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198A -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198A
KR20030041198A KR1020010071834A KR20010071834A KR20030041198A KR 20030041198 A KR20030041198 A KR 20030041198A KR 1020010071834 A KR1020010071834 A KR 1020010071834A KR 20010071834 A KR20010071834 A KR 20010071834A KR 20030041198 A KR20030041198 A KR 2003004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nitoring
service
ba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555B1 (ko
Inventor
김동준
조정남
한원철
김건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5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감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최초정보에 의해 네트워크상의 각 경로별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감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에 있어서, 컨텐츠(Contents)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정보와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감시결과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 상기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컨텐츠 서비스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여, 그 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 및 상기 컨텐츠 감시 제어 수단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에 대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와 불량 컨텐츠를 제공한 서버에 알리는 불량 컨텐츠 통지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감시기술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ntents Service i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사업자(기간통신 사업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의 올바른 서비스 제공여부 및 해당 컨텐츠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서비스 감시방법으로는, 운용자가 직접 무선 데이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그 컨텐츠(Contents)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서비스 확인을 위한 인력 및 시간낭비를 초래하며, 운용자가 컨텐츠 제공자의 상태(특히, 불량 서비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감시방법으로 상기의 방법에서 진일보된 형태로 자동화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자동화된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자의 올바른 상태(특히, 불량 서비스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며, 컨텐츠(Contents)의 개수가 많아지면 자동화된 단말기의 개수 역시 선형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 제공자의 올바른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서비스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감시용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감시 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최초 설정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와 고객의 단말기 사이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서비스 제공 유/무와 그 속도를 반복하여 자동으로 측정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30 : 컨텐츠제공 서버
40 : 관리자 단말장치 50 : 과금 서버
60 : 게이트웨이 100 : 컨텐츠 감시 제어부
110 : 감시용 프로세서 120 :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부
140 : 관리자전용 감시 제어부 150 : 관리자전용 감시용 프로세서
160 :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
170 :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에 있어서, 컨텐츠(Contents)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정보와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감시결과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 상기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컨텐츠 서비스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여, 그 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 및 상기 컨텐츠 감시 제어 수단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에 대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와 불량 컨텐츠를 제공한 서버에 알리는 불량 컨텐츠 통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초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는 제 2 단계; 각 경로별 검사 결과를 상기 초기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갱신하는 제 3 단계; 갱신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대상이 되는 해당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4 단계; 및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를 관리자 단말장치에 알리고,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에,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제 1 기능; 초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는 제 2 기능; 각 경로별 검사 결과를 상기 초기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갱신하는 제 3 기능; 갱신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대상이 되는 해당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4 기능; 및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를 관리자 단말장치에 알리고,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정보통신망(10)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되며,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20), 컨텐츠 제공 서버(30), 게이트웨이(60), 과금 서버(50), 그리고 관리자 단말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20)는 컨텐츠 제공자의 올바른 서비스 제공여부를 감시하여 빠른 시간내에 그 상태를 감지하고, 컨텐츠 제공자의 제공 서비스 속도의 측정이 가능하며, 게이트웨이(60)와 컨텐츠 제공자에 대해 각각 감시가 가능하므로 이상 구간을 쉽게 식별하고, 컨텐츠 제공자의 제공 서비스의 불량 부분을 정확하게 추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감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감시 장치(20)는 컨텐츠 제공 서버(30)의 유알엘(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기록된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Data Base)(1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용 프로세서(110)를 가지는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40)에 송신하는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 수단(130) 및 관리자 단말장치(4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의 아이디(ID)와 그 각각의 URL, 동작될 감시용 프로세서(110)의 개수와 그 아이디(ID), 감시용 프로세서(110)가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할 때 그 예정된 감시경로와 그 순서, 및 서비스품질 중 서비스속도를 판단할 때 그 판단기준치를 포함한 정보가 최초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다.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관리자에 의해 정의된 최초 정보를 검색한다.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는 여러 개의 감시용 프로세서(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동작하는 감시용 프로세서(110)의 개수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최초 운용자에 의해 정해진다. 즉,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획득하는 정보에 의해서 동작할 프로세서(110)의 개수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에 의해 그 개수가 정해진 각각의 감시용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당 할당된 컨텐츠들을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입력받은 감시경로와 그 순서로 순차적으로 검사한다. 즉, 감시용 프로세서(110)는 컨텐츠 제공서버(30)와의 직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컨텐츠 서비스 상태를 검사할 수도 있고,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서버(50)를 통해서도 그 서비스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게이트웨이(60)를 통해서도 그 서비스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각 경로들의 방향과 개수는 전술한 바대로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운용자에 의해 정의된다. 이처럼 여러 경로로 컨텐츠 서비스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각 구간별로 컨텐츠 서비스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므로 고장구간을 쉽게 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서비스 상태를 검사 또는 감시한다고 함은, 컨텐츠 서비스 자체가 실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시되고 있다면 그 서비스 속도가 어떠한지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에 의해 측정된 컨텐츠 서비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반영되어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즉, 각각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상태 및 제공속도가 갱신되게 된다. 이후, 갱신된 정보는 통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 내부에 별도로 축적되어 저장된다.
한편,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에 의해 컨텐츠 서비스가 아예 실시되지 않는 컨텐츠 제공 서버(30), 또는 제공되더라도 컨텐츠 제공 서버(30)에서의 서비스 속도가 기준치에 미달되는 컨텐츠 제공 서버(3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30)에서는 원활하게 서비스가 제공되나 특정 경로에서 경로상의 문제로 속도 등의 서비스품질이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는 문제의 구간 등이 발견되면, 그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가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부(130)로 전달된다.
상기 서비스 속도의 기준치는 최초 운영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정의되는 값이며,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에서 그 기준치와 검사한 컨텐츠 서비스의 속도치를 비교하여 불량 컨텐츠 여부를 판단한다.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부(130)는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로부터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전자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30)와 관리자 단말장치(40)로 송신한다.
여기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에는 불량 컨텐츠로 탐지된 컨텐츠의 아이디(ID), 컨텐츠의 URL, 불량 컨텐츠가 탐지된 경로, 컨텐츠 서비스의 유/무 정보, 서비스 속도를 포함하는 정보가 담겨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1회의 컨텐츠 서비스 검사가 이루어지며, 지정된 임의의 휴지기 후에,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정보를 읽어 동일한 검사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20)에는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와 별도로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는 그 기능이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와 거의 동일하나, 관리자 단말장치(40)의 요청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차이점이 있어, 이하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로 명명한다.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는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불량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관리자 단말장치(40)에서 직접 재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양호한 서비스 상태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특정한 이유에 의해서 별도로 검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텐츠 감시 제어부(100)와 별도로 구비된다.
즉, 관리자 단말장치(40)가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160)로 제 1 컨텐츠검사 요청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160)는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정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컨텐츠검사 요청신호를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컨텐츠검사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는 하나이상의 관리자전용 감시용 프로세서(150)로 이루어져 경로별로 서비스 상태를 검사하여, 제 1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170)에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전용 감시용 프로세서(140)의 감시동작은 감시용 프로세서(110)의 감시동작과 유사하다.
한편, 제 1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입력받은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170)는 관리자 단말장치(4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제 2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40)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장치(40)와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160) 또는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170)와의 통신방식은 TCP방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에서의 검사과정은 일회에 국한될 수도 있고, 관리자 단말장치(40)로부터의 컨텐츠검사 요청신호의 정보에 따라 다수회에 걸쳐 실시될 수도 있으나, 컨텐츠 감시 제어부(140)와는 달리 그 검사한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성은 없으므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서비스를 감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최초로, 관리자는 컨텐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초기화한다(200). 즉,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의 아이디(ID)와 그 각각의 URL, 동작될 감시용 프로세서의 개수와 그 아이디(ID), 감시용 프로세서가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할 때 그 예정된 감시경로와 그 순서, 및 서비스품질 중 서비스속도를 판단할 때 그 판단기준치를 포함한 정보가 최초 관리자에 의해 정의된다.
이후, 컨텐츠 감시 제어부는 전술한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을 입력받아(210), 일정한 수의 감시용 프로세서가 일정한 컨텐츠 제공서버에 대해 일정한 경로의 순서대로 검사를 하게 된다(220).
많은 개수의 컨텐츠제공 서버를 감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러 개의 감시용 프로세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한 프로세서는 우선 한 컨텐츠제공 서버에 대해 주어진 감시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사를 한다(220).
상기 감시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사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즉, 날씨정보 제공 서버와 교통정보 제공 서버와 같은 두 개의 컨텐츠 제공 서버가 존재하고, 컨텐츠 감시 제어부에 하나의 감시용 프로세서만이 있다는 가정을 한다.
또한, 날씨정보 제공 서버와 컨텐츠 감시 서버 사이에는 날씨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제 1 과금 서버와 제 1 게이트웨이가 있다고 가정하며, 교통정보 제공 서버와 컨텐츠 감시 서버 사이에는 제 2 과금 서버와 제 2 게이트웨이가 있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정하에서, 감시용 프로세서는 첫 번째로 날씨정보 제공 서버에 대해 실제로 날씨정보 제공 서비스가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와, 그 서비스 제공 속도를 검사하며, 이후 제 1 과금 서버에 대해 마찬가지의 검사를 하고, 마지막으로 제 1 게이트웨이에 대해서도 동일한 검사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감시용 프로세서는 교통정보 제공 서버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를 하며, 이후 제 2 과금 서버, 마지막으로 제 2 게이트웨이에 대해 동일한 검사를 한다.
전술한 검사동작은 설명을 위하여 극히 단순화시킨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컨텐츠 감시 제어부에는 복수개의 감시용 프로세서가 동시에 가동되며, 하나의 감시용 프로세서가 담당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개수도 상기 예로 든 2개(날씨정보 제공 서버, 교통정보 제공 서버)보다 훨씬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감시경로도 상기 예로 든 3군데(컨텐츠 제공 서버, 과금 서버, 게이트웨이)의 경로보다 훨씬 많은 경로를 통해 검사함이 일반적이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결과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며(230), 각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해 필요한 통계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별도로 축적되어 저장된다(240).
이어서, 컨텐츠 감시 제어부는 한 컨텐츠에 대해 검사한 임의의 감시경로에 있어서 서비스 상태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불량한 컨텐츠 서비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갱신된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받아 판단한다(250). 여기서, 불량 컨텐츠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및 관리자 단말장치에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전송한다(260). 상기 감지신호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자메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신호를 전송한 이후, 또는 불량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 감시 제어부는 감시용 프로세서에 할당된 모든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해 검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70). 상기와 같은 판단에서 아직 감시하지 못한 컨텐츠 서비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다음 차례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형식으로 경로별로 검사를 하게 되며(280), 그 감시용 프로세서에 할당된 모든 컨텐츠 서비스를 모두 검사하였다고 판단되면 일정한 휴지기를 거쳐 다시 첫 번째 컨텐츠부터 검사하게 된다(29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감시 장치에는 컨텐츠 감시 제어부와 별도로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가 구비되어 관리자 단말장치의 요청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이 부가적으로 포함된다.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는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 송신부를 통해 수신한 불량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관리자 단말장치에서 직접 재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양호한 서비스상태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특정한 이유에 의해서 별도로 검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텐츠 감시 제어부와 별도로 구비된다.
즉, 관리자 단말장치가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로 제 1 컨텐츠검사 요청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는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정보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컨텐츠검사 요청신호를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컨텐츠 검사 요청신호를 입력받은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전용 감시용 프로세서로 이루어져 경로별로 서비스상태를 검사하여, 제 1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에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전용 감시용 프로세서의 감시동작은 감시용 프로세서의 감시동작과 유사하다.
한편, 제 1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입력받은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는 관리자 단말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제 2 컨텐츠검사 결과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장치와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부, 또는 컨텐츠검사 결과신호 송신부와의 통신방식은 TCP방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부에서의 검사는 일회에 국한될 수도 있고, 관리자 단말장치로부터의 컨텐츠검사 요청신호의 정보에 따라 다수회에 걸쳐 실시될 수도 있으나, 컨텐츠 감시 제어부와는 달리 그 검사한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성은 없으므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유선 정보통신망 기반에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무선 정보통신망 기반에서 작동될 수도 있으며, 유/무선 통합 정보통신망에서도 작동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운영자에 의한 감시대상 컨텐츠의 초기정보 입력 후 별도의 인위적인 조치없이 계속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올바른 서비스 제공 여부와 서비스 속도를 빠른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서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각 지점에 대해 감시활동을 함으로써 고장 구간을 식별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의 서비스의 불량 부분을 정확하게 추출함으로써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에 있어서,
    컨텐츠(Contents)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정보와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감시결과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
    상기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으로부터 컨텐츠 서비스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여, 그 서비스 제공여부 및 서비스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 및
    상기 컨텐츠 감시 제어 수단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에 대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장치와 불량 컨텐츠를 제공한 서버에 알리는 불량 컨텐츠 통지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부터 제 1 컨텐츠 감시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 2 컨텐츠 감시요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수단;
    상기 컨텐츠검사 요청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컨텐츠 감시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 서비스를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검사하여 상기 서비스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 및
    상기 관리자전용 컨텐츠 감시 제어수단에 의해서 검사된 제 1 컨텐츠 감시결과 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 2 컨텐츠 감시결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컨텐츠감시 결과신호 송신수단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정보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의 아이디(ID), 상기 아이디의 유알엘(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감시용 프로세서의 개수와 그 각각의 아이디(ID), 감시경로와 순서, 및 서비스속도 판단시 그 판단기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감시정보 저장수단에 계속적으로 갱신되어 기록되는 감시결과 정보는,
    각 감시경로에서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유/무 상태와 컨텐츠 서비스의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는,
    불량 컨텐츠로 탐지된 컨텐츠의 아이디(ID), 상기 컨텐츠 아이디의 URL, 상기 불량 컨텐츠가 탐지된 각 경로, 및 상기 경로에서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유/무 상태와 컨텐츠 제공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
  6. 네트워크상에서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초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는 제 2 단계;
    각 경로별 검사 결과를 상기 초기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갱신하는 제 3 단계;
    갱신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대상이 되는 해당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4 단계; 및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를 관리자 단말장치에 알리고,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에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의 개별적인 요청에 의해, 지정된 감시경로에 따라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의 서비스 품질 검사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알리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의 아이디(ID), 상기 아이디의 URL, 감시용 프로세서의 개수와 그 각각의 아이디(ID), 감시경로와 순서, 및 서비스 속도 판단시 그 판단기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각 감시경로에서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유/무 상태와 컨텐츠 서비스의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는,
    바람직하게는, 불량 컨텐츠로 탐지된 컨텐츠의 아이디(ID), 상기 컨텐츠 아이디의 URL, 상기 불량 컨텐츠가 탐지된 각 경로, 및 상기 경로에서의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유/무 상태와 컨텐츠 제공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방법.
  11.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장치에,
    컨텐츠 서비스를 감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초기화하는 제 1 기능;
    초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의 각 경로별로 컨텐츠 서비스를 검사하는 제 2 기능;
    각 경로별 검사 결과를 상기 초기화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갱신하는 제 3 기능;
    갱신된 컨텐츠 서비스 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대상이 되는 해당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4 기능; 및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를 관리자 단말장치에 알리고, 서비스 품질 검사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 해당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불량 컨텐츠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의 개별적인 요청에 의해, 지정된 감시경로에 따라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여부 및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검사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6 기능의 서비스 품질 검사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알리는 제 7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1834A 2001-11-19 2001-11-19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46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834A KR100461555B1 (ko) 2001-11-19 2001-11-19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834A KR100461555B1 (ko) 2001-11-19 2001-11-19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198A true KR20030041198A (ko) 2003-05-27
KR100461555B1 KR100461555B1 (ko) 2004-12-14

Family

ID=2957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834A KR100461555B1 (ko) 2001-11-19 2001-11-19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32B1 (ko) * 2006-05-18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6661B1 (ko) * 2007-08-17 2011-02-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한 콘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017296B1 (ko) * 2008-06-02 2011-02-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에러 통지 프로그램, 에러 통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38A (ko) * 2000-08-22 2002-02-28 이유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KR20010000586A (ko) * 2000-10-07 2001-01-05 구자혁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다운로드 방법
KR100363030B1 (ko) * 2001-03-27 2002-11-30 서영현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공유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32B1 (ko) * 2006-05-18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234247B2 (en) 2006-05-18 2012-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KR101016661B1 (ko) * 2007-08-17 2011-02-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이용한 콘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017296B1 (ko) * 2008-06-02 2011-02-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에러 통지 프로그램, 에러 통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555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660B1 (ko)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사용불능 검출 방법 및 시스템
JP2010517473A (ja) ユーティリティ・ネットワーク機能停止検出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JPH1123427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遠隔障害管理システム
CN1963780A (zh) 监控设备、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100861592B1 (ko) 가입자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461555B1 (ko)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0838949A (zh) 一种网络流量日志记录方法及装置
US201303014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lent Trunk Failure Detection
CN111245668B (zh) 一种宽带网络速率测试方法和系统
CN110474821A (zh) 节点故障检测方法及装置
CN106982127B (zh) 一种融合计费中消息检测及分流方法及汇接代理装置
CN112835780B (zh) 一种业务检测方法及装置
JP2008125035A (ja) ネットワーク品質試験システム
KR101155867B1 (ko) 정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12879A (ko) 웹 기반 설비 고장 진단 및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애프터서비스 방법
KR101078484B1 (ko) 부하를 고려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896617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 가입자망 전송장치의 통합 고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48008A1 (en) Management support method, management support system, management suppo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9990079110A (ko)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TWI440355B (zh) Ltt/ag用戶迴路並存查測系統
CN112422948B (zh) 一种故障排查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06850323A (zh) 一种mpls vpn客户网络断线的检测方法
CN110990147B (zh) 用于处理任务的方法及系统
US8964576B2 (en) System and method of reporting in-service performance statistics in layered networks
CN106656606A (zh) 数据通路的测试方法、测试服务器及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