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519A -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 Google Patents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519A
KR20030037519A KR1020010068727A KR20010068727A KR20030037519A KR 20030037519 A KR20030037519 A KR 20030037519A KR 1020010068727 A KR1020010068727 A KR 1020010068727A KR 20010068727 A KR20010068727 A KR 20010068727A KR 20030037519 A KR20030037519 A KR 2003003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unit
audio
ban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영
Original Assignee
안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영 filed Critical 안태영
Priority to KR102001006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519A/ko
Publication of KR2003003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오디오기기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앰프부(10)에서 OP앰프(OP)로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직류화회로부(20), 기준전압레벨화부(30), 오디오신호처리부(40)로 순차, 인입하며,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40)는 아날로그스위치인 인터페이스(IP), 오디오신호레벨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60), 출력단에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포함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40)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밴드패스필터(60)와 함께 순차적으로 대역비교하여, 각각의 오디오신호 대역레벨을 비교하여 해당 대역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의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음향효과에 더하여 진동감을 각 음역 별로 감지하게 하는 구동을 행함으로서 게임기의 작동이나 DVD 플레이어의 감동 등의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임장감을 대폭 향상 시키는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Unit for sound-effecting of acoustial apparatus}
본 발명은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음향효과를 체험적으로 체감하게 하는 회로 및 장치구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음향기기가 안출되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전자오락실의 게임기, 개인용 컴퓨터의 게임프로그램, DVD플레이어 등 음향이 중시되는 각종의 조작기기가 개발되어 종래 시각적인 효과를 주로 하던 운용방식이 음향효과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게임기, DVD플레이어 등에서의 음향효과는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서 인식되고 이러한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로 부터의 음향효과의 기술은 주로 인체의 청각에 인입되는 음향신호의 고품질화에 주력화하고 있어 실제로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크게 그 효과가 어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게임기, DVD 플레이어 등의 음향발생장치와 연결된 체감유니트를 제공함으로서 화상과 음향효과와 더불어 체험감 및 임장감(臨場感)을 극대화하는 유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사용되는 회로의 예시적인 회로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와 협동하는 조작용 의장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외관구성의 예시적인 구성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디오앰프부
20: 직류화회로부
30: 기준전압레벨화부
40: 오디오신호처리부
60: 밴드패스필터
71,72,73,74,75,.: 구동드라이버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오디오기기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앰프부에서 OP앰프로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직류화회로부, 기준전압레벨화부, 오디오신호처리부로 순차 인입하며,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는 아날로그스위치인 인터페이스, 오디오신호레벨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 출력단에 바이브레이터유니트의 구동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밴드패스필터와 함께 순차적으로 대역비교하여, 각각의 오디오신호 대역레벨을 비교하여 해당 대역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의 바이브레이터유니트의 구동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상기 체험유니트는 케이싱에 수납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하고 음향증폭장치(오디오앰프)와 같이 협동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바이브레이터유니트의 구동드라이버는 게임용의자 내방에 수납된 다수 개의 분리되고 그 내방에 구동용의 모우터 내지 액튜에이터를 수납하여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구성 및 작동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사용되는 회로의예시적인 회로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와 협동하는 조작용 의장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외관구성의 예시적인 구성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음향신호의 레벨을 분리하여 추출하고 이 추출된 레벨별 신호에 대응하는 체감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요지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스위치(SW)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파워부(PW)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도 3 의 입력단자(IT)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앰프부(10)에서 OP앰프(OP)로서 증폭되어 후단의 신호처리에 사용되게 된다.
입력단자(IT)로부터의 신호는 직류화회로부(20)를 거쳐서 제너다이오드(Z)를 사용한 기준전압레벨화부(30)를 거쳐서 주된 신호처리유니트이면서 마이크로프로세서(MCU)인 오디오신호처리부(40)로 인입된다.
오디오신호처리부(40)는 아날로그스위치인 인터페이스(IP)를 거쳐서 오디오신호레벨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60)를 가지고, 출력단에는 후술하는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하는 구성에서 오디오신호처리부(40)에 입력설정되는 프로그램은 밴드패스필터(60)와의 협동으로 입력단자(IT)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각각의 레벨을 밴드패스필터(60)로서 분리파악하는 통상적인 비교논리를 수행하게 하고,
각각의 오디오신호의 레벨에 따른 대역별로 오디오신호를 분리시켜서 만일 해당 대역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해당 대역의 밴드패스필터(60)에 의하여 출력단의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구동하게 된다.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는 각각의 구동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모우터(M)의 축에 편심연결된 웨이트의 회전, 액튜에이터의 작동 등에 의하여 유발되는 바이브레이션이나 릴레이의 접점의 연속 진동하는 바이브레이션 등의 진동유발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전체 회로 구성은 통상적인 회로와 동일하게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도 2,3 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100)에 수납되는 회로기판(101)으로 구성하고 내방에는 통상적인 음향증폭장치(오디오앰프)와 같이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오디오앰프에 대하여서는 다양한 구성으로서 상용화되는 것이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전면에는 전원스위치(SW), 음향볼륨(V), 우퍼음향볼륨(W) 등의 조작스위치를 배설하고 시각적인 이퀄라이져(EQ)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하는 회로에서의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의 구동신호는 도시하지 않지만 미세진동조절용의 가변저항 (R1), 진동강약조절스위치(R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0)의 후방에는 오디오신호의 입력단자(IT)와 출력단자(OT) 및 우퍼음향출력단자(WT)를 가질 수있고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로의 신호선(VC)을 연속적인 다열선으로서 배설하여 가진다.
상기하는 방식의 회로와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의 체험유니트(U)를 예를 들면 게임용의자(C)로서 구성한 것이 도 2 이다.
상기의 회로부로부터의 구동출력신호선은 게임용의자(C) 내방에 배설되는 진동패드(P1,P2,P3.. )와 연결되고 우퍼음향출력단자(WT)로부터의 출력선은 게임용의자(C)의 상방의 우퍼스피터(SK)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의 진동패드(P1,P2,P3.. )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방에 모우터(M)를 실장하고 편심웨이트(EC)의 편심축회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진동유발장치 등이 진동을 증폭하기 위한 금속판 등의 패드케이싱(PC)의 형태로서 구성된 것으로서 그 예시적인 구성이 도 4 에 도시된다.
상기하는 구성은 다양한 등가적인 구성으로서 수정할 수 있슴은 물론이고 상기의 진동패드(P1,P2,P3.. )를 게임용의자(C)의 다양한 장소별로 내장하여 구성하게 되면 진동패드(P1,P2,P3.. )의 진동 시에 사용자는 대역별로 분리된 진동을 감지할 수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진동패드(P1,P2,P3.. )에 수납되는 모우터(M)의 용량이나 진동수 등을 오디오신호의 대역의 크기 별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서 각 신호의 인입에 따른 차별화된 진동감을 느끼게 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게임기나 DVD플레이어 등으로부터 인출된 음향신호의 레벨을 대역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신호의 인입이 있는 경우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각 부위별로 구동하게 함으로서 음향효과에 더하여 진동감을 각 음역 별로 감지하게 하는 구동을 행함으로서 게임기의 작동이나 DVD 플레이어의 감동 등의 더욱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임장감을 대폭 향상 시킴으로서 음향효과의 개선에 비할 수없는 체험적인 오디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는;
상기하는 게임기, DVD 플레이어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조작기기 , 예를 들면 항공기, 모의전투, 자동차경주 등의 각종의 시뮬레이션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그 훈련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도 가진다.

Claims (3)

  1. 오디오기기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앰프부(10)에서 OP앰프(OP)로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직류화회로부(20), 기준전압레벨화부(30), 오디오신호처리부(40)로 순차 인입하며,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40)는 아날로그스위치인 인터페이스(IP), 오디오신호레벨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60), 출력단에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포함하여;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40)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밴드패스필터(60)와 함께 순차적으로 대역비교하여, 각각의 오디오신호 대역레벨을 비교하여 해당 대역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의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 구동드라이버(71,72,73,74,75,.)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유니트(U)는 케이싱(100)에 수납되는 회로기판(101)으로 구성하고 음향증폭장치(오디오앰프)와 같이 협동하여 구성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유니트(70)의구동드라이버(71,72,73,74,75,.)는 게임용의자(C) 내방에 수납된 다수 개의 분리되고 그 내방에 구동용의 모우터 내지 액튜에이터를 수납하여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패드(P1,P2,P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KR1020010068727A 2001-11-06 2001-11-06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KR20030037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27A KR20030037519A (ko) 2001-11-06 2001-11-06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27A KR20030037519A (ko) 2001-11-06 2001-11-06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19A true KR20030037519A (ko) 2003-05-14

Family

ID=2956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27A KR20030037519A (ko) 2001-11-06 2001-11-06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5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47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a tactile sensation generator
US8290192B2 (en) Gaming headset vibrator
JP632283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2902879B1 (en) Haptic base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5388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ctile transduction of acoustic signals from television receivers
US20020065477A1 (en) Audio interactive sexual vibrator
US201802436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090189748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or a video signal to generate haptic excitation
EP2417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o-haptic speakers
WO2011043292A1 (ja) スピーカ型振動装置および振動機能付き電子機器
JP6563603B2 (ja) 周波数変化によって実時間振動を提供する振動提供システム及び振動提供方法
JP3771621B2 (ja) 小型コンピュータ
KR20030037519A (ko) 조작기기의 음향신호레벨 체험유니트
WO2019142390A1 (ja) 振動発生システム、信号生成装置、及び加振装置
JP2001259134A (ja) 遊技機
KR100964477B1 (ko) 진동체감장치
KR101414098B1 (ko) 음악을 이용한 진동마사지 장치
KR19980023395A (ko) 가상현실 체감시스템용 의자의 진동장치 및 진동 제어방법
KR200341701Y1 (ko) 음향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장치
JP2000214865A (ja) カラオケ装置
KR200201056Y1 (ko) 음악연주게임기의 음악출력장치
JP2003265709A (ja) 遊技機用音響システム
JP2004023488A (ja) 体感音響装置
AU7797694A (en) Dual output multi function interface device for audio systems
KR20040092940A (ko) 체감용 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