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974A -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974A
KR20030038974A KR1020010069766A KR20010069766A KR20030038974A KR 20030038974 A KR20030038974 A KR 20030038974A KR 1020010069766 A KR1020010069766 A KR 1020010069766A KR 20010069766 A KR20010069766 A KR 20010069766A KR 20030038974 A KR20030038974 A KR 2003003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criber
signal
spar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929B1 (ko
Inventor
김흥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9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using redundant or spare channel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장비의 N:1 절체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가 공통선을 따라 예비 유니트로 연결되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와;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유니트부와; 가입자 유니트부와 동등한 구성을 갖고,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시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 예비 유니트부와; 가입자 선로를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절체 유니트부와; 절체 유니트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예비 유니트부와; 각 가입자 유니트부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절체 필요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및 절체 유니트부의 가입자 신호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신호 선택을 위한 부품 수 및 신호선 연결을 위한 커넥터 수를 줄일 수 있고 예비 유니트를 임의의 곳에 실장하여 N:1 절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on of subscriber units in dat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장비의 유니트 절체시 N:1 절체에 적당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장비는 가입자 선로에 접속되어져 중앙국과 가입자간의 데이터 통신을 관장한다. 이러한 가입자 장비로는 전화 교환 장비,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장비, 및 T1/E1 장비 등이 있다.
다수개의 가입자 선로가 집중되는 가입자 장비에서는 운용중인 가입자 유니트의 오동작 등에 따른 절체를 위해 예비 유니트가 구비된다. 유니트 절체는 현재 운용중인 가입자 유니트에 대해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예비 유니트를 구비하였다가 필요시 해당 예비 유니트가 가입자 유니트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N개의 가입자 유니트에 대해 1개의 예비 유니트가 구비되면 N:1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
도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가 담당하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은 가입자 유니트부(130)에 의해 수행된다. 가입자유니트(130)는 다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예비 유니트(150)는 가입자 유니트부(130)와 동등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유니트 절체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한다.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는 가입자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111)와 절체시 가입자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전송 경로를 예비 유니트와 가입자 유니트간에 가변시키기 위한 신호 선택부(112)를 구비한다.
유니트 선택부(140)는 예비 유니트(150)에 대해 각 가입자 신호를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유니트 선택부(140)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선택하여 예비 유니트(150)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 신호가 선택되어 예비 유니트를 연결됨으로써 유니트 절체가 이루어지며, 유니트 절체와 관련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신호 선택부(112) 및 유니트 선택부(140)의 신호 선택 동작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유니트 절체 동작을 설명한다.
가입자 광전송 장비(FLC, 또는 Fiber Loop Carrier) 등의 광전송 장비에서 가입자의 신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T1/E1 라인을 사용한다. 따라서 T1/E1 라인을 통해 전송된 가입자 신호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된다. 여기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수개 구비되는데, 가입자 유니트(130)도 이와 동수이다.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의 경우, 가입자 신호는 송수신부(111)를 거쳐 신호 선택부(112)로 전달된다.
신호 선택부(112)로 전달된 가입자 신호에 대해서는 가입자 유니트(130)로 연결될 것인지 예비 유니트(150)로 연결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결정은 해당 가입자 유니트(130)의 절체가 필요한지 여부에 따르는데, 가입자 유니트(130) 자체에서 절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선택부(112)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제어부에서 각 가입자 유니트의 상태를 감시하고 필요시 절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선택부(112)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절체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 유니트부(130)가 정상인 경우, 신호 선택부(112)는 가입자 신호를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130)로 보낸다. 그러면 가입자 유니트부(130)에서 해당 가입자 신호를 처리한다.
이와는 달리 가입자 유니트부(130)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신호 선택부(112)가 가입자 신호를 유니트 선택부(140)로 연결하게 된다. 신호 선택부(112)에 의해 선택된 신호는 마더보드 패턴을 통해 유니트 선택부(140)로 전달된다.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의 신호 선택부(112)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는 유니트 선택부(140)로 모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의 가입자 신호가 4쌍이고 가입자 유니트부(130)의 수가 16장이라면, 유니트 선택부(140)로 연결되는 신호의 수는 4*16=64개가 된다.
유니트 선택부(140)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선택된 신호를 선택하여 예비 유니트(150)로 연결한다. 즉, 유니트 선택부(140)는 16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가 그 중 어느 하나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의 가입자 신호를 절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해당 가입자 신호를 예비 유니트(150)로 연결하게 된다. 절체가 이루어지면 예비유니트(150)가 해당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가입자 유니트(130)가 16개이고 예비 유니트(150)가 1개 일때 16:1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유니트 선택부(140)와 예비 유니트(150)는 셀프내에서 실장되는 슬롯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지정된 슬롯에 실장되는 경우에만 유니트 선택부(140) 및 예비 유니트(150)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와 유니트 선택부(140)간의 패턴 연결 그리고 유니트 선택부(140)와 예비 유니트(150)간의 패턴 연결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의 경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선택부와 유니트 선택부에서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부품(예: 릴레이 등)이 많이 필요하고, 유니트 선택부에 다수개의 연결 패턴이 들어가기 때문에 커넥터 연결이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커넥터가 추가로 더 들어가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예비 유니트와 유니트 선택부의 장착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셀프내 슬롯을 가변적으로 운용하기 어렵고, 이러한 유니트들이 장착되는 슬롯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가입자 신호의 정상적인 절체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장비의 유니트 N:1 절체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가 공통선을 따라 특정 위치에 장착된 예비 유니트로 연결되도록 하며, 예비 유니트가 기타의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절체 유니트가 가입자신호를 해당 예비 유니트로 연결하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는,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유니트부와; 상기 가입자 유니트부와 동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시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 예비 유니트부와; 상기 가입자 선로를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절체 유니트부와; 상기 절체 유니트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예비 유니트부와; 상기 각 가입자 유니트부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절체 필요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및 절체 유니트부의 가입자 신호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방법은, 제1 예비 유니트부에 예비 유니트를 실장하고 제2 예비 유니트부에는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절체 유니트부의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그 송수신부의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각 가입자 유니트부를 감시하여 유니트 절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불필요한 경우, 제어부가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그 송수신부의 가입자 신호를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가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로 가입자 신호를 연결하고 있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그 가입자 신호가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가 제1 예비 유니트부로 전달되어져 예비 유니트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의 다중 절체 방법의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의 다중 절체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20 : 절체 유니트부
230 : 가입자 유니트부240 : 제2 예비 유니트부
250 : 제1 예비 유니트부270 : 제어부
211, 221 : 송수신부212, 222 : 신호 선택부
213, 223 : 제어 변환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의 다중 절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의 다중 절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가입자 광전송 장비의 T1/E1 라인에 접속된 가입자 유니트들의 N:1 다중화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N개의 가입자 유니트에 대해 1개의 예비 유니트를 운용하면서 유니트 절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 가입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유니트부(230), 가입자 유니트부(230)와 동등한 구성을 갖고 가입자 유니트부(230)의 절체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 예비 유니트부(250),가입자 선로를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로 연결하고 절체 제어신호의 발생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하기 위한 절체 유니트부(220), 절체 유니트부(220)에 의해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예비 유니트부(240), 각 가입자 유니트부(23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절체 필요시 절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절체 유니트부(220)의 가입자 신호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절체 유니트부(220)와 제1 예비 유니트부(250)간에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는 마더보드 패턴 등으로 구현되는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어 진다.
다수개 구비될 수 있는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가입자 유니트부(230)는 동수이다. 그리고 예비 유니트는 1개로 충분한데, 제1 예비 유니트부(250)와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은 이러한 두 개의 위치에 예비 유니트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 예비 유니트가 장착된 경우에는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는 가입자 유니트가 장착되어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도록 운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 예비 유니트가 장착된 경우에는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는 가입자 유니트가 장착되어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는 가입자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211)와, 절체 제어신호에 따라 가입자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전송 경로를 공통선과 가입자 유니트 연결선간에 가변시키기 위한 신호 선택부(212)를 포함하며, 제어부(270)로부터 전송되는 절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신호 선택부(212)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적정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변환부(21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신호 선택부(212)는 두 개의 경로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송수신부(211)의 가입자 신호와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절체 유니트부(220)는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한편,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하는 절체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체 유니트부(220)는 가입자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221)와,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절체 제어신호에 따라 공통선 또는 송수신부(221) 연결선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신호 선택부(222)를 포함하며, 제어부(270)로부터 전송되는 절체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신호 선택부(222)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적정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변환부(2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신호 선택부(222)는 송수신부(221)의 가입자 신호와 공통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와 절체 유니트부(220)는 가입자 선로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신호 선택부(212)는 디폴트 연결 상태에서 송수신부(211)의 가입자 신호가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230)로 직접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절체 유니트부(220)의 신호 선택부(222)는 디폴트 연결 상태에서 송수신부(221)의 가입자 신호가 차단되고 공통선을 통해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를 직접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디폴트 연결 상태란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신호 선택부(212)에서는 해당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가입자 유니트(230)가 정상 동작하여 절체 제어신호를 받지 않는 경우를 지시하며, 절체 유니트부(220)의 신호 선택부(222)에서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선택된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제어부(270)는 절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가입자 신호 선택 동작을 제어하며, 또 다른 절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절체 유니트부(220)의 가입자 신호 선택 동작을 제어한다.
이어서, 이상 설명한 장치에 적용되는 다중 절체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장치의 실시예는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 예비 유니트가 실장되어 운용되는 경우에 해당하고, 두 번째는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 예비 유니트가 실장되어 운용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세 번째는 미리 지정된 특정 위치에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하여 예비 유니트로 운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중에서 첫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와 가입자 유니트부(230) 및 절체 유니트부(220)에 해당 유니트들이 실장되면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 예비 유니트를 실장한다(S310).
그리고 예비 유니트는 하나로 충분하므로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는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한다. 이때 예비 유니트와 가입자 유니트간에는 기능상의 차이가 있기 보다는 유니트 절체와 관련하여 실장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S320).
제어부(270)는 절체 유니트부(220)의 신호 선택부(222)를 제어하여송수신부(221)의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되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제2 예비 유니트부(240)를 포함하여 16장의 가입자 유니트가 있다고 가정할 때 15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와 1개의 절체 유니트부(220)에 대한 가입자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절체 유니트부(220)와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가입자 신호 전달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된다(S330).
제어부(270)는 각 가입자 유니트부(230)를 감시하여 유니트 절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절체가 수행되는 조건은 가입자 유니트의 오동작 등과 같이 잘 알려져 있으며, 운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S340).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신호 선택부(212)가 가입자 신호를 디폴트로 연결한다.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디폴트 연결 상태는 송수신부(211)의 가입자 신호를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230)로 연결하는 것이다(S350).
그래서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270)는 절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230)로 가입자 신호를 연결하고 있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하여 가입자 신호가 공통선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가입자 신호를 공통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절체 제어신호는 제어 변환부(213)에 의해 레벨 변환된 후 신호 선택부(212)를 제어함으로써 가입자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전환되도록 한다(S360).
절체 제어신호에 따라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는 제1 예비 유니트부(250)로 전달되어져 예비 유니트에 의해 처리된다. 이때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의 전달 경로는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만 한정되므로 N:1 절체가 이루어진다(S370).
이로써 요구된 유니트 절체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후 제어부(270)가 각 가입자 유니트부(230)를 감시하면서 절체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통상 유니트 절체가 이루어진 후에는 운용자가 해당 유니트를 보수하여 정상 상태로 복귀시킨 후 예비 유니트로부터 해당 유니트로 다시 절체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기 설명한 절체 동작과 동일한 체계로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중 절체 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와 가입자 유니트부(230) 및 절체 유니트부(220)에 해당 유니트들이 실장된 후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 예비 유니트를 실장하고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는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한다. 제2 예비 유니트부(240)의 위치는 가입자 유니트들이 실장되는 가입자 유니트부(230)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체 유니트부(220)와 해당 제2 유니트부(240)간에 신호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기타의 가입자 유니트부(230)에서 T1/E1 신호를 처리하도록 하면서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서는 ADSL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운용 방식의 가변성을 확보하게 되면 가입자 장비의 가용성이 향상될 것이다(S410~S420).
제어부(270)는 절체 유니트부(220)의 신호 선택부(222)를 제어하여 공통선으로 전송되는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되어지도록 하는데, 이는 디폴트 연결 상태에 해당한다. 그러면 제1 예비 유니트부(250)는 다른 형태의 가입자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고, 15장의 가입자 유니트가 있다고 가정할 때 15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 대한 가입자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절체 유니트부(220)는 자신에 접속된 가입자 선로를 통한 가입자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절체시 다른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연결하는 동작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15개의 가입자 유니트에 대해 1개의 예비 유니트 절체 즉, 15:1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S430).
제어부(270)는 각 가입자 유니트부(230)를 감시하여 유니트 절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의 신호 선택부(212)가 가입자 신호를 디폴트로 연결하여 송수신부(211)의 가입자 신호가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230)로 연결되도록 한다(S450).
만약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270)는 절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230)로 가입자 신호를 연결하고 있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하여 가입자 신호가 공통선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가입자 신호를 공통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절체 제어신호는 제어 변환부(213)에 의해 레벨 변환된 후 신호 선택부(212)를 제어함으로써 가입자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전환되도록 한다(S460).
절체 제어신호에 따라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는 절체 유니트부(220)로 전달되어져 신호 선택부(222)의 디폴트 연결을 통해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 전달되어져 예비 유니트에 의해 처리된다. 이때 다른 종류의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니트가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 실장되어 있고 해당 유니트에 대한 공통선 연결이 해제된 상태라면,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의 전달 경로는 제2 예비 유니트부(240)로만 한정되므로 기대한 바와 같은 N:1 절체가 이루어진다(S470).
이후의 동작은 기 설명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세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면, 우선 특정 위치에 유니트 고정 실장부(도시되지 않음)를 구현한다. 이 유니트 고정 실장부는 해당 위치에 실장되는 가입자 유니트를 예비 유니트를 운용하기 위한 것으로, 마더보드 패턴으로 구현된 공통선은 여기로 연결된다. 유니트 고정 실장부에 가입자 유니트가 실장되면, 절체 유니트부(220)는 필요하지 않고 제1 예비 유니트부(250)에는 기 설명한 두 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임의의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예비 유니트부(240)에는 가입자 유니트가 실장되어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 의해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70)의 절체 제어신호에 따른 절체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선택되어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가 유니트 고정 실장부로 연결되어 처리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들에서는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는 공통선에 의해 전송되므로 신호선의 수가 적게 든다. 예를 들어 장비내 16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가 있고 각 가입자 신호가 4쌍이라면, 종래 유니트 선택부로 연결하기 위해 64개의 신호선이 요구되던 것에 비해, 본 실시예들에서는 단지 4쌍의 공통된 신호선만이 필요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신호 선택부와 유니트 선택부에 사용되는 신호 선택을 위한 릴레이 등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어부와 절체 유니트부간에 연결된 신호선이 종래에 비해 적게 사용되므로 커넥터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가입자 장비의 소형화와 공간 설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저가격을 실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예비 유니트를 가입자 유니트부중에서 임의의 곳에 실장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예비 유니트의 실장 위치에 따라 절체 유니트부를 가변적으로 실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된 유니트 고정 실장부에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하여 이를 예비 유니트로 운용하게 되면, 절체 유니트부가 실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N:1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가입자 선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인터페이스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는 다수개의 가입자 유니트부와;
    상기 가입자 유니트부와 동등한 구성을 갖고, 상기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시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 예비 유니트부와;
    상기 가입자 선로를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선택된 가입자 신호를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절체 유니트부와;
    상기 절체 유니트부에 의해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 예비 유니트부와;
    상기 각 가입자 유니트부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절체 필요시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및 절체 유니트부의 가입자 신호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 및 절체 유니트부와 제1 예비 유니트부간에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는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가입자 선로를 통한 가입자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입자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전송 경로를 공통선과 가입자 유니트 연결선간에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유니트부는,
    상기 가입자 선로를 통한 가입자 신호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되는 가입자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통선 또는 송수신부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상기 각 신호 선택부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적정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6. 제1 예비 유니트부에 예비 유니트를 실장하고 제2 예비 유니트부에는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절체 유니트부의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그 송수신부의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각 가입자 유니트부를 감시하여 유니트 절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불필요한 경우, 제어부가 각 가입자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그 송수신부의 가입자 신호를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가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로 가입자 신호를 연결하고 있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그 가입자 신호가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가 제1 예비 유니트부로 전달되어져 예비 유니트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제1 예비 유니트부에 가입자 유니트를 실장하고 제2 예비 유니트부에는 예비 유니트를 실장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절체 유니트부의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공통선으로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연결되도록 신호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와;
    가입자 유니트의 절체가 필요한 경우, 제어부가 해당 가입자 유니트부에 대해 가입자 신호를 연결하고 있던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가입자 신호가 공통선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공통선으로 연결된 가입자 신호가 절체 유니트부를 거친 후 제2 예비 유니트부로 전달되어져 예비 유니트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비 유니트에 실장되는 가입자 유니트와 상기 각 가입자 유니트부에 실장되는 가입자 유니트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방법.
KR10-2001-0069766A 2001-11-09 2001-11-09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0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766A KR100400929B1 (ko) 2001-11-09 2001-11-09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766A KR100400929B1 (ko) 2001-11-09 2001-11-09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974A true KR20030038974A (ko) 2003-05-17
KR100400929B1 KR100400929B1 (ko) 2003-10-08

Family

ID=2956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766A KR100400929B1 (ko) 2001-11-09 2001-11-09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66B1 (ko) * 2001-07-20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 시스템의 가입자 절체 장치와이를 이용한 가입자 포트 및 가입자 유니트 절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137B1 (ko) * 1995-04-12 1998-12-01 김주용 보드의 n:1 다중화 절체 기능을 가진 회로
KR20000004443A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리퀘스트 신호를 이용한 멀티통신 제어회로
KR20000032945A (ko) * 1998-11-18 2000-06-15 김영환 라인 절체 장치
JP2000332857A (ja) * 1999-05-20 2000-11-30 Nec Corp N+1冗長構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929B1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9509B2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6603736B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 signals
US78646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media dependent interface reconfiguration and repair
KR100400929B1 (ko)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KR0175293B1 (ko) 교환스위치 및 스위칭 서비스 중단 최소화 방법
EP1330079B1 (en) Router system and method of duplicating one forwarding engine
US20020057681A1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is apparatus
KR100308926B1 (ko)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KR100428766B1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 시스템의 가입자 절체 장치와이를 이용한 가입자 포트 및 가입자 유니트 절체 방법
US20020141553A1 (en) Transmission line rerouting method, subscriber line accommodating apparatus and trunk transmission line accommodating apparatus
JP705292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切替方法
US6801614B1 (en) Digital loop carrier system
JP2867865B2 (ja) 予備回線切替制御方式
US5594662A (en) Data link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
EP1574109B1 (e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075888B1 (en) Method for operating interface modules in an ATM communications device
KR100298352B1 (ko) 다채널수용광전송장치및운용채널과예비채널간의채널단위절체방법
KR20020078165A (ko) 통신시스템의 최적화 정보 전송장치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US5966383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time slot interface architecture between processor and devices therein
KR100342490B1 (ko) 통신시스템의 링크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322027B1 (ko)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베어러 채널 감사방법
KR20000025698A (ko) 모듈 중복 기능을 구비한 스위치 모듈
JPH1123419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送受信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539779B2 (ja) 信号帯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