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108A -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108A
KR20030038108A KR1020010069526A KR20010069526A KR20030038108A KR 20030038108 A KR20030038108 A KR 20030038108A KR 1020010069526 A KR1020010069526 A KR 1020010069526A KR 20010069526 A KR20010069526 A KR 20010069526A KR 20030038108 A KR20030038108 A KR 2003003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etergent
washing
detergent
propell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883B1 (ko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8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 D06F33/06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non-electrically substantially mechanic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호스를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세제를 세탁조 내에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액체세제통(30)에 연결되고, 일측에 설치된 버튼(41)이 가압됨에 따라 액체세제를 방출하는 압축부(40)와; 상기 압축부(40)에 연결되어 방출된 액체세제 및 세탁수가 세탁조(8)에 공급되도록 하는 유로 안내수단(50)과; 상기 유로 안내수단(50)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프로펠러(60)와; 상기 프로펠러에 연결되어 프로펠러(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부의 버튼(41)을 가압하는 동력전달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device for injecting liquid detergent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호스를 유동하는 세탁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체세제를 세탁조 내에 자동으로 투입시키도록 한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기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그 중에서도 드럼세탁기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드럼세탁기의 일반적인 외관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상기 드럼세탁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를 비롯한 각종 부장품을 보호하기 위해 좌우 양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케비넷(1)과, 상기 케비넷(1)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탑 플레이트(2)와, 상기 캐비넷의 전면 상부에 각종 세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3)과, 상기 컨트롤 패널(3)의 일측에 자동 세제 투입을 위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통(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3)의 하단에는 세탁조의 개방면과 대향하여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도어(6)가 설치됨과 아울러 개방된 전면을 감싸는 전방커버(5)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커버의 하단에는 필터 장치가 수납되는 하부 플레이트(7)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드럼세탁기는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세제통(4)에 분말로 된 세제와 표백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을 투입한 후, 컨트롤 패널(3)을 통해 세탁물의 종류나 세탁시간 등을 설정하여 시작 버튼을 누름에 따라 세탁에서 헹굼 및 탈수와 건조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한편, 최근에는 세탁수에 희석이 잘 되며 유화작용이 뛰어난 액체세제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세제를 드럼세탁기에 투입하고자 할 경우, 드럼세탁기의 특성상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도어(6)를 개방하여 세탁조에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탁수가 공급되기 전에 세탁물에 직접 투입하든지 아니면 부득이하게 세제통(4)을 통해 투입해야만 했다.
그러나, 상기 세제통(4)을 통해 액체세제가 투입될 경우에 분말세제를 위한 구조적인 특성상 세제 투입량이 정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즉, 상기 세제통(4)은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분말세제가 적당량 희석되어 세탁조로 투입되는 구조이나, 액체세제의 경우 그 유동성으로 인해 세탁수에 희석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세탁조에 직접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세제통(4)은 분말세제를 위한 것으로 세탁수에 의한 분말세제의 희석량과 액체세제의 희석량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결국 원하는 세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힘들어 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호스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체세제를 세탁조에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세탁에 필요한 양만큼의 세제를 세탁조에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가 설치된 본체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탁기의 내부구조 및 세제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세제 투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도 4의 세제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기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액체세제통 40 : 압축부
41 : 버튼 42 : 세제 방출관
50 : 유로 안내수단 51 : 디스트리뷰터
52 : 급수호스 53 : 확관부
60 : 프로펠러 70 : 동력전달부
71 : 기어장치 71a, 71b : 기어
72 : 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는: 액체세제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에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삽입 설치되는 액체세제통과; 상기 액체세제통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측에 설치된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액체세제가 방출되도록 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방출된 액체세제 및 세탁수가 세탁조에 공급되도록 하는 유로 안내수단과; 상기 유로 안내수단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에 연결되어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부의 버튼을 가압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에 관해 참조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제 투입장치는 크게 액체세제통, 압축부, 유로 안내수단, 프로펠러 및 동력전달부로 구분된다.
도 2는 본 발명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가 설치된 본체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체세제통(30)은 세제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2)에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탑 플레이트(2)에는 세제통 홀더가 삽입 설치되어 액체세제통(30)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액체세제통(30)의 배출구에는 마개부재(도시 생략)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제통(4) 홀더에 액체세제통(30)을 삽입 설치하면 상기 마개부재가 가압되면서 액체세제가 누출되지만, 상기 액체세제통(30)을 세제통 홀더에서 탈거시키면 상기 마개부재를 가압하던 압력이 해제되어 더 이상 액체세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세제통(30)은 내부에 저장된 액체세제의 양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액체세제통(30)의 측면에 액체세제통(3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띠모양의 투명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액체세제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액체세제통(30)이 탑 플레이트(2)에 설치된 상태를 보면 상기 액체세제통은 탑 플레이트(2)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전방커버(5)의 상부 일측에는 섬유 유연제통(4a)이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세탁기의 내부구조 및 세제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부(40)는 액체세제통(3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그 일측에 버튼(41)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챔버(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측에 설치된 버튼(41)이 가압됨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세제가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압축부(40)에는 액체세제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세제 방출관(42)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압축부(40)에는 유로 안내수단(50)이 연결되는데, 상기 유로 안내수단(50)은 압축부(40)에 연결되어 세탁행정시 압축부(40)에서 액체세제 및 세탁수가 세탁조(8)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혹은 헹굼행정시 섬유 유연제와 세탁수가 세탁조(8)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로 안내수단(50) 내에는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프로펠러(60)를 설치하며, 상기 프로펠러에는 동력전달부(70)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부(40)의 버튼(41)을 가압한다. 이러한 압력에 의해 압축부의 액체세제가 유로 안내수단(50)에 배출되게 하는데, 이에 관해 참조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세제 투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세제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기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로 안내수단(50)은 크게 디스트리뷰터(51), 세제용 급수호스(52) 및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도시 생략)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디스트리뷰터(51)(distributor)의 세탁수 토출측에는 세제용 급수호스(52)와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디스트리뷰터(51)의 내부에는 세제용 급수호스(52)와 연결되는 유로와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와 연결되는 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유로조절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디스트리뷰터(51)의 유로를 각 급수호스측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제용 급수호스(52)는 디스트리뷰터(51)의 세탁수 토출측에 연결되어 세탁행정시 액체세제와 세탁수를 세탁조(8)에 공급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는 디스트리뷰터(51)의 세탁수 토출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세탁기의 전방측에 설치된 섬유 유연제통(4a)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헹굼행정시 세탁수가 섬유 유연제통(4a)을 거쳐 세탁조(8)에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세제용 급수호스(52)에는 프로펠러(60)가 연결되는 부분에 프로펠러의 회전반경보다 큰 공간으로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확관부(53)가 형성되어 세탁수가 유동됨에 따라 프로펠러(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프로펠러(60)에 연결된 동력전달부(7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압축부(40)에 고정된 세제 방출관(42)은 세제용 급수호스(52)에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세제용 급수호스(52)와 연결되는 디스트리뷰터의 유로 부분에 연결되거나, 혹은 상기 세탁조(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의 세탁행정시에 압축부(40)의 세제 방출관(42)을 통해 배출된 액체세제는 세탁수에 혼합되어 세탁조(8)에 투입되거나 혹은 세탁조(8)에 바로 투입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70)는 프로펠러(6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장치(71)와, 상기 기어장치(71)에 연결되어 기어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40)의 버튼(41)을 소정 주기로 눌러주는 캠(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장치(71)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져 인접한 기어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어장치(71)는 프로펠러(60)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71a)가 상기 캠(72)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71b)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캠(72)에 연결된 기어(71b)가 저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캠(72)이 버튼(41)에 보다 큰 힘을 작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캠(72)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캠(72)이 1회전할 때마다 캠(72)에 형성된 돌출부(72a)의 수만큼 압축부의 버튼(41)을 눌러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캠(72)의 돌출부(72a)가 압축부(40)의 버튼(41)을 스무스(smooth)하게 누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캠(72)의 돌출부(72a)는 둥그렇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41)의 끝단부도 둥그런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72a)와 버튼(41)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프로펠러(60) 및 동력전달부(70)를 전체적으로 볼 때에, 상기 프로펠러(60)는 세제용 급수호스(52)에 형성된 확관부(53)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펠러(60)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장치(71)는 유로 안내수단(50)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캠(72)은 기어장치(71)와 연결되며 유로 안내수단(5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세제 투입장치에 관해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조(8)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에 컨트롤 패널(3)의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유로 안내수단(50)을 통해 세탁조(8)에 세탁수가 공급된다. 상기 세탁수는 디스트리뷰터(51)에서 유동방향이 절환됨에 따라 세제용 급수호스(52) 또는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에 투입되게 된다.
세탁기의 세탁행정시 세제용 급수호스(52)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세제용 급수호스(52)의 확관부(53)에 설치된 프로펠러(60)는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프로펠러(6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60)에 연결된 기어(71a,71b)들을 회전시키며, 상기 기어(71a,71b)가 회전됨에 따라 캠(72)이 회전된다.
상기 캠(72)은 회전중심에서 돌출부(72a)까지의 반경이 회전중심에서 돌출부(72a)가 형성되지 않은 테두리까지의 반경보다 크므로, 상기 캠(72)의 돌출부(72a)가 버튼(4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마다 버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돌출부(72a)가 조금 더 회전됨에 따라 버튼(41)의 가압이 해제되면 버튼(41)은 다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캠(72)이 1회전함에 따라 상기 버튼(41)은 캠(72)에 형성된 돌출부(72a)와 동일한 수만큼 눌러진다.
따라서, 상기 버튼(41)을 1회 누름에 따라 배출되는 세제의 양, 캠(72)에 형성된 돌출부(72a)의 개수 및 세탁수가 공급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세탁조(8)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에 따라 적당량의 세제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부(40)의 버튼(41)이 가압되면 압축부(40)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므로, 상기 압축공기의 작용에 의해 압축부(40)의 세제 방출관(42)을 통해 액체세제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세제 방출관(42)을 세제용 급수호스(52) 또는 디스트리뷰터(51)의 세제용 급수호스(52)와 연결된 유로 부분에 직접 연결하면 액체세제는 세제용 급수호스에 투입되고, 상기 세제 방출관(42)을 세탁조(8)에 연결하면 액체세제는 세탁조(8)에 직접 투입되게 된다.
결국, 상기 액체세제는 유로 안내수단(50)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세탁조(8)에 자동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세탁조에 세탁수 및 세제가 공급되면 상기 세탁조는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따라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탁기가 세탁행정을 완료한 후에는 헹굼행정이 시작되는데, 상기 헹굼행정이 시작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트리뷰터(51)의 유로는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섬유 유연제용 급수호스를 통과한 세탁수는 섬유유연제통(4a)을 거쳐 세탁조(8)에 투입되므로, 상기 세탁수에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상태로 세탁조(8)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세제용 급수호스(52)에는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프로펠러(6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세탁기의 헹굼행정시에는 액체세제가 세탁조(8)에 투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이므로 섬유 유연제통(4a)에 섬유 유연제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헹굼행정을 수행할 수 있음도 이해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세제를 투입할 때에 다른 동력원을 설치하지 않고도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에 따라 적당한 양의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액체세제의 투입량을 세탁수의 공급량에 따라 알맞게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시 필요한 만큼의 세제만를 공급함으로써 세제의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수질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액체세제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에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삽입 설치되는 액체세제통과;
    상기 액체세제통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일측에 설치된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챔버에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액체세제가 방출되도록 하는 압축부와;
    세탁수가 세탁조에 공급되도록 하는 유로 안내수단과;
    상기 유로 안내수단 내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에 연결되어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압축부의 버튼을 가압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안내수단은:
    세탁수의 유로를 절환시키도록 설치되는 디스트리뷰터와;
    상기 디스트리뷰터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어, 세탁행정시 세탁수를 세탁조에 공급하는 급수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안내수단의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프로펠러의 회전 반경보다 큰 내부공간인 확관부(擴管部)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에는 세제 방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세제 방출관은 급수호스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세제 방출관은 급수호스와 연결된 디스트리뷰터의 유로 부분에 연결됨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세제 방출관은 세탁조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장치와;
    상기 기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부의 버튼을 소정 주기로 눌러주는 캠: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져 인접한 기어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가 상기 캠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캠에 연결된 기어가 저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캠이 압축부의 버튼에 보다 큰 힘을 작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KR10-2001-0069526A 2001-11-08 2001-11-08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KR10042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526A KR100421883B1 (ko) 2001-11-08 2001-11-08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526A KR100421883B1 (ko) 2001-11-08 2001-11-08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108A true KR20030038108A (ko) 2003-05-16
KR100421883B1 KR100421883B1 (ko) 2004-03-09

Family

ID=2956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526A KR100421883B1 (ko) 2001-11-08 2001-11-08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784B1 (ko) * 2004-10-07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커버
US9234309B2 (en) 2009-12-24 201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44B1 (ko) * 2009-01-05 2015-1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586493B1 (ko) * 2009-01-05 2016-0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577443B1 (ko) * 2009-01-05 2015-1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56142B1 (ko) * 2009-04-03 2013-04-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액체세제 공급용 세탁기
CN206503190U (zh) 2016-09-30 2017-09-19 林钧琦 金属水槽排水无缝接出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489A (ja) * 1992-01-20 1993-08-03 Hitachi Ltd 洗濯機の制御方法
KR960015981B1 (ko) * 1994-01-14 1996-11-25 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JPH09285681A (ja) *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洗濯機及び洗濯方法
KR20000009651U (ko)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의 세액투입장치
KR100781247B1 (ko) * 2001-07-06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KR100781248B1 (ko) * 2001-07-06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액상 세탁제 자동 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784B1 (ko) * 2004-10-07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커버
US9234309B2 (en) 2009-12-24 201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883B1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36B2 (ja) 洗濯方法及び洗濯機
AU2012243650B2 (en) Washer
KR1014358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97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21883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ITTO940431A1 (it) Macchina lavabiancheria a distribuzione di agenti di lavaggio migliorata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000959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253488B2 (ja) 洗濯機
KR20110004747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KR100237703B1 (ko) 드럼세탁기
KR100201954B1 (ko)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20100066174A (ko) 세탁기
KR101183151B1 (ko) 드럼 세탁기의 급수장치
KR0172883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섬유 유연제 투입 제어방법
KR100271740B1 (ko) 드럼세탁기의 유연제 투입장치
KR2011006245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154558Y1 (ko) 헹굼제통과세제통으로구획된세제함을장착시킨세제투입장치
KR19990030953U (ko)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투입장치
KR20220156222A (ko) 세탁기
KR101669489B1 (ko) 유로변경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0692893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028785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행정 제어방법
KR20130121442A (ko) 이동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200183268Y1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