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438A -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438A
KR20020015438A KR1020000048539A KR20000048539A KR20020015438A KR 20020015438 A KR20020015438 A KR 20020015438A KR 1020000048539 A KR1020000048539 A KR 1020000048539A KR 20000048539 A KR20000048539 A KR 20000048539A KR 20020015438 A KR20020015438 A KR 2002001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d
computer
information
serve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인
김연식
박종천
Original Assignee
이유인
김연식
주식회사 드림캐스트
박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인, 김연식, 주식회사 드림캐스트, 박종천 filed Critical 이유인
Priority to KR102000004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5438A/ko
Publication of KR2002001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고나, 실시간 감시에 의해 모니터 요원이 불량 사용자를 색출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 등록된 불량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불법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들의 색출을 용이하게 하고, 모니터 요원이 불법여부를 판단하여 공정성을 기할 수 있게 하며, 상습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상습위반자들이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재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대화방에서 오고가는 문자 또는 음성을 실시간을 분석하여 대화방 내의 대화가 건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for preventing from bad-user in the computer network,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고나, 실시간 감시에 의해 모니터 요원이 불량 사용자를 색출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된 컴퓨터들은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면 전자 우편, 고퍼 그리고 월드 와이드 웹(WWW)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월드 와이드 웹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면 웹서버 혹은 웹사이트)이 정보의 도해적인 웹페이지들을 원격 클라이언드 컴퓨터 시스템에 보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원격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 받은 다양한 화면의 웹페이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이러한 인터넷이나 전화망과 같은 네트워크의 익명성을 이용하여 이메일, 채팅 대화문, 전자쪽지문, 게시문 등 인터넷 정보나 전화 정보를 이용하려는 타인에게 공개되는 문자 및 음성 메시지 등에 무차별적이고, 폭력적이며, 음란한 내용의 문자나 음성이 전송되어 개인의 정신적인 피해는 물론이고, 집단적으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사례가 빈번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화 정보서비스에는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윤락알선이나, 매매춘, 원조교제, 음란물판매에 이르기까지 각종 불법적인 정보가 개시되고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청소년 범죄나 성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통신예절이나 정보통신법에 대한 홍보 및 캠페인이 지속적으로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사용자들 스스로의 각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몰지각한 익명의 사용자들로 말미암아 각종 게시판이나 대화방이 폭력정보, 음란정보 등 불법적인 각종 정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서버 컴퓨터의 운영자가 전송되는 모든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여 그 중에서 불법적인 내용이 있으면 강제로 삭제하고 있으나 운영자가 모든 정보를 직접 검토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운영자가 삭제하기 전에 피해자들이 이미 개시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또한, 상습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상습위반자들이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 또는 주민등록번호 생성기 등을 이용하여 키보드나 또는 전화키입력 등으로 재 접속하는 것을 방지있는 별다른 방법이 불가능하여 실제로 이러한 언어폭력과 불법 정보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법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들을 다른 사용자들이 불법 정보를 발견하는 즉시 신고할 수 있게 하여 불법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들의 색출을 용이하게 하고, 모니터 요원이 불법여부를 판단하여 공정성을 기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습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상습위반자들이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재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화방에서 오고가는 문자 또는 음성을 실시간을 분석하여 대화방 내의 대화가 건전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음성을 이용한 대화방에 적용되는 도 2의 실시간 감시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문자를 이용한 대화방에 적용되는 도 2의 실시간 감시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 등록된 불량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a)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c)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a)단계에서, 모든 사용자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신규 사용자 등록시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게 하고, (e)단계에서, 상기 불량 사용자가 가명이나 다른 아이디로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때, 상기 불량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프로그램에 의해 불량 사용자를 확인하고, 서버 컴퓨터의 접속을 거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고,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며,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고,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며,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a)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c)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e)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컴퓨터와 네트워크와 서버 컴퓨터 및 모니터 요원 컴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나 경고 사용자를 색출하고, 방지하는 회사에 구비된 컴퓨터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불량 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불량 정보를 신고하는 자의 컴퓨터이다.
또한, 상기 모니터 요원 컴퓨터는 불법 정보를 발견한 사용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라고 판단되면 서버 컴퓨터의 접속이나 사용을 제한하는 자의 컴퓨터이다.
이러한 상기 서버 컴퓨터와 사용자 컴퓨터는 상기 네트워크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와 상기 모니터 요원 컴퓨터는 상기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통신라인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용자 컴퓨터들은 HTML, XML 등의 형태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Netscape, Internet Explorer 등)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 네트쿼크가 전화망일 경우에는, 전화망용 중계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서버 컴퓨터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부는 전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메인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신고를 접수받은 모니터 요원이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로 입력한 불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불법 정보를 모니터 요원의 화면에 표시하는 감시 프로그램,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고 프로그램, 불량 사용자로 등록된 자가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사용제한 프로그램, 불량 사용자가 재 접속을 실시하는 경우, 불량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불법 정보의 정도가 심하여 불량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음성아이디, 음성단어, 각종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불법 정보의 정도가 미약하여 경고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음성아이디, 음성단어, 각종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모든 신규 등록자의 음성아이디 및 음성단어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 문자 또는 음성형태의 불건전하거나 불법인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한다.
결국, 상기 서버 컴퓨터는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웹사이트의 형태로 구현되어지거나, 전화망 중계장치 등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여 메인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는 도중, 불법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단축키 등을 이용하여 신고하면, 상기 모니터 요원 컴퓨터 화면에 빛이나 색깔, 소리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고 사실이 표시되고, 신고를 받은 모니터 요원은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감시하게 되며, 감시 결과 불법의 정도에 따라서 심한 불법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불량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 경미한 불법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경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경고 사용자로 등록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 요원은, 불법 정보를 입력한 상기 불량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에게 경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발송한 다음, 상기 사용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불량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의 서버 컴퓨터 접속 및 이용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불량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신규 가입하거나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로 재 접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서버 컴퓨터의 접속 및 이용에 앞서서 음성 아이디와 음성 단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하여 이를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불량 사용자를 색출한 다음, 불량 사용자의 재 접속하다 거부한다.
또한, 상기 경고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신규 가입하거나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로 재 접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서버 컴퓨터의 접속 및 이용에 앞서서 음성 아이디와 음성 단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하여 이를 경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성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경고 사용자를 색출한 다음, 모니터 요원이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고 사용자의 서버 컴퓨터 이용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특히, 대화방이나 채팅방 등에서는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항상 구동시켜서 실시간 문자분석이나 실시간 음성분석을 통해 불법 정보를 입력한 대화자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화방이나 채팅방 또는 게시판 등을 사용하면서, 불법 정보를 발견하게 되면, 단축키를 눌러 모니터 요원에게 신고하게 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는 불량 사용자로 등록되어 접속이 거부되거나 경고 사용자로 등록되어 서버 컴퓨터의 이용이 제한됨으로서, 건전한 대화방이나 채팅방 또는 게시판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습적인 불량 사용자의 재 접속하다 방지하여 인터넷의 익명성을 노린 불량 사용자들을 방지할 수 있고, 경고 사용자들을 항상 또는 수시로 감시하여 그들이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건전하고, 깨끗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서버 컴퓨터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보다 많은 양질의 사용자들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면,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버 컴퓨터를 구성하고, (a)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와, (b)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c)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버 컴퓨터 구성 단계 이후 구축된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하는 보다 구체화된 일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면(S1), 사용자의 등록여부를 묻고(S2),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는 음성아이디나 음성단어를 입력하여 신규 등록하게 한다(S3).
이어서, 이미 등록되었거나 신규 등록한 사용자에게 서버 컴퓨터에 마련된 대화방 서비스나 메일 서비스, 채팅방 서비스, 게시판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S4).
이때, 만약 사용자가 대화방이나 메일, 게시판에서 윤락알선, 매매춘, 원조교제, 음란물판매 등에 대한 불량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면(S5), 이를 발견한 다른 사람들이 단축키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 요원에게 신고하거나(S6), 문자인식/음성인식을 실시간으로 실시하여 불량 정보가 감지되면(S7), 모니터 요원에게 알려져서 감시프로그램 등으로 불량 정보의 유무와 그 정도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S6단계는, 다른 사용자 즉, 신고자의 신고가 상기 단축키를 통한 키입력으로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웹사이트 상에서 프로그램되고, 신고를 원하는 사용자가 단축키를 누르면, 상기 모니터 요원 컴퓨터 화면에 신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키입력을 통한 신고 및 신고 메시지 전달기술은 웹사이트 제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일반적인 기술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여기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문자인식에 관련된 기술은 상기 불량 정보가 문자일 경우, 각종 불량 정보가 문자의 형태로 미리 저장된 불량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모든 단어들을 검색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고(S711), 대화방을 이용하면(S712), 실시간으로 문자를 분석하다가(S713),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불량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문자일 경우, 불법 정보로 인식하게 할 수 있고(S714),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S715),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대화방 연결을 단절시킬 수 있는 것이다(S716).
한편, 음성인식에 관련된 기술은 상기 불량 정보가 음성일 경우, 음성으로 이루어진 단어나 문장을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딕테이션(Dictation)기술을 이용한 음성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고(S721), 대화방을 이용하면(S722), 실시간으로 음성을 분석하여(S723),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S724), 변환된 문자가 불량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문자일 경우, 불법 정보로 인식하게 할 수 있고(S725),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S726),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대화방 연결을 단절시킬 수 있는 것이다(S727).
즉, 다른 사용자의 신고 없이도 실시간으로 인식된 음성이나 문자 중 불건전한 내용이 포함되었을 경우, 불량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를 불량 정보로 자동 인식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딕테이션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상용화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대화방에서 대화자의 욕설이나 불건전한 내용의 불량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불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안내 후 욕설이나 불건전한 내용의 말을 한 대화자를 대화방으로부터 단절시켜서, 건전하고 깨끗한 대화방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S6단계나 S7단계에 이어서, 이러한 다른 사용자의 신고나 실시간 감시결과 불법 정보가 실시간으로 감지되면, 이를 자동으로 통보 받은 모니터 요원은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의 입력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S8). 이는 불법 정보의 신고가 남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시간 감지의 기계적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불량 사용자의 등록에 있어서 공평을 기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모니터 요원의 확인 결과, 불법 정도가 심한 경우(S9),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S10), 이 사실을 불량 사용자로 등록된 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통해 통고한 다음(S11), 불량 사용자의 사용자 등록을 취소하여 서버 컴퓨터 접속을 거부하게 한다(S12).
또한, 불법 정도가 미약한 경우(S13),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경고 사용자로 등록하고(S14), 이 사실을 경고 사용자로 등록된 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통해 통고한 다음(S15), 경고 사용자의 사용자 등록은 유지하되, 대화방이나 게시판 등 일부 서비스의 이용을 제한하게 한다.(S16).
이후, 상기 불량 사용자나 경고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에 가짜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재 접속하다 할 경우(S17), 반드시 서버 컴퓨터에 음성(예를 들면, 음성 아이디나 음성단어 등)을 입력하게 하고(S18),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S19) 불량 사용자로 판별된 경우(S20), 접속을 거부하고(S21), 경고 사용자로 판별된 경우(S22), 서버 컴퓨터와의 접속은 허락하나 모니터 요원이 감시 프로그램으로 실시간으로 감시하여(S23) 불법 정보를 재차 수차례 입력하면(S24), 불법 정보를 입력한 횟수를 채크하여 한계횟수를 넘기면(S25) 즉시,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S26), 상기 불량 사용자 컴퓨터 화면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경고 메시지를 보낸 후(S27), 등록의 취소하여 서버 컴퓨터의 접속을 거부하게 된다(S28).
물론,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접속하는 자가 음성인식을 통해서 불량 사용자나 경고 사용자가 아닌 경우, 서버 컴퓨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S29).
즉, 모든 사용자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신규 사용자 등록시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게 하고, 상기 불량 사용자가 가명이나 다른 아이디로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때, 상기 불량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프로그램에 의해 불량 사용자를 확인하고, 서버 컴퓨터의 접속을 거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음성 확인은,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때는 물론 서버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이용할 때마다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사용자의 이름 또는 아이디를 사용자의 목소리로 직접 발음하여 녹음한 음성아이디 및 정해진 단어를 사용자의 목소리로 직접 발음하여 녹음한 음성단어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의 목소리 인증은 음성 주파수의 패턴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소리 확인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 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망에 본 발명의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이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인터넷이 아닌 일반 유선전화망이나 휴대전화망, 사설 통신망, 근/장거리 통신망, 사내 통신망 등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의하면, 불법 사용자와 경고 사용자들의 색출을 용이하게 하고, 모니터 요원이 불법여부를 판단하여 공정성을 기할 수 있게 하며, 상습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상습위반자들이 다른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재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대화방에서 오고가는 문자 또는 음성을 실시간을 분석하여 대화방 내의 대화가 건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하면,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불법적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불량 사용자로 등록하고, 등록된 불량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2.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a)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
    (b)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는 단계;
    (d)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상기 불량 정보는 대화방이나 메일, 게시판에서 윤락알선, 매매춘, 원조교제, 음란물판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을 단축키를 통해 이루어지고, 신고를 원하는 사용자가 단축키를 누르면, 상기 모니터 요원 컴퓨터 화면에 신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상기 불량 사용자 컴퓨터 화면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경고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경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요원이 신고된 상기 불법 정보를 확인한 결과, 불법의 정도가 미약할 경우, 불법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를 상기 경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경고 사용자 컴퓨터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경고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에 접속시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으로 상기 경고 사용자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정보를 입력한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 누적된 사용자는 불량 사용자로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모든 사용자는 상기 서버 컴퓨터에 신규 사용자 등록시 음성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게 하고,
    (e)단계에서, 상기 불량 사용자가 가명이나 다른 아이디로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때, 상기 불량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프로그램에 의해 불량 사용자를 확인하고, 서버 컴퓨터의 접속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에 입력되는 음성은, 신규 사용자 등록시 입력되어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때 또는 서버 컴퓨터를 이용할 때마다 사용되고, 사용자의 이름 또는 아이디를 사용자의 목소리로 직접 발음하여 녹음한 음성아이디 및 정해진 단어를 사용자의 목소리로 직접 발음하여 녹음한 음성단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상기 불량 정보가 음성정보일 경우, 음성 문장을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딕테이션(Dictation)기술을 이용한 음성인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불량 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고, 인식된 문장 중 불건전한 내용의 단어나 문장을 불량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불량 정보로 자동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상기 불량 정보가 대화방에서 대화자의 욕설이나 불건전한 내용의 말일 경우, 상기 불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안내 후 욕설이나 불건전한 내용의 말을 한 대화자를 대화방으로부터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고,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며,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고,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며,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시스템.
  13.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를 방지하는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 사용자를 감시하는 감시프로그램 및 불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a) 사용자가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
    (b)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 사용자가 청소년 보호법에 저촉되는 글/언어/음성/그림/사진/동영상 등의 불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c) 불법 정보를 발견한 다른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해 사용자를 감시하는 모니터 요원에게 불법 정보의 발견을 신고하는 단계;
    (d) 상기 모니터 요원이 상기 감시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법 정보를 확인하고, 불법 정보를 입력한 불량 사용자를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불량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량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접속하는 것을 통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48539A 2000-08-22 2000-08-22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KR20020015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39A KR20020015438A (ko) 2000-08-22 2000-08-22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39A KR20020015438A (ko) 2000-08-22 2000-08-22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38A true KR20020015438A (ko) 2002-02-28

Family

ID=1968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39A KR20020015438A (ko) 2000-08-22 2000-08-22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4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55B1 (ko) * 2001-11-19 2004-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2299B1 (ko) * 2005-06-25 2007-10-01 이승택 사이버 폴리싱 시스템
WO2009085738A2 (en) * 2007-12-20 2009-07-09 Yahoo! Inc. Jury system for use in online answers environment
KR101023906B1 (ko) * 2008-12-31 2011-03-22 엔에이치엔(주) 채팅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4959A2 (en) * 1997-03-12 1998-09-16 Mitsubishi Corporation Data management system
KR20010070796A (ko) * 2000-06-08 2001-07-27 이창대 인터넷상에서 건전한 채팅 문화를 유도하기 위한 채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14294A (ko) * 2000-08-17 2002-02-25 남궁석 관리대상 컴퓨터들을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4959A2 (en) * 1997-03-12 1998-09-16 Mitsubishi Corporation Data management system
KR20010070796A (ko) * 2000-06-08 2001-07-27 이창대 인터넷상에서 건전한 채팅 문화를 유도하기 위한 채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14294A (ko) * 2000-08-17 2002-02-25 남궁석 관리대상 컴퓨터들을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경제신문2000.6. *
한국일보신문2000.5.22 *
한국일보신문2000.7.5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55B1 (ko) * 2001-11-19 2004-1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트워크상에서의 컨텐츠 서비스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62299B1 (ko) * 2005-06-25 2007-10-01 이승택 사이버 폴리싱 시스템
WO2009085738A2 (en) * 2007-12-20 2009-07-09 Yahoo! Inc. Jury system for use in online answers environment
WO2009085738A3 (en) * 2007-12-20 2009-09-03 Yahoo! Inc. Jury system for use in online answers environment
KR101023906B1 (ko) * 2008-12-31 2011-03-22 엔에이치엔(주) 채팅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187B1 (en) Suicide and alarming behavior alert/prevention system
US1130162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linguistic analysis and disabling of storage
US20190342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onitoring of and interaction with chat and instant messaging participants
US9137257B2 (en) Anti-phishing filter
US20090183259A1 (en) Integrated Protection Service System Defining Risk Profiles for Minors
US11263274B2 (en) Linking and monitoring of offender social media
US8407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ensitive data on a computer network
KR102141934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컨택 센터 서비스 시스템
WO2020158101A1 (ja) 有害行為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117135A (ja) ウェブサイト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20015438A (ko)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불량 사용자 방지방법과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US20090144824A1 (en) Integrated Protection Service Configured to Protect Minors
Hope Unsocial media: school surveillance of student internet use
JP6572218B2 (ja) 危険検出装置、危険検出方法、及び危険検出プログラム
US201802936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icide prevention and support
JP2003346256A (ja) 異常事態の認識とその解決方法
JP6556391B1 (ja) 監視システム
JP20220397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Hassan et al. Internet of Thing (IoT) Smart Home Systems: Conceptual Ethical Framework for Malaysian Developers
JP352036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680485B1 (ko)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20237293A1 (en) Method for monitoring electronic device activity
KR20090100675A (ko) 게시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시물 관리 시스템
TR202021520A2 (tr) Kullanicidan onay alinmasini sağlayan bi̇r si̇stem
CN113839918A (zh) 一种网络违法平台用户活动预警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