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252A - 오폐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252A
KR20030039252A KR1020010070228A KR20010070228A KR20030039252A KR 20030039252 A KR20030039252 A KR 20030039252A KR 1020010070228 A KR1020010070228 A KR 1020010070228A KR 20010070228 A KR20010070228 A KR 20010070228A KR 20030039252 A KR20030039252 A KR 2003003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aeration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642B1 (ko
Inventor
이기진
민병관
Original Assignee
이기진
민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진, 민병관 filed Critical 이기진
Priority to KR10-2001-007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6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연의 자정작용에 대한 원리를 응용하여 자연계에 존재하는 각종의 호기성, 혐기성, 임의성 미생물의 공생 및 생물학적 작용과 먹이사슬을 이용하여 분뇨 및 인분을 포함한 모든 생활계 오·폐수를 일괄처리할 수 있는 정화조에 있어 다수의 미생물 접촉여재인 소통체가 충진된 폭기조들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초기의 오ㆍ폐수가 유입되는 유량조정조로 반송하여 폭기조로 다시 유입시켜 반복적으로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정화능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오ㆍ폐수 정화장치로서, 정화장치가 설치장소에서 유출되는 오ㆍ폐수가 유량조정조1, 유량조정조2, 저류조, 다수의 폭기조 및 침전 소포 방류조를 통과하면서 미생물 접촉여재인 소통체가 담겨 있는 폭기조속에 에어를 불어넣어 물을 폭기시켜 슬러지를 분해 정화시키는 오폐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폭기조속에 슬러지를 반송시키기 위한 오니인발관(116)을 각각 설치하고, 그 오니인발관(116) 내부로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면서 공기의 부력에 의해 각각의 수조 바닥에 쌓여 있는 슬러지를 함께 부세시켜, 이를 오니 이송관(117)을 통해 초기의 오ㆍ폐수가 유입되는 유량조정조로 반송시겨 폭기조쪽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침전물이 반복 지속적으로 정화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정화장치{Sewage Purifier}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의 자정작용에 대한 원리를 응용하여 자연계에 존재하는 각종의 호기성, 혐기성, 임의성 미생물의 공생 및 생물학적 작용과 먹이사슬현상을 이용하여 분뇨를 포함한 모든 생활계 오·폐수를 일괄처리할 수 있는 정화조에 있어 다수의 수조들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초기 오ㆍ폐수유입수조로 다시 반송시켜 반복적으로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혹은 축사에서 배출되는 생활계 오폐수를 비롯하여 각종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을 정화하기 위해 정화조가 지하에 매설되는데 그 정화조에는 그 내부를 칸막이를 설치하여 독립된 각각의 수조를 다수 설치하여 오폐수가 이 수조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미생물의 먹이사슬 및 공생작용을 이용하여 분뇨 및 생활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ㆍ폐수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분해 정화시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화장치의 일 예는 특허공개공보 제 99-44953호(1999. 6. 25.)에 의해 상세히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정화장치를 보면 그 내부를 구획하여 다수의 수조 즉, 유량조절조, 저류조, 다수의 폭기조, 침전조, 소포방류조 및 기타 수조를 구성하여 오폐수가 정화조속에서 단계별로 통과되는 과정에 오폐수를 자연적인 자정현상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정화장치(1)는 제 1 유량조정조(A1)와 제 2 유량조정조(A2), 저류조(3), 다수의 폭기조(B1∼B6), 침전조(4), 소포방류조(5) 등으로 구성되고 제 1 유량조정조(A1)의 오폐수 유입관(2) 측에 스크린조(6)를 설치하여 오폐수 정화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스크린조(6)에는 유입된 오폐수로 부터 부피가 있는 협잡물을 일차적으로 걸러주고, 제 1유량조정조(A1)와 제 2유량조정조(A2)에서는 제 1폭기조(B1)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저류조(3)로 연통되게 하여, 저류조(3)의 잉여슬러지 중 협잡물을 침전시킨 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 슬러지 반송관(7)을 통하여 제2 유량조정조(A2)로 반송시켜 연속적인 자정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극소량의 협잡물만을 폐기처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폭기조(B1∼B6)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저면에서 약간 상측부에 설치된 안착망(25) 위에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에어분출공을 형성한 잉여슬러지 탈리에어장치(8)를 설치하여, 폭기관(9)을 통하여 폭기조마다 설치된 잉여슬러지 탈리에어장치(8)로 에어가 공급되게 하고, 이 위에 다수의 합성수지 소통체(疏通體, 10)를 넣은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 망체(11)를 다단적층시키되, 망체(11)끼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유공간(12)이 형성되게끔 하면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적층시켰다.
이와 같이 망체(11)속에 들어 있는 소통체(10)속으로 분뇨등과 같은 이물질이 통과하는 과정에 그 이물질들이 미생물과 공생작용과 먹이사슬현상에 의해 정화되도록 한 것이고, 에어분출공을 통해 에어를 불어 넣어 물속에 산소용존량을 풍부하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에어분출공은 물속에 산소용존량을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도 소통체(10)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분해된 분뇨등과 같은 협잡물을 제거해주어야만 새로운 슬러지가 채워지면서 미생물에 의해 신속히 분해할 수 있도록 에어가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탈리작용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화장치의 경우는 저류조(3)의 바닥에 침전된 잉여슬러지의 협잡물을 잉여슬러지 반송관(7)을 통하여 제2 유량조정조(A)로 반송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자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결국, 잉여슬러지는 폭기조(B1∼B6)속에 설치된 소통체(10)속으로 유입되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물을 정화시키게 되지만 잉여슬러지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 시키기 위해서 다음 폭기조로 물과 함께 슬러지가 운반되어 전(前)과 같은 과정을 통해 분해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잉여슬러지가 충분히 분해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요구되지만 실제로 충분히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침전조(4)에 쌓이게 되므로 정화능력이 저하되고, 또 미쳐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정화조 밖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화장치는 슬러지가 미쳐 분해되기 전에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침전된 슬러지들에 의해 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미생물과 접촉할 수 있는 체류시간을 만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따른 정화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 정화장치에 있어 정화장치속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폭기조속에 들어있는 소통체를 통해 미생물의 먹이사슬의 공생관계에 의해 분해시키고, 수조의 바닥으로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다시 초기의 수조속으로 계속적으로 반송시켜 유기물질을 미생물과 접촉할 기회를 반복시켜 정화능력을 더욱 신속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정화조내부를 칸막이로 구획하여 독립된 다수의 수조를 형성하되,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량조정조1, 유량조정조2, 저류조, 제1 내지 제4 폭기조(발생오수량에 따라 조의 크기와 수가 증감할 수 있음) 및 방류조를 형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조들에 오니인발관을 각각 설치하고, 그 오니인발관속으로 에어주입관을 통해 에어를 불어넣어 에어의 부양력에 의해 각각의 수조바닥에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함께 부양되도록 하여 이를 오니 이송관을 통해 초기의 수조쪽으로 반송되도록 함으로서 반복 정화되도록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니인발관을 각각의 수조에 설치하여 밑바닥에 침전된 잉여슬러지 협잡물을 다시 정화의 초기 수조인 유량조정조로 반송시킴으로서 반복 연속작용으로 슬러지의 분해능력을 신속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정화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더욱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화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를 평면에서 바라 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화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오니 이송관을 폭기조에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개념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폭기조를 도시하는 일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니 이송관의 설치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8의 오니 이송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유량조정조1102:유량조정조2
103:저류조104∼107: 폭기조
108:침전 소포 방류조
110:그물망111a:소통체
115:에어관116:오니인발관
117:메인 오니 이송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정화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0은 정화장치로서 이 정화장치의 내부에는 칸막이로 차단되어 형성된 각각의 수조들을 포함하고 있다.
참조 번호 101은 유량조정조1, 102는 유량조정조2, 103은 저류조, 104 내지 107은 제1 내지 제 4 폭기조, 108은 침전 및 소포방류조로서 위 열거한 순서대로 하나의 실린더형 정화조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유량조정조(101)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a)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유입구의 하측에 외부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조목 및 세목 스크린를 구비하는 스크린조(101b)가 설치되어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준다.
제1 유량조정조(101)와 제2 유량조정조(102)에서는 제 1폭기조(104)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저류조(103)와 연통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폭기조(104∼107)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측에 각각 바닥면과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물망(11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다수의 폭기조(104∼107)는 오폐수의 유입량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110)에는 합성수지재 소통체(111a)가 무질서하게 무수히 담겨 있는데, 하측에 설치된 그물망(110)은 속에 있는 잉여 슬러지가 바닥으로 떨어져 쌓이도록 그물망(110)의 하부와 각 폭기조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공간을 두어 설치하고 또한 그물망은 소통체가 각 폭기조 바닥으로 빠지지 않도록하고 이는 폭기조 바닥의 잉여슬러지를 반송시키는 오니 이송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는 각각 에어분출공을 구비한 잉여슬러지 탈리에어장치(113)를 설치하여, 폭기관(114)을 통하여 각 폭기조마다 설치된 잉여슬러지 탈리에어장치(113)로 에어가 공급된다.
따라서, 폭기관(114)을 통해 공급된 에어가 물을 폭기시켜 물속에 용존산소량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어 소통체속에 있는 슬러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미생물에 의해 먹이사슬 혹은 공생관계에 의해 스스로 분해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분해된 잉여 슬러지를 분리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수명을 다한 슬러지의 협잡물들은 그물망(110) 밑으로 침전되어 쌓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수조 즉, 제1 내지 제 4 폭기조(104∼107)와 침전 및 소포방류조(108)에는 각각의 에어관(115)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관(115)은 도 3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주입관(115a)과 오니인발관(116) 및 메인 오니 이송관(11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에어주입관(115a)은 상기 오니인발관(116)의 중간 하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오니인발관(116)은 관체로서, 그 하측이 오픈되어 있고, 그 상측은 고리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그 고리부분(116a)의 끝단은 메인 오니 이송관(117)과 통해져 있다.
상기한 메인 오니 이송관(117)은 침전 및 소포방류조(108) 측은 막혀 있고, 그 반대쪽은 제 1폭기조(104)와 통해져 있으며, 침전 및 소포방류조(108) 측이 더 높게 설치하여 제1폭기조(104)쪽으로 슬러지가 흘러가도록 정화장치(100)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침전 및 소포 방류조(108)에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맑은 물만을 침전 및 소포 방류조(108)로 보내는 통상의 월류웨어(108a, OVER FLOW WEIR)를 설치하고, 중앙부에는 정류통(109a)을 설치하되, 월류웨어(108a)의 내측으로부터 “V”자형의 다수의 유입홈(108b)과 수로(15), 그리고 침전 및 소포방류조(108)와 연결되는 배출구(109)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정류통(109a)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체로 형성하되, 상단부가 수면보다 높고 하부는 침전조의 중앙부 보다 약간 더 하측으로 내려오게 형성하여 마지막 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침전조로 유입될 때 매우 안정적이도록 하였으며, 또한 오니인발관(116)과 폭기관(115a)으로 구성된 에어리프트와 별도의 소포노즐을 설치하고, 소포노즐은 소포방류조(108)로 연결시켜 스프레이 펌프로서 물을 분사시켜 거품을 안정화시키도록 분사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생활계폐수를 비롯한 각종 오폐수가 유입관을 통하여 제 1 유량조정조(101)로 유입되어, 조목스크린과 세목스크린을 설치한 스크린조(101b)를 통과하면서 오폐수 중에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이 걸러지게 하고, 제 1유량조정조(101)에 유입된 오폐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유량조정조(10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H”자형 수류관(120)에 의해 수류의 흐름이 매우 완만하게 되어 각종 슬러지는 바닥으로 침전되고, 각종 부유물은 수면위치에 뜨게 되며, 중간수만 제 2유량조정조(102)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고, 제 2유량조정조(102) 에서도 “H”자형 수류관(120)을 통하여 제1 폭기조(104)로 유량
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제1 폭기조(104)로 유입된 유량은 제1 내지 제4폭기조(104 ∼ 107) 사이에 설치된 각각의 “H”자형 수류관(120)을 통하여 일정한 량의 오수가 유량변동이 거의 없이 서서히 이송되게 되는 것이며, 각각의 폭기조(104∼107)내에 합성수지 소통체(111a)를 일정한 크기로 형성한 합성수지 그물망(110)에 넣어, 이를 제1 폭기조 ∼ 제4 폭기조(104 ∼ 107)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끔 제1 내지 제4 폭기조(104∼107) 내에 설치된 폭기관에서 분출되는 에어가 부세되면서 각 폭기조내의 물을 폭기시켜 주고, 이때 공기의 부세력에 의해 함께 폭기되어지는 물이 수류판(112a)에 부딪히면서 각 폭기조내로 공급됨으로써, 물속에 산소가 용해되어 용존산소량이 풍부해져 폭기조내에 무작위로 충진된 소통체들중 수직상태의 소통체에는 각종 호기성 미생물이 크게 활성화 되게 되고, 또 수평상태의 합성수지 소통체(111a)에는 혐기성 미생물이 크게 활성화되며, 이외에도 각종 임의성 미생물도 활성화되어 오폐수의 정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폭기조(104 ∼ 107)에 설치된 잉여슬러지 탈리관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가 그물망(110)사이사이의 소통체(111a)를 통과하면서 소통체에 붙어 있는 수명을 다한 잉여슬러지를 탈리시켜 주어 각종 미생물이 활발히 번식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유기물의 분해능력을 상승시켜 오폐수의 정화를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폭기조(104∼107)로 공급되는 유량이 매우 균일하기 때문에 정화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폭기조(104∼107)를 연결하는 “H”자형 수류관(120)의 구조가 두개의 세로관과 수평이음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다가 상단부는 공기유통을 위하여 수면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로 되게 하였으므로 유량이 항상 일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유량이 폭기조(104∼107)를 단계적으로 통과하면서, 마지막 폭기조(107)까지 모두 통과한 후에는 적어도 5PPM 이하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세차용수나 정원 살수용수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폭기조(107)를 통과한 후에는 침전 및 소포 방류조(108)의 중앙위치로 유량이 공급되도록 하였기에 매우 조용히 그리고 조심스럽게 유량이 공급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유량중 침전물은 가라앉고 상등수(上燈水)는 월류웨어의 계단형 유입홈과 수로를 통하여 소포방류조(108)로 배출되게 되며, 소포방류조(108)로 배출된 유량중 침전물은 다시 가라앉고 상등수만이 방류관을 통하여 방류되는 것이어서 이를 재활용수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제1 내지 제4 폭기조(104∼107) 제4폭기조의 바닥에 쌓여 있는 슬러지를 다시 제1폭기조 속으로 반송시켜 정화되도록 한 것으로, 기존에는 특정한 폭기조에 쌓여 있는 슬러지만을 반송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폭기조(104) 이후에 오폐수가 통과되어지는 각각의 수조에 모두 에어관(115)과 오니 인발관(116)을 설치한 것에 있으며, 여기서, 다수의 폭기조에서 에어에 의해 부세된 슬러지를 모아 초기의 오폐수가 유입 유량조정조 쪽으로 이송시키는 메인 오니 이송관(117)을 따라 흐르는 슬러지가 각각의 오니 인발관(116)을 통과할 때 다시 그 속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단부를 고리(116a)형태로 구성한 것에 특징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폭기조를 설치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폭기조, 침전조 및 수포방류조(108)의 바닥에 침전된 잉여 슬러지를 계속해서 초기의 유량조정조 쪽으로 반송시켜 미쳐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오ㆍ폐수를 미생물과 접촉하여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회를 반복시켜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는 각각 에어분출공을 형성한 잉여슬러지 탈리에어장치(113)를 설치하여, 폭기관(114)을 통하여 각 폭기조마다 설치된 잉여슬러지 탈리장치(113)로 에어가 공급된다.
따라서, 폭기관(114)을 통해 공급된 에어가 물을 폭기시켜 물속에 용존산소량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어 소통체속에 있는 슬러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분해된 슬러지를 분리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수명을 다한 슬러지의 협잡물들은 그물망 밑으로 침전되어 쌓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폭기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오니 인발관에 의한 슬러지 반송능력과 정화능력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폐수가 제1, 제2유량조정조(101, 102)와 제1 ∼ 제4폭기조(104 ∼ 107) 그리고 침전 및 소포 방류조(108)를 통과할 때 침전되는 잉여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시켜 초기의 제1 폭기조(104)로 다시 유입토록하여 그 곳으로부터 재차 제2 내지 제4 폭기조를 통해 분해되도록 함으로서 분뇨를 포함한 생활계 오폐수를 더욱 효율성있게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는 재순화되는 과정을 통해 유기물이 소통체에 형성된 각종 미생물들로 하여금 산화분해작용기회를 반복시킴으로써 정화효율성을 증가시켜 보다 깨끗하게 물을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유입된 오폐수가 유량조정조1(101), 유량조정조2(102), 저류조(103), 다수의 폭기조(104∼107) 및 침전 소포 방류조(108)와 통과하면서 정화시키되 소통체(111a)가 담겨 있는 그물망(110)이 설치된 각각의 폭기조(104∼107)속에 에어관을 통해 에어를 불어넣어 물을 폭기시키고 슬러지를 분해 정화시키는 오폐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폭기조(104∼107)속에 에어관(115)을 각각 설치하고 그 에어관(115)을 통해 오니인발관(116)속으로 공기가 주입되면서 공기의 부력에 의해 각각의 수조 바닥에 쌓여 있는 잉여슬러지를 함께 부양시켜 이를 메인 오니 이송관(117)을 통해 초기의 유량조정조로 반송시켜 다시 폭기조(104) 쪽으로 오ㆍ폐수와 잉여슬러지를 반복 및 지속적으로 정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오니 이송관(117)에 연결되는 상기 오니인발관(116)의 상단부가 고리(116a)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오니 이송관(117)속으로 이송되어지는 슬러지가 상기 오니인발관(116)들 속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4∼107)에 에어를 주입하여 폭기시켰을 때 상기 그물망(110)내의 소통체(111a)에 붙어 수명을 다한 잉여슬러지가 분리되어 그 밑으로 떨어지도록 그 하부에는 상기 폭기조들의 바닥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그물망(110)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폭기조내에 충진된 소통체가 수류작용시 부상되어 각 폭기조 벽면이나 소통체끼리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막고 소통체가 수면속에 잠기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그물망(1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ㆍ폐수 정화장치.
KR10-2001-0070228A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정화장치 KR10043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28A KR100437642B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28A KR100437642B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52A true KR20030039252A (ko) 2003-05-17
KR100437642B1 KR100437642B1 (ko) 2004-06-30

Family

ID=295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28A KR100437642B1 (ko) 2001-11-12 2001-11-12 오폐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98B1 (ko) * 2001-11-19 2004-05-22 주식회사 앤바이오 액상 폐기물의 자원재생 처리장치 및 그 처리장치로부터생산되는 농축대사물질
CN116177733A (zh) * 2023-04-23 2023-05-30 河北京安生物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水解酸化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5788A (ja) * 1982-12-24 1984-07-04 Shusuke Kobayashi 汚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930000539B1 (ko) * 1986-04-23 1993-01-25 스즈다 야스히도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100381059B1 (ko) * 2000-06-07 2003-04-23 이교술 오수처리장치
KR200237427Y1 (ko) * 2001-04-23 2001-10-12 김철희 오,폐수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98B1 (ko) * 2001-11-19 2004-05-22 주식회사 앤바이오 액상 폐기물의 자원재생 처리장치 및 그 처리장치로부터생산되는 농축대사물질
CN116177733A (zh) * 2023-04-23 2023-05-30 河北京安生物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水解酸化池
CN116177733B (zh) * 2023-04-23 2023-09-15 京安生态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水解酸化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642B1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0389A (en) Filtration unit
US5306422A (en) Compact clarifier system for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RU213925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ысоко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0536952B1 (ko) 폴리에틸렌 여재를 사용한 다단계 수두차 여과식 하천정화 장치
RU2624709C1 (ru) Технический резервуар комплекса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способ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а также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аппаратного типа
KR100962014B1 (ko) 섬모가 형성된 망형튜브를 갖는 수처리장치 및 그에 의한 수처리방법
CN101580327B (zh) 一种污水处理工艺及其设备
MX2008004820A (es) Sistema de filtro aireado sumergido y metodo que implica tratamientos especificos en etapas respectivas.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CN101952015A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0437642B1 (ko) 오폐수 정화장치
KR100288083B1 (ko) 고효율 합병 정화조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KR100403183B1 (ko) 오수처리시설
KR200257303Y1 (ko)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KR100381059B1 (ko) 오수처리장치
KR100279943B1 (ko) 오폐수 정화장치
KR100430034B1 (ko)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930000539B1 (ko)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970003588Y1 (ko)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KR100243646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429465B1 (ko) 연속 회분식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9946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