 제거수단(2)과, 상기 흡기실(1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포집된 폐흡착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집물 배출수단(3)을 포함하는 여과포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1e)에 흡착제를 도포하여 흄, 미스트 등의 오염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흡착제 분사구(1k)와, 흡착제의 산포작업 후 여과포(1e)에 도포되지 않고 흡기실(1a)의 배출부(1h)에 낙하한 흡착제를 재차 산포시키는 흡착제 분산장치(4)와, 상기 흡기실(1a)의 경사부에 쌓인 포집물을 상기 배출부(1h)에 흘려 내리는 진동기(5)와, 포집물이 상기 배출부(1h)에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게이트밸브(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도포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포집물 탈 도포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제 분산장치(4)는 풍량조절밸브(4a)와 자동밸브(4b), 분산기 도관(4c), 흡착제 분산기(4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제 분산기(4d)는 상기 흡기실(1a)의 하단부의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부(1h) 근처까지 연장 설치된 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h)측의 개구부(4e)가 하방을 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착제 분산기(4d)의 흡기실(1a)의 벽면에 설치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자동밸브(4b)가 개폐를 반복하여 외부공기가 하우징(1)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분산기 도관(4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기실(1a)의 경사벽면에는 에어노커, 바이브레이터 등의 진동기(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여과포(1e)에 도포되지 않고 상기 배출부(1h)에 낙하한 흡착제를 재분산시켜 도포하는 흡착제 분산장치(4)에 의한 재도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흡착제 분사구(1k)에서 분사된 흡착제가 상기 여과포(1e)에 도포되지 못한 것은 낙하되어 상기 배출부(1h)에 쌓이게 된다. 상기 배출부(1h)에 쌓인 흡착제를 상기 풍량조절밸브(4a)와 흡기송풍기(미도시)에 의해 발생된 하우징(1) 내외부간의 차압에 의해 상기 자동밸브(4b)에 의해 공급하게 되면 상기 배출부(1h)에 쌓인 흡착제는 상기 흡기실(1a)에 분산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구(1f)에서 차압을 작용시키면 낙하된 흡착제는 상기 차압에 의해 배기구(1f)를 향한 흐름, 즉 상승류를 형성한다. 따라서 흡착제는 상기 여과포(1e)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가면서 여과포(1e)에 도포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기(5)는 상기 여과포(1e)에 부착된 포집물을 털어 냄과 동시에 작동시키면 상기 흡기실(1a)의 경사면에 쌓인 포집물이 상기 배출부(1h)로 흘러 내리게 되어 상기 흡기실(1a)의 내부가 깨끗하게 됨으로써 흡착제의 재 도포단계에서 배출부(1h)에 낙하된 도포제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의 도관 흐름 및 연계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된 오염가스는 하우징(13a)(13b)의 외부에 설치되고 배기덕트(17a)(17b)상에 설치된 배기송풍기(15a)(15b)의 차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13a)(13b)의 측면 하부에 설치된 흡기구(10a)(10b)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3a)(13b)으로 유입된다. 오염가스는 상기 흡기구(10a)(10b)에 설치된 흡입댐퍼(11a)(11b)에서 흡입량이 조정되어 상기 하우징(13a)(13b)으로 유입되며 전배기댐퍼(14a)(14b)에 의해 상기 하우징(13a)(13b)의 내외부간의 차압을 조정하며 후배기댐퍼(16a)(16b)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17a)(17b)로 배출되는 세정가스의 배기압이 조정되어 대기 또는 타 집진장치로 방출된다.
한편, 흡착제 저장사일로(20)로부터 정량 공급된 흡착제는 외기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함께 흡착제 이동관(22)을 거쳐 상기 하우징(13a)(13b)에 유입된다. 상기 흡착제 이동관(22)에는 흡착제 유입댐퍼(23a)(23b)를 설치하여 흡착제의 소요량을 재조정하여 상기 하우징(13a)(13b)내로 투입하며 잔여 흡착제는 사일로 배기덕트(25)를 돌아 상기 흡착제 저장사일로(20)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사일로 배기덕트(25)상에는 외기유입댐퍼(24)가 설치되어 회수 흡착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3a)(13b) 내의 여과포에 도포되지 못하고 배출부에 낙하된 흡착제를 압축공기 유입댐퍼(27)로부터 압축공기량을 조정하여 흡착제분산기(4d)에 공급함으로써 흡착제를 재분산시키는 것이다.
또한, 포집물을 털어 냄과 동시에 진동기(28a)(28b)를 작동시키고 게이트밸브((19a)(19b)를 열면 상기 하우징(13a)(13b) 하부의 경사면에 포집물이 쌓이지 않고 흘러 내려 포집물 회수자루(18a)(18b)에 회수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는 여과포에 도포하기 위하여 도포된 흡착제가 상기 여과포에 도포되지 못하고 배출부에 낙하된 흡착제를 재분산하여 도포시킴으로써 흡착제의 손실을 줄여 상기 장치의 운전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와 도포시 흡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춤으로써 여과포의 전면에 걸쳐 흡착제가 고르게 흡착되고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여 효율을 향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기는 흡기실의 경사면에 쌓인 포집물을 배출시 작용시킴으로써 흡기실 내부를 깨끗하게 하여 도포작업시 낙하한 흡착제가 이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하고 탈 도포시 포집된 포집물이 기존의 로타리밸브의 경우 체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게이트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배출부에서의 배출효율을 향상시켜전반적인 운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여과포 집진장치에 있어서, 흡착제 분사구(1k)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포(1e)에 흡착제를 도포하여 오염가스를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기실(1a) 하단부의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부(1h) 근처까지 연장 설치된 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h)측의 개구부(4e)가 하방을 향하게 설치된 흡착제 분산기(4d)와 개폐를 반복하여 외부공기가 하우징(1)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도록 하는 자동밸브(4b)와 상기 흡착제 분산기(4d)의 벽면에 설치된 일단과 상기 자동밸브(4b)를 연결하는 분산기 도관(4c)으로 구성된 흡착제 분산장치(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실(1a)의 경사벽면에 진동기(5)를 설치하여 상기 흡기실(1a)의 경사면에 쌓인 포집물을 상기 배출부(1h)로 흘려 내려 상기 흡기실(1a)의 내부벽면을 깨끗하게 유지함으로써 흡착제의 재 도포단계에서 상기 배출부(1h)에 낙하된 도포제가 포집물과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실(1a)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출부(1h)에 게이트밸브(3a)를 설치하여 포집물의 배출시 정체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KR10-2001-0072599A 2001-11-21 2001-11-21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KR10044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599A KR100446178B1 (ko) 2001-11-21 2001-11-21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599A KR100446178B1 (ko) 2001-11-21 2001-11-21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087A true KR20030042087A (ko) 2003-05-28
KR100446178B1 KR100446178B1 (ko) 2004-08-30

Family

ID=2957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599A KR100446178B1 (ko) 2001-11-21 2001-11-21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26B1 (ko) * 2002-05-01 2005-07-08 김조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452B2 (ja) * 1997-09-17 2002-10-21 理熱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
JP3725763B2 (ja) * 1999-11-26 2005-12-14 日本碍子株式会社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JP3423265B2 (ja) * 2000-01-17 2003-07-07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 プレコート式のバグフィルタ装置における薬剤噴射・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26B1 (ko) * 2002-05-01 2005-07-08 김조천 진공압력을 이용한 대기중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시료 자동 포집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178B1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770B1 (ko) 습식 미스트 엘리미네이터가 부착된 건식 공기정화장치
KR100855012B1 (ko)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
CN1021019C (zh) 过滤装置
KR20050063592A (ko) 공기청정기
CN102350147B (zh) 一种一体化的吸附除尘装置
KR20060103811A (ko) 소취 장치 및 소취 방법
CN110354601B (zh) 一种工业空气污染物的治理方法
KR100446178B1 (ko)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KR200388724Y1 (ko) 공기정화기
KR200273282Y1 (ko)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JPH07328367A (ja) 集塵装置
KR102560591B1 (ko) 공기정화장치
KR20090078997A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에어펄스 타입 집진기
CN211217121U (zh) 一种除尘效率高的除尘设备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200326104Y1 (ko) 습식 미스트 엘리미네이터가 부착된 건식 공기정화장치
JPH08257336A (ja) 空気清浄装置
JPH0160290B2 (ko)
KR102392478B1 (ko) 유해대기오염물질 포집 및 제거효율이 향상된 아스콘 상차시스템
KR20020097444A (ko) 습식 집진 장치
CN212039625U (zh) 一种用于中央吸尘废气活性炭过滤装置
RU220240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ого воздуха
CN217015978U (zh) 一种风管排烟吸附结构
CN216855994U (zh) 处理含油VOCs气体的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