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625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625B1
KR100970625B1 KR1020030037118A KR20030037118A KR100970625B1 KR 100970625 B1 KR100970625 B1 KR 100970625B1 KR 1020030037118 A KR1020030037118 A KR 1020030037118A KR 20030037118 A KR20030037118 A KR 20030037118A KR 100970625 B1 KR100970625 B1 KR 10097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signal
picture card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952A (ko
Inventor
윤승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62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진명함 관리방법은,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의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기에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진명함을 입수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신호 수신시 상기 사진명함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 단말기, 호접속신호, 발신, 수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A Photo-Card Using Method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호접속신호 수신시 발신자의 정보를 보여주는 과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제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단말기 110..........사용자인터페이스
112..........신호입력부 114..........표시부
115..........시스템명령부 117..........송수신부
118..........메모리 119..........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단말기와 의 교신을 통하여 사진명함을 입수하고, 그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신호 수신시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호접속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Caller ID Service)가 단말기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토대로 단말기의 주소록에 있는 발신자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정보를 호접속신호의 수신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이때 검색되는 발신자의 정보는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캐릭터, 명함, 음성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고 인터넷 등과의 접속을 통하여 캐릭터나 명함등을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법에 의한 정보의 수집과 저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은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호접속신호의 수신시 사용자에게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제공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단말기는 발신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포함된 발신자의 정보를 디코딩하게 된다(제 10 단계, 제 12 단계).
제어부는 디코딩된 발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토대로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의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제 14 단계).
메모리에 발신단말기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발신자의 정보 즉, 발신자의 이름이나, 캐릭터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제 16 단계). 저장된 정보가 음성정보인 경우에는 벨소리를 저장된 벨소리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8 단계).
한편, 메모리에 저장된 발신 단말기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의 벨소리를 들려주고,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 하게 된다(제 20 단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발신단말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통화여부를 선택하게 된다(제 22 단계).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는 새로운 호접속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제 24 단계, 제 26 단계).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최근에는 단말기에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되어 명함사진을 제작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사진명함을 입수하기 위해서는 주소록에 수작업으로 저장하거나,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명함을 입수해야 했다.
따라서, 호접속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대방에 대한 사진명함을 별도로 주소록에 저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며, 상대방을 모르는 상태에서 통화를 해야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접속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발신단말기의 사진명함을 입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축키에 의해 간편하게 사진명함을 주고받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은,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의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기에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진명함을 입수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신호 수신시 상기 사진명함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단말기의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호접속신호와 함께 수신된 상기 다른단말기의 정보를 토대로 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단계는 다른 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는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한다.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메일이 자동으로 발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는 사진명함의 요청여부를 묻는 이벤트화면의 선택필드에서 선택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수신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은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수신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은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른는 것에 의해 자동다운로드되어 단말기의 주소록에 발신단말기의 다른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은 주소록에 저장됨과 동시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다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선택필드에서의 신호를 입력하여 사진명함을 회신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 그릭고 상기 사진명함이 포함된 회신 신호를 사진명함을 요청한 단말기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포함시키는 단계는,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명함을 포함시키는 단계와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는,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연쇄해서 일거에 자동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단말기들 사이에 사진명함을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통화시에 상대방의 사진명함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만족도를 제고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제어구성도이고,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의 관리방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사진명함의 입수과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인터페이스(110)와, 사용자의 단말기(100) 조작에 따라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명령부(115)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각종의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12)와, 사용자의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시스템명령부(115)와 상호작용 하여 다양한 정보화면을 보여주는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시스템명령부(115)는 무선 교신을 수행 하는 송수신부(117)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정보 데이타들이 저장되는 메모리(118)와, 송수신 부(117) 및 메모리(118)와 상호작용 하며 단말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17)는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코딩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보내고, 다른 단말기(100`)로부터의 호접속신호 및 사진명함이 포함된 회신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또한, 호접속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 단말기(100`)의 정보 신호를 디코딩 하고, 디코딩 된 각각의 정보를 제어부로 보낸다.
제어부(119)는 디코딩된 정보들을 토대로 메모리(118)에 저장된 발신 단말기(100`)의 정보를 검색하거나, 디코딩된 정보들을 독출하여 표시부(114)로 보내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디코딩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메모리(118)에 저장하기도 한다 .
신호입력부(112)에서는 사진명함의 요청/발송/다운로드 및 저장과 관련된 다양한 신호가 입력되며, 사진명함의 관리에 관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입력부(112)의 특정키를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기능을 구비한 단축키를 누르게 되면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가 상대방 단말기로 자동 발송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호입력부에는 사진명함의 요청에 한하지 않고, 사진명함의 발송, 사진명함의 다운로드 및 저장 등의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표시부(114)에는 메모리(118)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명함의 요청, 발송, 다운로드 및 저장에 대한 이벤트를 제어부(119)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이벤트 화면 및 다양한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이벤트에는 사건을 알리는 이벤트 신호와,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선택필드가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필드에서 사진명함의 요청여부, 발송여부, 다운로드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입력을 이벤트화면의 옵션필드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술한 특정기능을 구비한 단축키를 통하여 해당기능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축키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진명함의 요청과 관련한 수개의 동작, 사진명함을 포함시킨 메시지의 발송과 관련한 수개의 동작, 사진명함의 다운로드 및 저장과 관련된 수개의 동작을 연쇄적으로 자동수행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축키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메일이 개개의 옵션필드의 선택에 의하지 않고 바로 발신 단말기(100`)로 보내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사진명함 요청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발송할 것인지의 선택과, 사진명함이 포함시키는 과정과, 사진명함의 포함된 회신 메시지의 자동발송까지를 일거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진명함이 포함된 회신메시지를 발송해야 하는 단말기(100`)에는 미리 사진명함을 제작/저장되어 있을 것이 요구된다. 사진명함은 단말기(100`)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디지털영상으로 촬영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디지털 영상이 단말기(100`)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인터넷 등에 접속시켜 해당 사진명함을 단말기(100`)에 로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진명함을 발신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주소록에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단말기(100)의 주소록은 사진명함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필드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명함이 단말기 주소록에 저장되게 되면, 이후 동일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시스템명령부(115)는 발신자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 등과 함께 주소록에 저장된 사진명함을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제어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사진명함 관리방법은 다른 단말기(100`)로부터 사진명함을 입수하는 단계와, 다른 단말기(100`)로부터 호접속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0)가 다른 단말기(100`)로부터의 호접속신호를 수신하면, 송수신부(117)는 호접속신호를 디코딩한다(제 120 단계). 제어부(119)는 호접속신호와 함께 수신된 발신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그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가 메모리(118`)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제 122 단계).
또한, 발신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단말기(100`)의 사진명함이 메모리(118`)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제 124 단계).
그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100`)의 사진명함이 메모리(118)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19)는 사진명함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 신호를 표시부(114)로 보낸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름 등의 다른 정보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제 125 단계).
제어부(119)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를 개시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26 단계). 통화가 개시된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후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27 단계, 제 128 단계). 통화가 개시되지 않거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호접속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메모리(118)에 발신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는 있으나, 사진명함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는, 발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다른 정보를 독출하여 표시부(114)로 보내게 된다(제 131 단계). 또한, 메모리에 발신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만을 디스플레이 한다.
발신 단말기(100`)의 사진명함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다른 정보를 확인하고 통화를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다른 단말기와 통화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제어부(119)는 통화개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제 133 단계).
또한 통화가 개시되는 경우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37 단계). 통화개시가 선택되지 않거나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 는, 새로운 호접속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발신 단말기(100`)에 대한 다른 정보가 없거나 사진명함이 저장되지 않은 각각의 경우에는, 사진명함의 전송을 요청할 것인지를 묻는 이벤트 신호가 표시부(114)로 보내진다(제 140 단계).
그 이벤트 신호는 발신 단말기(100`)와의 통화가 종료된 이후나 통화가 되지 않고 접속 종료된 이후에 발생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기(100`)와 통화가 개시되기 전에 호접속단계에서 발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진명함의 요청여부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사진명함 요청신호는 이벤트 화면에서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특정기능을 선택함에 의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41 단계).
시스템명령부(115)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진명함의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사진명함이 요청된 경우에는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신 단말기(100`)로 발송하게 된다(제 142 단계, 제 143 단계).
발신 단말기(100`)의 시스템명령부(115`)는 수신 단말기(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표시부(114`)로 보내게 된다(제 150 단계, 제 152 단계).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이벤트화면을 확인하고 사진명함을 발송여부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시스템명령부는 사진명함의 발송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54 단계).
이 경우에도 발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이벤트화면에서 커서를 움직여 사진명함을 발송하기로 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단축키를 눌러서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진명함의 입력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표시부(114`)로 보내지고, 발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이벤트화면에서 특정기능을 선택하여 사진명함을 회신메시지에 포함시키게 된다. 이 과정은 특정기능을 구비한 단축키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제 155 단계).
시스템명령부(115`)는 사진명함이 발송신호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사진명함이 포함된 경우에는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묻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이벤트화면에서 확인을 눌러 회신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이 경우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눌러 사진명함이 포함된 회신메시지를 발송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56 단계).
실시예에 따라 단축키를 누르게 되며, 사진명함이 자동으로 회신메시지에 포함되며,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는 송수신부(117`)로 보내어져 자동으로 발송되기도 한다.
시스템명령부(115)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사진명함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제 144 단계). 시스템명령부(115)는 수신메시지에 사진명함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145 단계). 사진명함이 포함된 경우에는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이벤트 신호를 표시부(114)로 보내게 된다(제 146 단계).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단축키를 누르거나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커서를 움직여서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사진명함이 자동으로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되게 된다.
사진명함의 다운로드되면, 시스템명령부(115)는 사진명함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 신호를 표시부(114)로 보내고, 사용자는 호접속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보면서 상대방을 확인하고 통화를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제 147 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14)에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는 메모리(118)에 저장된 발신 단말기(100`)의 다른 정보도 디스플레이 한다.
사진명함이 다운로드된 이후, 시스템명령부(115)는 사진명함을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이벤트신호를 표시부(114)로 보내고,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진명함은 자동으로 단말기 메모리(118)에 저장되게 된다.
이 경우 사진명함은 발신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주소록에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사진명함의 다운로드와 주소록에의 저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49 단계).
상기 각 과정이 완료된 후에, 동일 단말기로 부터 호접속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시스템명령부(115)는 메모리(118)에 기록된 발신 단말기(100`)의 사진명함과 이름 등의 정보를 표시부(114)로 보내고, 표시부(114)는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제 125 단계).
본 발명은 단말기(100,100`) 상호간에 사진명함을 주고받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수신된 사진명함을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 단말기(100`)로부터 호접속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신 단말기(100`)의 사진명함이 표시부(114)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호접속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발신 단말기의 정보를 검색하여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진명함이 없는 경우에는 사진명함의 요청과, 사진명함을 포함한 회신메시지의 발송, 그리고, 회신메시지에 포함된 포함된 사진명함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수작업에 의하거나 인터넷 등에 접속하지 않고도 사진명함의 교환과 저장이 가능하다.
호접속신호가 수신된 경우나 상대방의 확인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도 주소록 등에서 사진명함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진명함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 접속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기의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상기 다른 단말기의 정보를 토대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여 판단하고, 상기 사진명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기에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신호 수신시 상기 저장된 사진명함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단계는 다른 단말기와의 통화가 종료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입력은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메일이 자동으로 발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는 사진명함의 요청여부를 묻는 이벤트화면의 선택필드에서 선택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은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포함된 사진명함을 저장하는 단계는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 다운로드되어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은 주소록에 저장됨과 동시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단말기의 다른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10.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명함을 요청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선택필드에서 신호를 선택입력하여 사진명함을 회신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진명함이 포함된 회신 신호를 사진명함을 요청한 단말기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포함시키는 단계는,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진명함을 포함 및 사진명함이 포함된 신호의 발송은, 특정기능이 구비된 단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연쇄해서 자동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13. 삭제
KR1020030037118A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KR10097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18A KR100970625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18A KR100970625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52A KR20040105952A (ko) 2004-12-17
KR100970625B1 true KR100970625B1 (ko) 2010-07-15

Family

ID=3738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118A KR100970625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7311B2 (en) * 2006-05-02 2009-12-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 acquisition for contacts lis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852A (ko) * 2000-07-03 2000-10-05 백승욱 전자명함서비스시스템
KR20010058752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KR200249921Y1 (ko) 2001-07-09 2001-11-17 김연학 개인명함 관리형 휴대폰
KR20020049921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실금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고가공용 법랑강판의 제조방법
KR20030040999A (ko) * 2001-11-19 2003-05-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52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KR20000058852A (ko) * 2000-07-03 2000-10-05 백승욱 전자명함서비스시스템
KR20020049921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실금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고가공용 법랑강판의 제조방법
KR200249921Y1 (ko) 2001-07-09 2001-11-17 김연학 개인명함 관리형 휴대폰
KR20030040999A (ko) * 2001-11-19 2003-05-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자명함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52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9059B (zh) 图像形成装置以及远程控制方法
US1133676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US7376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 imag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JP2007066159A (ja)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54052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WO2004110045A1 (ja) 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機
KR10063375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이미지를폰북에 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06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KR200600164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462898B1 (ko)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JPH11220545A (ja) 情報端末通信方法および情報端末装置
KR20070051339A (ko) 이미지 송신 동작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0490390B1 (ko) 컴퓨터의 화면보호기 동작 중 메시지 전달 방법
EP1478163A2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US8098274B2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525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EP1251447A1 (en) Terminal device combining mails stored in a storage and transmitting the combined mail to an information apparatus
JP2002112338A (ja) コンテンツ伝達方法及びコンテンツ伝達サーバー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JP2002111798A (ja) 携帯電話機
KR100666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답신 메시지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