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7Y1 -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 Google Patents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7Y1
KR200300417Y1 KR20-2002-0026769U KR20020026769U KR200300417Y1 KR 200300417 Y1 KR200300417 Y1 KR 200300417Y1 KR 20020026769 U KR20020026769 U KR 20020026769U KR 200300417 Y1 KR200300417 Y1 KR 200300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n
reel
operator
blind
out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아산업
Priority to KR20-2002-0026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 채광 또는 가시를 위해 설치되는 창문, 예를 들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승강견인자는 단부에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종승강견인자의 어느 일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그 축핀 길이보다는 적은 너비를 갖고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릴; 및 상기 축핀의 높이이내에서 상부측은 개방되고 그 이외 면은 축핀과 병행하며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가로막게 설치되는 폐쇄벽을 가지며, 축핀에 교차되고 폐쇄벽들 일측 단부 전면을 가로막는 폐쇄면을 갖춘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커버가 상기 축핀의 머리부를 억지끼움식으로 통과하여 상기 견인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둘러쌓아 제2작동사가 상기 견인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절첩/전개동작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Retractor for opening/closing blind of duplex window}
본 고안은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 유리창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라인드를 펼쳐내리고 걷어올리는 승강자에서 작동사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결합되도록한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자에 관한 것이다.
이중 유리창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이중 유리창은 대략 한쌍의 내.외측유리판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내.외측유리판재 사이의 변두리에 돌아가며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개자를 개재하여 내,외측유리판재들이 적당한 유격으로 배치되게한 후, 개자와 각 내.외측유리판재들의 사이를 실리콘등의 마감재로 밀폐되게하여서 내.외측유리판재들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서 단열 및 방음성을 얻을 수 있도록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 유리창은 통상 건축물의 외측 벽에 설치되어 채광효과 또는 가시를 기대하거나 방음을 요하는 실내 벽 또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격리벽이나 도어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방음효과를 얻게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중 유리창들이 설치되는 건축물은 직사광선이 그대로 채광되는 것으로, 때로는 이 채광을 차단하는 다시설명하면, 창에 천을 이용한 커튼이나 다수의 블래이드들을 작동사를 이용해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들 블래이드들을 펼쳤다 접었다하며 채광과 차광을 이루게하는 수평 및 수직형의 블라인드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채광을 선택적으로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채광을 차단하는 커튼이나 블라인드는 주로 창에 인접한 건축물의 실내 천정측에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절첩.전개하면서 채광과 차광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창의 채광을 차단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차광물은 통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건축물의 창 인접한 실내 천정측에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광물은 실내로 노출되어 관리는 물론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특히 내구성이 취약한 블라인드의 경우 외력에 의해 쉬웁게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 차광물 중 수평형의 블라인드 경우 이중 유리창에 내장형으로 설치되게 하여서 관리성과 외관성을 향상시키게 하고 있다. 이렇게 이중 유리창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작동은 전동식 또는 자석을 이용해 동력전달을 간접적으로 이루어 소기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이루게하고 있는데, 여기서, 자석을 이용한 블라인드 구동방식은 유리창의 프레임 내,외측에 주,종승강 견인자를 설치하고 이들 견인자의 승강구동력을 작동사에 전달하여 블라인드의 절첩/전개를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블라인드의 절첩/전개를 이루게하는 작동사가 제품의 운반 및 보관시 승강자로부터 이탈하는 예가 빈번히 발생하는 더 상세하게는 제2작동사는 견인릴에 걸어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견인릴의 일측을 자유단 즉, 견인릴의 일측을 이용해 제2작동사를 간단히 걸거나 풀어 낼 수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그 견인릴의 자유단측으로 작동사가 쉬웁게 이탈할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작동사의 이탈은 이중 유리창의 작동이 안정되지 못하고 밀폐형 이중 유리창에 치명적인 고장요인을 주어 폐기처분하여야 하는등 사용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블라인드의 절첩/전개를 위해 설치되는 승강자의 견일롤 주위를 커버로 복개하므로서, 작동사가 이탈되지 않도록한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실내 채광 또는 가시를 위해 설치되는 창문, 예를 들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승강견인자는 단부에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종승강견인자의 어느 일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축핀과; 상기 축핀에 그 축핀 길이보다는 적은 너비를 갖고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릴; 및 상기 축핀의 높이이내에서 상부측은 개방되고 그 이외 면은 축핀과 병행하며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가로막게 설치되는 폐쇄벽을 가지며, 축핀에 교차되고 폐쇄벽들 일측 단부 전면을 가로막는 폐쇄면을 갖춘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커버가 상기 축핀의 머리부를 억지끼움식으로 통과하여 상기 견인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둘러쌓아 제2작동사가 상기 견인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절첩/전개동작을 이루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승강자가 적용되는 이중 유리창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는 도 1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로서 건축물의 창틀에 설치된 모습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 승강자를 분해하여 보여 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내측유리판재 12 :외측유리판재
20 :채광제어수단 30 :절첩/전개수단
32 :종승강견인자 60 :커버
40 :블라인드 50 :창틀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유리창의 정면도를 보이고 있다. 본 고안 이중 유리창은 한쌍의 내측유리판재(10)와 외측유리판재(12)와, 이들 내.외측유리판재들(10,12) 사이의 변두리에 돌아가며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개자(14)로 내.외측유리판재들(10,112)이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되게한 후, 개자(14)와 각 내.외측유리판재들(10,12)의 사이를 실리콘등의 마감재(16)로 밀폐되게하여서 내.외측유리판재들의 사이에 밀폐된공간(16)이 형성되게 하여서 단열 및 방음성을 얻을 수 있도록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구성된 이중 유리창에 블라인드를 내장형으로 설치하고 이중 유리창 외측에서 블라인드의 절첩/전개 조작 즉, 블라인드를 걷어올리거나 또는 펼쳐내리도록하는 승강자의 견일롤로부터 작동사가 이탈되지 않도록한 구조를 갖게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중 유리창의 내측유리판재(10) 상변에 채광제어수단(20)과 어느 하나의 측변에 절첩/전개수단(30)을 갖추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장형으로 설치되는 블라인드(40)의 채광조절 또는 절첩과 펼침을 간접적인 동력전달체계로 자유로이 제어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다. 여기서, 채광제어수단(20)은 블래이드(42)의 각도조절에 의해 채광량을 조절하게 되고 절첩/전개수단(30)은 블라인드(40)를 걷어올리거나 펼쳐내림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 이중 유리창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보이고 있다. 먼저 블라인드(40)는 통상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래이드(42)와, 이들 블래이드(42)들이 수평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하고 좌우측의 승강에 의해 경사도가 조절되며 채광을 제어토록하는 적어도 2이상의 제1작동사(44), 그리고 블래이드들(42)의 최하부로 부터 최상단으로 관통 설치되어 블래이드들(42)를 접었다 펼치는 제2작동사(46)를 동일선상에서 중첩적으로 가지며, 최하단에는 블라인드(40)의 전개시 원할한 펼침을 위한 무게추(48)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블라이드(40)를 내.외측유리판재들(10,12)의 사이에서 제공되는 공간(16)에내장형으로 설치하고 이후에 설명할 채광제어수단(20)과 절첩/전개수단(30)들에 의해 조작되게한다.
채광제어수단(20)은 내,외측유리판재들(10,12)의 변두리에 개재되는 개자(14) 중 상변이 개자(14) 하부에 끼워맞춤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채널형의 제1하우징(18a)과 내측유리판재(10)의 외면에 걸쳐 격리 설치되는데, 더 상세하게는 제1하우징(18a)에 블래이드(42)와 병행하게 설치되어 제1작동사들(44)이 각기 걸쳐지는 구동릴(22)과 소정 길이의 헤리컬기어(24)를 갖는 구동축(26)을 축수대(27)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헤리컬기어(24)에는 헤리컬기어(24)가 수용되어 치합되고 그 헤리컬기어(24)의 몸통을 타고 좌우로 이동하는 종가동자(21)를 설치하여서 종가동자(21)의 좌우이동력(직선운동)이 헤리컬기어(24)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이후에 설명할 블래이드(42)의 각도조절을 이루게할 것이다. 그리고 내측유리판재(10)의 외면에는 종가동자(21) 행정구간에 그 종가동자(21) 행정구간의 길이를 가지고 별개로 부착되는 안내대(23)를 설치하고 이 안내대(23)에 주가동자(25)가 활주되게 하였다.
그리고 주가동자(25)와 종가동자(21) 각각의 상호 대향면에는 영구자석들(29)을 갖추어서 내측유리판재(10)를 중앙에 두고 외측으로 설치되는 주가동자(25)의 좌우이동력이 내측의 종가동자(21)에 자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되게한 것으로서, 그러한 구성은 이중 유리창의 특성인 밀폐성 유지를 위한 것이다.
절첩/전개수단(30)은 도 3에서와 같이 내,외측유리판재들(10,12)의 변두리에 개재되는 개자(14) 중 어느 하나의 측변 개자(14)에 끼워맞춤 조립식으로 결합되는채널형의 제2하우징(18b)과 내측유리판재(10)의 외면에 걸쳐 격리 설치되는데, 더 상세하게는 제2하우징(18b)에서 그 전장길이에 걸쳐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종승강견인자(32)와 내측유리판재(10)의 외면에서 종승강견인자(32)와 협동하는 주승강자(34)로 구성된다.
종승강견인자(32)는 블라인드(40)의 제2작동사(46) 즉, 제1하우징(18a)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포스트롤들과 개자들(14)이 서로 맞대어지는 모서리에서 인접한 개자(14)측과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17)에 갖추어진 가이드롤(17a)들에 걸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작동사(46)가 걸어지는 릴(31)를 갖추고 있다. 이때 릴(31)은 종승강견인자(32)로부터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축핀(31a)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2작동사들(46)이 블래이드들(42)을 접어드리거나 펼치는 동작이 원할히 이루도록하였다.
또 주승강자(34)와 종승강견인자(32) 각각의 상호 대향면에는 영구자석들(36)을 갖추어서 내측유리판재(10)를 중앙에 두고 외측으로 설치되는 주승강자(34)의 상하 승강이동력이 내측 종승강견인자(32)에 자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블라인드(40)의 절첩/전개동작을 이루게 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구성된 종승강견인자(32)의 견일릴(31)에 감겨지는 제2작동사(32)가 릴(31)로부터 쉬웁게 벗어나 이탈하는 다시설명하면, 운반 및 보관시 이중 유리창이 거꾸로 세워지는 경우에서 펼쳐져 있던 블라인드(40)가 급작하게 절첩되면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2작동사(46)가 느스근해지면서 종승강견인자(32)의 견일릴(31)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 과제해결을 위해 릴(31)의 주위에 제2작동사 이탈방지구조를 부가적으로 갖춘 것이다.
도 4는 이탈방지구조에 대해 상세히 보이고 있다. 즉 종승강견인자(32) 릴(31)의 축핀(31a)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설치되는 커버(60)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60)는 대략 상면과 내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갖는데, 더 상세하게는 축핀(31a)의 높이이내에서 제2작동사(46)가 진출되는 상부측은 개방되고 그 이외 3면은 축핀(31a)과 병행하게 설치되는 폐쇄벽(62)을 가지며, 축핀(31a)에 교차되고 폐쇄벽들(62) 일측 단부 전면을 가로막는 폐쇄면(64)을 갖추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커버(60)는 폐쇄면(64) 적당한 위치에 갖춘 관통공(66)을 이용해 축핀(31a)에 억지끼워맞춤 결합되는데, 여기서, 축핀(31a)은 커버(60)의 끼워맞춤식의 결합을 위해 그 외경이 수축.복원되도록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례로 축핀(31a)의 몸체 중앙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 자체 재질(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의 탄성에 의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케 하였다.
그리고 커버(60)는 축핀(31a)의 단부에 갖춘 화살촉형상의 머리부(31b)와 릴(31)의 사이에서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이중 유리창 설치를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창틀이다
그러면 본 고안 이중 유리창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채광제어는 채광제어수단(20)의 주가동자(25)를 관리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내측유리판재(10)내의 종가동자(21)가 영구자석들(29)의 자력에 의해 그 이동력이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종가동자(21)의 좌,우이동력은 헤리컬기어(24)를 통해 변환되어 구동축(26)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구동하는 구동축(26)의 정.역회전으로 구동릴(22)이 따라 정,역구동하면서 제1작동사(44) 양측을 상반적으로 올리고 내리면서 블래이드(42)의 경사도가 조절되어 목적하는 채광제어를 이루게 된다.
또 블라인드(40)의 절첩/ 전개는 절첩/전개수단(30)의 주승강자(34)를 관리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이에 따라 내측유리판재(10)내의 종승강견인자(32)가 영구자석들(36)의 자력에 의해 그 이동력이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승강하게 되고, 이러한 종승강견인자(32)의 승강력은 제2작동사(46)를 끌어올리거나 풀어내어 블래이드들(42)을 접어올리거나 펼쳐내리게 된다.
그리고 종승강견인자(32)의 릴(31)에는 그 주위를 복개하는 커버(60)을 갖추어서 릴(31)에 걸어지는 제2작동사(46)가 릴(31)로 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하였다.
본 고안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종승강견인자의 견인릴 주위를 착탈이 가능한 커버로 복개하여 견인릴로부터 제2작동사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종래 작동사가 견인릴로부 이탈되어 폐기처분하여야 하는등의 문제점을 완전 제거하여서 블라인드의 작동이 안정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한쌍의 내.외측유리판재를 가지며, 이들 내.외측유리판재 사이의 변두리에 돌아가며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개자를 개재하여 내,외측유리판재들이 적당한 유격으로 배치되게한 후, 개자와 각 내.외측유리판재들의 사이를 실리콘등의 마감재로 밀폐되게하여서 내.외측유리판재들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후 그 공간에 다수의 블래이드와, 이 블래이드들이 수평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하고 조작에 의해 경사도가 조절되며 채광을 제어토록하는 적어도 2이상의 제1작동사와, 상기 블래이드들의 최하부에서부터 최상부측 전장길이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2이상의 제2작동사들을 영구자석을 이용한 간접구동방식의 채광제어수단과 주.종승강견인자로 이루어지는 절첩/전개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블라인드를 내장형으로 갖추어서된 이중 유리창으로서,
    단부에 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종승강견인자의 어느 일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축핀;
    상기 축핀에 그 축핀 길이보다는 적은 너비를 갖고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릴; 및
    상기 축핀의 높이이내에서 상부측은 개방되고 그 이외 면은 축핀과 병행하며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가로막게 설치되는 폐쇄벽을 가지며, 축핀에 교차되고 폐쇄벽들 일측 단부 전면을 가로막는 폐쇄면을 갖춘 커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커버가 상기 축핀의 머리부를 억지끼움식으로 통과하여 상기견인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릴의 주위를 둘러쌓아 제2작동사가 상기 견인릴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KR20-2002-0026769U 2002-09-06 2002-09-06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KR200300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769U KR200300417Y1 (ko) 2002-09-06 2002-09-06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769U KR200300417Y1 (ko) 2002-09-06 2002-09-06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7Y1 true KR200300417Y1 (ko) 2003-01-14

Family

ID=4932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769U KR200300417Y1 (ko) 2002-09-06 2002-09-06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833A (zh) * 2019-07-23 2019-10-01 宁波市广和洁具有限公司 一种快连机构及淋浴房门框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833A (zh) * 2019-07-23 2019-10-01 宁波市广和洁具有限公司 一种快连机构及淋浴房门框边
CN110295833B (zh) * 2019-07-23 2024-03-26 宁波市广和洁具有限公司 一种快连机构及淋浴房门框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185B2 (en) Sliding operator for between the glass window coverings
US4649981A (en) Edge seal for fabric covers
US7174941B2 (en) One-way drive for window coverings
US20060169418A1 (en) Window covering leveling method
EP239519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light
US20060130980A1 (en) Window covering leveling mechanism
CN107420011B (zh) 一种风力自适应百叶窗
ITPD20110055A1 (it) Schermo avvolgibile
US202201363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EP1088146B1 (en) Insulating glazing unit provided with a blind
KR200300417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20200129542A (ko) 다기능 블라인드 장치
KR200287075Y1 (ko) 이중 유리창
KR200300416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안내장치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102156636B1 (ko)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
JPS623520Y2 (ko)
EP4006295A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roof window, and roof window comprising such a screening arrangement
CZ283889B6 (cs) Zařízení pro zamezení pronikání hmyzu oknem
JPH04460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