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999A -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999A
KR20030040999A KR1020010071704A KR20010071704A KR20030040999A KR 20030040999 A KR20030040999 A KR 20030040999A KR 1020010071704 A KR1020010071704 A KR 1020010071704A KR 20010071704 A KR20010071704 A KR 20010071704A KR 20030040999 A KR20030040999 A KR 2003004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electronic
card
mobile phone
electronic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0999A/ko
Publication of KR2003004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9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에는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화면과 전자명함의 생성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전자명함을 전송하고 전송받은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구비된다. 생성된 전자명함에는 이름을 비롯하여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명함의 포맷도 포함되므로 기존의 전화번호부와는 달리 하나의 양식을 가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함을 관리하는 것처럼 상대방의 전자명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 Method for transferring electronic name card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번호부 대신 전자명함을 구성하여 상대방이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시 전자명함을 즉시 전송하여 상대방이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에 대해서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전화번호부에서는 도 1a에서 보듯이 전화부입력을 통하여 전화부 이름을 생성한다. 전화부에 사용될 이름과, 이 이름이 속할 그룹(친구, 가족, 친지 등), 휴대폰의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이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을 통하여 생성된 이름은 도 1b처럼 해당 그룹에서 이름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전화부 입력화면에서 "홍길동"이라는 이름으로 전화부이름을 생성하고 이를 "친구"라는 그룹으로 지정하였다면 친구라는 그룹에 홍길동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전화번호부를 사용하여 기존의 전화번호부를 사용하여 상대편에게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려면 전화번호부를 전부다 전송해야만 하였다. 왜냐하면 전화번호부에 들어있는 정보들(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상대방에게 패킷단위로 전송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전화번호부를 사용한다면 기존에 상대방과 통화를 진행 중에있을 경우 상대방이 자신의 신상정보를 필요로 할 때 일일이 불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상대방측도 본인이 관리를 잘하지 않으면 전송받은 전화번호부를 몽땅 잊어버리거나 메모용지에 적어놓을 경우 이를 분실하면 그 또한 쓸모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번호부를 대신하는 전자명함을 구성하여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패킷방식으로 전송하여 상대방측에서도 추가작업을 할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명함을 선택적으로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전송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방법에 따른 휴대전화기상에서 전화번호부를 구성하는 화면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명함을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축키버튼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명함을 다른 휴대전화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명함을 작성하는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전자명함을 보여주고, 도 7b는 송시자로부터 전송받거나 생성된 타 전자명함의 실제예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에 전자명함메뉴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전화번호부를 대신하여 전자명함을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휴대전화기에는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설정화면과 전자명함의 생성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전자명함을 전송하고 전송받은 전자명함을 데이터베이스에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구비된다. 생성된 전자명함에는 이름을 비롯하여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명함의 포맷도 포함되므로 기존의 전화번호부와는 달리 하나의 양식을 가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함을 관리하는 것처럼 상대방의 전자명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해서 휴대전화기의 블럭 구성도에는 제어부(200), 키패드(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부(230), 오디오변환부(240), 무선회로부(250) 등으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0)는 휴대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일반적인 이동통신 통화를 위한 동작 이외에 전자명함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과 전자명함을 전송하거나 수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명함을 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화면을 제공하고 이 입력화면에서 해당 데이터가 기입되면 전자명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되어 메모리부(230)에 저장된다.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자명함이 상대방에 전송되도록 사용자에게 선택과 전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이 메뉴에서 사용자의 선택과 지정에 의하여 해당 하는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명함의 전송을 간편하고 빠르게 하기위하여 키패드(210)에 구비된단축키버튼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키패드(210)는 기능 키버튼과 일반 키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는 전화번호부를 대신하는 전자명함을 구성하도록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과 전자명함을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한 키버튼,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축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전자명함을 구성하기 위한 세부사항의 입력화면을 보여주는 데, 이에는 이름,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세부사항을 기입하도록 하는 입력화면이 사용자의 입력으로 완성되면 생성된 전자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전자명함의 작성화면 뿐만 아니라 기 존재하는 전자명함을 수성하기 위한 수정화면,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하는 전송화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220)는 제어부(200)에 의해 처리된 전자명함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전자명함을 완성하기 위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받은 전자명함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하여 구성된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과 전자명함을 상대방측에 빨리 전송하기 위한 단축키버튼의 설정정보 등도 저장한다.
오디오변환부(240)는 마이크를 통하여 들어오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음성데이터로 메모리부(22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성데이터 또는 음성통화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무선회로부(250)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다른 전화기에 전화통화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대편의 요처에 의하여 해당 전자명함을 패킷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상대방으로부터 전자명함을 수신 받아 제어부에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명함을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자신의 또는 다른 사람의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명함을 생성하게 된다(단계 S300).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양식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전자명함에 들어갈 이름, 직장, 휴대폰의 전화번호, 집전화번호 등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인 전화번호나 메일계정 등을 항목추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양식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기입하여 완료하면 휴대전화기는 작성된 명함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10). 완성된 전자명함에 대한 예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a는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b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받은 타 전자명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자명함의 작성과정이 완료하거나 타 휴대전화기로부터 전송받으면 휴대전화기는 사용자의 확인여부가 진행되어 저장하는 명령이 있으면 해당 하는 전자명함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20).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축키버튼을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경우, 이러한 단축키버튼을 사용할 수 있는 데, 우선 자신을 위한 전자명함이 생성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어야만 한다.
보통 휴대전화기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상대방으로부터 요청이 없으면 명령을 기다리는 대기모드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대기모드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전송을 위한 단축키버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00). 확인결과, 전송을 단축키버튼이 선택되지 않는다면 휴대전화기는 계속 대기모드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하여 단축키버튼이 선택된다면 휴대전화기에 있는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단계 S410). 전송되는 전자명함에는 이름을 비롯하여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포함되며 여기에 도 7a와 도 7b에서 보인 것처럼 테두리선도 일정한 무늬형식을 가지게 되는데 이 또한 전송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명함을 다른 휴대전화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기존에는 상기 종래기술에서 기술한 것처럼 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이름, 그룹을 관리하였다. 그러나 제기된 문제점과 같이 다른 휴대전화기에 특정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부전체를 전송하거나 해당되는 항목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성으로 상대방에 알려주는 수밖에 없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를 대신하여 명함을 관리하는 전자명함메뉴를 구성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는 전자명함메뉴에는 해당하는 사람의 전자명함을 빨리 찾기 위한 스피드(speed)찾기, 이름으로찾기, 전화번호로 찾기, 그리고 전자명함을 작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내명함:작성, 수정,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한 명함전송, 기 작성된 전자명함을 편집하기 위한 명함편집 등이 있게 되다.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전자명함메뉴(800)가 선택된다(단계 S500). 이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전자명함메뉴에 있는 항목들을 보여주는 화면(810)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화면(810)에서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명함전송을 선택하면 휴대전화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출력한다(단계 S510). 이 화면에서 전송하고자할 이름을 키패드에 있는 "↑"와 "↓"(820)의 표시를 가진 키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면 이에 연결된 전자명함이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름을 선택하고(단계 S520), 이 전자명함을 받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530).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선택된 전자명함을 전송명령을 실행한다. 즉, 키패드에 있는 "←"(820)의 표시를 가진 키버튼을 눌러 실행하면 휴대전화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자명함의 데이터를 수신자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540). 전송되는 전자명함에는 이름을 비롯하여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포함되며 여기에 도 7a와 도 7b에서 보인 것처럼 테두리선도 일정한 무늬형식을 가지게 되는데 이 또한 전송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명함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이를 휴대전화기로 주고받아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주고받는 명함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전화번호부를 대신하는 전자명함을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서 관리 및 효용도가 증가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명함을 선택적으로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전송하는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해진데 있다.

Claims (4)

  1. 전자명함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지면 전자명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자명함이 선택되면 사용자의 선택과 지정에 의하여 해당 하는 전자명함을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전송하는 제어부와,
    전자명함을 구성하도록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과 전자명함을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한 키버튼,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축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와,
    전자명함을 완성하기 위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전송된 전자명함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하며,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하여 구성된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과 전자명함을 상대방측에 빨리 전송하기 위한 단축키버튼의 설정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명함을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
  2. 전자명함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입력화면에서 이름, 직장, 휴대폰의 전화번호, 집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입력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작성된 명함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사용자에 의하여 확인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상기 전자명함을 이루는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명함을 전송하기 위한 단축키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단축키버튼이 선택된다면 상기 전자명함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에서 전자명함을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단계에는,
    전자명함메뉴에서 상기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명함전송을 선택하면 휴대전화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이 화면에서 이름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이름이 선택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상기 전자명함을 받을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전화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휴대전화기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자명함의 데이터를 수신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기에서 전자명함을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에는 이름을 비롯하여 회사, 팀, 전화번호, 이메일, 테두리선 등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에서 전자명함을 구성하고 전송할 수 있는 방법.
KR1020010071704A 2001-11-19 2001-11-19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KR20030040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04A KR20030040999A (ko) 2001-11-19 2001-11-19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704A KR20030040999A (ko) 2001-11-19 2001-11-19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999A true KR20030040999A (ko) 2003-05-23

Family

ID=2957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704A KR20030040999A (ko) 2001-11-19 2001-11-19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09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25B1 (ko) * 2003-06-10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WO2016006967A1 (ko) * 2014-07-11 2016-01-14 이찬석 전자 명함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25B1 (ko) * 2003-06-10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WO2016006967A1 (ko) * 2014-07-11 2016-01-14 이찬석 전자 명함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7721B2 (ja) 電子機器と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709377B2 (ja) 名刺代行機能搭載携帯電話機
JP2002208993A (ja) 携帯電話機
KR20010049037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명함 관리 방법
KR20030040999A (ko)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JP2004032056A (ja) 携帯端末装置
JPH0964959A (ja) 携帯端末
JP2000201234A (ja) 通話端末利用環境設定方法及び装置
JP6092734B2 (ja) 通信機器
KR20030049670A (ko) 사진을 편집하여 포토메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JP2007109119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2002027037A (ja) 携帯電話の送受信システム
KR100603809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데이터의 전송 시스템
KR20010100592A (ko) 전자명함
JP2003244283A (ja) 端末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4884514B2 (ja) 電子機器と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4006164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분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JP4813317B2 (ja) 携帯端末、装飾設定方法及び装飾設定プログラム
JP2004088479A (ja) 通信端末装置
JP3501600B2 (ja) 電話機におけるファンクション機能の設定方法
KR200385339Y1 (ko) 송수화기 및 그 송수화기를 구비한 유선전화기
JP4605114B2 (ja) 携帯情報端末
KR20000054542A (ko) 웹 브라우저 명함
JP5120160B2 (ja) 通信端末、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特定機能簡単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