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156A -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156A
KR20030040156A KR1020020070587A KR20020070587A KR20030040156A KR 20030040156 A KR20030040156 A KR 20030040156A KR 1020020070587 A KR1020020070587 A KR 1020020070587A KR 20020070587 A KR20020070587 A KR 20020070587A KR 20030040156 A KR20030040156 A KR 2003004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plating layer
layer
plating
materia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스즈키켄
이시카와슈헤이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15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03Process or apparatus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18/1605Process or apparatus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mas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35Composition of the substrate
    • C23C18/1644Composition of the substrate porous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1Two or more layers only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3Two or mor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and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1851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surfaces of non-metallic or semiconducting in organic material
    • C23C18/187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surfaces of non-metallic or semiconducting in organic material by chemical pretreatment
    • C23C18/1886Multistep pretreatment
    • C23C18/1889Multistep pretreatment with use of metal firs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mask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54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having a heterogeneous or anisotropic structure, e.g. powder or fibres in a matrix, wire mesh, porou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73Cooling facilitated by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device or materials for thermal expansion adaptation, e.g. carbon
    • H01L23/3735Laminates or multilayers, e.g. direct bond copper ceramic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76Boride, carbide or nitride component

Abstract

PURPOS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ballooning, peeling and voids in a laminating layer when a plated composite material is laminated to an other material by the use of the laminating layer such as a solder layer. CONSTITUTION: After masked, the composite base material is pretreated. The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base material is activated, and a metal catalyst is imparted onto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composite base material and the surface of a masking tape, and thereafter, plated layers ar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composite base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masking tape by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The preferable thickness of the plated layers is 5 to 100 μm. After removed the masking tape, the composite base material having the plated layer only on the laminated surface is subjected to drying treatment.

Description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Composite material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질 소결체에 금속이 함침된 복합 소재를 갖고, 접합층에 의해 다른 물체에 접합되는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porous sintered body is impregnated with metal, and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에, CPU를 탑재한 IC 칩 등에 사용되는 히트싱크의 구성 재료로서는, 단순히 열전도도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기체인 실리콘이나 GaAs와 열팽창률이 거의 일치하고, 또한 열전도도가 높은 재료의 선정이 필요해지고 있다.Recently,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a heat sink used for an IC chip equipped with a CPU, not only the thermal conductivity is considered, but also the selection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at almost coincides with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silicon or GaAs, which is a semiconductor substrate. This is needed.

히트싱크재의 개선에 대해서는 다종의 다양한 보고가 있으며, 예컨대 질화알루미늄(AlN)을 사용한 예나, Cu(구리)-W(텅스텐)을 이용한 예 등이 있다. AlN은 열전도성과 열팽창성의 균형이 우수하며, 특히 Si의 열팽창률과 거의 일치하므로, 반도체 기체로서 실리콘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히트싱크재로서 적합하다.There are various reports on the improvement of the heat sink material, for example, examples using aluminum nitride (AlN), examples using Cu (copper) -W (tungsten), and the like. AlN is excellent in the balance between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expansion, and particularly close to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Si, and is therefore suitable as a heat sink material f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a silicon substrate as a semiconductor substrate.

또한, Cu-W는 W의 낮은 열팽창성과 Cu의 높은 열전도성을 겸비한 복합 재료이며, 더구나 소결 성형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복잡한 형상을 갖는 히트싱크의 구성 재료로서 적합하다.Cu-W is a composite material having low thermal expansion of W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Cu. Furthermore, Cu-W is suitable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a heat sink having a complicated shape in view of ease of sintering and molding.

또한, 다른 예로서는, SiC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기재에 금속 Cu를 20∼40 체적%의 비율로 함유시킨 것(일본 특허 공개 평8-279569호 공보 참조)이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분말 소결 다공질체(다공질 소결체)에 Cu를 5∼30 중량% 함침시킨 것(일본 특허 공개 소59-228742호 공보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a ceramic substrate containing SiC as a main component contains metal Cu in a proportion of 20 to 40% by volume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79569), or a powder sintered porous body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 A porous sintered body) impregnated with 5 to 30% by weight of Cu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228742)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그런데, 다공질 소결체에 Cu를 함침시킨 복합 재료를 히트싱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복합 재료를 납땜, 즉 솔더링 또는 브레이징 등에 의해서 반도체 회로나 기판에 접합하고 있다.By the way, when using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impregnated the porous sintered compact as a heat sink, the composite material is bonded to the semiconductor circuit or the substrate by soldering, that is, soldering or brazing.

그러나, 전술한 복합 재료는 땜납이나 납땜재에 대한 습윤성(솔더링성, 브레이징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복합 재료의 습윤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복합 재료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하다고생각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mposite material has a problem that the wettability (solderability, brazing property) with respect to solder or a brazing material is not goo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wettability of the composite material, it is thought that forming a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s effective.

복합 재료에 도금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즉, 전술한 복합 재료에는 잔류 기공이 다소 존재한다. 이 때문에, 그 잔류 기공에 잔류액(가공 연삭액이나 도금 처리액)이 침투하여, 납땜 시에 기화되어 땜납층에 보이드(잔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When a plating layer is formed in a composite material, the following new problem arises. That is, some residual pores exist in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material. For this reason, residual liquid (processing grinding liquid or plating liquid) penetrates into the residual pores, and it vaporizes at the time of soldering, and voids (residual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solder layer.

구체적으로는, 복합 재료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의 두께가 얇으면, 도금층의 미착 부분이 점재하게 되어 납땜 시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상기 도금층을 두껍게 하면, 납땜 시에 상기 잔류액의 기화 팽창 시의 응력에 의해 팽창이나 박리가 발생하여, 소재와 도금층의 열전달을 얻을 수 없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s thin, the unbonded portion of the plating layer is dotted, and voids are likely to occur during soldering. On the contrary, when the plating layer is thickened, expansion or peeling occurs due to the stress during vaporization and expansion of the residual liquid during soldering, and heat transfer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plating layer cannot be obtain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금된 복합 재료를 땜납층 등의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하는 경우에, 도금층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접합층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when the plated composite material is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such as a solder layer, cracks, swelling or peeling of the plating layer and voids are generated in the bonding layer. It aims at providing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can suppress things, et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broken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의 복합 소재를 히트싱크재로서 사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when a composite material of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as a heat sink material.

도 3은 제1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3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manufacturing method.

도 4는 각 공정의 내역을 기재한 표(제1 표).4 is a table describing the details of each process (first table).

도 5는 각 공정의 내역을 기재한 표(제2 표).5 is a table (second table) describing the details of each process.

도 6은 각 공정의 내역을 기재한 표(제3 표).6 is a table describing the details of each process (third table).

도 7는 각 공정의 내역을 기재한 표(제4 표).7 is a table describing the details of each process (fourth table).

도 8은 제1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스킹 테이프를 박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sking tape is peeled off in a first manufacturing method.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를 도시한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2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10 is a process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manufacturing method.

도 11은 제2 제조 방법의 변형례에 따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11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manufacturing method.

도 12는 마스킹의 다른 수법을 도시한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other method of masking.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를 도시한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는 제3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14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manufacturing method.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를 도시한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16은 제4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16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fourth manufacturing method.

도 17은 실험예에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내역을 도시한 표.17 is a table showing detail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4 us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도 18은 실험예의 결과를 도시한 표.18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examp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A∼10D : 복합 재료10A-10D: Composite material

12 : 다공질 소결체12: porous sintered body

14 : 금속14: metal

16 : 복합 소재16: composite material

18 : 도금층18: plating layer

18a : 두꺼운 도금층18a: thick plating layer

18b : 얇은 도금층18b: thin plating layer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는 다공질 소결체에 금속이 함침된 복합 소재를 갖고,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되는 복합 재료로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composite material impregnated with a porous sintered body and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wherein a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o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이에 따르면, 접합층을 통해 다른 물체에 접합할 때 상기 복합 소재에 잔류하고 있었던 액체(절삭액이나 도금 처리액 등)이 기화되어 가스로서 유출되는데,이 때 기화 가스는 투과와 관련하여 저항체의 작용을 하는 도금층을 피해,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도금층이 얇게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유출된다.According to this,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cutting liquid or plating treatment liquid, etc.) is vaporized and flowed out as a gas when it is bonded to another object through the bonding layer. At this time, the vaporized gas acts as a resistor in relation to permeation. The plating layer flows out from a portion where the plating layer is not formed or a portion where the plating layer is thinly formed, avoiding the plating layer.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도금층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접합층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cracks, swelling and peeling of the plating layer and voids in the bonding layer are suppressed due to the outflow of the vaporized gas.

그리고, 상기 도금층은 제1 도금층만으로 구성되거나, 제1 도금층과 제2 도금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는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도 바람직하게 채용된다.The plating layer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rst plating layer, or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o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above, or at least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The said 1st plating layer is formed in the part in which a joining layer is formed,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aid 2nd plating layer is not formed in the other part is also employ | adopted preferably.

상기 제1 도금층은 그 제1 도금층을 투과하는 기화 가스에 의해 상기 접합층에 발생하는 보이드율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 도금층은 잔류액의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aid 1st plating layer so that the void ratio which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said bonding layer by the vaporization gas which permeate | transmits the 1st plating layer may be 5% or less, Preferably it is 3% or less. O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lating layer does not transmit the vaporization gas of the residual liquid.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그 제1 도금층을 투과하는 기화 가스의 체적이 상기 접합층의 체적의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도금층의 누설성은 5.0 ×10-10cc-atm/sec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10-10cc-atm/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lating layer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volume of the vaporized gas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plating layer is 5% or less, preferably 3% or less of the volume of the bonding layer, and the leakage property of the first plating layer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x10 <-10> cc-atm / sec or less, Preferably it is 2.0x10 <-10> cc-atm / sec or less.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완전히 피복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개기공을 면적 비율로 90% 이상 피복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개기공을 면적 비율로 95% 이상 피복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개기공을 면적 비율로 99% 이상 피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lating layer completely covers the open por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or covers the open pores by 90% or more by area ratio, or covers the open pores by 95% or more by area ratio. Or 99% or more of the open pores in an area ratio.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표면이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도금층은 ①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고, 또한 도금 크랙이 없을 것, 또는 ②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고, 또한 경도가 최고 경도의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lating layer may be a layer formed by electroless plating at least on the outermost surf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plating layer is a layer by (1) electroless plating, and there should be no plating crack, or (2) a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hardness is 80% or less of maximum hardness.

상기 제1 도금층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표면이 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도금층은 적어도 가장 바깥쪽 표면이 N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plating layer may be a layer by electroplatin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plating layer contains Ni.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과 전해 도금에 의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Moreover, the said 1st plating layer may be comprised by the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the layer by electrolytic plating.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정도의 두께, 또는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개기공의 지름의 2배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도금층은 두께가 5∼100 ㎛, 바람직하게는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rst plating layer preferably has a thickness that does not permeate the vaporization gas, or a thickness of at least twice the diameter of the open por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Specifically, the first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µm, preferably 5 to 50 µm, more preferably 5 to 30 µm, and more preferably 15 to 25 µm.

또한, 상기 제1 도금층은 도금 처리를 한 후에 건조하는 일련의 처리를 n회 반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first plating layer may be formed by repeating a series of processes n times of drying after the plating treatment.

한편, 상기 제2 도금층은 잔류액이 기화 제거되기 쉬운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상기 제1 도금층보다 잔류액의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도금층은 두께가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인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plating layer is thickness which a residual liquid is easy to vaporize and remove, and it is preferable to permeate the vaporization gas of a residual liquid at least more than the said 1st plating layer. Specifically, the second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10 μm or less, preferably 5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μm or less.

상기 제2 도금층의 누설성은 5.0 ×10-10cc-atm/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10-9cc-at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kage property of the second plating layer is preferably 5.0 × 10 −10 cc-atm / sec or more, preferably 1.0 × 10 −9 cc-atm / sec or more.

또한, 상기 제2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어도 좋고, 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어도 좋다. 또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과 전해 도금에 의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second plating layer may be a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or may be a layer by electroplating. Or you may be comprised by the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the layer by electrolytic plating.

또한, 상기 도금층은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에칭이나 연마로 가공하여 박막화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lating layer may be formed into a thin film by processing at least portions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bonding layer is formed by etching or polish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다공질 소결체에 금속이 함침된 복합 소재를 갖고,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has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porous sintered compact was impregnated with a metal, and is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WHEREIN: And a step of forming a plating layer on a portion where the bonding layer is formed.

이에 따르면, 복합 소재에 잔류하는 액체의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도금층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접합층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되어, 복합 재료의 품질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racks, swelling and peeling of the plating layer and voids in the bonding layer are suppressed due to the outflow of the vaporization gas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yield of the composite material. have.

그리고, 상기 도금층을 제1 도금층만으로 형성하거나, 제1 도금층과 제2 도금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only the first plating layer or may be formed of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이 경우,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는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In this case, the first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o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ther than that, or at least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aid 1st plating layer in the part in which the said joining layer is formed, and to form the said 2nd plating layer in the other p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의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고, 또는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의 표면에 마스킹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preventing the plating layer from being formed on the surface other than the portion for forming the first plating layer, or masking the surface other than the portion for forming the first plating layer. You may also include a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의 제2 도금층에 마스킹 처리를 실시한 후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으며, 또는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한 후,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에칭이나 연마로 가공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forming a first plating layer after the mask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second plating layer other than the portion forming the first plating layer after the second plating layer is formed. After forming 1 plating layer, you may process at least parts other than the part in which the said joining layer is formed by etching or polishing.

그리고, 상기 도금층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건조 처리는 적어도 수분이 기화 제거될 수 있는 온도와 시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fter forming the said plat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drying process. In this case, the drying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and time at which moisture can be vaporized off at least.

구체적으로는, 상기 건조 처리는 30∼6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12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면 좋다.Specifically, the drying treatment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30 to 600 ° C. for an arbitrary time of 1 to 300 minutes, more preferably at 1 to 300 minutes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200 to 400 ° C. It may be maintained for a time, or more preferably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200 to 300 ° C. for an arbitrary time of 1 to 120 minutes.

또한, 상기 건조 처리는 상기 도금층의 산화를 억제하는 분위기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분위기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진공 분위기 및환원 분위기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환원 분위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수소가 3% 이상의 분위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가 30% 이상의 분위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가 90% 이상인 분위기인 것이 좋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drying process in the atmosphere which suppresses oxidation of the said plating layer. In this case, the atmosphere can be selected from an inert gas atmosphere, a vacuum atmosphere and a reducing atmosphere. In particular, when the reducing atmosphere is selected, hydrogen is preferably 3% or more, more preferably hydrogen is 3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hydrogen is 90% or more.

또한, 상기 건조 처리는 상기 제1 도금층 및 제2 도금층에 팽창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상승률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상승률은 400℃/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시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시 이하인 것이 좋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drying process at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which does not produce expansion | swelling in the said 1st plating layer and a 2nd plating lay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emperature rise rate is 400 degrees C / hou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 degrees C / hou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0 degrees C / hour or less.

또한, 상기 건조 처리는 잔류액의 기화 온도 부근에서 유지하는 가열 프로그램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drying process by the heating program maintained near the vaporization temperature of a residual liquid.

또한, 상기 제1 도금층 및 제2 도금층은, 도금 처리한 후에 건조하는 일련의 처리를 n회 반복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도금 처리를 행하기 전에 피도금 처리면에 금속 촉매를 부여하는 처리를 행하거나, 피도금 처리면을 활성화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may be formed by repeating a series of treatments n times after drying. In this case, before performing the said plat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process which gives a metal catalyst to a to-be-plated surface, or the process which activates a to-be-plated surf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본 또는 그 동소체, 또는 SiC를 예비 소성하여 네트워크화함으로써 얻는 다공질 소결체(12)에 금속(14)이 함침된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도금층(18)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금속(14)은 CU, Al, Ag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된다.First,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composite in which the metal 14 is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intered body 12 obtained by pre-firing and networking carbon or its allotrope or SiC as shown in FIG. 1. The plating layer 18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16, and is comprised. As the metal 14, at least one selected from CU, Al, Ag, or an alloy thereof is used.

이 경우, 상기 카본 또는 그 동소체, 또는 SiC로서, 열전도율이 100 W/mK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W/mK 이상(기공이 없는 상태에서의 추정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W/mK 이상(기공이 없는 상태에서의 추정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s the carbon or its allotrope or SiC, the thermal conductivity is 100 W / mK or more, preferably 150 W / mK or more (estimated value in the absence of pores), more preferably 200 W / mK or more (pores) ) Is preferably used.

본 예에서는, 열전도율이 100 W/mK 이상인 그라파이트 또는 SiC로 구성된 다공질 소결체(12)의 개기공에 구리를 함침시킨 복합 소재(16)를 도시하였다. 함침시키는 금속(14)으로는, 구리 이외에 알루미늄이나 은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which copper is impregnated into the open pores of the porous sintered body 12 made of graphite or SiC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00 W / mK or more is shown. As the metal 14 to be impregnated, aluminum and silver can be used in addition to copper.

또한, 다공질 소결체(12)와 금속(14)의 체적 비율은 다공질 소결체(12)가 50 체적%∼80 체적%, 금속(14)이 50 체적%∼20 체적%의 범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전도율이 180∼220 W/mK 이상이며, 또한 열팽창률이 4 ×10-6/℃ ∼ 7 ×10-6/℃인 복합 소재(16)를 얻을 수 있다.The volume ratio of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nd the metal 14 is in the range of 50% by volume to 80% by volume for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nd 50% by volume to 20% by volume for the metal 14. Thereby,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whose thermal conductivity is 180-220 W / mK or more, and whos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4 * 10 <-6> / degreeC-7 * 10 <-6> / degreeC can be obtained.

상기 다공질 소결체(12)의 기공률은 10 체적%∼50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공률이 10 체적% 이하이면, 180 W/mK(실온)의 열전도율을 얻을 수 없고, 50 체적%를 넘으면 다공질 소결체(12)의 강도가 저하되어, 열팽창률을 15.0 ×10-6/℃ 이하로 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porosity of the porous sintered body 12 is preferably 10% by volume to 50% by volume. If the porosity is 10 vol% or les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180 W / mK (room temperature) cannot be obtained. If the porosity is more than 50 vol%, the strength of the porous sintered compact 12 is lowered,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15.0 × 10 -6 / ° C or less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suppressed.

상기 다공질 소결체(12)의 평균 개기공 직경(기공 직경) 값은 0.1∼200 ㎛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 직경이 0.1 ㎛ 미만이면 개기공 내에 금속(14)을 함침시키기가 곤란하게 되어 열전도율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기공 직경이 200 ㎛을 넘으면, 다공질 소결체(12)의 강도가 저하되어 열팽창률을 낮게 억제할 수 없다.As for the average open pore diameter (pore diameter) value of the said porous sintered compact 12, 0.1-200 micrometers is preferable. If the pore diameter is less than 0.1 µm, it is difficult to impregnate the metal 14 in the open pores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id pore diameter exceeds 200 micrometers,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porous sintered compact 12 falls, and thermal expansion rate cannot be suppressed low.

상기 다공질 소결체(12)의 평균 개기공에 관계된 분포(기공 분포)로서는, 0.5∼50 ㎛에 90 체적% 이상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50 ㎛의 기공이 90 체적% 이상 분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속(14)이 함침되어 있지 않은 개기공이 증가하여 열전도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As distribution (pore distribution) related to the average open pore of the said porous sintered compact 12, it is preferable to distribute 90 volume% or more in 0.5-50 micrometers. If the pores of 0.5 to 50 µm are not distributed at 90% by volume or more, open pores in which the metal 14 is not impregnated may increas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또한, 다공질 소결체(12)에 금속(14)을 함침시켜 얻은 복합 소재(16)의 폐기공률은 5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체적%를 넘으면 열전도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ed porosity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obtained by impregnating the metal 14 in the porous sintered compact 12 is 5 volume% or less. It is becaus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rmal conductivity will fall when it exceeds 5 volume%.

또한, 상기 기공률, 기공 직경 및 기공 분포의 측정에는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에서 제조한 자동 포로시미터(상품명 「오토포아 9200」)를 사용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orosimeter (brand name "autopoa 9200")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said porosity, pore diameter, and pore distribution.

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에 있어서, 예컨대 그라파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그라파이트를 예비 소성했을 때의 폐기공률을 감소시키는 첨가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물로는 SiC 및/또는 Si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성 시의 폐기공(클로즈드 포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다공질 소결체(12)에 대한 금속(14)의 함침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graphite is used, it is preferable to add an additive that reduces the waste porosity when the graphite is prebaked. SiC and / or Si can be mentioned as this additive. Thereby, the waste hole (closed pore) at the time of baking can be reduced, and the impregnation rate of the metal 14 with respect to the porous sintered compact 12 can be improved.

또한, 그라파이트 중에, 그 그라파이트와 반응하여 카바이드층을 형성하는 원소를 첨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첨가 원소로는 Nb, Cr, Zr, Be, V, Mo, Al, Ta, Mn, Si, Fe, Co, Ni, Mg, Ca, W, Ti, B, 미쉬 메탈(misch metal)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파이트의 소성 시에, 그 그라파이트의 표면(개기공의 표면을 포함함)에 반응층(카바이드층)이 형성되어, 그라파이트의 개기공에 함침되는 금속(14)과의 습윤성이 개선되므로, 저압에서의 함침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미세 개기공에 대한 함침도 가능해진다.Moreover, you may make it add the element which reacts with this graphite and forms a carbide layer in graphite. As this additional element, 1 selected from Nb, Cr, Zr, Be, V, Mo, Al, Ta, Mn, Si, Fe, Co, Ni, Mg, Ca, W, Ti, B, and misch metal Or more species. Accordingly, upon firing the graphite, a reaction layer (carbid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aphite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open pores), and the wettability with the metal 14 impregnated in the open pores of the graphite is improved. Impregnation at low pressure becomes possible, and impregnation with fine open pores is also possible.

한편, 다공질 소결체(12)에 함침되는 금속(14)에 Te, Bi, Pb, Sn, Se, Li, Sb, Tl, Ca, Cd, Ni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다공질 소결체(12)와 금속(14)의 계면의 습윤성이 개선되어, 다공질 소결체(12)의 개기공 내에 금속(14)이 들어가기 쉬워진다. 특히, Ni는 카본을 용해시키기 쉬워 함침시키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ad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e, Bi, Pb, Sn, Se, Li, Sb, Tl, Ca, Cd and Ni to the metal 14 impregnated in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s a result, the wettability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nd the metal 14 is improved, and the metal 14 easily enters the open pores of the porous sintered body 12. In particular, Ni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dissolve carbon and easy to impregnate.

또한, 다공질 소결체(12)에 함침되는 금속(14)에 Nb, Cr, Zr, Be, Ti, Ta, V, B, Mn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그라파이트와 금속(14)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개기공 내에서 그라파이트와 금속(14)이 밀착되기 쉬워져서 폐기공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dd at least one selected from Nb, Cr, Zr, Be, Ti, Ta, V, B, and Mn to the metal 14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ccording to this, the reactivity of the graphite and the metal 14 is improved, and the graphite and the metal 14 easily adhere to each other in the open pores,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aste holes.

또한, 다공질 소결체(12)에 함침되는 금속(14)에, 고상/액상의 온도 범위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인 원소, 예컨대 Sn, P, Si, Mg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함침 시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14)에 융점을 낮추기 위한 원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첨가 원소로는 예컨대 Zn 등이 있다.Further, to the metal 14 impregnated in the porous sintered body 12,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lement having a solid / liquid temperature range of 30 ° C or higher, preferably 50 ° C or higher, such as Sn, P, Si, Mg, is added. It is desirable to. This can reduce the variation during impregna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n element for lowering the melting point to the metal 14. This addition element is, for example, Zn.

그런데, 전술한 복합 소재(16)에는 잔류 기공이 다소 존재한다. 이 때문에,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도금층(18)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잔류 기공에 가공 연삭액이나 도금 처리액이 침투하여, 보통의 경우 납땜 시에 기화되어 땜납층에 보이드(잔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residual pores are somewhat present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when the plating layer 18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the processing grinding liquid or the plating treatment liquid penetrates into the residual pores, and is usually vaporized at the time of soldering to void (residual bubbles in the solder layer). ) Will occur.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 소재(16)의 표면의 도금층(18)을 이하의공정을 밟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땜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도금층(18)을 형성한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lating layer 18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formed by following the steps below. That is, the plating layer 18 is formed in the part in which the said solder layer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t least.

예컨대, 복합 소재(16)를 히트싱크재로서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소재(16) 상에 절연 기판(20)을 통해, 예컨대 IC 칩(22)이 실장되는데, 복합 소재(16)에 절연 기판(20)을 접합하는 것과 절연 기판(20)에 IC 칩(22)을 접합하는 것은 예컨대 땜납층(24)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래서, 복합 소재(16)의 땜납층(24)에 대한 습윤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땜납층(24)이 형성되는 접합면(16a)(예컨대 상면)에 도금층(18)을 형성하고, 그 밖의 면(예컨대 하면 및 4개의 측면)에는 도금층(18)을 형성하지 않는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used as the heat sink material, as shown in FIG. 2, the IC chip 22 is formed on the composite material 16 through the insulating substrate 20. Although mounted, the bonding of the insulating substrate 20 to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the bonding of the IC chip 22 to the insulating substrate 20 are performed by the solder layer 24, for examp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wettability of the solder layer 24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the plating layer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16a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solder layer 24 is formed. 18) and the plating layer 18 is no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and the four side surfaces).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제1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 the specific example (firs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A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3-8.

이 제1 제조 방법은, 우선 도 3의 S1 단계에서, 카본 또는 그 동소체, 또는 SiC을 예비 소성하여 네트워크화함으로써 얻는 다공질 소결체(12)에 금속(14)이 함침된 복합 소재(16)를 제작한다.In the first manufacturing method, first, in the step S1 of FIG. 3,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which the metal 14 is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intered body 12 obtained by pre-firing and networking carbon or its allotrope or SiC is fabricated. .

그 후, S2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에 대해 마스킹을 행한다. 이 마스킹은, 예컨대 도 4의 「(1) 마스킹」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인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접합면(16a)을 제외한 면(예컨대, 하면 및 4개의 측면)에 마스킹 테이프를 붙인다. 물론, 마스킹 테이프 대신에 통상적인 포토레지스트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masked in step S2. This masking i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1) masking" process of FIG. 4, in the surface (for example, lower surface and four sides) except the joining surface 16a among the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which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pply masking tape. Of course, a conventional photoresist film or the like can be used instead of the masking tape.

그 후, S3 단계에서, 마스킹된 복합 소재(16)에 전처리를 행한다. 이 전처리는, 예컨대 도 4의 「(2) 전처리」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칼리 탈지 처리 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전처리에서 사용되는 약품, 농도, 온도의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도 4에서, UF-80K 및 ACL-009는 모두 우에무라 공업에서 제조한 약품이다.Thereafter, in step S3, the masked composite material 16 is pretreated. As this pretreatment, for example, as shown in the "(2) pretreatment" process of FIG. 4, an alkali degreasing process and a cleaner conditioner process are mentioned. Examples of chemical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used in this pretreatment are shown in FIG. 4. In this Fig. 4, UF-80K and ACL-009 are both drugs manufactured by Uemura Industries.

그 후, 도 3의 S4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한다. 이 활성화 처리는, 예컨대 도 4의 「(3) 활성화 1」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칭 처리 및 산세척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활성화 처리에서 사용되는 약품, 농도, 온도의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activated in step S4 of FIG. As this activation proces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3) activation 1" process of FIG. 4, an etching process and an pickling process are mentioned. Examples of the chemical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used in this activation treatment are shown in FIG. 4.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도 3의 S5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적어도 접합면(16a)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이 금속 촉매를 부여하는 조건(약품, 농도, 온도)을, 예컨대 도 4의「(4) 촉매 부여」공정 난에 나타내었다. 이 도 4에서, PED-104, AT-105 및 AT-106은 모두 우에무라 공업에서 제조한 약품이다.Then,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thereafter, prior to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a metal catalyst is applied to at least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step S5 of FIG. 3. The conditions (chemical, concentration, temperature) to which this metal catalyst is applied are shown, for example in the "(4) catalyst application" process column of FIG. In this Fig. 4, PED-104, AT-105 and AT-106 are all chemicals manufactured by Uemura Industries.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정(도 3의 S5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S5 단계를 괄호 안에 기재하였다.In addition, whe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s performed instead of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said process (step S5 of FIG. 3) can be skipped as mentioned later. Thus, in Figure 3 step S5 is described in parentheses.

그 후, 도 3의 S6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복합 소재(16)의 적어도 접합면(16a)에 도금층(18)을 형성한다. 이 무전해 도금 처리는, 예컨대 도 5의 「(5) 무전해 도금」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NiP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한후에 NiB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무전해 도금 처리의 조건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 도 5에서, 니무덴 SX, SX-M, SX-A, BEL-980, BEL-980M, BEL-980S, BEL-980P, BEL-980T, BEL-980R는 모두 우에무라 공업에서 제조한 약품이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6 of FIG. 3 to form the plating layer 18 on at least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This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for example,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of NiB after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of NiP, as shown in the “(5) Electroless Plating” process of FIG. 5. The conditions of these electroless plating processes are shown in FIG. In FIG. 5, Nimuden SX, SX-M, SX-A, BEL-980, BEL-980M, BEL-980S, BEL-980P, BEL-980T, and BEL-980R are all chemicals manufactured by Uemura Industries. .

이 도금층(18)의 두께(t)(도 8 참조)는 복합 소재(16)에 잔류하는 액체의 기화 가스가 도금층(18)을 투과하지 않는 정도의 두께, 또는 복합 소재(16)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피복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 소재(16)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피복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란, 복합 소재(16)에 존재하는 개기공의 평균 직경의 2배 정도의 두께를 의미한다.The thickness t (see FIG. 8) of the plating layer 18 may be such that the vaporization gas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does not penetrate the plating layer 18, or exists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It is desirable to have a thickness that can cover the open pores. Here, the thickness of the extent which can cover the open pores which exist in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means the thickness of about twic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open pores which exist in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기화 가스의 투과성(누설성)에서 본 경우, 도금층(18)의 누설성은 5.0 ×10-10cc-atm/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10-10cc-atm/sec 이하이다.In view of the permeability (leakage) of the vaporized gas, the leakage of the plating layer 18 is preferably 5.0 × 10 -10 cc-atm / sec or less, more preferably 2.0 × 10 -10 cc-atm / sec or less .

구체적으로는, 도금층(18)의 두께(t)는 5∼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이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t of the plating layer 18 is 5-10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5-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5-3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15-25 micrometers.

그 후, 도 3의 S7 단계에서, 마스킹 테이프의 박리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컨대 핀셋 등을 사용하여 도금 처리된 복합 소재(16)의 측면을 쥐고, 마스킹 테이프를 도금층(18)으로부터 노출시킨 후, 그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냄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박리 처리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도금층(18)이 잔존하게 된다.Thereafter, in step S7 of FIG. 3, the masking tape is peeled off.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simply by hold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plated using tweezers or the like, exposing the masking tape from the plating layer 18, and then removing the masking tape. By this peeling process, as shown in FIG. 8, the plating layer 18 remains only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마스킹 테이프 대신에 포토레지스트막을 사용한 경우는, 도금이 끝난 복합 소재(16)를 포토레지스트막이 용해되는 액체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포토레지스트막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던 도금층(18)이 포토레지스트막과 같이 제거되어(리프트오프법),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도금층(18)이 잔존하게 된다.When the photoresist film is used instead of the masking tape, the plated composite material 16 is immersed in a liquid in which the photoresist film is dissolved. By this treatment, the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resist film is removed like the photoresist film (lift off method), and as a result,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shown in FIG. ), The plating layer 18 remains.

그 후, 도 3의 S8 단계에서, 접합면(16a)에 도금층(18)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를 행한다. 이 건조 처리는, 예컨대 도 6의 「(8) 건조」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 건조를 행한 후에 본 건조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비 건조 및 본 건조의 조건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이 건조 처리는, 도금층(18)의 산화를 억제하는 분위기, 예컨대 환원 분위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 진공 분위기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건조 처리 공정은 요컨대 잔류물의 기화 제거가 산화하지 않는 조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건조 처리의 분위기는,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소 3% 이상의 분위기, 바람직하게는 수소 30% 이상의 분위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90% 이상의 분위기가 좋다.Thereafter, in step S8 of FIG. 3, a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6a. As shown in the "(8) drying" process of FIG. 6, this drying process is what performs this drying after preliminary drying. The conditions of predrying and this drying are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is drying process in atmosphere which suppresses oxidation of the plating layer 18, for example, reducing atmosphere, inert gas atmosphere, and vacuum atmospher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is dry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conditions that the vaporization removal of a residue will not oxidize.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oxidation, the atmosphere of the drying treatment is preferably at least 3% hydrogen, preferably at least 30% hydrogen,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90% hydrogen.

또한, 상기 건조 처리에서는 적어도 수분을 기화 제거할 수 있는 온도와 시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금층(18)의 경도가 최고 경도의 80% 이하의 경도가 되는, 또는 HV750 이하가 되는 온도와 시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drying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t a temperature and time at which moisture can be vaporized and removed at least, and the temperature and time at which the hardness of the plating layer 18 becomes 80% or less of the maximum hardness or becomes HV750 or les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t.

여기서, 도금층(18)에 크랙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하면, 예컨대 NiP 도금층을 예로 한 경우, 도금층(18)의 시효 석출에 의해서 도금층(18) 자체가 경도상승, 연성 저하, 치수 수축 등이 생긴다. 그 결과, 모재인 복합 소재(16)와의 열 응력 차이를 따라갈 수 없어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이 시효 석출은, 예컨대 도금 처리 후에 행하여지는 건조 처리의 열 이력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Here, the cause of cracking in the plating layer 18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NiP plating layer is taken as an example, the plating layer 18 itself increases in hardness, ductility decrease, dimensional shrinkage, etc. due to aging precipitation of the plating layer 18. Occurs. As a result, a crack cannot arise because a thermal stress difference with the composite material 16 which is a base material cannot be followed. It has been found that this age precipitation occurs in the thermal history of the drying treatment performed after the plating treatment, for example.

그래서, 도금층(18)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온도와 시간에 기초한 가열 프로그램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처리는 30∼6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의 임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12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면 좋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crack from generating in the plating layer 18,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by the heating program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time which satisfy | fill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Specifically, the drying treatment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30 to 600 ° C. for an arbitrary time of 1 to 300 minutes, more preferably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200 to 400 ° C. for an arbitrary time of 1 to 300 minutes. It is good to maintain, for more preferably, 1 to 120 minutes at arbitrary temperature of 200-300 degreeC.

또한, 상기 건조 처리는 도금층(18)에 팽창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상승률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상승률은 400℃/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시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시 이하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drying process at the temperature rise rate which does not produce expansion | swelling in the plating layer 18.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emperature rise rate is 400 degrees C / hou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200 degrees C / hour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50 degrees C / hour or less.

상기 S8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가 종료되고 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가 완성되지만, 그 후 S9 단계에서 보관이 이루어지거나, 곤포(S9a 단계: 괄호 안에 기재하였음), 출하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보관하게 된다.After the drying treatment in step S8 is completed,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mpleted, but storage is then performed in step S9, or packed (step S9a: described in parentheses), shipped, for example. It is kept by the user.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되어 있던 복합 재료(10A)의 땜납 접합을 행하게 된다(S10 단계).Then, if necessary, solder bonding of the stored composite material 10A is performed (step S10).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로 구성된 히트싱크재에 대하여 땜납층(24)을 매개로 절연 기판(20)을 접합할 때, 복합 소재(16)에 잔류하고있던 액체(절삭액이나 도금 처리액 등)이 기화되어 가스로서 유출되는데, 이 때 기화 가스는 투과와 관련하여 저항체 작용을 하는 도금층(18)을 피하여, 도금층(1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유출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when the insulating substrate 20 is bonded to the heat sink material compos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via the solder layer 24. (Cutting liquid, plating treatment liquid, etc.) is evaporated and flows out as a gas. At this time, the vaporized gas flows out of the portion where the plating layer 18 is not formed, avoiding the plating layer 18 which acts as a resistor in connection with permeation. .

그 때문에,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도금층(18)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땜납층(24)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된다.Therefore, in this 1st Embodiment, cracking, expansion, and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plating layer 18 and the void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older layer 24 etc. with the outflow of vaporization gas are suppressed.

또한, 보관시에는, 알루미늄 포일 등의 밀폐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곤포하고, 나아가서는 건조제를 병용하여 소결 처리 직후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처치를 통하여, 보관후 땜납 접합 시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storage, you may pack using high sealing material, such as aluminum foil, Furthermore, you may be able to maintain the quality immediately after sintering process by using a drying agent together. Through this treatmen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generation of voids during solder bonding after storage.

전술한 예에서는, 도금층(18)을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그 밖에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S5 단계에서의 촉매 부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S6 단계에서 행하는 전해 도금 처리는, 예컨대 도 5의 「(6) 전해 도금」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plating layer 18 was form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was illustrate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you may form other by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atalyst applying step in step S5 shown in FIG. 3 can be omitted. In addition, the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performed in step S6 can be performed on conditions as shown to the "(6)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of FIG. 5, for example.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되고, 또한 그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땜납층(24)(도 2 참조)이 형성되는 부분에 두꺼운 도금층(18a)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하층의 얇은 도금층(18b)과 상층의 두꺼운 도금층(18a)으로 이루어진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형태가 된다.As shown in FIG. 9,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 thin plated layer 18a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on which a thin plated layer 18b is formed and the thin plated layer 18b is formed, on which at least the solder layer 24 (see FIG. 2) is formed. This is different in that it is formed. Therefore, the laminated surface 16a which consists of the thin plating 18b of the lower layer and the thick plating 18a of the upper layer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에서는, 복합 소재(16)로 구성된 히트싱크재에 대하여 땜납층(24)을 매개로 절연 기판(20)을 접합할 때, 복합 소재(16)에 잔류하고 있던 액체(절삭액이나 도금 처리액 등)이 기화되어 가스로서 유출되는데, 이 때 기화 가스는 투과와 관련하여 저항체의 작용을 하는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부분을 피해,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유출된다.In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insulating substrate 20 is bonded to the heat sink material compos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via the solder layer 24,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bonded to the composite material 16. The remaining liquid (cutting liquid, plating liquid, etc.) is vaporized and flows out as a gas. At this time, the vaporized gas avoids the portion where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which acts as a resistor in relation to permeation, is formed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 Flows out through the formed part.

그 때문에,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도,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적층 도금층(18)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땜납층(24)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된다.Therefore, also in this 2nd Embodiment, a crack, an expansion,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and a void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older layer 24 etc. with the outflow of vaporization gas, etc. are suppressed.

특히,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형태로 되기 때문에, 납땜 시의 취급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양호하고 습기의 흡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on the surface, handling at the time of soldering is good, and the appearance is also good, and moisture absorption can be reduced.

다음으로,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제2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단한 설명으로 마친다.Next, the specific example (2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B which concerns on this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4-7, 9, and 10. FIG. In addition, the part which overlaps with the above-mentioned 1st manufacturing method ends with a brief description.

우선, 도 10의 S101 단계에서 복합 소재(16)를 제작하고, 그 후 S102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에 전처리를 한다. 이 전처리는, 예컨대 도 4의 「(2) 전처리」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칼리 탈지 처리 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들 수 있다.First,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manufactured in step S101 of FIG. 10, and then preprocessed to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step S102. As this pretreatment, for example, as shown in the "(2) pretreatment" process of FIG. 4, an alkali degreasing process and a cleaner conditioner process are mentioned.

그 후, 도 10의 S103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한다. 이 활성화 처리는, 예컨대 도 4의 「(3) 활성화 1」공정에 나타낸한 바와 같이, 에칭 처리 및 산세척 처리를 들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103 of FIG. 10,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activated. Examples of the activation process include an etching process and an pickling process, as shown in the “(3) Activation 1” process of FIG. 4.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도 10의 S104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이 금속 촉매를 부여하는 조건(약품, 농도, 온도)을, 예컨대 도 4의 「(4) 촉매 부여」공정 난에 나타내었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after that, the metal 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step S104 of FIG. 10 befo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The conditions (chemical, concentration, temperature) to impart this metal catalyst are shown in the "(4) catalyst provision" process column of FIG. 4, for example.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에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S104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는 S104 단계를 괄호 안에 기재하였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nstead of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above process (step S104) can be skipped. Therefore, in FIG. 10, step S104 is described in parentheses.

그 후, S105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을 형성한다. 이 무전해 도금 처리는, 예컨대 도 5의 「(5) 무전해 도금」공정 중 NiP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들 수 있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105 to form a thin plating layer 18b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s shown in FIG. Examples of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nclude an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of NiP in the “(5) Electroless Plating” step of FIG. 5.

이 얇은 도금층(18b)의 두께(t2)는 잔류액이 기화 제거되기 쉬운 두께, 적어도 상기 두꺼운 도금층(18a)(도 9 참조)보다 잔류액의 기화 가스를 투과하기 쉬운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t2 of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preferably a thickness at which the residual liquid tends to be vaporized and removed, and at least a thickness that is more likely to pass the vaporization gas of the residual liquid than the thick plating layer 18a (see FIG. 9).

기화 가스의 투과성(누설성)에서 본 경우, 얇은 도금층(18b)의 누설성은 5.0×10-10cc-at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10-9cc-atm/sec 이상인 것이 좋다.In view of the permeability (leakage) of the vaporized gas, the leakiness of the thin plated layer 18b is preferably 5.0 × 10 −10 cc-atm / sec or more, more preferably 1.0 × 10 −9 cc-atm / sec or more. It is good.

구체적으로는, 얇은 도금층(18b)의 두께(t2)는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인 것이 좋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t2 of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10 µm or less, preferably 5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µm or less.

그 후, S106 단계에서,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를 행한다. 이 건조 처리는, 예컨대 도 6의 「(8) 건조」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 건조를 행한 후에 본 건조를 실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106,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thin plating layer 18b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s subjected to a drying treatment. As shown in the "(8) drying" process of FIG. 6, this drying process is what performs this drying, after performing preliminary drying.

그 후, 도 10의 S107 단계에서,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마스킹을 행한다. 이 마스킹은, 예컨대 도 6의 「(9) 마스킹」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접합면(16a)을 제외한 면(예컨대, 하면 및 4개의 측면)에 마스킹 테이프를 붙인다. 물론, 마스킹 테이프 대신에 포토레지스트막 등을 사용해도 좋다.Thereafter, in step S107 of FIG. 10, masking is performed on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thin plating layer 18b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For example, as shown in the "(9) masking" process of FIG. 6, this masking is the surface except the joining surface 16a among the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which the thin plating layer 18b was formed (for example, lower surface and Stick the masking tape on the four sides). Of course, you may use a photoresist film etc. instead of a masking tape.

그 후, S108 단계에서, 마스킹된 복합 소재(16)에 전처리를 행한다. 이 전처리는, 예컨대 도 6의 「(10) 전처리」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칼리 탈지 처리 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전처리에서 사용되는 약품, 농도, 온도의 예를 도 6에 기재하였다.Thereafter, in step S108, the masked composite material 16 is pretreated. As this pretreatment, for example, as shown in the "(10) pretreatment" process of FIG. 6, an alkali degreasing process and a cleaner conditioner process are mentioned. Examples of chemical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used in this pretreatment are shown in FIG. 6.

그 후, 도 10의 S109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한다. 이 활성화 처리는, 예컨대 도 6의 「(11) 활성화 2」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안화 활성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활성화 처리에서 사용되는 약품, 농도, 온도의예를 도 6에 기재하였다.Thereafter, in step S109 of FIG. 10,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activated. As this activation proces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11) activation 2" process of FIG. 6, cyanation activation process is mentioned. Examples of the chemical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used in this activation treatment are shown in FIG. 6.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도 10의 S110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적어도 접합면(16a)[얇은 도금층(18b)이 노출되어 있는 면]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이 금속 촉매를 부여하는 조건(약품, 농도, 온도)을, 예컨대 도 6의 「(12) 촉매 부여」공정 난에 나타내었다.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에 전해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정(도 10의 S110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Then,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thereafter, at least the bonding surface 16a (the thin plating layer 18b of the composite material layer 16)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exposed in step S110 in FIG. 10 befo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 To the metal catalyst. The conditions (chemical, concentration, temperature) to impart this metal catalyst are shown in, for example, the "(12) catalyst provision" process column of FIG. In addition, when electrolytic plating is performed instead of electroless plating, the above process (step S110 of FIG. 10) can be omitted as described later.

그 후, S111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적어도 접합면(16a)[얇은 도금층(18b)이 노출되어 있는 면]에 두꺼운 도금층(18a)을 형성한다. 이 무전해 도금 처리는, 예컨대 도 7의 「(13) 무전해 도금」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NiP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한 후에 NiB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무전해 도금 처리의 조건을 도 7에 기재하였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111, and a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on at least the bonding surface 16a (the surface where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expos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s shown in FIG. To form. This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for example,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of NiB after performing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of NiP as shown in the "(13) electroless plating" process of FIG. The conditions of these electroless plating processes are described in FIG.

이 도금 처리에 의해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얇은 도금층(18b)과 두꺼운 도금층(18a)으로 이루어진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다.By this plating process,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which consists of a thin plating layer 18b and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적층 도금층(18)의 두께(t)(=t1+t2 : 도 9 참조)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의 도금층(18)과 마찬가지로, 복합 소재(16)에 잔류하는 액체의 기화 가스가 적층 도금층(18)을 투과하지 않는 정도의 두께, 또는 복합 소재(16)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피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5∼100 ㎛, 바람직하게는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인 것이 좋다.The thickness t of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 t1 + t2: see FIG. 9) is similar to that of the plating layer 18 of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hickness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It is preferable to have a thickness which does not permeate | transmit vaporization gas through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or the thickness which can cover the open pores which exist in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FIG. Specifically, it is 5-10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5-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5-3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15-25 micrometers.

그 후, 도 10의 S112 단계에서 마스킹 테이프의 박리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적층 도금층(18)이 잔존하고, 복합 소재(16)의 하면 및 4개의 측면에는 얇은 도금층(18b)이 잔존하게 된다.Then, the peeling process of a masking tape is performed in step S112 of FIG. By this treatment, as shown in FIG. 9,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remains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This remains.

그 후, S113 단계에서, 접합면(16a)에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를 행한다. 이 건조 처리는, 예컨대 도 7의 「(16) 건조」공정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건조를 행한 후에 본 건조를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비 건조 및 본 건조의 조건을 도 7에 기재하였다.After that, in step S113,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joint surface 16a is subjected to a drying process. As this drying process, as shown in the "(16) drying" process of FIG. 7, for example, this drying is performed after the preliminary drying. The conditions of predrying and this drying are shown in FIG.

상기 S106 단계 및 S113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의 바람직한 양태(분위기, 경도, 온도, 시간, 온도 상승률 등)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ferable aspect (atmosphere, hardness, temperature, time, temperature rise rate, etc.) of the drying process in said S106 step and S113 step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상기 S113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가 종료되고 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가 완성되지만, 그 후, S114 단계에서 보관이 이루어지거나, 곤포(S114a 단계: 괄호 안에 기재하였음), 출하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보관하게 된다.After the drying treatment in step S113 is completed,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leted. After that, storage is performed in step S114, or packing (step S114a: described in parentheses) is shipped. For example, it is stored by the user.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되어 있던 복합 재료(10B)의 땜납 접합을 행하게 된다(S115 단계).Then, if necessary, solder bonding of the stored composite material 10B is performed (step S115).

전술한 예에서는, 얇은 도금층(18b) 및 두꺼운 도금층(18a)을 함께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한 경우를 들었지만, 그 밖에 얇은 도금층(18b)을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고, 두꺼운 도금층(18a)을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여도 좋다. 물론, 얇은 도금층(18b) 및 두꺼운 도금층(18a)을 함께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여도 좋다.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S104 단계나 S110 단계에서의 촉매 부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도금층(18b)을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5의 「(6) 전해 도금」공정에 나타낸 조건으로 행할 수 있고, 두꺼운 도금층(18a)을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7의 「(14) 전해 도금」공정에 도시한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although the thin plating layer 18b and the thick plating layer 18a were formed together by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thin plating layer 18b was form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the thick plating layer 18a was carried out. May be formed by an electrolytic plating treatment. Of course, you may form the thin plating layer 18b and the thick plating layer 18a together by the electroplating process. When performing a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the catalyst provision process in step S104 or S110 shown in FIG. 10 can be skipped. In the case where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by the electrolytic plating treatment, for example, the thin plating layer 18b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he "(6)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of FIG. 5, and when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by the electrolytic plating treatment. For example, it can be performed on conditions shown in the "(14)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of FIG.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의 제조 방법의 다른 구체예(변형례에 따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another specific examp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이 변형례에 따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제2 제조 방법과 거의 동일한 공정을 포함하지만, S107 단계의 마스킹 처리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2개의 복합 소재(16)를 상하로 겹친 것을 1개 조의 블록(16B)으로 했을 때, 여러 조의 블록(16B)을 늘어놓고, 이 여러 조의 블록(16B)을 프레임(50) 내에 수용한 것을 준비하여, 이 상태에서 다음 공정에 투입한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modification includes the proc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2nd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the masking process of step S107 is different.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a pair of blocks 16B is formed by stacking two composite materials 16 on which a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block 16B is a pair of blocks 16B. Are arranged so that these various blocks 16B are accommodated in the frame 50, and are put into the next step in this state.

즉, 각 복합 소재(16)의 하나의 면[접합면(16a)] 이외의 면(하면 및 4개의 측면)을, 인접하는 복합 소재(16) 또는 프레임(50)에 의해서 숨김으로써, 각 복합 소재(16)에서 접합면(16a)만을 노출시킨 형태로 한다. 물론, 복합 소재(16)를 2장 합쳐서 이루어지는 상기 블록(16B)의 상태에서 다음 공정에 투입하여도 좋다.That is, each composite material 16 hides the surface (lowe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other than one surface (bonding surface 16a) of each composite raw material 16 by the adjacent composite raw material 16 or the frame 50 so that each composite material can be hidden. It is set as the form which only the joining surface 16a was exposed in the raw material 16. FIG. Of course, you may inject into the next process in the state of the said block 16B which consists of two composite materials 16 combined.

그 후, 도 11의 S108 단계의 전처리, S109 단계의 활성화 처리, S110 단계의 촉매 부여(그 후에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생략), S111 단계의 도금 처리[두꺼운 도금층(18a)의 형성]를 거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두꺼운 도금층(18a)이 형성된다. 이 도금 처리에 의해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두꺼운 도금층(18a)과 얇은 도금층(18b)으로 이루어진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다.Subsequently, pretreatment of step S108, activation of step S109, activation of step S110, and provision of catalyst of step S110 (omitted in the case of performing electrolytic plating thereafter), plating of step S111 (formation of thick plating layer 18a) are perform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only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this plating process,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which consists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그 후, 도 11의 S112 단계에서, 도 12에 도시한 프레임(50)을 해체하거나 떼어내어, 여러 조의 블록(16B)을 개개의 복합 소재(16)로 분리한다. 그 후, S113 단계의 건조 처리를 거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를 얻는다.Thereafter, in step S112 of FIG. 11, the frame 50 shown in FIG. 12 is disassembled or removed to separate the blocks 16B into individual composite materials 16. Thereafter,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obtained through the drying treatment in step S113.

이 방법에서는 프레임(50)만 준비하면 마스킹 테이프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며, 또한 다수 개의 복합 소재(16)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공정수를 줄이는 데에 유리하게 된다.In this metho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because only the frame 50 is prepared,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masking tap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a plurality of composite materials 16 at once, which is advantageous for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es. Done.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C)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composite material 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C)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복합 소재(16)의 적어도 땜납층(24)(도 2 참조)이 형성되는 부분[접합면(16a)]에 직접 두꺼운 도금층(18a)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두꺼운 도금층(18a)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의 표면[두꺼운 도금층(18a)의 표면을 포함함]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하층의 두꺼운 도금층(18a)과 상층의 얇은 도금층(18b)으로 이루어진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형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3, the composite material 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directly on the portion where the solder layer 24 (see FIG. 2) is formed (bonding surface 16a), and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on which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thick).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18a], a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Therefore, a laminated plating layer 18 composed of a lower thick plating layer 18a and an upper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C)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와 마찬가지로, 복합 소재(16)로 구성된 히트싱크재에 대하여 땜납층(24)을 매개로 절연 기판(20)을 접합할 때, 복합 소재(16)에 잔류하고 있던 액체(절삭액이나 도금 처리액 등)이 기화되어 가스로서 유출되는데, 이 때 기화 가스는 투과와 관련하여 저항체의 작용을 하는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부분을 피하여,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유출된다.In the composite material 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milar to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heat sink material compos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insulated through the solder layer 24. When joining the substrate 20,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cutting liquid, plating treatment liquid, etc.) is vaporized and flows out as a gas. At this time, the vaporized gas acts as a resistor in connection with permeation. Avoiding the portion where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is formed, it flows out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그 때문에,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도,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적층 도금층(18)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땜납층(24)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된다.Therefore, also in this 3rd Embodiment, a crack, an expansion,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the void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older layer 24, etc. with the outflow of vaporization gas, etc. are suppressed.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도, 표면에 얇은 도금층(18b)이 형성된 형태가 되기 때문에, 납땜 시의 취급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양호하며 습기의 흡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Moreover, also in this 3rd Embodiment, since the thin plating layer 18b was formed in the surface, handling at the time of soldering becomes favorable, it is also favorable externally, and moisture absorption can also be reduced.

다음으로, 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C)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제3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때, 전술한 제2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the specific example (thir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C which concerns on this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4-7 and FIG. At this time, the part overlapping with the 2nd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easily.

우선, 도 14의 S201 단계에서 복합 소재(16)를 제작하고, 그 후 S202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에 마스킹을 행한다. 이 마스킹은 복합 소재(16)의 표면 중 접합면(16a)을 제외한 면(예컨대, 하면 및 4개의 측면)에 마스킹 테이프를 붙임으로써행하여진다. 물론, 마스킹 테이프 대신에 포토레지스트막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First,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is produced in step S201 of FIG. 14, and then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is masked in step S202. This masking is performed by affixing a masking tape on the surface (for example, lowe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except the bonding surface 16a among the surfaces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Of course, a photoresist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instead of the masking tape.

그 후, S203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에 전처리(알칼리 탈지 처리 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하고, 그 후 S204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에칭 처리 및 산세척 처리)한다.Thereafter,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subjected to pretreatment (alkali degreasing treatment and cleaner conditioner treatment) in step S203, and the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activated (etching treatment and pickling treatment) in step S204.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S205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 및 마스킹 테이프의 표면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에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S205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And whe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at, a metal catalyst is provided to the join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nd the surface of a masking tape in step S205 before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nstead of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said process (step S205) can be skipped as mentioned above.

그 후, S206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 및 마스킹 테이프의 표면에 두꺼운 도금층(18a)을 형성한다. 이 무전해 도금 처리는, 예컨대 도 7의 「(5) 무전해 도금」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NiP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한 후에 NiB의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두꺼운 도금층(18a)의 바람직한 두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의 두꺼운 도금층(18a)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5∼100 ㎛, 바람직하게는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인 것이 좋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206 to form a thick plating layer 18a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the surface of the masking tape. Examples of this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nclude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of NiB after performing electroless plating of NiP as shown in the “(5) Electroless Plating” process of FIG. 7. The thickness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preferably 5 to 100 µm, preferably 5 to 50 µm, more preferably 5, similarly to the thickness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of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3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15-25 micrometers.

그 후, S207 단계에서 마스킹 테이프의 박리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두꺼운 도금층(18a)이 잔존하게 된다. 그 후, S208 단계에서, 접합면(16a)에 두꺼운 도금층(18a)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예비 건조 처리 및 본 건조 처리)를 행한다.Then, the peeling process of a masking tape is performed in step S207. By this treatment, the thick plating layer 18a remains only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fter that, in step S208, the composite material 16 on which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s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6a is subjected to drying treatment (preliminary drying treatment and main drying treatment).

그 후, S209 단계에서, 건조 후의 복합 소재(16)에 전처리(알칼리 탈지 처리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행한 후, S210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시안화 활성 처리)한다.Thereafter, in step S209, the composite material 16 after drying is subjected to pretreatment (alkali degreasing treatment and cleaner conditioner treatment), and then, in step S210,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activated (cyanide activated treatment).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S211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두꺼운 도금층(18a)의 표면을 포함함]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에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정(S211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Then,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thereafter, the metal 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in step S211 before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In addition, when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s performed instead of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said process (step S211) can be skipped as mentioned later.

그 후, S212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표면[두꺼운 도금층(18a)의 표면을 포함함]에 얇은 도금층(18b)을 형성한다. 이 도금 처리에 의해서,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는 두꺼운 도금층(18a)과 얇은 도금층(18b)으로 이루어진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212 to form a thin plating layer 18b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as shown in FIG. By this plating process,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which consists of the thick plating layer 18a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is formed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s shown in FIG.

그 후, S213 단계에서, 접합면(16a)에 적층 도금층(18)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예비 건조 처리 및 본 건조 처리)를 행한다.Thereafter, in step S213, the drying treatment (preliminary drying treatment and main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laminated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16a.

상기 S208 단계 및 S213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의 바람직한 양태(분위기, 경도, 온도, 시간, 온도 상승률 등)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ferable aspect (atmosphere, hardness, temperature, time, temperature increase rate, etc.) of the drying process in said S208 step and S213 step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상기 S213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가 종료되고 나면 제3 실시 형태예에 따른 복합 재료(10C)가 완성되지만, 그 후 S214 에서 보관이 이루어지거나, 곤포(S214a 단계 :괄호 안에 기재함), 출하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보관하게 된다.After the drying treatment in step S213 is completed, the composite material 1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mpleted, but storage is then performed in step S214, or packing (step S214a: described in parentheses), and shipped. For example, it is stored by the user.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되어 있던 복합 재료(10C)의 땜납 접합을 행하게 된다(S215 단계).Then, if necessary, solder bonding of the stored composite material 10C is performed (step S215).

전술한 예에서는, 두꺼운 도금층(18a) 및 얇은 도금층(18b)을 함께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한 경우를 들었지만, 그 밖에, 두꺼운 도금층(18a)을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고, 얇은 도금층(18b)을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여도 좋다. 물론, 두꺼운 도금층(18a) 및 얇은 도금층(18b)을 함께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한 S205 단계나 S211 단계에서의 촉매 부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although the thick plating layer 18a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were formed together by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the thick plating layer 18a was formed by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was formed. ) May be formed by electroplating. Of course, the thick plating layer 18a and the thin plating layer 18b may be formed together by the electroplating proces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electrolytic plating treatment, the catalyst applying step in step S205 or step S211 shown in FIG. 14 can be omitted.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D)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the composite material 1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D)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A)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18) 중 일부[예컨대, 복합 소재(16)의 하면에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4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부분]가 에칭 처리 또는 연마 처리되고, 그 일부의 도금층(18)이 박막화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The composite material 1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omposite material 1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as shown in FIG. 15, the composite material 10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 portion of the formed plating layer 18 (e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 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side surfaces) is etched or polished, and a portion of the plating layer 18 is thinned. It is different in that it is.

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D)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B)와 마찬가지로, 복합 소재(16)로 구성된 히트싱크재에 대하여 땜납층(24)을 매개로 절연 기판(20)을 접합할 때, 복합 소재(16)에 잔류하고 있었던 액체(절삭액이나 도금 처리액 등)이 기화되어 가스로서 유출되는데, 이 때 기화 가스는 투과와 관련하여 저항체의 작용을 하는 도금층(18)이 형성된 부분을 피하여, 도금층(18)이 박막화된 부분을 통하여 유출된다.In the composite material 1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composite material 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heat sink material compos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insulated through the solder layer 24. When joining the substrate 20,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cutting liquid, plating liquid, etc.) is vaporized and flows out as a gas, where the vaporized gas acts as a resistor in connection with permeation. Avoiding the portion where the plating layer 18 is formed, the plating layer 18 flows out through the thinned portion.

그 때문에,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도, 기화 가스의 유출에 따라 도금층(18)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땜납층(24)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이 억제된다.Therefore, also in this 4th embodiment, a crack, an expansion, peeling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plating layer 18, and a void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older layer 24 etc. with the outflow of vaporization gas, etc. are suppressed.

또한,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도, 표면에 도금층(18)이 형성된 형태로 되기 때문에, 납땜 시의 취급이 양호하지는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양호하며 습기의 흡수도 감소할 수 있다.Also in this fourth embodiment, since the plating layer 18 is formed on the surface, handling at the time of soldering is good, appearance is also good, and moisture absorption can be reduced.

다음으로, 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D)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제4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제조 방법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단하게 설명한다.Next, the specific example (fourth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D which concerns on this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Here, the part overlapping with the 1st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easily.

우선, 도 16의 S301 단계에서 복합 소재(16)를 제작하고, 그 후 S302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에 전처리(알칼리 탈지 처리 및 클리너 컨디셔너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S303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을 활성화 처리(에칭 처리 및 산세척 처리)한다.First,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produced in step S301 of FIG. 16, and then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pretreated (alkali degreasing treatment and cleaner conditioner process) in step S302, and then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step S303. The surface of the surface is activated (etched and pickled).

그리고, 그 후에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무전해 도금 처리에 앞서, S304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금속 촉매를 부여한다. 또한, 무전해 도금 처리 대신에 전해 도금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S304 단계)을 생략할 수 있다.And whe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at, a metal catalyst is provided to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in step S304 before the electroless plating process. In addition, when electrolytic plating is performed instead of electroless plating, the above process (step S304) can be omitted.

그 후, S305 단계에서 무전해 도금 처리를 행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도금층(18)을 형성한다.Thereafter, electroless plating is performed in step S305 to form the plating layer 18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s shown in FIG.

이 도금층(18)의 두께(t)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재료의 도금층(18)과 마찬가지로, 복합 소재(16)에 잔류하는 액체의 기화 가스가 도금층(18)을 투과하지 않을 정도의 두께, 또는 복합 소재(16)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피복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5∼100 ㎛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t of the plating layer 18 is the same as that of the plating layer 18 of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vaporization gas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is formed in the plating layer 18. It is desirable to have a thickness such that it does not penetrate or a thickness capable of covering the open pores present in the composite material 16. Specifically, it is 5-10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5-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5-3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15-25 micrometers.

그 후, S306 단계에서,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18)에 부분 가공을 행한다. 이 처리는 복합 소재(16)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18) 중, 그 일부[예컨대, 복합 소재(16)의 하면에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4개의 측면에 대응하는 부분)] 에칭 처리 또는 연마 처리하여, 그 일부의 도금층(18)을 박막화한다.Thereafter, in step S306, the parti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This treatment is carried out by etching or polishing a part of the plating layer 18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 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sides). By processing, a part of the plating layer 18 is thinned.

이 박막화된 도금층(18)의 두께(t2)는 잔류액이 기화 제거되기 쉬운 두께, 적어도 접합면(16a)의 도금층(18)보다 잔류액의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기 쉬운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인 것이 좋다.The thickness t2 of the thinned plating layer 18 is preferably a thickness at which the residual liquid is easily vaporized and removed, and at least a thickness that allows the vaporizing gas of the residual liquid to pass through at least than the plating layer 18 of the bonding surface 16a. Specifically, it is 10 micrometers or less, Preferably it is 5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3 micrometers or less.

그 후, S307 단계에서, 표면에 도금층(18)이 형성된 복합 소재(16)에 건조 처리(예비 건조 처리 및 본 건조 처리)를 행한다. 이 건조 처리의 바람직한 양태(분위기, 경도, 온도, 시간, 온도 상승률 등)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After that, in step S307, the composite material 16 having the plating layer 18 formed on its surface is subjected to drying treatment (preliminary drying treatment and main drying treatment). Since the preferable aspect (atmosphere, hardness, temperature, time, temperature increase rate, etc.) of this drying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상기 S307 단계에서의 건조 처리가 종료되고 나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재료(10D)가 완성되지만, 그 후 S308 단계에서 보관이 이루어지거나, 곤포(S308a 단계: 괄호 안에 기재하였음), 출하되어, 예컨대 사용자가 보관하게 된다.After the drying treatment in step S307 is completed, the composite material 1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ompleted, but then storage is performed in step S308, or packing (step S308a: described in parentheses), and shipped. For example, it is stored by the user.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되어 있던 복합 재료(10D)의 땜납 접합을 행하게 된다(S309 단계).Then, if necessary, solder bonding of the stored composite material 10D is performed (step S309).

전술한 예에서는, 도금층을 무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한 경우를 들었지만, 그 밖에 전해 도금 처리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S304 단계에서의 촉매 부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plating layer was formed by the electroless-plating process was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you may form other by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atalyst applying step in step S304 shown in FIG. 16 can be omitted.

다음으로, 실험예를 하나 예시한다. 이 실험예는, 도 17에 기재한 비교예 1과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해, 각각 납땜을 행한 경우 도금층(18)에서의 크랙 발생 상태, 도금층(18)의 팽창, 박리 상태, 보이드 발생 상태를 관찰한 것이다.Next, one experimental example is illustrated.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in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4 described in FIG. 17, the crack generation state in the plating layer 18, the expansion of the plating layer 18, The peeling state and the void generation state were observed.

비교예 1은, 전술한 제1 제조 방법으로 무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양면(또는 표면)에 20 ㎛의 도금층(18) (NiP 도금층: 18㎛, NiB 도금층: 2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1, the plating layer 18 (NiP plating layer: 18 µm, NiB plating layer: 2 µm) having a thickness of 20 µm was formed on both surfaces (or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using the first prod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it shows the case where it is dried.

비교예 2는, 전술한 제1 제조 방법으로 무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양면(또는 표면)에 2.5 ㎛의 도금층(18)(NiP 도금층: 1.5 ㎛, NiB 도금층: 1.0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In Comparative Example 2, a 2.5 μm plating layer 18 (NiP plating layer: 1.5 μm, NiB plating layer: 1.0 μm) was formed on both surfaces (or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using the first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it shows the case where it is dried.

실시예 1은, 전술한 제1 제조 방법으로 무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20 ㎛의 도금층(18)(NiP 도금층: 17 ㎛, NiB 도금층: 3㎛)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In Example 1, the plating layer 18 (NiP plating layer: 17 micrometers, NiB plating layer: 3 micrometers) of 20 micrometers only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an electroless plating process by the 1st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After forming, it shows the case where it is dried.

실시예 2는, 전술한 제1 제조 방법으로 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20 ㎛의 도금층(18)(Ni 도금층: 20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In Example 2, after forming the plating layer 18 (Ni plating layer: 20 micrometers) of 20 micrometers only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the electrolytic plating process by the above-mentioned 1st manufacturing method, it is a drying process. One case is shown.

실시예 3은, 전술한 제2 제조 방법(또는 변형례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무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양면(또는 표면)에 1 ㎛의 도금층(18b)(NiP 도금층: 1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하고, 그 후 무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19 ㎛의 도금층(18a)(NiP 도금층: 17 ㎛, NiB 도금층: 2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 한 경우를 나타낸다.In Example 3, the plating layer 18b (NiP plating layer) of 1 µm is formed on both surfaces (or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y the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by the second manufacturing method (or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described above. 1 탆), followed by drying, and then electroless plating treatment followed by a 19 탆 plating layer 18a (NiP plating layer: 17 탆, NiB plating layer: 2 탆) only on the joint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 Is shown after drying.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복합 소재(16)의 양면(또는 표면)에 1 ㎛의 도금층(18b)(NiP 도금층: 1 ㎛)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하고, 또한 전해 도금 처리에 의해 복합 소재(16)의 접합면(16a)에만 19 ㎛의 도금층(18a)(Ni 도금층)을 형성한 후 건조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In Example 4, a plating layer 18b (NiP plating layer: 1 µm) having a thickness of 1 µm was formed on both surfaces (or surfac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followed by drying and electrolytic plating. The case where 19 micrometers plating layer 18a (Ni plating layer) is formed only in the bonding surface 16a of the composite raw material 16, and is dried is shown.

전술한 각 건조 처리는, 예비 건조를 온도 60℃에서 120분 유지하여 실시하고, 계속해서 본 건조를 온도 260℃에서 10분간 유지(수소 100%의 분위기)하여 실시했다.Each above-mentioned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by maintaining preliminary drying at the temperature of 60 degreeC for 120 minutes, and then maintaining this drying at the temperature of 260 degreeC for 10 minutes (ambient of 100% hydrogen).

이 실험예의 결과를 도 18에 기재하였다. 이 도 18에서, 도금 크랙 항목은 도금층(18)에서의 크랙 상태를 나타내며, ○는 미발생, ×은 많이 발생하여 불량한 상태를 나타낸다. 팽창, 박리 항목은 도금층(18)의 팽창이나 박리 상태를 나타내며, ○는 미발생, ×는 많이 발생하여 불량한 상태를 나타낸다.The result of this experimental example is shown in FIG. In this FIG. 18, a plating crack item shows the crack state in the plating layer 18, (circle) shows a non-occurrence, and (x) generate | occur | produces a bad state. The expansion and peeling items indicate an expansion or peeling state of the plating layer 18, and ○ indicates no occurrence and × indicates a poor state.

보이드 항목은 땜납층에서의 보이드 발생 상태를 이하의 식에 의해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보이드 부분의 총면적이나 땜납 접합 면적은 X선 투과 사진으로 계측했다.The void item shows the void generation state in a solder layer as a percentage by the following formula | equation. In addition, the total area and solder joint area of a void part were measured with the X-ray transmission photograph.

보이드율(%)=(보이드 부분의 총면적/땜납 접합 면적) ×100Void rate (%) = (total area of solder part / solder joint area) × 100

도 18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과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어디에서나 도금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교예 1에서 팽창, 박리가 많이 일어났다.From the result of FIG. 18, plating crack did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anywhere in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4, but a lot of expansion and peeling occurred in Comparative Example 1.

보이드율에 대해서 보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복합 소재(16)의 완성 직후에는 모두 1.0∼2.0%으로 충분히 실용성이 있지만, 보관 후에는 10.0∼20.0%까지 증가하여, 품질이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garding the void ratio,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re both practically 1.0 to 2.0%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but are sufficiently practical, but increase to 10.0 to 20.0% after storage, indicating that the quality is deteriorated. Able to know.

한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있어서는, 복합 소재(16)의 완성 직후 및 보관 후의 보이드율이 모두 1.0∼2.0%로 낮은 값이며, 또한 품질이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4, it is understood that the void ratios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6 and after storage are both low values of 1.0 to 2.0% and the quality is stab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the composite materia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Of course, various structures can be employ | adopted without deviating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도금된 복합 재료를 땜납층 등의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하는 경우에, 도금층에 크랙이나 팽창, 박리가 발생하는 것과 접합층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en the plated composite material is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such as a solder layer, cracking, swelling, or peeling of the plating layer occurs. It can suppress that a void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a bonding layer.

Claims (40)

다공질 소결체에 금속이 함침된 복합 소재를 갖고,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되는 복합 재료로서,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composite material impregnated with a porous sintered body and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A composite material, wherein a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제1 도금층으로만, 또는 제1 도금층과 제2 도금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ing layer is composed of only the first plating layer or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is formed on other portions there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is not formed on other portions.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을 투과하는 기화 가스에 의해서 상기 접합층에 발생하는 보이드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a void rate generated in the bonding layer is 3% or less by vaporization gas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plating layer.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의 누설성은 5.0 ×10-10cc-atm/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leakage property of the first plating layer is 5.0 x 10 -10 cc-atm / sec or less.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개기공을 면적 비율로 90% 이상 피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covers 90% or more of open pore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an area ratio.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고, 도금 크랙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a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there is no plating crack.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이고, 경도가 최고 경도의 80% 이하인 것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a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the hardness is 80% or less of the maximum hardness.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전해 도금에 의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a layer by electroplating.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에 의한 층과 전해 도금에 의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composed of a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and a layer by electrolytic plating.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such that the vaporizing gas does not permeate.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개기공의 지름의 2배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at least twice the diameter of the open pore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두께가 5∼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100 µm.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두께가 5∼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5 to 50 µm.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은 잔류액이 기화 제거되기 쉬운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econd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in which the residual liquid is easily vaporized and removed.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은 적어도 상기 제1 도금층보다 잔류액의 기화 가스를 투과시키기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econd plating layer is more likely to permeate the vaporization gas of the residual liquid than at least the first plating layer.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은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econd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10 µm or less.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은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econd pl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5 µm or less.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의 누설성은 5.0 ×10-10cc-atm/sec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leakage property of the second plating layer is 5.0 x 10 -10 cc-atm / sec or more.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은 무전해 도금 및 전해 도금, 또는 그 양방에 의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second plating layer is an electroless plating, an electrolytic plating, or both thereof. 다공질 소결체에 금속이 함침된 복합 소재를 갖고, 접합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접합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hav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porous sintered body is impregnated with metal and bonded to another object by a bonding layer,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A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the part of the surface of the said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said bonding layer is form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을 제1 도금층으로만, 또는 제1 도금층과 제2 도금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3.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2, wherein the plating layer is formed of only the first plating layer or from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is formed on other portions thereof.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의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접합층이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bonding layer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is not formed on other portions. Way. 제23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의 표면에 마스킹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material of any one of Claims 23-25 which includes the process of masking on the surface other than the part which forms said 1st plating layer. 제23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금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부분 이외의 제2 도금층에 마스킹 처리를 실시한 후,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The process of any one of Claims 23-25 after forming said 2nd plating layer, and then masking to 2nd plating layers other than the part which forms said 1st plating layer, and then forming a 1st plating layer.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 제23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 및 제2 도금층은, 도금 처리를 한 후 건조하는 하는 일련의 처리를 n회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5, wherein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second plating layer are formed by repeating a series of processes n times of drying after the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n times. Way.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적어도 수분을 기화 제거할 수 있는 온도와 시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9.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8, wherein said drying treatment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and for a time capable of vaporizing and removing at least moistur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30∼600℃의 임의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9.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8, wherein the drying treatment is held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30 to 600 DEG C for any time of 1 to 300 minute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200∼400℃의 임의 온도에서 1∼300분의 임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9.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8, wherein the drying treatment is held at an arbitrary temperature of 200 to 400 [deg.] C. for an arbitrary time of 1 to 300 minute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상기 도금층의 산화를 억제하는 분위기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the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of suppressing oxidation of the plating layer.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분위기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진공 분위기 및 환원 분위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atmosphere is selected from an inert gas atmosphere, a vacuum atmosphere and a reducing atmosphere.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는 수소가 3% 이상인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4.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33, wherein the reducing atmosphere is an atmosphere in which hydrogen is at least 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는 수소가 30% 이상인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4.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33, wherein the reducing atmosphere is at least 30% hydrogen.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분위기는 수소가 90% 이상인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4.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33, wherein said reducing atmosphere is at least 90% hydroge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상기 제1 도금층 및 제2 도금층에 팽창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상승률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9.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8, wherein said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a rate of temperature rise that does not cause expansion in said first plating layer and said second plating layer.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상승률은 400℃/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8.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37, wherei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is 400 ° C / hour or less.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상승률은 100℃/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38.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37, wherein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is 100 ° C / hour or les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처리는 잔류액의 기화 온도 부근에서 유지하는가열 프로그램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29.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s defined in claim 28, wherein said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by a heating program maintained near the vaporization temperature of the residual liquid.
KR1020020070587A 2001-11-16 2002-11-14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4015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2286 2001-11-16
JP2001352286A JP2003155575A (en) 2001-11-16 2001-11-16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156A true KR20030040156A (en) 2003-05-22

Family

ID=1916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587A KR20030040156A (en) 2001-11-16 2002-11-14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96059A1 (en)
JP (1) JP2003155575A (en)
KR (1) KR20030040156A (en)
GB (1) GB238208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528B2 (en) 2003-03-28 2007-11-28 日本碍子株式会社 Heat spreade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heat spreader module
KR100841148B1 (en) 2003-10-27 2008-06-2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Composite material and wafer support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08863B2 (en) * 2005-06-30 2009-01-1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78334B2 (en) * 2005-09-09 2009-12-02 日本碍子株式会社 Heat spreade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361184B (en) * 2006-01-13 2011-04-13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Aluminum/silicon carbide composite and heat radiation part making use of the same
EP2012354B1 (en) * 2006-04-26 2016-04-13 Denka Company Limited Method of producing a base plate for a power module
CN101324743A (en) * 2007-06-15 2008-12-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Camera module group
DE102007051570A1 (en) * 2007-10-29 2009-04-30 Austrian Research Centers Gmbh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and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body and connecting device
JP5070014B2 (en) * 2007-11-21 2012-11-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Heat dissipation device
JP2009130060A (en) * 2007-11-21 2009-06-11 Toyota Industries Corp Heat dissipater
JP5387034B2 (en) * 2009-02-20 2014-0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nductive substrate
TW201035513A (en) * 2009-03-25 2010-10-01 Wah Hong Ind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dissipation interface device and product thereof
JP4932881B2 (en) * 2009-08-26 2012-05-16 國禎 張 Graphite substrate pretreatment method
JP6024242B2 (en) 2012-07-02 2016-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JP6064886B2 (en) * 2012-12-26 2017-01-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Thermally conductive stress relaxation structure
US10837087B2 (en) 2016-09-28 2020-11-17 Tenneco Inc. Copper infiltrated molybdenum and/or tungsten base powder metal alloy for superior thermal conductivity
KR101777181B1 (en) 2017-05-15 2017-09-12 세계연마 주식회사 Electrode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slip
JP7469295B2 (en) 2019-04-02 2024-04-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Composite material and heat dissipation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0602B2 (en) * 1998-12-25 2008-05-28 日本碍子株式会社 Plated ceramic / metal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82082A (en) 2003-05-21
US20030096059A1 (en) 2003-05-22
GB0226633D0 (en) 2002-12-24
JP2003155575A (en) 200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0156A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058799A (en) Metallized ceramic substrate and method therefor
US5100714A (en) Metallized ceramic substrate and method therefor
JP4985129B2 (en) Bonded body, electronic module, and bonding method
US4894293A (en) Circuit system, a composite metal material for use therein, and a method for making the material
US4590095A (en) Nickel coating diffusion bonded to metallized ceramic body and coating method
KR101476343B1 (en) Component having a metalized ceramic base
JP7196799B2 (en) COPPER/CERAMIC JOINT, INSULATED CIRCUIT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COPPER/CERAMIC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ED CIRCUIT BOARD
KR20060051030A (en) Material composite
US5543130A (en) Metal ceramic composite structure
US4664942A (en) Nickel diffusion bonded to metallized ceramic body and method
US5653379A (en) Clad metal substrate
CA2031459C (en) Surface structure of ceramics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27290A (en) Ceramic-clad copp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clad copper plate
JP2002206170A (en) Plated composit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246972B2 (en)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26676B2 (en) Electronic circui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190601A (en) Surface structure of ceramics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90602B2 (en) Plated ceramic / metal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292474A (en) Method for bonding titanium material or titanium alloy material
JP2020007225A (en) Cu/CERAMIC SUBSTRATE
JP2745208B2 (en) Heat treatment furnace components
JP6602450B2 (en) Cu / ceramic substrate
JP3505212B2 (en)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oint
JPS61121489A (en) Cu wiring sheet for manufacture of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