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428A -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428A
KR20030041428A KR1020010072218A KR20010072218A KR20030041428A KR 20030041428 A KR20030041428 A KR 20030041428A KR 1020010072218 A KR1020010072218 A KR 1020010072218A KR 20010072218 A KR20010072218 A KR 20010072218A KR 20030041428 A KR20030041428 A KR 20030041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electrode means
voltage
input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창훈
Original Assignee
(주)이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텍 filed Critical (주)이젠텍
Priority to KR102001007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428A/ko
Publication of KR2003004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트롤부가 구비된 본체와, 도어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이 형성된 드럼으로 이루어져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전압이 상기 드럼으로 인가되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서 일정폭(t)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설치된 입력전극수단과; 상기 입력전극수단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도통되어서 상기 드럼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변위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 피건조물과 접촉되며 상기 드럼의 내부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 접촉전극수단과; 상기 접촉전극수단으로 상기 드럼에 인가된 전압이 직접 전달됨이 없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의 폭(T)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전촉전극수단과 상기 드럼의 사이에 설치되며 비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수단과; 상기 절연수단에 상기 접촉전극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수단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접촉전극수단으로 인가된 전압이 상기 콘트롤부로 송신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일정폭(t)으로 설치된 출력전극수단과; 상기 출력전극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위된 전압과 상기 입력전극수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부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입력전극수단과 면접촉되는 입력검출부재와 상기출력전극수단과 면접촉되는 출력검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드럼에 입력전극수단과 출력전극수단이 설치되어서 일정전압을 인가하여 드럼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른 변위전압을 검출하여 변위전압과 인가전압의 편차를 콘트롤부가 판단하여 최적의 상태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콤팩트하고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cloth dryer}
본 발명은 온풍을 발생시켜서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콤팩트한 구조로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을 발생시켜서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의류건조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구조는 의류건조기의 핵심기술로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류건조기의 일예로서는 일본국에서 1992년 10월 1일자로 특허공개된 일본국 특개평 4-276300호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 4-276300호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히터에 의한 온풍을 건조실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시켜 피건조의류를 건조시키는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피건조의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냉각용공기의 흡입량을 조정하는 흡입량조정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뉴우로제어(neuro control)하는 것에 의해 상기 흡기량조정수단에 상기 냉각용공기의 흡입량의 조정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검출수단은, 피건조의류의 량을 검출하는 의류량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습한정도를 검출하는 습정도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습도분포를 검출하는 습도분포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온도를 검출하는 의류온도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온도분포를 검출하는 온도분포검출수단과, 건조실로부터 토출되는 온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풍온도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일본국 특개평 4-276300호는 검출수단이 피건조의류의 량을 검출하는 의류량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습한정도를 검출하는 습정도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습도분포를 검출하는 습도분포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온도를 검출하는 의류온도검출수단과, 피건조의류의 온도분포를 검출하는 온도분포검출수단과, 건조실로부터 토출되는 온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풍온도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므로, 피건조의류등의 상태 검출이 풍부한 것에 의해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각용공기의 량의 조정 및 히터의 발열량 조정등을 최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본국 특개평 4-276300호는 검출수단이 의류량검출수단과, 습정도검출수단과, 습도분포검출수단과, 의류온도검출수단과, 온도분포검출수단과, 온풍온도검출수단등과 같이 6개의 검출수단이 구비되므로서 그 구조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다수의 검출수단의 구비로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로 의류의 건조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절연부재 2....수용돌기
3....결합수단 10...본체
15....콘트롤부 16...도어
20...건조실 21...드럼
30...제1덕트수단 31...제1필터링수단
32...피건조물밀착방지부 40...제2덕트수단
41...제2필터링수단 50...제3덕트수단
60...제4덕트수단 61...제습수단
70...제5덕트수단 75...전면케이스부재
100..입력전극수단 101..돌출편
102..결합부재 200..접촉전극수단
201..보강부 203..전달부
300..절연수단 301..보강리브
400..고정부재 500..출력전극수단
501..돌출편 502..결합부재
600..검출수단 601..입력검출부재
602..출력검출부재 603..지지부재
604..탄성부재 605..고정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는, 외관을 형성시키며 콘트롤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이 형성된 드럼으로 이루어져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전압이 상기 드럼으로 인가되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서 일정폭(t)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설치된 입력전극수단과; 상기 입력전극수단을 통해 상기 드럼으로 도통되어서 상기 드럼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변위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 피건조물과 접촉되며 상기 드럼의 내부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 접촉전극수단과; 상기 접촉전극수단으로 상기 드럼에 인가된 전압이 직접 전달됨이 없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의 폭(T)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전촉전극수단과 상기 드럼의 사이에 설치되며 비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수단과; 상기 절연수단에 상기 접촉전극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수단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접촉전극수단으로 인가된 전압이 상기 콘트롤부로 송신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일정폭(t)으로 설치된 출력전극수단과; 상기 출력전극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변위된 전압과 상기 입력전극수단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부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입력전극수단과 면접촉되는 입력검출부재와 상기 출력전극수단과 면접촉되는 출력검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의하면, 드럼에 입력전극수단과 출력전극수단이 설치되어서 일정전압을 인가하여 드럼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른 변위전압을 검출하여 변위전압과 인가전압의 편차를 콘트롤부가 판단하여 최적의 상태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콤팩트하고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부호 10은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로서, 상부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상부케이스(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면케이스(13)와, 상기 측면케이스(13)의 후방부를 밀폐시키는 후면케이스(12)와, 상기 후면케이스(12) 및 상기 측면케이스(13)의 저면에 설치되는 저면케이스(14)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16)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의 건조를 콘트롤하기 위한 콘트롤부(1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실(20)이 구비된 드럼(21)이 회전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드럼(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5)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5)의 축에는 풀리(26)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26)와 상기 드럼(21)에는 상기 모터(25)의 동력으로 상기 드럼(2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25)의 동력을 상기 드럼(21)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24)가 감겨져 있다.
한편, 상기 드럼(21)에는 상기 건조실(20)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일정전압을 인가하여서 전압의 편차로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
즉,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콘트롤부(15)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일정전압이 항상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되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일정폭(t)으로 360도 전주위에 걸쳐서 입력전극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은 상기 드럼(21)으로 일정전압이 인가되도록 180도 간격으로 돌출편(1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돌출편(101)은 결합부재(102)를 매개로 상기 드럼(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21)과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의 사이에는,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돌출편(101)을 통해서만 상기 드럼(21)에 인가되도록 비도전체의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재(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부재(1)에는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이 유동됨이 없이 상기 드럼(21)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수용돌기(2)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럼(21)의 내면에는,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되어서 피건조물을 통과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 피건조물과 접촉되는 접촉전극수단(200)이 18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은 상기 드럼(21)의 건조실(20)에 수용된 피건조물과 접촉되어서 상기 드럼(21)을 도통하여서 피건조물로 전달된 전압이 측정되도록 상기 드럼(21)의 내주면에 18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은, 상기 건조실(20)에 수납된 피건조물을 도통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대체로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2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부(201)와, 상기 접촉부(20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접촉부(201)의 내면에 형성된 보강부(202)와, 상기 보강부(202)가 형성된 상기 접촉부(201)로 인가되는 전압을 후술하는 출력전극수단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접촉부(201)로부터 돌출된 전달부(20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과 상기 드럼(21)의 사이에는,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비도전체로 이루어진 절연수단(3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절연수단(300)은, 비도전체로 재질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폭(T)보다 다소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이 상기 드럼(21)에 설치될 경우 상기 드럼(21)과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 상기 절연수단(300)에는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강리브(30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양측에는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이 보다 견고하게 상기 절연수단(3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비도전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드럼(21)에는 상기 절연수단(300)이 볼트등과 같은 결합수단(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드럼(21)에 고정된 상기 절연수단(300)에 상기 고정부재(400)를 매개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이 설치되므로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은 상기 드럼(21)이 회전되어도 상기 드럼(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콘트롤부(15)로 송신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인가된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전극수단(5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은,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콘트롤부(15)로 전달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일정폭(t)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에는 180도 간격으로 돌출편(501)이 돌출되고, 이 돌출편(501)은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전달부(203)와 결합부재(5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부호 600은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부(15)로신호를 송신하는 검출수단이다.
즉, 상기 검출수단(600)은,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도록 상기 입력전극수단(100)과 항상 면접촉되며 동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입력검출부재(601)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도록 상기 출력전극수단(500)과 항상 면접촉되며 동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출력검출부재(602)와, 상기 출력검출부재(602)와 상기 입력검출부재(60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3)와, 상기 지지부재(603)가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고정부재(605)와, 상기 고정부재(603)에 지지된 상기 지지부재(60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서 상기 입력검출부재(601)가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면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검출부재(602)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면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603)와 상기 고정부재(605)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0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드럼(21)의 후면에는 상기 건조실(20)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통기공(23)이 천공된 후면덮개(22)가 설치되어 상기 드럼(21)과 연동하여서 회전된다.
또 한편,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상기 모터(25)에는 상기 건조실(20)로 온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20)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습공기를 흡입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주송풍수단(2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도어(16)에는 상기 주송풍수단(27)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건조실(20)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습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덕트수단(30)이 상기 도어(16)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수단(30)에는, 상기 건조실(20)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습공기에 함유된 보푸라기등을 필터링시키도록 제1필터링수단(31)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1덕트수단(30)의 상부에는, 상기 건조실(20)에 수납된 피건조물이 상기 제1덕트수단(30)으로 밀착됨이 없이 상기 건조실(20)로 낙하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상기 건조실(20)방향으로 돌출된 피건조물밀착방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제1덕트수단(30)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보푸라기가 제거된 습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제2덕트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2덕트수단(40)에는, 상기 제1덕트수단(30)을 통과한 습공기에 함유된 보푸라기등을 2차적으로 필터링시키기 위한 제2필터링수단(41)이 삽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제2덕트수단(40)을 통과한 습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제3덕트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3덕트수단(50)에는 상기 건조실(20)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건조실(20)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습공기가 상기 제1덕트수단(30) 및 상기 제2덕트수단(40)등으로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모터(25)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송풍수단(27)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덕트수단(50)의 일측에는 상기 제3덕트수단(50)을 통과한 습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제3덕트수단(50)을 통과한 습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시키도록 제습수단(61)이 내재되는 제4덕트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4덕트수단(60)의 하부에는 상기 제습수단(61)에서 습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공기유입덕트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상기 제4덕트수단(60)을 통과한 건조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건조공기를 온풍으로 변환시키도록 히터수단(90)이 내재된 제5덕트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부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밀폐시키는 전면케이스부재(75)가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의류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16)를 열어서 피건조물을 상기 건조실(20)로 수납하고, 피건조물을 상기 건조실(20)에 수납시킨 후에는 상기 도어(16)를 닫아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폐쇄시킨다.
또, 상기 도어(16)를 닫은 후에는 상기 본체(10)의 콘트롤부(15)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으로 피건조물의 건조를 콘트롤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부(15)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모터(25)로 전원이 인가됨과동시에 상기 제5덕트수단(70)에 설치된 상기 히터수단(90)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또, 상기 모터(25)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25)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모터(25)의 동력이 상기 풀리(26) 및 상기 벨트(24)로 전달되어서 상기 드럼(21)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주송풍수단(27)이 회전되어서 상기 주송풍수단(27)에서 흡입력 및 송풍력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송풍수단(27)이 회전되어 송풍력 및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히터수단(90)에 의해 변환된 온풍이 상기 제5덕트수단(70)으로 토출되고, 상기 제5덕크수단(70)으로 토출된 온풍은 상기 건조실(20)에 수납된 피건조물을 통과하게 된다.
또, 상기 건조실(20)에서 피건조물을 통과한 온풍은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여 습공기로 변환되고, 이 습공기는 상기 주송풍수단(27)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덕트수단(3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덕트수단(30)으로 유입되는 습공기에 함유된 보푸라기등은 상기 제1덕트수단(3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1필터링수단(31)에 의해 1차로 필터링된다.
또, 상기 제1덕트수단(30)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필터링수단(31)에 의해 보푸라기가 1차적으로 필터링된 습공기는 상기 제1덕트수단(30)을 통과하여 상기 제2덕트수단(4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2덕트수단(40)에는 상기 제2필터링수단(41)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므로서, 상기 제2덕트수단(40)으로 유입되는 습공기에 함유된 보푸라기는 상기제2필터링수단(41)에 의해 2차적으로 필터링되게 된다.
즉, 상기 건조실(20)을 통과한 습공기에 함유된 보푸라기는 상기 제1덕트수단(3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1필터링수단(31)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되고, 상기 제1필터링수단(31)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은 보푸라기는 상기 제2덕트수단(4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2필터링수단(41)에 의해 2차적으로 필터링되어 상기 제2덕트수단(40)을 통과한 습공기는 보푸라기가 완전하게 제거되게 된다.
또, 상기 제2필터링수단(41)에 의해 2차적으로 보푸라기가 필터링되어 순수한 습공기는 상기 제2덕트수단(40)으로 토출되고, 상기 제2덕트수단(40)을 통과한 습공기는 상기 제3덕트수단(50)로 유입되고, 상기 제3흡입구(52)로 유입된 습공기는 상기 제3덕트수단(50)에 내재된 상기 주송풍수단(27)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제4덕트수단(60)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4덕트수단(60)에는 상기 제습수단(61)이 설치되므로서, 상기 제4덕트수단(60)을 통과한 습공기는 건조공기로 변환되게 된다.
또, 상기 제4덕트수단(60)의 하부에는, 상기 제습수단(61)에서 습공기를 건조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유입덕트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습수단(61)을 통과한 건조공기는 상기 제5덕트수단(70)로 유입된다.
또, 상기 제5덕트수단(70)로 유입된 건조공기는 상기 제5덕트수단(70)에 설치된 히터수단(9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히터수단(90)에 의해 변환된 온풍은 상기 드럼(21)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덮개(22)의 통기공(23)을 통해서 상기 건조실(20)로 유입된다.
또, 상기 건조실(20)로 유입된 온풍은 상기 건조실(20)에 내재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는, 상기 콘트롤부(15)를 온시키면 상기 콘트롤부(15)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검출부재(601)를 통해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일정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입력전달수단(100)의 돌출편(101)을 통해서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되게 된다.
또,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된 전압은 상기 드럼(21)내에 수납된 피건조물을 도통하게 되고, 피건조물을 도통한 전압은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변위된다.
또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변위된 전압은 상기 드럼(2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인가되며,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인가된 전압은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전달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전달된다.
또,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전달된 전압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과 면접촉된 상기 검출수단(600)의 출력검출부재(602)로 전달되게 된다.
즉, 상기 검출수단(600)의 출력검출부재(602)에서는 상기 건조실(20)의 내부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변위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트롤부(15)에서는 상기 입력검출부재(601)로 입력된 전압과 상기 출력검출수단(602)에서 출력된 전압의 편차를 판단하고, 이 편차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드럼(21)의 회전 및 온풍의 세기 그리고 열풍온도 등을 콘트롤하여 피건조물을 최적의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의하면,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을 통해 일정전압을 인가시켜서 상기 건조실(20)의 내부에 수납된 피건조물로 전압을 도통시키고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변위된 전압을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을 통해 검출하여서 인가된 전압과 출력된 전압의 편차로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판단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로 콘트롤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의하면, 드럼에 입력전극수단과 출력전극수단이 설치되어서 일정전압을 인가하여 드럼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른 변위전압을 검출하여 변위전압과 인가전압의 편차를 콘트롤부가 판단하여 최적의 상태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콤팩트하고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시키며 콘트롤부(15)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개폐시키는 도어(16)와, 상기 도어(16)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20)이 형성된 드럼(21)으로 이루어져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트롤부(15)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전압이 상기 드럼(21)으로 인가되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서 일정폭(t)으로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설치된 입력전극수단(100)과;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을 통해 상기 드럼(21)으로 도통되어서 상기 드럼(21)에 수납된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변위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져 피건조물과 접촉되며 상기 드럼(21)의 내부에 180도 간격으로 설치된 접촉전극수단(200)과;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상기 드럼(21)에 인가된 전압이 직접 전달됨이 없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폭(T)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전촉전극수단(200)과 상기 드럼(21)의 사이에 설치되며 비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수단(300)과;
    상기 절연수단(300)에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부재(400)와;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절연수단(300)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으로 인가된 전압이 상기 콘트롤부(15)로 송신되도록 상기 접촉전극수단(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 360도 전주에 걸쳐서 일정폭(t)으로 설치된 출력전극수단(500)과;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부터 출력되는 변위된 전압과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콘트롤부(15)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입력전극수단(100)과 면접촉되는 입력검출부재(601)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과 면접촉되는 출력검출부재(602)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검출수단(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은 상기 드럼(21)으로 일정전압이 인가되도록 180도 간격으로 돌출편(10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돌출편(101)은 결합부재(102)를 매개로 상기 드럼(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은 180도 간격으로 돌출편(501)이 돌출되고, 이 돌출편(501)은 상기 접촉전극수단(200)의 전달부(203)와 결합부재(5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600)은,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도록 상기 입력전극수단(100)과 면접촉되며 동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입력검출부재(601)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도록 상기 출력전극수단(500)과 면접촉되며 동과 같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출력검출부재(602)와,
    상기 출력검출부재(602)와 상기 입력검출부재(60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03)와,
    상기 지지부재(603)가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고정부재(605)와,
    상기 고정부재(603)에 지지된 상기 지지부재(60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서 상기 입력검출부재(601)가 상기 입력전극수단(100)으로 면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검출부재(602)가 상기 출력전극수단(500)으로 면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603)와 상기 고정부재(605)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KR1020010072218A 2001-11-20 2001-11-20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KR20030041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8A KR20030041428A (ko) 2001-11-20 2001-11-20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18A KR20030041428A (ko) 2001-11-20 2001-11-20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38U Division KR200264786Y1 (ko) 2001-11-20 2001-11-20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28A true KR20030041428A (ko) 2003-05-27

Family

ID=2957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18A KR20030041428A (ko) 2001-11-20 2001-11-20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42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07B1 (ko) * 2004-08-26 2007-05-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WO2018202546A1 (en) 2017-05-05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Carrier for detecting dryness and washer/dryer wherein the carrier is used
WO2018202587A1 (en) 2017-05-04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enabling detecting dryness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8202592A1 (en) 2017-05-05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carrier for detecting dryness, a charging unit suitable for the carrier and a washer/dryer wherein the carrier is used
WO2018224268A1 (en) 2017-06-09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suitable for use with a washer-dryer
WO2018224336A1 (en) 2017-06-09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8224267A1 (en) 2017-06-08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9037992A1 (en) 2017-08-25 2019-02-28 Arcelik Anonim Sirketi SICCITY DETECTION BRACKET AND WASHING MACHINE / DRYER OPERATING IN INTERACTION WITH SAID SUPPORT
WO2019037986A1 (en) 2017-08-24 2019-02-28 Arcelik Anonim Sirketi WASHING MACHINE / DRYER COMPRISING A SUPPORT
WO2019219363A1 (en) 2018-05-17 2019-11-21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in which dryness of the laundry items is effectively detecte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977U (ko) * 1973-08-17 1975-05-02
JPS5092549A (ko) * 1973-12-21 1975-07-24
JPS5660341A (en) * 1979-10-23 1981-05-25 Toshiba Corp Detector for drying rate of drier
JPS5682546U (ko) * 1979-11-16 1981-07-03
JPH05253397A (ja) * 1992-03-16 1993-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KR940006248A (ko) * 1992-07-08 1994-03-23 아이자와 스스무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852299A (ja) * 1994-08-10 1996-02-27 Tokyo Gas Co Ltd 衣類乾燥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977U (ko) * 1973-08-17 1975-05-02
JPS5092549A (ko) * 1973-12-21 1975-07-24
JPS5660341A (en) * 1979-10-23 1981-05-25 Toshiba Corp Detector for drying rate of drier
JPS5682546U (ko) * 1979-11-16 1981-07-03
JPH05253397A (ja) * 1992-03-16 1993-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KR940006248A (ko) * 1992-07-08 1994-03-23 아이자와 스스무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852299A (ja) * 1994-08-10 1996-02-27 Tokyo Gas Co Ltd 衣類乾燥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107B1 (ko) * 2004-08-26 2007-05-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
WO2018202587A1 (en) 2017-05-04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enabling detecting dryness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8202546A1 (en) 2017-05-05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Carrier for detecting dryness and washer/dryer wherein the carrier is used
WO2018202592A1 (en) 2017-05-05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carrier for detecting dryness, a charging unit suitable for the carrier and a washer/dryer wherein the carrier is used
WO2018224267A1 (en) 2017-06-08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8224268A1 (en) 2017-06-09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suitable for use with a washer-dryer
WO2018224336A1 (en) 2017-06-09 2018-12-13 Arcelik Anonim Sirketi A bearer and a washer-dryer using the same
WO2019037986A1 (en) 2017-08-24 2019-02-28 Arcelik Anonim Sirketi WASHING MACHINE / DRYER COMPRISING A SUPPORT
WO2019037992A1 (en) 2017-08-25 2019-02-28 Arcelik Anonim Sirketi SICCITY DETECTION BRACKET AND WASHING MACHINE / DRYER OPERATING IN INTERACTION WITH SAID SUPPORT
WO2019219363A1 (en) 2018-05-17 2019-11-21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in which dryness of the laundry items is effectively detec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8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icrowave dryer
US975892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detecting device for insertion of filter
EP2539502B1 (en) Dryer
KR100587323B1 (ko) 자동 건조기의 센서 장착 구조
EP2145039B1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445367A1 (en) Drying/washing machine
US20070039200A1 (en) Drying apparatus
JP7236205B2 (ja) 衣類処理装置
EP1995371B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20030041428A (ko)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CN103911837A (zh) 洗衣机
US20210207315A1 (en) Laundry drier
EP1584735B1 (en) Apparatus for driving drum of clothes dryer
KR1015370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264786Y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상태검출구조
RU2466229C2 (ru) Сушилка для белья
KR100446763B1 (ko) 의류 건조기의 포 가열장치
JPH105496A (ja) 衣類乾燥機
US20230175188A1 (en) Dryer
JPH03254796A (ja) 衣類乾燥機の除電運転方法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CN216907913U (zh) 滚筒式烘鞋机
KR100209685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장치
JP2004313417A (ja) 洗濯乾燥機
JP2022080005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