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85B1 -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85B1
KR101680485B1 KR1020150119870A KR20150119870A KR101680485B1 KR 101680485 B1 KR101680485 B1 KR 101680485B1 KR 1020150119870 A KR1020150119870 A KR 1020150119870A KR 20150119870 A KR20150119870 A KR 20150119870A KR 101680485 B1 KR101680485 B1 KR 10168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famation
internet
databas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걸종
Original Assignee
정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걸종 filed Critical 정걸종
Priority to KR102015011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06F17/3086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로봇과 합성어 필터링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전송하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주기적으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넷상 게시글을 검색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하며, 추출된 글을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보관해 주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저장해 주며; 회원용단말기가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한 후에,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부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입력수단을 통한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과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eventing defamation of character in internet}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색로봇과 합성어 필터링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단 정보 통신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인터넷이 사회 속에서 자리를 잡게 되면서 수많은 이익을 창출해내기도 하지만, 이와 반대로 수많은 사회적 문제도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윤리 문제는 미래의 정보화 사회가 해결해야 할 핵심적인 문제로 부상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컴퓨터 교육에 앞서 윤리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사회 전반에서 나오고 있다.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 통신 매체가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정보가 중간에서 날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이 지니는 익명성으로 인해서 정보에 대한 무책임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도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통신망에서는 익명의 이름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신분이 잘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발언이 거리낌 없이 양산될 여지가 많다. 이에, 개인에 대한 중상 비방, 개인 비밀의 무차별 공개 등과 같은 정보화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사생활 침해가 점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터넷 이용자가 인터넷에 산재해 있는 웹사이트의 게시물을 일일이 검색하여, 이에 상응한 대응을 할 수 밖에 없으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9457호(2001.07.25 공개)는 게시판 음해정보 대응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글이 업로드되는 다수 개의 웹사이트게시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게시판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게시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웹사이트게시판에 대한 검색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검색서버; 검색서버 측에 웹사이트게시판에 등록된 글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회원데이터베이스; 회원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회원의 요청에 따라 회원에 대한 음해성 정보가 게시된 글에 대해 검색서버에서 웹사이트게시판에 대한 검색을 직접 수행하는 검색모듈; 검색모듈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저장하게 되는 검색결과데이터베이스; 회원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회원의 동의와 대응글을 받아 해당 음해성 정보에 대한 대응글을 검색결과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웹사이트게시판으로 다중으로 게시하는 푸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회원에 대한 비방 또는 음해정보를 검색하여, 발견된 음해정보에 대해 회원이 원하는 대응을 대행해 주는데, 이때 웹사이트 게시물에 등록된 비방, 음해성 정보에 대해 쉽게 대응하는 글에 대한 업로드를 대행시켜 조기에 이에 대한 해명을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435호(2009.01.09 공개)는 인터넷 사용자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은 글에 단독 자/모음으로 이용하여 이모티콘화된 등록 차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모티콘화된 등록 차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글의 등록을 차단함으로써, 일반적인 단어 형태의 악성 댓글뿐만 아니라 이모티콘화한 악성 댓글의 등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악성 댓글 등록 차단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글의 등록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은 글에 일반적인 단어 형태의 등록 차단어뿐만 아니라, 한 줄에 들어갈 수 있는 글자 바이트 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이모티콘화한 문자로 표현된 등록 차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되, 등록을 요청받은 글의 각 줄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단독 자음, 단독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단독 자음, 단독 모음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독 자음, 단독 모음의 앞뒤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하고, 새로 생성된 음절로 이루어지는 문장에 등록 차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등록 차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글에 대해서는 등록을 차단하는 악성 댓글 차단부와, 등록 차단어를 저장하고 있는 등록 차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대중이 자신의 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게시되더라도 이에 대해서 어떻게 삭제하는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삭제하는 방법을 알더라도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을 경우, 이것을 일일이 검색하여 적발해 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도 많았으며, 또한 인터넷상에서 주홍 글씨가 찍힌 채로, 언제 끝날지 모를 기간(게시물의 삭제에 대한 기약) 동안 계속해서 심적 고통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타인에 의해 자신의 명예가 훼손되는 게시물에 대하여 검색하고, 삭제하고, 조치하는 등의 일련의 활동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945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4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색로봇과 합성어 필터링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전송하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주기적으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넷상 게시글을 검색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하며, 추출된 글을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보관해 주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저장해 주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 및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부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입력수단을 통한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과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를 포함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은,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 개인특정요소정보,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 및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 증빙자료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명예훼손요소정보를 명예 훼손의 정보에 따라 등급별로 미리 분류시켜 필터링데이터로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특정요소정보와 명예훼손요소정보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추출된 명예 훼손 게시물의 위치와 내용을 명예 훼손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1등급으로 분류하며,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2등급으로 분류하며, 욕설 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를 3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등급표 또는 횟수에 따라 정렬한 후에, 명예 훼손 여부에 대한 정밀 필터링을 거쳐 명예 훼손 게시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명예 훼손 게시물을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로 전송시켜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를 통한 모니터 상으로 보고하도록 하거나, 상기 회원용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보류 요청, 삭제 요청, 신고 및 고소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고발 요청에 해당하는 내용과 유사한 단어 및 어구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명예 훼손을 기준으로 하는 세 가지 요소로 욕설과 비방, 개인의 특정, 사건으로 하며, 중심어구의 검색과,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의 분석과, 부정적 단어 검색으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중심어구 검색의 경우, 욕설과 비방행위, 허위사실 또는 명예훼손에 해당하는 중심어구를, 개인을 특정 짓는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 분석의 경우, 주어, 부정적 단어, 부정어의 결합 시에 명예 훼손 어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주어, 부정적 단어, 긍정어의 결합 시에 명예 훼손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부정적 단어의 경우, 절도, 도둑질, 성추행, 죽었어, 재수 없어, 똥, 유출, 몰상식이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시에, 포털의 경우, 해당 고객센터에 증빙자료와 함께 자동으로 민원을 제기하도록 하며, 개인 사이트의 경우, 도메인 검색 후에 사이트 소유주, 호스팅업체에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내용증명을 자동 발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근거로 발송서식을 작성하여, 작성된 발송서식을 포함한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삭제 요청에 따른 인터넷상의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도메인전산원을 통하여 자동으로 검색한 후에, 관리자에게 정형화된 발송서식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내용증명 발송을 수행하고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도메인전산원의 자료를 매칭하여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를 통보할 관리자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전송한 후에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재검색하며,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지 않은 경우에 게시물삭제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리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기 설정해 둔 주기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이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회원용단말기로부터 고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발송서식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자동으로 고소서식을 작성하고, 작성된 고소서식을 포함한 고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련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고소 요청 시에, 정형화된 고소서식에 따라 소장을 작성하여 증거자료를 첨부하여 소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관리자에게 명예 훼손 글에 대한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기 위한 발송서식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민사 또는 형사적 고소장을 정형화된 서식으로 발송하기 위한 고소서식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한 정보나, 개인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수록한 개인특정요소 데이터베이스와, 명예 훼손을 예상할 수 있는 단어나 어구, 단어나 어구에 대한 기본형 또는 파생어에 대한 정보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부정적 어구 및 단어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원용단말기는, 입력수단을 통한 고소 요청을 확인하여 고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회원용단말기로부터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전달받아 회원용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회원용단말기로부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검색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SNS에 접속하여, 인터넷 또는 SNS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검색해 주면서, 추출 제어에 따라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해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에서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회원등록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 전달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에서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며, 개인특정요소정보와 필터링데이터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검색하도록 제어하며,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검색로봇모듈; 및 상기 검색로봇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추출 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분류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회원용단말기가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상기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회원용단말기가 상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회원용단말기가 입력수단을 통한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과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상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주기적으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 및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넷상 게시글을 검색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추출된 글을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 및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저장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검색로봇과 합성어 필터링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타인에 의해 자신의 명예가 훼손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게시되는 경우나, 이러한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경우에도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삭제하고, 조치하는 등의 일련의 활동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인터넷상에서 주홍 글씨가 찍힌 채로, 언제 끝날지 모를 기간(게시물의 삭제에 대한 기약) 동안 계속해서 심적 고통을 당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100)은,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 데이터베이스(120),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130),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회원가입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준 후에,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해 주며,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특정화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준 후에, 주기적(또는, 회원이 지정한 기간 단위)으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각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검색로봇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판독된 개인특정요소정보와 필터링데이터를 합성한 후에,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하며, 해당 추출된 글을 해당 판독한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해당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즉, 명예 훼손 게시물)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보관시켜, 추후에 동일 게시물에 대한 검색로봇의 빠른 검색을 수행하도록 해 주며, 반면에 해당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조문과 단어의 일치성을 검색하여 검색로봇의 검색결과 대상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저장시켜, 추후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켜 주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의 개인특정요소 데이터베이스와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등록되어 있는 개인특정요소정보와 명예훼손요소정보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하는 명예 훼손 자동 검색 로봇(즉, 검색로봇)을 탑재한 다수의 검색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다수 개의 검색로봇을 이용하여 인터넷, SNS 등에서 다수 회원 개개인의 명예 훼손이 의심되는 글들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검색로봇에 의해 검색되어 추출된 명예 훼손 게시물의 위치와 내용을 명예 훼손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저장서버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예를 들어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의 필터링 단어)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5개)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 부모가 지칭되어 있는 경우, 성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을 1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의뢰인(즉,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을 2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욕설 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 등을 3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검색로봇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등급표 또는 횟수에 따라 정렬해 줄 수 있으며, 이때 명예 훼손 여부에 대한 정밀 필터링을 거쳐 명예 훼손 글(즉, 명예 훼손 게시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저장서버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결과물(즉, 명예 훼손 게시물)을 서버운용자(또는 정보주체)용 통신단말기(예를 들어, PC 등)로 전송시켜, 해당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를 통한 모니터 상으로 보고하도록 하거나,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한 후에,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보류 요청, 삭제 요청, 신고 및 고소 요청 등과 같은 회원(즉, 고객)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는 웹서버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고발 요청에 해당하는 내용과 유사한 단어 및 어구를 검색하는 검색로봇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명예 훼손을 기준으로 하는 세 가지 요소로 욕설과 비방, 개인의 특정, 사건을 둘 수 있는데, 검색로봇을 통한 검색 시에 중심어구의 검색과,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의 분석과, 부정적 단어 검색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중심어구 검색의 경우, 욕설과 비방행위뿐만 아니라, 허위사실 또는 명예훼손에 해당하는 중심어구를, 개인을 특정 짓는 데이터베이스(즉, 개인특정요소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함으로써, 실질적인 명예 훼손을 다각적으로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천에 사는 홍길동이, 아동학대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를 했다는 허위사실이 널리 유포되는 경우, 중심어구는 아동학대이고, 개인을 특정 짓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로는 인천, 홍길동이 된다.
두 번째,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 분석의 경우, 주어, 부정적 단어, 부정어의 결합 시에 명예 훼손 어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며, 주어, 부정적 단어, 긍정어의 결합 시에 명예 훼손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은 친일파 아니다(또는, 아님, 아니요, 아니거든, 아니지 등)의 부정어가 있는 경우에 명예 훼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면에 홍길동이라는 인물의 명예 훼손을 예시해 보면 다음과 같은 어구가 있는데, 홍길동은 친일파이다(또는, 임, 입니다, 이거든요, 요, 지요, 맞지요 등)의 긍정어가 있는 경우에 명예 훼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 부정적 단어의 경우, 예를 들어 절도, 도둑질, 성추행, 죽었어, 재수 없어, 똥, 유출, 몰상식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시에, 포털의 경우, 해당 고객센터에 증빙자료와 함께 자동으로 민원을 제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개인 사이트의 경우, 도메인 검색 후에 사이트 소유주, 호스팅업체에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내용증명을 자동 발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근거로 발송서식을 작성하여 해당 작성된 발송서식을 포함한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를 요청함과 동시에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삭제 요청에 따른 인터넷상의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도메인전산원(예를 들어, 한국인터넷전산원)을 통하여 자동으로 검색한 후에, 관리자에게 정형화된 발송서식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내용증명 발송을 수행하고 이를 기록하는 발송서버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도메인전산원의 자료를 매칭하여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를 요청함과 동시에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보할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의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전송한 후에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재검색하며, 이때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지 않은 경우에 다시 삭제를 요청하기 위한 게시물삭제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에게 발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기 설정해 둔 주기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이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재요청서버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고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고소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발송서식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자동으로 고소서식을 작성하여 해당 작성된 고소서식을 포함한 고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련 기관(예를 들어, 법원, 관할경찰서 등)으로 전송함으로써, 회원에게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명예 훼손을 방지하여 올바른 인터넷 문화를 정착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고소 요청 시에, 정형화된 고소서식에 따라 소장을 작성하여 증거자료(예를 들어, 화면 내용, 도메인 소유 관계, 게시물의 주소 등)를 첨부하여 소장을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관련정보(예를 들어, 회원아이디 및 회원패스워드,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개인을 특정화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개인특정요소정보(예를 들어, 이름, 별명, 직업, 나이, 고향, 학교 등의 개인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명예 훼손에 관련된 단어, 어구 등에 해당하는 명예훼손요소정보(예를 들어, 욕설, 위협, 선정적 단어, 비속어의 표준형 또는 변형어, 부정적 단어 등)를 명예 훼손의 정보에 따라 등급별로 미리 분류시켜 필터링데이터로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 및 해당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명예 훼손 글의 내용,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적시한 인터넷상의 주소, 도메인 검색결과에 따른 도메인의 소유주 정보 등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아 증빙자료로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명예 훼손 글이 적시된 게시물을 관리 및 운용하는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인터넷 명예 훼손을 방지해야 할 책임이 있는 책임자)에게 명예 훼손 글에 대한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자동으로 발송하기 위한 발송서식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민사 또는 형사적 고소장을 정형화된 서식으로 발송하기 위한 고소서식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개인의 이름, 직업, 거주지 등과 같이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한 정보나, 개인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수록한 개인특정요소 데이터베이스와, 명예 훼손을 예상할 수 있는 단어나 어구, 단어나 어구에 대한 기본형 또는 파생어 등에 대한 정보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부정적 어구 및 단어들 등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회원용단말기(130)는,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노트북, PC 등과 같은 통신 가능 단말기나,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의뢰인(즉, 회원)이 키패드,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회원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회원아이디 및 회원패스워드,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를 입력하고,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사전에 동의와 위임을 수행하기 위한 동의 및 위임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회원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입력된 회원관련정보과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요청신호(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 전송한 후에,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LC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며, 회원이 입력수단을 통해 회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 정보(예를 들어, 이름, 별명, 직업, 나이, 고향, 학교 등의 개인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개인특정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포함한 개인특정화요청신호(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용단말기(130)는, 민사 또는 형사적 고소장을 정형화된 서식으로 발송하기 위해서, 의뢰인(즉, 회원)이 입력수단을 통해 고소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고소요청신호(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와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130)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와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13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100)은, 검색로봇과 합성어 필터링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을 방지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타인에 의해 자신의 명예가 훼손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게시되는 경우나, 이러한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게시물이 인터넷상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경우에도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삭제하고, 조치하는 등의 일련의 활동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인터넷상에서 주홍 글씨가 찍힌 채로, 언제 끝날지 모를 기간(게시물의 삭제에 대한 기약) 동안 계속해서 심적 고통을 당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인터페이스모듈(111), 회원등록모듈(112),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113), 검색로봇모듈(114), 분류저장모듈(115)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모듈(111)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13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해 준다. 이때, 인터페이스모듈(111)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접속되는 회원용단말기(130)가 정당한 단말기인지의 여부(예를 들어, 회원아이디 및 회원패스워드의 일치 여부, 비용 결제 여부 등)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회원용단말기(130)가 정당한 단말기인 경우에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회원가입요청신호를 회원등록모듈(112)로 전달해 주며,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113)로부터 전달되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113)에서 확인된 회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해 준 후에,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113)로 전달해 주며, 검색로봇모듈(114)의 검색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인터넷 또는 SNS 등에 접속하여, 인터넷 또는 SNS 등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검색해 주면서, 검색로봇모듈(114)의 추출 제어에 따라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해서 검색로봇모듈(114)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용단말기(130)가 정당한 단말기인지의 여부(예를 들어,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 비용 결제 여부 등)를 자동으로 인증받기 위한 자동 로그인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140)를 통해 전송한 경우에, 인터페이스모듈(111)은,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자동 로그인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정당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인증한 후에 인증 완료를 회원용단말기(130)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모듈(111)은, 회원등록모듈(112)로부터 전달되는 회원등록완료신호를 회원등록모듈(112)에서 확인된 회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회원등록모듈(112)은, 인터페이스모듈(111)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등록모듈(112)은, 회원 등록이 완료된 후에 회원등록완료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모듈(111)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113)은,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회원식별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판독한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인터페이스모듈(111)로 전달해 준 후에, 인터페이스모듈(111)로부터 전달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준다.
검색로봇모듈(114)은, 주기적(또는, 회원이 지정한 기간 단위)으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각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된 개인특정요소정보와 필터링데이터를 합성한 후에,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검색하도록 제어하며,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해당 추출된 글을 인터페이스모듈(111)로부터 전달받아 분류저장모듈(115)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로봇모듈(114)은, 데이터베이스(120)의 개인특정요소 데이터베이스와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등록되어 있는 개인특정요소정보와 명예훼손요소정보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인터넷, SNS 등에서 다수 회원 개개인의 명예 훼손이 의심되는 글들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로봇모듈(114)은,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고발 요청에 해당하는 내용과 유사한 단어 및 어구를 검색할 수 있다.
분류저장모듈(115)은, 검색로봇모듈(114)로부터 전달되는 추출 글을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판독한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해당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즉, 명예 훼손 게시물)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보관시켜, 추후에 동일 게시물에 대한 검색로봇의 빠른 검색을 수행하도록 해 주며, 반면에 해당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조문과 단어의 일치성을 검색하여 검색로봇의 검색결과 대상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저장시켜, 추후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켜 주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분류저장모듈(115)은, 검색로봇모듈(114)에서 검색 추출한 명예 훼손 게시물의 위치와 내용을 명예 훼손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류저장모듈(115)은, 검색로봇모듈(114)에서 검색 추출한 글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예를 들어 명예훼손요소 데이터베이스의 필터링 단어)와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5개)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 부모가 지칭되어 있는 경우, 성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을 1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의뢰인(즉,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을 2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욕설 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 등을 3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류저장모듈(115)은, 검색로봇모듈(114)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등급표 또는 횟수에 따라 정렬해 줄 수 있으며, 이때 명예 훼손 여부에 대한 정밀 필터링을 거쳐 명예 훼손 글(즉, 명예 훼손 게시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류저장모듈(115)은,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 결과물(즉, 명예 훼손 게시물)을 서버운용자(또는 정보주체)용 통신단말기(예를 들어, PC 등)로 전송시켜, 해당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를 통한 모니터 상으로 보고하도록 하거나,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한 후에,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보류 요청, 삭제 요청, 신고 및 고소 요청 등과 같은 회원(즉, 고객)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삭제요청모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요청모듈(116)은,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 시에, 포털의 경우,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해당 고객센터에 증빙자료와 함께 자동으로 민원을 제기하도록 해 주며, 또한 개인 사이트의 경우,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도메인 검색 후에 사이트 소유주, 호스팅업체에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내용증명을 자동 발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삭제요청모듈(116)은,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근거로 발송서식을 작성하여 해당 작성된 발송서식을 포함한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를 요청함과 동시에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삭제요청모듈(116)은, 삭제 요청에 따른 인터넷상의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도메인전산원(예를 들어, 한국인터넷전산원)로부터 자동으로 검색한 후에, 관리자에게 정형화된 발송서식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내용증명 발송을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수행하고 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삭제요청모듈(116)은, 도메인전산원의 자료를 매칭하여 내용증명,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을 통보할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의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를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삭제요청모듈(116)은,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전송한 후에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다음에,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었는지의 여부를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재검색하도록 하며, 이때 해당 명예 훼손 게시물이 삭제되지 않은 경우에 다시 삭제를 요청하기 위한 게시물삭제재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관리자(또는, 운용자나 책임자)에게 발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삭제요청모듈(116)은, 기 설정해 둔 주기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요청이 이루어져 있는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고소요청모듈(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소요청모듈(117)은,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전송되는 고소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고소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발송서식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는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자동으로 고소서식을 작성하여 해당 작성된 고소서식을 포함한 고소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모듈(111)을 통해 관련 기관(예를 들어, 법원, 관할경찰서 등)으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소요청모듈(117)은, 고소 요청 시에, 정형화된 고소서식에 따라 소장을 작성하여 증거자료(예를 들어, 화면 내용, 도메인 소유 관계, 게시물의 주소 등)를 첨부하여 소장을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인터넷 명예 훼손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전용의 검색로봇모듈(114)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것을 시작으로, 삭제요청모듈(116)을 통해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게시글을 삭제 요청하고, 삭제 여부를 검사하는 것까지 모든 것을 자동화시켜 개인과 단체의 인격권을 보호함으로써, 건전한 인터넷 문화의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는, 검색로봇기술에 기반으로 한 검색로봇모듈(114)을 이용하여, 비속어, 비속어의 파생어, 개인을 특정 지을 수 있는 특징 등을 합성시켜 자동으로 인터넷상을 빠른 속도로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과거, 현재, 미래의 명예 훼손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추출 및 삭제를 위한 활동, 명예 훼손 글의 재생산 방지를 위한 민사 형사상의 출력물의 작성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노트북, PC 등과 같은 통신 가능 단말기나,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인 회원용단말기(130)에서는, 우선 의뢰인(즉, 회원)이 키패드,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회원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회원아이디 및 회원패스워드,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를 입력하고,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사전에 동의와 위임을 수행하기 위한 동의 및 위임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회원 가입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에, 회원용단말기(13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과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해당 입력된 회원관련정보과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포함한 회원가입요청신호(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 전송하게 된다(S301).
상술한 단계 S301에서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회원가입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주게 된다(S302).
상술한 단계 S302에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등록한 다음에,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회원용단말기(130)로 전송하게 된다(S303).
상술한 단계 S303에서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회원용단말기(130)에서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LC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게 된다(S304).
상술한 단계 S304에서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준 후에, 회원이 입력수단을 통해 회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요소 정보(예를 들어, 이름, 별명, 직업, 나이, 고향, 학교 등의 개인 신상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다음에 개인특정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회원용단말기(13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 및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해당 입력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포함한 개인특정화요청신호(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켜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로 전송하게 된다(S305).
상술한 단계 S305에서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회원용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개인특정화요청신호에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단말식별정보(또는, 회원식별정보)별로 해당 확인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해 주게 된다(S306).
상술한 단계 S306에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등록한 다음에,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주기적(또는, 회원이 지정한 기간 단위)으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각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검색로봇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판독된 개인특정요소정보와 필터링데이터를 합성한 후에,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즉, 특정인)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하게 된다(S307).
상술한 단계 S307에서 명예 훼손 게시글을 추출한 다음에,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7에서 추출한 명예 훼손 게시글을 상술한 단계 S307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이때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즉, 명예 훼손 게시물)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308).
상술한 단계 S308에서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즉, 명예 훼손 게시물)인 경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즉, 명예 훼손 게시물)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보관시켜, 추후에 동일 게시물에 대한 검색로봇의 빠른 검색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S309).
상술한 단계 S308에서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인 경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110)에서는, 조문과 단어의 일치성을 검색하여 검색로봇의 검색결과 대상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120)의 별도 저장영역에 저장시켜, 추후 검색의 속도를 향상시켜 주도록 해 준다(S31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110: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
111: 인터페이스모듈
112: 회원등록모듈
113: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
114: 검색로봇모듈
115: 분류저장모듈
116: 삭제요청모듈
117: 고소요청모듈
120: 데이터베이스
130: 회원용단말기
140: 네트워크

Claims (10)

  1.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전송하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주기적으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넷상 게시글을 검색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하며, 추출된 글을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보관해 주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저장해 주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한 후에,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부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입력수단을 통한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과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회원용단말기; 및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 개인특정요소정보,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 및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 증빙자료를 회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명예훼손요소정보를 명예 훼손의 정보에 따라 등급별로 미리 분류시켜 필터링데이터로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1등급으로 분류하며,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2등급으로 분류하며, 욕설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를 3등급으로 분류하며, 명예 훼손을 기준으로 하는 세 가지 요소로 욕설과 비방, 개인의 특정, 사건으로 하며, 중심어구의 검색과,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의 분석과, 부정적 단어 검색으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특정요소정보와 명예훼손요소정보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추출된 명예 훼손 게시물의 위치와 내용을 명예 훼손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1등급으로 분류하며,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2등급으로 분류하며, 욕설 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를 3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명예 훼손 게시물을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로 전송시켜 서버운용자용 통신단말기를 통한 모니터 상으로 보고하도록 하거나, 상기 회원용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보류 요청, 삭제 요청, 신고 및 고소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발송서식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근거로 발송서식을 작성하여, 작성된 발송서식을 포함한 게시물삭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는,
    삭제 요청에 따른 인터넷상의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관리자의 인적사항을 도메인전산원을 통하여 자동으로 검색한 후에, 관리자에게 정형화된 발송서식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 요청 이메일 문자메시지, 내용증명 발송을 수행하고 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9. 회원용단말기로부터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전달받아 회원용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회원용단말기로부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검색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SNS에 접속하여, 인터넷 또는 SNS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검색해 주면서, 추출 제어에 따라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해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회원가입요청신호에서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회원등록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둔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 전달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달되는 개인특정화요청신호에서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개인특정요소등록모듈;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며, 개인특정요소정보와 필터링데이터를 합성해서, 인터넷상에 개재되어 있는 글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검색하도록 제어하며, 국어학에서의 문법적 요소를 고려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검색로봇모듈; 및
    상기 검색로봇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추출 글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분류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으로 하되,
    상기 분류저장모듈이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1등급으로 분류하며,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2등급으로 분류하며, 욕설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를 3등급으로 분류하며, 명예 훼손을 기준으로 하는 세 가지 요소로 욕설과 비방, 개인의 특정, 사건으로 하며, 중심어구의 검색과,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의 분석과, 부정적 단어 검색으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
  10. 회원용단말기가 입력수단을 통한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의 입력과, 회원 가입 요청을 확인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상기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회원관련정보와 동의 및 위임 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회원관련정보 및 동의 및 위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회원용단말기가 상기 개인특정화화면정보를 수신받아 개인특정화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회원용단말기가 입력수단을 통한 개인특정요소정보의 입력과 개인특정화 요청을 확인하여,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상기 개인특정화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회원식별정보 및 개인특정요소정보를 확인하여 회원식별정보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주기적으로 각 회원별로 개인특정요소정보 및 필터링데이터를 판독하여, 인터넷상 게시글을 검색해서 회원의 명예 훼손에 해당하는 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추출된 글을 필터링데이터를 기반으로 명예 훼손의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판별 분류해 주며, 명예 훼손으로 판별 분류된 데이터 및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판별 분류된 데이터를 회원식별정보별로 저장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서버가 인터넷상에서 추출된 글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필터링데이터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1등급으로 분류하며, 회원의 요구에 의한 명예 훼손을 적시하는 중심어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2등급으로 분류하며, 욕설필터링 단어가 1개 들어간 경우를 3등급으로 분류하며, 명예 훼손을 기준으로 하는 세 가지 요소로 욕설과 비방, 개인의 특정, 사건으로 하며, 중심어구의 검색과, 언어적 특징 중 문법에 있어서의 명예 훼손의 분석과, 부정적 단어 검색으로 명예 훼손 게시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방법.
KR1020150119870A 2015-08-25 2015-08-25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68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70A KR101680485B1 (ko) 2015-08-25 2015-08-25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70A KR101680485B1 (ko) 2015-08-25 2015-08-25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485B1 true KR101680485B1 (ko) 2016-11-28

Family

ID=5770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70A KR101680485B1 (ko) 2015-08-25 2015-08-25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4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405A (ja) * 2002-08-01 200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Webページの風評情報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405A (ja) * 2002-08-01 200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Webページの風評情報抽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837B2 (en) Containing disinformation spread using customizable intelligence channels
Gangadharan The downside of digital inclusion: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privacy and surveillance among marginal Internet users
US9942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nd searching social networking media
KR10120954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모임 생성, 관리 및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9729590B2 (en) Digital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esigned for school communities
Bhardwaj et al. Impact of social networking on Indian youth-A survey
Taylor The privatization of human rights: Illusions of consent, automation and neutrality
WO2020163508A1 (en) Containing disinformation spread using customizable intelligence channels
CN102811177A (zh) 网络信息的分享方法及系统
JP6572218B2 (ja) 危険検出装置、危険検出方法、及び危険検出プログラム
Jain et al. Call me maybe: Understanding nature and risks of sharing mobile number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1680485B1 (ko) 인터넷 명예훼손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06118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managing and evaluating a meeting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Oakley et al. Safeguarding children who are exposed to abuse linked to faith or belief
US20130339332A1 (en) News reporting system
Donoso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afer Social Networking Principles for the EU. Individual reports of testing of 14 social networking sites
Årnes et al. Social network services and privacy
WO2014185981A2 (en) Digital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esigned for school communities
TRUE CHAPTER FOUR TOO GOOD TO BE TRUE. A DISCOURSE ANALYSIS OF THE AUSTRALIAN ONLINE SCAM PREVENTION WEBSITE MARIA CRISTINA AIEZZA
JP70647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arfinkel et al. Non-breach privacy events
JP6778224B2 (ja) アンケート調査方法
Tantothai et al. mipMAP: A mobile application for proximate social network communication
JP6508842B2 (ja) 情報追跡装置、情報追跡方法および情報追跡プログラム
Ferro et al.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What Matrimonial Lawyers and Computer Forensics Need to Kn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