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787A - 액체 무화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무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787A
KR20030038787A KR10-2003-7004701A KR20037004701A KR20030038787A KR 20030038787 A KR20030038787 A KR 20030038787A KR 20037004701 A KR20037004701 A KR 20037004701A KR 20030038787 A KR20030038787 A KR 2003003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tomization
piston
unit
atom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2671B1 (ko
Inventor
데라다다카오
아사이게이
아라이마사토
니시무라유타로
다바타마코토
다나카신야
이토신이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76Fee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23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coupled with a vibrating ho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화하여야 할 약액을 저장해 두는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약액이 송액로(18)를 통하여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일정량만 충전된다. 급액 버튼(40)을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그 조작 로드(42)가 피스톤(20)을 누르는 동시에, 전원 스위치(46)가 ON이 된다. 피스톤(2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이 압박되는 데에 수반하여, 밸브(22)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송액로(24)가 개방된다. 그렇게 하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일정량의 약액이 송액로(24) 및 가이드 홈(26)을 통하여 혼 진동자(30)와 메시 부재(32)로 구성되는 무화부에 공급되어, 무화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무화부로의 송액량을 일정하게 하여 무화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그것을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액체 무화 장치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무화 장치{LIQUID ATOMIZER}
예컨대 종래의 휴대용 초음파식 액체 무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체{약액(藥液)}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와, 이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선단부에 공급되는 진동원(예컨대 초음파 혼 진동자)과, 이 진동원의 선단부 단부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메시 부재를 구비하여,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진동원과 메시 부재의 진동 작용에 의해 무화하는 것이다.
즉, 액체 저장부의 액체는 메시 부재와 진동원의 선단부 단부면의 간극으로 들어가고, 진동원의 초음파 진동에 의한 메시 부재와 진동원의 선단부 단부면의 진동 작용에 의해 액체는 메시 부재의 미세 구멍으로부터 미세 액적으로서 방출된다.
그런데, 무화 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액체 저장부로부터 일정량의 액체를 무화부에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장치의 사용 시의 기울기 정도, 외부로부터의 진동,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의 잔량 등이 영향을 주어, 무화부로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않아, 무화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무화 불안정은 고농도의 약액을 1회에 일정량씩 흡입하는 약액 흡인 치료에있어서 정량 분무가 안정적이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액체를 일정량씩 무화부(霧化部)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송액 기구를 갖춘 액체 무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에서의 급액 유닛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에 약액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을 피스톤으로 누르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을 무화부에 송액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을 무화부에 완전히 송액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 송액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 송액 후에 다시 피스톤이 제자리로 돌아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도 4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도 5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도 6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도 7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송액 기구에 있어서 도 9의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주요부에서 전원 스위치가 OFF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주요부에서 전원 스위치가 ON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동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의 급액 유닛에 있어서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약액이 무화부에 공급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흡액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약액 토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약액 토출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흡액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약액 토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4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약액 토출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1A 내지 도 31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로 흡기 검지를 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A는 무화 동작시에서의 혼 진동자의 전압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2B는 혼 진동자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 내지 도 33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로 흡기 검지를 하는 경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A는 무화 동작시에서의 혼 진동자의 전압값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4B는 혼 진동자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A 내지 도 3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로 흡기 검지를 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2는 레버 스프링을 지지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40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0에 도시하는 액체 무화 장치가 감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5는 스프링의 변위량(X)와 스프링에 관한 힘(F)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무화부로의 송액량을 일정하게 하여 1회마다의 무화량을 안정시키는 동시에 그것을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액체 무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동시에, 무부하 상태에서의 진동 수단의 구동 시간도 단축하여 진동 수단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약제의 흡입 손실을 낮추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액체 무화 장치는, 무화하여야 할 액체를 저장해 두는 일차 액체 저장부와, 이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일차 액체 저장부와 무화부 사이에 설치되어,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무화부로 보내는 액량을 계량하는 이차 액체 저장부와,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이차 액체 저장부에 보내는 일차 송액부(送液部)와, 이차 액체 저장부의 계량된 액체를 무화부로 보내는 이차 송액부와, 이 이차 송액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무화 장치에서는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는 무화부로 그대로 보내지는 것은 아니고, 일차 액체 저장부와 무화부 사이에 있는 이차 액체 저장부에 일단 송액되고, 이차 액체 저장부에서 무화부로의 1회에 대한 송액량이 계량되어, 계량된액체가 무화부로 보내진다. 따라서, 장치의 사용시의 기울기 정도, 외부로부터의 진동,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의 잔량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량의 액체가 무화부에 공급되어, 무화가 안정된다.
본 발명의 액체 무화 장치에 있어서, 일차 송액부 및 이차 송액부가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각각 송액하는 것으로 하면, 조작부의 1회 조작에 의해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이차 액체 저장부로 보내지는 동시에, 이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무화부로 보내져, 송액·계량·송액의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무화부가 조작부의 조작과 동시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하는 것으로 하면, 조작부가 무화 개시 스위치를 겸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무화부로의 송액과 무화 동작의 타이밍이 좋아진다.
이 경우, 무화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보다 먼저 무화부가 무화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면, 무화부에 액체가 공급되면, 즉시 액체가 무화되기 때문에 무화 동작의 상승이 매우 신속해져, 무화 동작이 안정된다.
더욱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무화부로의 송액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 일차 액체 저장부로부터 이차 액체 저장부에의 급액(給液)이 행해지도록 하면, 다음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무화부로의 송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이차 액체 저장부가 무화부에 액체를 보낼 때 이외는 밀폐 상태가 되게 하면, 이차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가 외기와 접촉하지 않아, 인체에 흡인되는 액체(약액)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일차 액체 저장부, 무화부, 이차 액체 저장부, 일차 송액부 및 이차 송액부를 급액 유닛으로서 일체로 구성하고, 그 급액 유닛에 대하여 일차 액체 저장부를 착탈 가능하게 하면, 액체를 저장하는 일차 액체 저장부의 세정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계량실에서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계량실 내의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급액 구멍을 통해서 무화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피스톤을 일정 속도로 구동하는 피스톤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 구동부를 설치함으로써 피스톤을 일정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어, 거의 균일한 힘으로 약액 등의 액체를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부에 공급되는 액체의 속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초기에 목적한대로 무화부에 액체를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는, 계량실의 일단을 규정하고, 탄성 부재에 지지되며, 피스톤에 의해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이동함으로써, 급액 구멍을 개방하여 무화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화부는 메시 부재와, 초음파 진동자 등의 진동자를 포함하여, 계량실로부터 액체가 공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메시 부재 상의 소정 위치에 소정량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이나, 모터,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피스톤 구동부는 스프링 등에 의한 탄성력이나, 모터나 솔레노이드와 같이 전자력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힘 등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피스톤을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는 송액 구멍을 개방하여 액체 저장실로부터 액체를 계량실로 보내는 것이 가능한 위치로 피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로킹 수단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피스톤 구동부를 작동시켜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릴리스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릴리스 스위치를 넣는 것만으로 피스톤을 구동할 수 있어, 간이한 조작으로 무화부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는 상기 릴리스 스위치에 의해서 로킹 수단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검지 수단과, 상기 로킹 해제 검지 수단에 의해서 로킹 수단에 의한 피스톤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이 검지된 후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의 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에 무화부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의 로킹 상태 해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부에 액체가 공급되면서 동시 혹은 그 직후에 액체의 무화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이란, 액체의 무화를 할 수 있는 동작을 시작하는 수단이며, 무화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실제로 액체의 무화가 시작하는 경우와, 소정 시간 후에 액체의 무화가 시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스톤 구동부는 제1 로드와, 피스톤을 누르는 제2 로드와,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제1 로드의 이동 방향과, 제2 로드의 이동 방향을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구동부와 피스톤을 일직선 상에 나란히 할 필요가 없어져,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길이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제1 로드와, 피스톤 및 제2 로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액체 무화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는 내부에 액체 저장실이 있는 하우징과, 계량실이 내부에 있고 피스톤을 받아들이는 실린더를 구비한다. 이 경우, 실린더와 피스톤 구동부를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 구동부는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함으로써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계량실로부터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계량실의 일단을 규정하고 탄성 부재에 지지되며 급액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와, 송액 구멍을개폐하여 계량실 내의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밸브를 이동시켜 급액 구멍을 개방하여 상기 급액 구멍을 통해서 무화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무화부로의 급액이 시작되는 것을 미리 검지하기 위한 급액 검지 수단과, 급액 검지 수단에 의해 무화부로의 급액이 시작되는 것이 검지됨에 따라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급액 검지 수단과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무화부로의 급액이 시작되는 전후의 원하는 시기에, 자동적으로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급액 검지 수단은 피스톤과 밸브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위치 센서에 의해 피스톤과 밸브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지됨에 따라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한다.
위치 센서와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피스톤과 밸브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센서에 의해서 무화부로의 액체의 공급 개시 시점을 검지하도록 해 놓으면, 무화부에 액체가 공급된 직후 혹은 그 이전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의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무화부는 메시 부재와 초음파 진동자 등의 진동자를 포함하고, 계량실에서 액체가 공급되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진동자를 구동하는 진동자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 구동부는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함으로써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계량실로부터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액체를 무화하기 위한 메시 부재 및 진동자를 포함하는 무화부와,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계량실 내의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급액 구멍을 통해서 무화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진동자의 임피던스를 검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지 수단과, 임피던스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임피던스가 소정값 이하가 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진동자 정지 수단을 구비한다.
진동자의 임피던스는 메시 부재 상에 액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임피던스 검지 수단으로 진동자의 임피던스를 검지함으로써, 메시 부재 상에 액체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진동자 정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소정값 이하가 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메시 부재 상에 무화하여야 할 액체가 존재하지 않게 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 구동부는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함으로써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계량실로부터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계량실내의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급액 구멍을 통해서 무화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무화부에서 무화된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흡입구에서 사용자가 흡기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흡기 검지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흡기 검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흡입구로부터 사용자가 흡기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로부터 사용자가 흡기함에 따라 액체의 무화, 혹은 무화부로의 액체의 공급 등을 행할 수 있어, 무화된 액체의 분무의 타이밍과 사용자의 흡기 타이밍과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액체 무화 장치는, 흡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됨에 따라 무화부에서의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갖추는 것이라도 좋고, 흡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됨에 따라 무화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을 갖춘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 구동부는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함으로써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액체 무화 장치는 배터리 수납부(5)(도 3 참조)나 전기 회로부 등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부(1)과, 이 본체부(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급액 유닛(2)으로 구성된다.
급액 유닛(2)의 일부 파단 사시도를 도시한 도 2 및 장치 내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 3에 있어서, 장치 내부에는 무화하여야 할 액체(약액)를 저장해 두는 일차 액체 저장부(10)가 배치되고, 이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저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부재(12)가 액밀 상태로 장착되고, 가동 부재(12)는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저벽을 겸하고 있다. 가동 부재(12)는 아래쪽에 배치된 압박 부재(14)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일차 액체 저장부(10) 내의 약액에는 압력이 가해진다. 여기서는, 가동 부재(12), 압박 부재(14) 등에 의해 일차 송액부가 구성된다. 또한, 일차 액체 저장부(10)를 구성하는 부품이나 가동부재(12), 압박 부재(14) 등은 급액 유닛(2)에 착탈 가능하고, 세정이 용이하다.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상부에는 무화부로 보내는 액량을 계량하는 이차 액체 저장부(16)가 설치되고, 이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송액로(18)를 통하여 일차 액체 저장부(10)에 연통하고 있다.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형의 공간(실린더)으로 이루어지고, 이 원주형의 공간의 한쪽 측에 피스톤(2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다른쪽 측에 밸브(22)가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20)에는 코일 스프링(56)이 끼워져 있고,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피스톤(20)은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밸브(22)는 코일 스프링(52)(도 4 및 도 10 참조)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압박되고, 코일 스프링(52)의 일단부는 원주형의 공간의 단부에 부착된 스토퍼(54)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는, 피스톤(20), 밸브(22), 송액로(24), 코일 스프링(52, 56) 등으로 이차 송액부가 구성된다.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송액로(24)로 통하고, 송액로(24)에는 토출구(24a)가 있으며, 이 토출구(24a)는 가이드 홈(26)으로 통한다. 또한, 가이드 홈(26)에는 보내진 약액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부(28)가 상방향으로 부설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가이드 홈(26)과 버퍼부(28)는 이차 액체 저장부(16)나 송액로(24)를 설치한 부품과 다른 부품으로 설치되지만, 동일 부품으로 일체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송액 시에는 송액로(24)에 연통하지만, 송액 이외의 경우에는 밀폐 상태이다. 즉, 일차 액체 저장부(10)로부터 약액이 공급될 때는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송액로(18)에 연통하지만, 송액로(18)에는 약액이 충만되어 있기 때문에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이 공기에 닿는 일이 없어, 약액의 청정함이 유지된다.
한편, 혼 진동자(30)는 일차 액체 저장부(10)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가이드 홈(26)에 대향하고 있다. 혼 진동자(30)의 선단부 단부면에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메시 부재(32)가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메시 부재(32)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혼 진동자(30)의 선단부 단부면에 알맞은 힘으로 압박되어 있다. 무화부는 혼 진동자(30)와 메시 부재(32)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약액은 송액로(18), 이차 액체 저장부(16), 송액로(24), 가이드 홈(26)을 통해 혼 진동자(30)와 메시 부재(32)의 간극에 공급된다.
다른 한편, 본체부(1)의 상부에는 조작부로서 슬라이드식 급액 버튼(40)이 설치되고, 급액 버튼(40)은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배치된 피스톤(20)을 조작하는 수평 방향의 조작 로드(42)와, 상기 급액 버튼(40)의 아래쪽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46)의 레버(46a)를 조작하는 조작축(44)을 구비한다. 무화부에 약액을 공급할 때는 급액 버튼(40)을 도 3의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렇게 하면, 급액 버튼(40)의 조작 로드(42)가 피스톤(20)을 누르는 것뿐만 아니라, 조작축(44)이 전원 스위치(46)의 레버(46a)를 넘어뜨려, 전원 스위치(46)가 ON이 된다. 급액 버튼(40)에서 손을 떼면, 피스톤(20)이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함에 수반하여, 급액 버튼(40)이 도 3의 상태로 되돌아가, 전원 스위치(46)가 OFF가 된다.
또, 전원 스위치(46)의 ON의 타이밍은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이 무화부로 보내지는 것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무화부에 급액될 때까지 혼 진동자(30)가 작동하고 있어, 무화부로의 급액과 동시에 무화가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화 동작의 상승이 매우 신속해져, 무화 동작이 안정된다.
무화부로의 급액은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조작부의 조작과 동시에 무화 동작이 시작된다. 여기서, 무화 동작이란, 약액을 무화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화부로의 급액의 공정도 포함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이 액체 무화 장치의 약액의 무화 동작에 관해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송액 기구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놓는다. 우선 도 4에 있어서, 실린더{50; 상기 이차 액체 저장부(16)를 형성하는 원주형의 공간에 해당}는 송액로(18)를 통하여 일차 액체 저장부(10; 도 4 내지 도 9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동시에, 송액로(24)를 통하여 가이드 홈(26)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50) 내부의 한쪽 측에는 송액로(18)를 개폐하는 밸브 기능도 병유하는 피스톤(2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다른쪽 측에는 송액로(24)를 개폐하는 밸브(22)가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20)은 상기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도면의 하방향으로 압박되고, 밸브(22)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마찬가지로 하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코일 스프링(52)의 일단부는 밸브(22)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실린더(50)의 단부에 부착된 스토퍼(54)에 결합되어 있다. 이 실린더(50) 내부에 있어서, 피스톤(20)과 밸브(22) 사이의 공간이 이차 액체 저장부(16)로 되어 있고, 일차 액체 저장부(10)로부터 약액이 공급된다. 또,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용량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50)의 내경 φ과 길이 L에 의해 [(φ/2)2π·L]로 구하여, 미리 1회의 송액에 필요한 적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송액 기구에 따르면, 피스톤(20)이 송액로(18)를 개방하고, 밸브(22)가 송액로(24)를 봉쇄한 도 4의 상태에 있어서는, 일차 액체 저장부(10)에는 임의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약액이 송액로(18)를 통하여 실린더(50) 내의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유입하여, 이차 액체 저장부(16)가 일정량의 약액으로 충전된다.
도 4의 상태에서 급액 버튼(40)을 슬라이드시키면, 피스톤(20)이 압박되고 화살표 방향(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충전된 약액에 피스톤(20)으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져, 밸브(22)가 상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피스톤(20)이 상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이윽고 송액로(18)가 피스톤(20)에 의해 막혀, 일차 액체 저장부(10)와 이차 액체 저장부(16)가 차단된다(도 5 참조).
피스톤(20)이 더욱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밸브(22)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송액로(24)가 개방되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이 송액로(24)를 통해, 토출구(24a)에서 가이드 홈(26)으로 토출되어, 무화부에 공급된다(도 6 참조).
밸브(22)는 피스톤(20)의 압박력과 토출구(24a)로부터의 약액의 토출 압력과의 밸런스로, 임의의 위치(여기서는 송액로(24)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에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20)은 그 고정 상태의 밸브(22)에 접할 때까지 이동하여, 더욱 밸브(22)와 일체가 되게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밸브(22)가 스토퍼(54)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도 7 참조). 이 상태가 되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은 토출구(24a)에서 완전히 토출된다.
여기서, 급액 버튼(40)을 해방하면, 피스톤(20)이 코일 스프링(56)에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는 데에 수반하여, 급액 버튼(4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밸브(22)도 코일 스프링(52)의 압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때, 처음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과 밸브(22)가 일체로 하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밸브(22)가 송액로(24)를 폐쇄하는 정위치로 되돌아가면, 이후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만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20)이 더욱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차 액체 저장부(16)가 부압 상태가 된다. 피스톤(20)이 송액로(18)를 개방할 때까지 이동하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부압과 일차 액체 저장부(10)로부터 약액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약액이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충전되고(도 4 참조), 다음 송액 동작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급액 버튼(40)이 다시 슬라이드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무화부에 일정량의 약액이 공급된다.
상기 송액 기구는 실제로는 도 3에 도시하는 장치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다음에,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도 4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0에 있어서는, 일차 액체 저장부(1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약액이 송액로(18)를 통하여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일정량만 충전된다. 이 때, 전원 스위치(46)의 레버(46a)는 급액 버튼(40)의 조작축(44)으로 조작되지 않고, 전원 스위치(46)는 OFF로 되어 있다(도 15 참조).
도 5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1에서는, 급액 버튼(40)을 슬라이드시키면 피스톤(20)이 조작 로드(42)에 압박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밸브(22)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송액로(18)가 피스톤(20)으로 폐쇄된다. 이 때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액 버튼(40)이 좌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원 스위치(46)의 레버(46a)가 조작축(44)에 의해 넘어뜨려져, 전원 스위치(46)가 ON이 되어 무화부로의 급액 전에 혼 진동자(3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도 6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2에서는, 밸브(22)의 이동에 의해 송액로(24)가 개방되어,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약액이 송액로(24)에 유입하고, 또 가이드 홈(26)을 통하여 무화부로 공급된다.
도 7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3에서는, 피스톤(20)이 밸브(22)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여, 이차 액체 저장부(16)의 일정량의 약액이 전부 송액로(24)로부터 무화부에 완전히 보내진다. 단, 약액은 무화부에 한번에 전부 공급되는 것은 아니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의 일부는 가이드 홈(26)에 부설된 버퍼부(28)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무화부에는 적량의 약액이 조금씩 공급된다.
도 9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4에서는, 피스톤(20)이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복귀하는 동시에, 밸브(22)도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정위치로 복귀하여, 송액로(24)가 밸브(22)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피스톤(20)이 제자리로 돌아감으로써 이차 액체 저장부(16)는 부압 상태가 되고, 피스톤(20)이 송액로(18)를 개방하면, 도 10의 상태로 되돌아가,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약액이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충전되어, 다음 송액 동작의 준비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 액체 저장부(10)의 액체는 무화부에 그대로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일차 액체 저장부(10)와 무화부 사이에 있는 이차 액체 저장부(16)에 일단 송액되어, 이차 액체 저장부(16)에서 무화부로의 1회에 대한 송액량이 계량되고, 계량된 액체가 무화부로 보내지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시의 기울기 정도, 외부로부터의 진동,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의 잔량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량의 액체가 무화부에 공급되어, 무화가 안정된다. 또한, 저렴한 구성으로 그것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무화 장치는 하우징(101)과, 실린더(102)와, 피스톤 구동부(126)와, 무화부(127)를 구비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1) 내에는 전원부가 되는 전지(108)와, 무화부를 구동하기 위한 무화부 구동용 회로 기판(10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의 측벽에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약액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앰플(104)이 장착되어 있다.
앰플(104)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실(105)과, 피스톤(106)과, 송액 통로(104a)를 구비한다. 액체 저장실(105)에는 약액(액체)이 저장되고, 약액은 액체 저장실(105)로부터 송액 통로(104a) 및 송액 구멍(111)을 통해서 후술하는 계량실(109)로 보내진다.
실린더(102)는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피스톤(112)을 받아들인다. 상기 실린더(102)는 밸브 커버(103)와, 계량실(109)과, 토출 밸브(113)와, 밸브 스프링(118)과, 급액 구멍(110)을 구비한다.
피스톤(112)은 송액 구멍(111)을 개폐하여, 계량실(109) 내에 액체 저장실(105)로부터의 약액을 공급하는 동시에, 계량실(109) 내의 약액을 압박함으로써 급액 구멍(110)를 통해서 무화부(127)로 공급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계량실(109)은 일정량의 약액을 계량하기 위한 곳이며, 계량실(109)의 한쪽의 벽면은 피스톤(112)의 단부면에 의해 구성되고, 계량실(109)의 다른쪽의 벽면은 토출 밸브(113)의 단부면에 의해 구성된다.
토출 밸브(113)는 밸브 스프링(118) 등의 탄성 부재를 통해 실린더(102)에 탄성 지지되고, 도 18에서의 좌우(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112)으로 계량실(109) 내의 약액을 압박함으로써, 토출 밸브(113)에 압력이 가해져 밸브 스프링(118)이 압축 변형하고, 토출 밸브(113)는 도 18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급액 구멍(110)을 개방할 수 있다.
급액 구멍(110)은 계량실(109)에 개구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급액 통로와 연통하여, 상기 급액 통로를 통해서 계량실(109) 내의 약액을 무화부(127)에 보내준다. 무화부(127)에 보내진 약액은 무화된 후에 분무되어, 환자에게 흡입된다.
피스톤 구동부(126)는 피스톤(112)을 일정 속도로 구동하여,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피스톤 구동부(126)는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114)와,레버(115)와, 피스톤 스프링(116)과, 릴리스 버튼(117)과, 로드 케이스(123)와, 비스(124)를 구비한다.
로드(114)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과 접속되고, 상기 로드(114)를 통해 피스톤(112)을 도 18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다. 로드(114)에는 플랜지부(114c)가 있고, 상기 플랜지부(114c)에 피스톤 스프링(116)의 일단을 부착 혹은 접촉시킨다.
피스톤 스프링(116)은 로드(114)를 통해 피스톤(112)에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피스톤(112)을 수평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시킨다. 이 피스톤 스프링(116)과 로드(114)는 함께 로드 케이스(123) 내에 수용되고, 피스톤 스프링(116)의 타단은 로드 케이스(123)의 벽면에 지지된다. 로드 케이스(123)는 비스(124)에 의해 하우징(101)에 고정된다.
레버(115)는 로드 케이스(123)의 일단측을 덮도록 부착되고, 피스톤(112)과 로드(114)를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소정 위치에까지 되돌릴 때에 이용한다.
상기 레버(115)는 측벽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결합 네일부(nail; 115a)와, 상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조작부)(115b)를 갖는다. 결합 네일부(115a) 사이에 피스톤(112)의 일단을 받아들여, 결합 네일부(115a)와 피스톤(112)의 일단에 설치한 플랜지부(112a)를 결합시킨다.
돌출부(115b)를 손으로 압박하여 도 18에서의 우측에 레버(115)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112)과 동시에 로드(114)도 도 18에서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릴리스 버튼(117)은 상하 방향으로 압박 조작 가능하고, 로킹 네일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 네일부(125)는 로드(114)의 플랜지부(114c)와 결합하고, 로드(114)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돌출부(115b)를 손으로 눌러 피스톤(112)과 로드(114)를 우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송액 구멍(111)을 개방하여 액체 저장실(105)로부터 약액을 계량실(109)에 보내주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서 피스톤(112)과 로드(114)를 로킹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 스프링(116)은 압축되고, 상기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로드(114)에 가해지게 된다.
피스톤(112)과 로드(114)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릴리스 버튼(117)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로킹 네일부(125)와 로드(114)의 플랜지부(114c)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피스톤 구동부(126)가 작동하여, 압축되어 있던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112)과 로드(114)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로킹 수단인 로킹 네일부(125)와, 릴리스 스위치인 릴리스 버튼(117)을 구비함으로써 릴리스 버튼(117)을 누르는 것만으로 피스톤(112)을 구동할 수 있고, 간이한 조작으로 무화부(127)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액체 무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릴리스 버튼(117)에 의해서 로킹 네일부(125)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검지부와, 상기 로킹 해제 검지부에 의해서 로킹 네일부(125)에 의한 피스톤(11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이 검지된 후에 약액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112)의 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에 자동적으로 무화부(127)를 작동시킬 수 있어, 예를 들면, 피스톤(112)의 로킹 상태 해제 후에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약액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부(127)에 약액이 공급되면서 동시 혹은 그 직후에 약액의 무화를 개시할 수 있다.
무화부(127)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 진동자(119; 초음파 진동자)와, 메시 부재(120)와, 메시 부재 홀더(121)와, 메시 부재 캡(122)을 구비한다.
메시 부재(120)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혼 진동자(119)의 선단부 단부면 상에 적재된다. 이 때, 메시 부재(120)는 코일 스프링을 내장한 메시 부재 홀더(121)에 의해 혼 진동자(119)의 선단부 단부면에 알맞은 힘으로 압박된다. 그리고, 메시 부재 홀더(121) 상에 메시 부재 캡(122)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20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체 무화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115)의 돌출부(115b)를 손으로 우측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15)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른 피스톤(112) 및 로드(114)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스톤 스프링(116)은 로드(114)의 플랜지부(114c)에 압박되어, 압축된다.
또한, 피스톤(112)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송액 통로(104a) 및 송액 구멍(111)이 계량실(109)과 연통하여, 부압이 된 계량실(109)에 액체 저장실(105)로부터 약액이 충전된다.
레버(115)를 소정량만 이동시키면 로드(114)의 플랜지부(114c)의 단부로부터 로드(1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릴리스 버튼(117)의 로킹 네일부(125)와 결합하여, 레버(115), 피스톤(112) 및 로드(114)가 소정 위치에서 로킹된다.
다음에, 릴리스 버튼(117)을 밀어 내린다. 이에 따라, 전술한 플랜지부(114c)의 연장부와 로킹 네일부(125)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피스톤(112) 및 로드(114)를 압축되어 있던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압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력과 같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피스톤(112) 및 로드(114)를 압박함으로써,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12) 및 로드(114)를 거의 일정 속도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의 균일한 힘으로 계량실(109) 내의 약액을 피스톤(112)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밸브(113)가 약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좌측으로 이동하여, 급액 구멍(110)이 개방된다.
그리고, 급액 구멍(110)을 통해서 무화부(127)에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112)이 거의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기 때문에 무화부(127)에 공급되는 약액의 속도(기세)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무화부(127)에 약액이 기세 좋게 보내지거나, 약액의 기세가 너무 약한 사태를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무화부(127)에서의 초기에 목적한대로의 위치에 원하는 유속으로약액을 부착시킬 수 있고, 무화부(127)에서 약액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무화할 수 있고, 무화부(127)에서 무화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후, 피스톤(112)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밸브(113)와 거의 접촉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하여, 계량실(109) 내의 일정량의 약액이 전부 원하는 속도로 송출된다. 이에 따라, 계량실(109) 내로부터의 약액의 토출이 완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 등에 비교해서, 피스톤을 일정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이하, 그것을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급액 버튼(40)을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급액 버튼(40)에 가하는 힘에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급액 버튼(40)을 누르는 힘의 크기가 변하면, 피스톤(20)의 이동 속도도 변하고, 무화부로 보내지는 약액의 속도도 변화된다.
무화부로 토출되는 약액의 속도가 크면 무화부에서 약액이 비산하고, 무화부로 토출되는 약액의 속도가 작으면 무화부의 소정 위치에 약액이 도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초기에 목적한대로 무화부에 약액이 부착되지 않고, 무화부에 무화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량이 증대한다.
또한, WO00/66277호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일정량의 액체를 분무실에 공급하기 때문에, 수동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액체 병 내의 피스톤을 소정 스트로크 진출시키는 압입 기구를 갖는 액체 분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수동 동작으로 피스톤을 구동하기 때문에, 전술한 예와 같이 목적한대로 무화부에 약액이 부착되지 않고, 무화부에 무화되지 않고 잔존하는 액량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12) 및 로드(114)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112)을 일정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해서 도 24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서는 피스톤(112)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126)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는 주로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제3 실시예에서의 피스톤 구동부(126)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14a, 114b)와, 레버(115)와, 피스톤 스프링(116)과, 릴리스 버튼(117)과,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와,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와, 레버 커버(130)와, 비스(134)를 구비한다.
로드(114a)는 일단에 직경 축소부와 직경 확장부가 있고, 타단에 링형부가 있다. 그리고, 직경 축소부를 하우징(101)의 상면에 설치한 지지벽의 U형의 오목부 상에 얹어 놓는다. 이에 따라, 직경 확장부와 지지벽을 결합할 수 있고, 로드(114a)를 하우징(101)에 부착할 수 있다.
로드(114a)의 중앙부에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와 지지벽 사이에 피스톤 스프링(11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피스톤 스프링(116)에 의해서플랜지부를 압박하여, 로드(114a)를 도 24에서의 우측으로 구동할 수 있다.
로드(114b)는 일단에 상측으로 돌출하는 핀부가 있고, 타단에 링형부가 있다. 전술한 핀부를 피스톤 결합 로드(133)의 링형부에 끼워 붙인다. 피스톤 결합 로드(133)의 일단에 관형부를 마련하고, 상기 관형부에 피스톤 커버(132)를 밖에서 끼우고, 피스톤 스토퍼(131)를 개재하여 피스톤(112)의 일단을 관형부 내에 삽입한다.
로드(114a, 114b)는 접속 부재인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 및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 및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상면에 설치한 통형부(101a)를 받아들이는 관통 구멍과 보스부(129c)를 각각 가지고,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는 보스부(129c)의 양측에 한쌍의 핀(129a, 129b)을 가지고, 핀(129a)을 통해 로드(114a)와 접속되고, 핀(129b)을 통해 로드(114b)와 접속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로드(114a, 114b)의 링형부에 핀(129a, 129b)을 각각 삽입함으로써 로드(114a, 114b)를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와 접속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14a, 114b)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여, 로드(114a)의 이동 방향과, 로드(114b)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로드(114a, 114b)의 이동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피스톤 구동부(126)와 피스톤(112)을 일직선상에 나란히 할 필요가 없어져, 피스톤(112)의 이동 방향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114a,114b)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액체 무화 장치를 폭방향으로도 축소할 수 있어, 액체 무화 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레버(115)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통형부(101a)를 받아들이는 관통 구멍과, 핀(129b)을 받아들이는 긴 구멍을 갖는다. 상기 레버(115)는 평판형이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5b; 조작부)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를 손으로 압박함으로써 레버(115)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레버 커버(130)는 레버(115) 상에 적재되고, 상기 레버 커버(130) 상에서 비스(134)를 통형부(101a)에 나사식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레버 커버(130), 레버(115),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 및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를 하우징(101)에 부착할 수 있다.
릴리스 버튼(117)은 하우징(101)의 측면에 설치한 스프링 케이스(136) 내에 수납된 릴리스 스프링(135)에 탄성 지지된다. 상기 릴리스 버튼(117)에는 로킹 네일부(125)가 있고, 로킹 네일부(125)는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가 로킹된다.
전술한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릴리스 버튼(117)의 조작부를 손으로 눌러 아래쪽으로 밀어 내린다. 이에 따라 로킹 네일부(12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도 26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로부터 레버(115)의 돌출부(115b)를 손으로 좌측 주위(반시계 방향)로 회전 조작하여, 레버(115)를 소정 각도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 및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가 회전하여, 로드(114b)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피스톤(112)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로드(114a)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스프링(116)은 로드(114a)의 플랜지부에 압박되어 압축된다.
피스톤(112)이 소정량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송액 구멍(111)이 개방하여,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액체 저장실(105)로부터 계량실(109) 내로 약액이 보내진다. 이 때, 토출 밸브(113)에 의해서 급액 구멍은 폐쇄되어 있다.
레버(115)를 소정량만 회전시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네일부(125)가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피스톤(112) 등을 소정 위치에서 로킹할 수 있다.
다음에, 릴리스 버튼(117)을 밀어 내림으로써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네일부(125)가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에 마련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와 로킹 네일부(125)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서 로드(114a), 로드(114b), 상부 레버 플레이트(128) 및 하부 레버 플레이트(129)를 구동하여, 이들을 통해 피스톤(112)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피스톤(112)을 압박함으로써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거의 균일한 힘으로 계량실(109) 내의 약액을 피스톤(112)으로 압박할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밸브(113)가 약액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좌측으로 이동하여 급액 구멍(110)이 개방되고, 급액 구멍(110)을 통해서 무화부(127)에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피스톤(112)을 거의 일정한 속도로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피스톤(112)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밸브(113)와 거의 접촉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하여, 계량실(109) 내의 일정량의 약액이 전부 원하는 속도로 무화부(127)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계량실(109)로부터의 약액의 토출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같이 피스톤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12)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112)을 일정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관해서 도 30 내지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피스톤(112)의 구동 수단으로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사용했지만, 모터, 솔레노이드와 같이 전자력을 이용하여 피스톤(112)을 일정한 힘(속도)으로 구동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뿐만 아니라,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하여 피스톤(112)을 구동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는 전원부(150)와, 제어부(151)와, 약액 유무 검지부(152)와, 정전류 승압 회로(153)와, 발진 회로(154)와, 무화부(127)와, 전류 검지부(155)와, 메시 부재 캡(122)과, 흡기 센서(156)와, 피스톤 구동부(126)와, 액체 저장실(105)과, 송액 구멍(111)과, 피스톤(112)과, 계량실(109)과, 토출 밸브(113)와, 급액 구멍(110)을 구비한다.
전원부(150)는 건전지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51)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전류 승압 회로(153)는 전원부(150)의 출력을 승압하여, 발진 회로(154)와 무화부(127)를 정전류 구동한다.
무화부(127)는 제2 실시예 등과 같이, 초음파 진동자(혼 진동자)와, 메시 부재를 포함한다. 전류 검지부(155)는 초음파 진동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여, 정전류 승압 회로(153)의 정전류화를 도모한다.
약액 유무 검지부(152)는 무화부(127)에서의 약액의 유무를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제어부(151)에 입력하고, 제어부(151)에 의해 정전류 승압 회로(153)를 ON/OFF 제어한다.
초음파 진동자 상에 약액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는 초음파 진동자의 임피던스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진동자 상에 약액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높고, 초음파 진동자 상에 약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낮아진다.
초음파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상승하면 발진 회로(154) 자체의 입력 임피던스가 상승하여, 정전류 승압 회로(153)의 출력 전압이 상승한다. 이 전압을 제어부에 입력하여, 초음파 진동자 상에 약액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한다.
흡기 센서(156)는 환자(사용자)의 흡기를 검지하여, 그 검지 결과에 따라서 제어부(151)에 의해 정전류 승압 회로(53)를 ON/OFF 제어한다. 상기 흡기 센서(156)는 메시 캡(마우스피스: 흡입구)(122) 혹은 그 근방에 설치되고, 무화부(127)에서 무화된 약액을 환자가 흡입구로부터 흡기한 것을 검지한다. 흡기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흡기에 의한 압력 변화나, 기류의 변화를 검지하면 된다.
이와 같이 흡기 센서(156)를 설치함으로써 흡입구로부터 환자가 흡기한 것을 검지할 수 있고, 흡입구로부터 환자가 흡기함에 따라 약액의 무화, 혹은 무화부(127)에의 약액의 공급 등을 행할 수 있고, 무화된 약액의 분무의 타이밍과 환자의 흡기의 타이밍과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피스톤 구동부(126)로서는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지만, 도 36 내지 도 39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38)를 사용하여 피스톤(112)을 구동해도 좋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138)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핀(137)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로드(114)를 통해 피스톤(112)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정속으로 피스톤(112)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139)를 이용하여 피스톤(112)을 구동해도 좋다. 이 경우, 로드(114)에 기어를 절단하고, 모터(139)와 로드(114)를 피니언 기어(140)를 통해 접속한다. 이에 따라, 모터(139)를 구동함으로써 피니언 기어(140)를 회전시켜, 로드(114)를 통해 피스톤(112)을 좌측으로정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14)에 기어(142)를 고정하여, 모터(139)측에 기어(141)를 부착하고, 기어(141)와 기어(142)를 맞물리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기어(141)와 기어(142)를 통해 모터(139)로부터의 동력을 로드(114)에 전달할 수 있어, 피스톤(112)을 좌측으로 정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 솔레노이드(145)를 이용하여 피스톤(112)을 구동해도 좋다. 이 경우, 회전식 솔레노이드(145)의 회전에 의해 축(144)에 고정된 아암(143)이 회전하고, 아암(143)에 고정된 로드(114)가 압박되어, 피스톤(112)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112)을 좌측으로 정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메시 부재 캡(122), 토출 밸브(113), 액체 저장실(105), 계량실(109), 피스톤(112), 급액 구멍(110), 송액 구멍(111)에 관해서는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피스톤 구동부(126)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스톤 구동부(126)를 제어부(151)로 제어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1A 내지 도 31D, 도 32A 및 도 32B를 이용하여 흡기 검지를 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약액을 일정량 계량한다. 약액의 계량의 수법은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31B에 도시한바와 같이, 급액 레버를 감아 올리고(단계 S11), 피스톤(112)을 구동하여 송액 구멍(111)을 개방하여, 액체 저장실(105)로부터 계량실(109)에 약액을 공급한다(단계 S12). 이 때, 스프링이 압축되어(단계 S13),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수법으로 스프링의 신장을 래치한다(단계 S14).
다음에, 도 31A의 단계 S20에 있어서 약액을 무화부(127)에 송액한다. 상기 약액의 송액은 도 3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기재한 릴리스 버튼을 조작하는 스프링의 래치를 해제하고(단계 S21), 스프링을 신장시킨다(단계 S22).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로드(114)를 통해 피스톤(112)이 압박되어, 피스톤(112)에 의해 계량실(109) 내의 약액이 압박되고, 토출 밸브(113)가 이동함으로써 급액 구멍(110)이 개방되어, 무화부(127)에 송액할 수 있다(단계 S23).
다음에, 도 31A의 단계 S30에 있어서 약액을 무화부(127)에서 무화한 후에 분무한다. 이 약액의 분무는 다음 수법으로 행한다. 우선 도 3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11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지만(단계 S31), 상기 로드(114)의 위치를 검지하여(단계 S32), 로드(114)가 규정 위치에 도달했다는 것이 검지됨에 따라 전원부(150)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S33).
로드(114)의 위치는, 예를 들면 로드(114)의 적소에 자석을 설치하여, 대응하는 하우징(101) 내에 설치한 자력 감응 스위치(예를 들면 리드 계전기나 홀 소자)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114)의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무화부(127)에의 급액이 시작되는 것을 미리 검지할 수 있다.
로드(114)가 소정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제어부(151; 무화 동작 개시부)에의해 전원부(150)를 ON 상태로 하여, 무화부(127)에의 급액 개시 전후의 원하는 시기에 자동적으로 약액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 무화부(127)에의 급액 개시를 미리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급액 검지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112)과 토출 밸브(113)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설치하고, 이것을 급액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토출 밸브(113)의 위치는, 예를 들면 토출 밸브(113)에 자석을 설치하고, 대응하는 하우징(101) 내에 설치한 자력 감응 스위치(예를 들면 리드 계전기나 홀 소자)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위치 센서에 의해서 피스톤(112)과 토출 밸브(113)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지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약액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부(127)에 약액이 공급된 직후 혹은 그 이전에 약액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구동부(126)가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의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라도 좋다.
전원부(150)를 ON 상태로 한 후, 정전류 승압 회로(153)에 의해 전지 전위의 승압을 행한다(단계 S34). 그 후, 단계 S35에서, 혼 진동자(초음파 진동자)(119)에 흐르는 전류가 규정치인가 아닌가를 검지하여, 전류가 규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혼 진동자(119)를 구동하여(단계 S36), 약액의 무화 동작을 행한다.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 진동자(119) 상에 약액이 있을 때는 임피던스는 비교적 크고, 약액을 무화함에 따라서 임피던스는 저하하여, 혼 진동자(119) 상에 약액이 없어지면 더욱 임피던스는 낮아진다.
그래서, 단계 S37에서 혼 진동자(119)의 승압 전위가 규정치 이상인가 아닌가를 검지하여, 승압 전위가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값(임계 전압 V1) 이하가 되었을 때에 혼 진동자(119) 상에 약액이 없어진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38), 도 31D 및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을 끈다(단계 S40).
즉, 본 발명의 액체 무화 장치는 진동자의 임피던스를 검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지 수단(단계 S37)과, 임피던스가 소정값 이하가 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진동자 정지 수단(단계 S4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메시 부재(120) 상에 무화하여야 할 약액이 존재하지 않게 됨에 따라 혼 진동자(119)의 진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동시에 혼 진동자(119)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흡기 검지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도 33A 내지 도 33D, 도 34A 및 도 3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3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술한 예와 같은 수법으로 단계 S10에서 약액을 계량하고, 그 후 단계 S20에서 환자가 흡기한 것을 검지한다. 환자에 의한 흡기는 전술한 흡기 센서(156)에 의해 검지한다. 그리고, 도 3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단계 S21)됨에 따라 전원을 넣고(단계 S22), 솔레노이드 등에 의한 래치의 해제(단계 S23)를 행하여 스프링을 신장시켜(단계 S24), 무화부(127)에 약액을 송액한다(단계 S30). 즉, 흡기 센서(156)에 의해서 환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됨에 따라 무화부(127)로의 약액의 공급을 행한다.
무화부(127)에 약액을 송액한 후, 약액의 무화를 행하고,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40에서 무화된 약액의 분무를 행한다. 분무는 도 31A 내지 도 31D에 도시하는 예와 같은 수법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류 승압 회로(153)에 의한 전지 전위의 승압(단계 S41), 혼 진동자(119)에 흐르는 전류의 검지(단계 S42), 혼 진동자(119)의 정출류 구동(단계 S43), 승압 전위의 검지(단계 S44)의 각 단계를 거쳐 행한다.
그리고, 승압 전위가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값(임계 전압 V1) 이하가 되었을 때에, 메시 부재(120) 상에 무화하여야 할 약액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45), 전원을 OFF한다(단계 S50). 이에 따라, 메시 부재(120) 상에 무화하여야 할 약액이 존재하지 않게 됨에 따라 혼 진동자(119)의 진동을 정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5A 내지 도 35D를 이용하여 흡기 검지를 행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의 계량(단계 S10)을 행하고, 그 후 무화부(127)에 약액을 송액한다(단계 S20). 약액의 계량의 수법은 도 33A 내지 도 33D에 도시하는 예와 동일하고, 무화부(127)에 약액의 송액 수법은 도 34A, 도 34B에 도시하는 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환자의 흡기를 검지한다(단계 S30). 도 3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가 흡기했는가 아닌가를 흡기 센서(156)로 검지하여(단계 S31), 환자가 흡기함에 따라 전원을 ON 상태로 한다(단계 S32). 즉, 흡기 센서(156)에 의해서 환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됨에 따라 무화부(127)에서의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33A 내지 도 33D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전지 전위의 승압(단계 S33), 혼 진동자(119)에 흐르는 전류의 검지(단계 S34), 혼 진동자(119)의 정출류 구동(단계 S35), 승압 전위의 검지(단계 S36)를 행하고, 승압 전위가 도 34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값(임계 전압 V1) 이하가 되었을 때에, 메시 부재(120) 상에 무화하여야 할 약액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으로 판단하여(단계 S37), 전원을 OFF한다(단계 S50).
본 실시예에서는 특허 출원 공표 공보 평8-502689호에 비교하여 전지 수명이나 진동자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WO00/66277호에 비교하여 약제의 흡입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그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 출원 공표 공보 평8-502689호에는, 박막을 진동시켜 액체를 무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계량된 소정량의 액체를 전부 무화하도록, 상기 소정량의 액체의 무화에 필요한 진동 시간보다도 긴 시간 상기 박막을 진동시키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박막을 긴 시간 진동시킴으로써 박막을 진동시키기 위한 전지 수명이 줄어드는 것 뿐만 아니라, 진동자를 무부하 상태로 장시간 진동시켜 진동자의 수명도 줄어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급액 검지 수단(160)과 무화 동작 개시 수단(151)을 구비하기 때문에, 무화부(127)에의 급액이 시작되기 전후의 원하는 시기에, 자동적으로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를 무화시키기 위해서 진동자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무부하 상태에서의 구동 시간을 적게 할 수 있어,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동시에 진동자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화부(127)에 액체를 공급하기 직전에 미리 진동자를 진동시킴으로써, 계량실(109)로부터의 급액량이 변동되었을 때라도 진동자에의 극단적인 부하 증가를 예방할 수 있어, 분무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피던스 검지 수단(단계 S37)과 진동자 정지 수단(단계 S4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메시 부재(120) 상에 액체가 존재하지 않게 됨에 따라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동시에, 무부하 상태에서의 진동자의 구동을 억제하여 진동자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WO00/66277호에서는 수동 동작으로 무화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경우, 약액의 흡입 시에 수동 동작으로 약액을 무화부로 보내어 무화한 후에 분무시켜, 그것을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그 때문에, 무화된 약액의 분무의 타이밍과, 사용자의 흡기의 타이밍의 차이가 커져, 약액을 잘 흡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흡입하는 약액의 양이 미량인 경우에는 분무와 흡기의 타이밍이 어긋남으로써, 약제의 흡입 손실이 커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 검지 수단(흡기 센서(15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흡기에 따라서 액체의 무화 동작이나, 무화부로의 액체의 공급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된 액체의 분무의 타이밍과 사용자의 흡기의 타이밍과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한 약제의 흡입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해서 도 40 내지 4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5 실시예에서는,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126)에서 레버 스프링(216)에 나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점에서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피스톤 구동부(126)는 푸시 로드(114b)와, 감김 레버(115)와, 릴리스 레버(117)와, 레버 플레이트(128)와, 릴리스 스프링(135)과, E-링(201)과, 스위치 레버(202)와, 레버 샤프트(214)와, 레버 스프링(216)을 구비한다.
푸시 로드(114b)에는 결합 볼록부(114d)와 래크(114c)가 있고, 또한 하우징(101)에 설치된 가이드(101c)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128)는 푸시 로드(114b)의 래크(114c)에 맞물리는 피니언(128a)을 구비하고, 또한 하우징(101)에 설치된 통형부(101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감김 레버(115)에는 손으로 조작 가능한 조작부(115b)가 있고, 또한 레버 플레이트(128)의 오목부(128b)에 결합 가능한 결합 볼록부(115c)가 있다.
레버 샤프트(214)는 하우징(101) 내부에서 통형부(101a)의 관통 구멍 내에 삽입 관통되어, 이에 따라 레버 플레이트(128)와 감김 레버(115)의 각 구멍을 관통하여, 감김 레버(115)로부터 돌출한 선단에 E-링(201)이 끼워져 있다. 또한, 이 레버 샤프트(214)는 스위치 레버(202)를 관통하고 있어, 이에 따라, 스위치레버(202)는 레버 샤프트(214)와 동시에 회전한다. 이 레버 샤프트(214)의 하단부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 스프링(2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 스프링(216)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측 단부가 레버 샤프트(214)의 균열부(214a)에 끼워지고, 또한 외주측 단부가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된 리브부(101d)에 걸리게 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
릴리스 레버(117)는 레버 플레이트(128)에 설치된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는 로킹 네일부(125)를 구비하고, 또한 릴리스 스프링(135)에 의해 상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 레버 스프링(216)의 하측에서는 배터리 유닛(108a)을 하우징(101) 내에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유닛(108a)을 하우징(101) 내에 삽입한 후에는 하부 커버 유닛(101b)에 의해 하우징(101)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 구동부(126)는 푸시 로드(114b)의 결합 볼록부(114d)가 결합 로드(133)의 구멍과 결합함으로써 피스톤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43 및 도 44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액체 무화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3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로부터 감김 레버(115)의 조작부(115b)를 손으로 좌측 주위(반시계 방향)로 회전 조작하여, 감김 레버(115)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레버 플레이트(128)가 회전하여, 푸시 로드(114b)와 결합 로드(133)가 우측으로 슬라이드하여, 피스톤(도시하지 않음)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레버 샤프트(214)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레버 스프링(216)은 감겨지고, 감김 레버(115)를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압박력이 발생한다.
피스톤이 소정량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같이 하여, 액체 저장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계량실(도시하지 않음) 내로 약액이 보내진다. 이 때, 토출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급액 구멍(도시하지 않음)은 폐쇄되어 있다.
감김 레버(115)를 소정량만 회전시키면,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네일부(125)가 레버 플레이트(128)에 설치된 구멍(128c)에 릴리스 스프링(135)의 압박력에 의해 끼워 넣어져, 피스톤 등을 소정 위치에서 로킹한 로킹 상태가 된다.
다음에, 릴리스 레버(117)를 밀어 내림으로써 로킹 네일부(125)가 레버 플레이트(128)에 마련된 구멍(128c)에서 빠져나가, 레버 플레이트(128)와 로킹 네일부(125)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감김 레버 스프링(216)의 압박력에 의해서 레버 플레이트(128)가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푸시 로드(114b)와 결합 로드(133)가 좌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이 레버 스프링(216)의 압박력으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압박함으로써,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같이, 거의 균일한 힘으로 계량실(도시하지 않음) 내의 약액을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같이 하여, 무화부(127)에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제5 실시예에 관해서도 제4 실시예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같이 레버 스프링(216)의 압박력에 의해 피스톤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을 일정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127)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고 하는 유리한 점을 갖고 있다. 이하, 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5를 참조하여, 통상, 스프링에서는 스프링에 걸리는 힘(F)과 변위량(X)이 정비례하여, 그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의 기울기가 스프링 정수가 된다. 여기서, 스프링 정수를 크게 하면, 감겨 있는 상태(스프링이 가장 줄어든 상태)일 때의 스프링에 걸리는 힘(F)과 피스톤(112)을 꽉 누른 상태(스프링이 가장 신장한 상태)일 때의 스프링에 걸리는 힘(F)의 차가 커진다. 이 힘(F)의 차는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의 차에 비례한다. 즉, 감겨 있는 상태(스프링이 가장 줄어든 상태)의 위치에서는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는 크고, 피스톤(112)을 꽉 누른 상태(스프링이 가장 신장한 상태)의 위치에서는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는 그것보다도 작아져, 속도의 변화 정도가 커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를 양산하는 데에 있어서, 스프링의 개체 차에 의한 변동에 의해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실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 여기서의 「속도의 변화 정도」는 제1 실시예의 수동 조작의 경우의 속도 변화에 비교하면 충분히 작아, 실질적으로는 일정 속도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의 변화 비율이다.
또한, 피스톤(112)을 꽉 누른 상태에서의 스프링에 걸리는 힘(F)은 밸브 스프링(118)에 대항하여 토출 밸브(113)를 충분히 밀어내려, 계량실(109)의 약액을 급액 구멍(110)으로부터 압출하는 힘이 최저 한도로 필요하다. 그 때문에, 스프링 정수가 크면, 완전히 감을 때의 스프링에는 보다 큰 힘(F)이 걸리게 되어,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도 그만큼 빨라진다. 이에 따라, 토출 밸브(113)가 조금 압박되고, 누른 것만큼 계량실(109)로부터 앰플(104)에 역류하는 약액량이 적어져, 결과적으로 무화부에 공급되는 약액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은, 스프링의 개체 차나 부품의 열화나 약액의 점성 상태에 의한 변동이 커,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실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스프링 정수가 크면, 피스톤(112)이 앰플(104)과 이어지는 송액 통로(104a)를 넘은 위치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가 보다 빨라져, 약액이 무화부(127)에 빠른 속도에 이동하기 때문에 무화부(127)로 약액의 비산이 생기기 쉬워져, 이것도 일정량에서의 무화의 실현을 저해하게 된다.
그래서, 스프링 정수가 작은 스프링을 이용하면,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속도의 속도 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일정량에서의 무화가 쉬워지고, 또한 무화부(127)에서의 약액의 비산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스프링이 피스톤(112)을 누르는 힘을 크게 하고자 하면, 스프링의 변위량(X)이 커지기 때문에, 스프링 전체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같이 피스톤 스프링(116)에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에는, 나사형의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 스프링(216)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이 나선형 스프링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나선형 방향으로 길게 해야 한다. 그러나, 나선형 방향으로 길게 하는 경우,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길어지는 코일 스프링보다도 나선형 스프링의 사이즈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본 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구성보다도 소형화에 적합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액체 무화 장치는 레버 스프링(216)으로서 스프링 정수가 작은 나선형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일정량에서의 무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무화부(127)에서의 약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을 했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나 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화부로의 송액량을 일정하게 하여 무화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그것을 저비용으로 실현하기 위한 액체 무화 장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무화하여야 할 액체를 저장해 두는 일차 액체 저장부와, 이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일차 액체 저장부와 무화부 사이에 설치되고,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무화부로 보내는 액량을 계량하는 이차 액체 저장부와, 일차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이차 액체 저장부에 보내는 일차 송액부와, 이차 액체 저장부의 계량된 액체를 무화부로 보내는 이차 송액부와, 이 이차 송액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무화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보다 먼저 무화부가 무화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송액부 및 이차 송액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각각 송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조작부의 조작과 동시에 액체의 무화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무화부로의 송액 동작이 종료했을 때에, 일차 액체 저장부로부터 이차 액체 저장부로의 급액이 행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액체 저장부는 무화부에 액체를 보낼 때 이외는 밀폐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액체 저장부, 무화부, 이차 액체 저장부, 일차 송액부 및 이차 송액부는 급액 유닛으로서 일체로 구성되고, 그 급액 유닛에 대하여 일차 액체 저장부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무화 장치.
  7.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상기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상기 계량실에서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상기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계량실 내의 상기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급액 구멍을 통해서 상기 무화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일정 속도로 구동하는 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계량실의 일단을 규정하고, 탄성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이동하여 상기 급액 구멍을 개방하여, 상기 무화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밸브를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메시 부재와 진동자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실에서 상기 액체가 공급되는 액체 무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 모터 및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액체 무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액 구멍을 개방하여 상기 액체 저장실로부터 상기 액체를 상기 계량실로 보내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상기 피스톤을 고정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상기 로킹 수단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릴리스 스위치를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로킹 수단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로킹 해제 검지 수단과,
    상기 로킹 해제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로킹 수단에 의한 상기 피스톤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지한 후에, 상기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제1 로드와, 상기 피스톤을 누르는제2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로드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로드의 이동 방향을 다르게 한 액체 무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액체 저장실이 있는 하우징과,
    상기 계량실이 내부에 있고, 상기 피스톤을 받아들이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구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액체 무화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액체 무화 장치.
  15.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상기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상기 계량실에서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상기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계량실의 일단을 규정하고, 탄성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급액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계량실 내의 상기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이동시켜 상기 급액 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급액 구멍을 통해서 상기 무화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무화부로의 급액이 시작되는 것을 미리 검지하기 위한 급액 검지 수단과,
    상기 급액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무화부로의 급액이 시작되는 것이 검지됨에 따라 상기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
    을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액 검지 수단은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밸브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지됨에 따라 상기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액체 무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상기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의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액체 무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메시 부재와 진동자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실에서 상기 액체가 공급되고,
    상기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은 상기 진동자를 구동하는 진동자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액체 무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갖는 액체 무화 장치.
  20.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상기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상기 계량실에서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상기 액체를 무화하기 위한 메시 부재 및 진동자를 포함하는 무화부와,
    상기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계량실 내의 상기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급액 구멍을 통해서 상기 무화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진동자의 임피던스를 검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검지 수단과,
    상기 임피던스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임피던스가 소정값 이하가 됨에 따라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정지시키는 진동 정지 수단
    을 구비하는 액체 무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갖는 액체 무화 장치.
  22.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실과,
    상기 액체 저장실로부터 송액 구멍을 통해서 소정량의 상기 액체가 보내지는 계량실과,
    상기 계량실에서 급액 구멍을 통해서 공급된 상기 액체를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송액 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계량실 내의 상기 액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급액 구멍을 통해서 상기 무화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한 피스톤 구동부와,
    상기 무화부에서 무화된 상기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흡기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흡기 검지 수단을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흡기가 검지됨에 따라, 상기 무화부에서의 상기 액체의 무화 동작을 시작하는 무화 동작 개시 수단을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흡기가검지됨에 따라, 상기 무화부로의 상기 액체의 공급을 하는 액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액체 무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을 갖는 액체 무화 장치.
KR10-2003-7004701A 2000-10-05 2001-10-04 액체 무화 장치 KR100492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5687 2000-10-05
JPJP-P-2000-00305687 2000-10-05
JP2001202074 2001-07-03
JPJP-P-2001-00202074 2001-07-03
PCT/JP2001/008777 WO2002028459A1 (fr) 2000-10-05 2001-10-04 Atomiseur de liq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787A true KR20030038787A (ko) 2003-05-16
KR100492671B1 KR100492671B1 (ko) 2005-06-07

Family

ID=2660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701A KR100492671B1 (ko) 2000-10-05 2001-10-04 액체 무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44545A1 (ko)
JP (1) JP4016837B2 (ko)
KR (1) KR100492671B1 (ko)
CN (1) CN1302823C (ko)
WO (1) WO2002028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802A (ja) * 2003-03-25 2004-10-14 Omron Healthcare Co Ltd 液体霧化装置
CN103189087B (zh) * 2010-10-29 2016-03-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雾化器、控制雾化器的控制单元以及雾化器的控制方法
JP6531183B2 (ja) * 2015-01-23 2019-06-12 タン、ウィリアム 超音波気化素子
CN105268590B (zh) * 2015-10-23 2017-07-18 上海应用技术学院 便携式智能超声波雾化器
CN106288105B (zh) * 2016-10-09 2022-03-01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瓶装式加湿器
CN111514415B (zh) * 2020-03-16 2022-03-18 奥利加尔国际(重庆)科技发展有限公司 便携式雾化装置
CN112089524B (zh) * 2020-09-15 2022-05-31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用于黄斑变性的药物递送装置
CN115487383B (zh) * 2021-06-17 2023-09-2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控制组件及电子雾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45171A1 (en) * 1990-03-21 1998-01-16 Boehringer Ingelheim Int Atomising devices and methods
GB2272389B (en) * 1992-11-04 1996-07-24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ZA962077B (en) * 1995-03-14 1997-03-26 Siemens Ag Ultrasonic atomizer device with removable precision dosa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16837B2 (ja) 2007-12-05
WO2002028459A1 (fr) 2002-04-11
KR100492671B1 (ko) 2005-06-07
EP1344545A1 (en) 2003-09-17
CN1302823C (zh) 2007-03-07
JPWO2002028459A1 (ja) 2004-02-12
CN1468119A (zh) 200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407A (en) Atomizer for fluids, preferably an inhalation device
JP3585127B2 (ja) 超音波噴霧システム
JP2540462B2 (ja) 小形超音波噴霧器
JP3142577B2 (ja) 着脱自在な精密計量供給ユニット
KR20190045922A (ko) 세정 기구
US20040031488A1 (en) Liquid atomizer
JP4415022B2 (ja) 静電噴霧装置
KR100492671B1 (ko) 액체 무화 장치
RU2536191C2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1186350A1 (en) Liquid spray device
US9604242B2 (en) Volatile liquid droplet dispenser device
CA2814977A1 (en) Aerosol generator
JP2005514974A (ja) 吸入のために流体を噴霧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8640971B2 (en) Nebulizer
US106531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JP2005218865A (ja) 微小調量装置
JP2001149473A (ja) 噴霧装置
US20100043792A1 (en) Inha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7307560A (ja) 液体霧化装置
JP2004249208A (ja) 吸入器及び吸入システム
JP2008246468A (ja) 圧電噴霧システムによって噴霧される流体の分配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噴霧システム
JPH1157008A (ja) 輸液装置及び液体霧化装置
JPH09150877A (ja) 溶液供給装置
CN118022108A (zh) 给药装置
JPH11104028A (ja) 液体洗剤の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