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510A -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510A
KR20030033510A KR1020010065514A KR20010065514A KR20030033510A KR 20030033510 A KR20030033510 A KR 20030033510A KR 1020010065514 A KR1020010065514 A KR 1020010065514A KR 20010065514 A KR20010065514 A KR 20010065514A KR 20030033510 A KR20030033510 A KR 2003003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erver
data channel
wireless
vo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717B1 (ko
Inventor
경연정
천희진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 EVRC 보코더를 데이터 통신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압축된 음성을 데이터 채널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인터럽의 발생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보코더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하여 데이터에 실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코더를 동작시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Speech signal transmission method on data channel}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의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망에서 고도 가변율 코덱(EVRC : Enhanced Variable Rate CODEC) 보코더(VOCODER, 음성 코딩 칩)를 데이터 통신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압축된 음성을 데이터 채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확장으로 이동통신 기술과 그에 따른 서비스는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용자들의 욕구는 날로 팽배해져 가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켜 줄 만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아주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현재까지, 유/무선 전화망의 각종 ARS(IVR) 시스템에 음성인식을 대표로 하는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특히 무선망의 경우 음질상의 제한으로 인하여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또한, 음성의 통화 채널상에서의 전송만이 있어왔으므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상에서는 음성인식 기술 등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데이터 채널로 호 연결이 되면, 코덱(CODEC) 부분인 보코더(VOCODER)를 바이패스(Bypass)하게 되며, 아날로그 음성 자체(혹은 PCM(Pulse Code Modulation) 타입의 음성)를 전송하는 것은 그 용량이 너무 커서 대역폭(Bandwith)의 제약이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분야에서는 대역폭(Bandwith)의 제약이 있는 WAP 등의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 음성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망에서 EVRC 보코더를 데이터 통신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압축된 음성을 데이터 채널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보코더 처리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일반적인 음성 (데이터 단어 삭제)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 는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코더(CODEC)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인터럽의 발생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보코더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하여 데이터에 실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코더를 동작시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에, 상기 서버가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음성임을 감지하여, 해당 음성을 디코딩하여 음성을 복원하고, 음성에 대응되는 해당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에,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인터럽의 발생을 감지하는 제 1 기능;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보코더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하여 데이터에 실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코더를 동작시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기능 수행후에, 상기 서버가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음성임을 감지하여, 해당 음성을 디코딩하여 음성을 복원하고, 음성에 대응되는 해당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 4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WAP을 비롯한 무선 데이터 채널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안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데이터 채널에서 아날로그 음성 자체(혹은 PCM 타입의 음성)을 보내는 것은 그 용량 때문에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현재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EVRC 보코더를 통과시킨다. EVRC 보코더를 통과하면, 선 스펙트럼 쌍(LSP : Line Spectral Pair) 파라미터가 추출되고, 이는 기존의 PCM 타입의 음성파일보다 현저하게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추출된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는 패킷 타입으로 전송하면 되고, 받는 쪽에서 디코더를 거쳐 원래의 음성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이므로 손실(Loss)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일반 음성(Speech) 채널 사용시보다 고품질의 음성을 전송할 수 있고, 아울러 음성인식 등에서도 높은 인식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예를 들면, n.Top, magic N 등) 사용시 문자 위주의 서비스외에 음성을 부가시킨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로서, 공지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보코더(VOCODER, 음성 코딩 칩)(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데이터 채널을 통해 용량이 큰 PCM 타입의 음성파일을 직접 보내는 것은 그 용량 때문에 불가능하므로, 보코더(10)를 통과시킨다. 보코더(10)를 통과하게 되면, 선 스펙트럼 쌍(LSP) 파라미터가 추출되고, LSP 파라미터는 기존의 PCM 타입의 음성파일보다 현저하게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러한 LSP 파라미터를 패킷 타입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디코더를 거쳐 원래의 음성파일을 복원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사업자는 대부분 8kbps EVRC 보코더(10)를 사용하고 있다.
보코더(10)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과정에서, 보코더(10)는 대량의 신호를 압축하게 된다. 즉,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면서 대량의 압축 효과를 갖는다.
CDMA에 적용된 보코더(10)는 가변율(Variable Rate) 보코더로서, 음성신호의 많고 적음에 따라 1.2kbps ~ 8kbps로 전송된다. 또한, 보코더(10)에서 일반적으로 음성은 20ms 단위로 처리된다. EVRC 보코더(10)는 "루슨트"사, "모토로라"사, "노키아"사 등에서 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8kbps QCELP(Qualcomm Coded Excited Linear Predictive)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코더(10)에서의 음성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PCM 타입의 음성)가 보코더(10)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보코더(10)에서 이 음성신호를 20ms 단위로 디지털화한 후 특징을 추출(digitizing & feature extraction)하여 압축된 LSP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즉, 음성신호를 주파수 대역에서 좀더 잘 모델링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압축이 일어나며, 최종적으로 음성은 LSP 파라미터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무선통신망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통신 채널을 보면, 음성 통신 채널을 일반적으로 트래픽(Traffic Channel)이라고 칭하며 회선 채널(Circuit Channel)이 되고, 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이라 일반적으로 말하고 이는 패킷(Packet Channel)이라 한다. 이때, 단말기 내부의 호처리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성 통신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코더(10)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압축 변환한다.
한편, 데이터 통신시에는 상기 도 3의 음성 통신과 달리 보코더(10) 부분은 바이패스(Bypass)하게 된다. 왜냐하면, 문자와 데이터만을 처리한다는 가정이 있으므로, 음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
그러나, 화상정보 뿐만 아니라 음성까지도 포함해야 하는 동영상 서비스에서, 음성/오디오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이며, 도 4와 같은 데이터 채널상에서 효율적으로 음성을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채널로 호 연결이 되면 보코더(10) 부분이 바이패스(Bypass)되고, 아날로그 음성 자체(혹은 PCM 타입의 음성)를 전송하는 것이 그 용량이 너무 커서 대역폭(Bandwidth)의 제약이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위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과정을 제안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어부의 제어하에 동작된다.
현재, 데이터 채널 연결시 소프트웨어적으로 무조건 보코더(10) 부분을 바이패스(bypass)하도록 되어 있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여, 선택적으로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한다. 즉, 데이터 채널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특정 키(예를 들면, "*", "#")를 누르면 마이크 입력이 인에이블(Enable)되면서보코더(10)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Encoding)한 후 그 출력(Output)인 압축된 음성형태의 LSP 파라미터를 일반 데이터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아울러, 데이터 채널 연결중 서버로부터의 명령이 있을 때는 역으로 보코더(10)와 스피커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일반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된 음성/오디오 파일을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한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채널별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채널 연결 시에도 도 3 및 도 4와 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보코더(10)의 기능을 활용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은, 먼저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501), 인터럽트(사용자가 특정 키(예를 들면, "*", "#")를 눌러 발생되는 사용자 요구 신호 또는 서버로부터의 서버 명령 신호)가 발생되면(502), 인터럽트의 종류를 분석한다(503).
분석 결과, 발생된 인터럽트가 사용자 요구 신호이면, 마이크 입력이 인에이블(Enable)되면서 보코더(10)가 동작되어(504)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Encoding)한 후 그 출력(Output)인 압축된 음성형태의 LSP 파라미터를 일반 데이터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서버로 전송한다(505,506).
이후,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음성임을 감지하여 디코딩후 음성을 복원하고(507), 음성에 대응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508). 상기 해당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인터럽트가 서버의 명령 신호이면, 보코더(10)와 스피커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일반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된 음성/오디오 파일을 디코딩(Decoding)하여 재생한다(509,510).
따라서,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과정을 지원하는 단말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첫째, "n.Top"이나 "magic N"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여 복잡한 트리(Tree) 구조의 메뉴를 무시하고 특정키(예를 들면, "*", "#")를 눌러 원하는 메뉴를 발성한다. 이때, 발성된 음성은 압축(Encoding)되어 데이터로 전송되며,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보고 음성임을 판단하여 음성인식기를 거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화면으로 바로 넘어가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작고 불편한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개선하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접속(User Access) 방식에 VUI(Voice User Interface)를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무선 상거래(Mobile Commerce) 등의 본인 인증 수단으로 비밀번호 외에도 음성을 이용한 화자인증 적용이 가능해진다. 즉, 원하는 물건과 일차적 본인인증을 거친 뒤, 보안을 높이기 위해 특정 약속된 패스워드(Password)를 발성하게 한다. 이때, 서버에서 단말기로 보코더 인에이블(Enable)을 명령하게 되고, 발성된 패스워드(Password)는 압축(Encoding)되어 일반 데이터와 동일하게 서버로 전송된다. 화자인증 후, 올바른 사용자로 인식되면, 계속하여 무선 상거래 과정(MobileCommerce Process)을 진행하게 된다.
셋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이메일(E-mail) 전송 기능에서 작은 화면에서 긴 메일을 읽기 곤란하던 점을 개선할 수 있다. E-mail 전송후, 사용자가 음성듣기 기능을 선택하면, 서버에서 E-mail을 TTS(Text-to-Speech) 등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한 후 EVRC 모듈을 통해 압축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단말기에서는 보코더와 스피커를 인에이블(Enable)하여 음성을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일 읽어주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도 음성을 사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문자 위주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탈피하여 음성 및 문자를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의 확장 및 음성을 통한 화자인증 무선 상거래 서비스, 무선 메일 읽어주기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외에도 데이터와 음성의 동시서비스가 필요한 많은 부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채널과 음성 채널을 동시에 잡고 있는 WAP 2.0의 WTA와 달리 데이터 채널상에서 음성의 지원이 가능하게 하여 과금 등의 별도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없어 망 사업자의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무선통신망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인터럽의 발생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보코더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하여 데이터에 실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코더를 동작시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에, 상기 서버가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음성임을 감지하여, 해당 음성을 디코딩하여 음성을 복원하고, 음성에 대응되는 해당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은,
    음성 및 문자를 지원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음성을 통한 화자인증 무선 상거래 서비스, 무선 메일 읽어주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채널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이크 입력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보코더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Encoding)한 후 그 출력(Output)인 압축된 음성형태의 선 스펙트럼 쌍(LSP) 파라미터를 일반 데이터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 채널 연결중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보코더와 스피커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일반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된 음성/오디오 파일을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5.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망에,
    데이터 채널 연결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인터럽의 발생을 감지하는 제 1 기능;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보코더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압축하여 데이터에 실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코더를 동작시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성파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능 수행후에, 상기 서버가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음성임을 감지하여, 해당 음성을 디코딩하여 음성을 복원하고, 음성에 대응되는 해당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 4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65514A 2001-10-23 2001-10-23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KR10042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514A KR100428717B1 (ko) 2001-10-23 2001-10-23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514A KR100428717B1 (ko) 2001-10-23 2001-10-23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510A true KR20030033510A (ko) 2003-05-01
KR100428717B1 KR100428717B1 (ko) 2004-04-28

Family

ID=2956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514A KR100428717B1 (ko) 2001-10-23 2001-10-23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58B1 (ko) * 2004-12-08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비음성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인식 장치
KR100792362B1 (ko) * 2003-04-30 2008-01-09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음성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328B1 (ko) * 1999-03-10 2001-11-28 진서용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KR100385442B1 (ko) * 2000-02-29 2003-05-27 이만균 음성 인터넷 명령어 처리 시스템
JP3452250B2 (ja) * 2000-03-15 2003-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
FI20000735A (fi) * 2000-03-30 2001-10-01 Nokia Corp Monimodaalinen menetelmä liikutettavassa laitteessa esitettävän graafisen informaation selaamiseksi
KR100424508B1 (ko) * 2001-03-16 2004-03-26 (주)옴니텔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62B1 (ko) * 2003-04-30 2008-01-09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음성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37358B1 (ko) * 2004-12-08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비음성 검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717B1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7325B2 (en) Background music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US734649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speech recognition over a data channel
AU684872B2 (en) Communication system
EP0909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forwarding voice signals
US7289461B2 (en) Communications using wideband terminals
US7343282B2 (en) Method for transcoding audio signals, transcoder, network ele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communications system
US8417185B2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for robust voice data communication
US20070112571A1 (en) Speech recognition at a mobile terminal
JPH1065597A (ja) 音声メッセージ送信装置、音声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携帯無線音声メッセージ通信装置
US10733996B2 (en) User authentication
US713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speech recognition over a voice channel
KR100428717B1 (ko)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JP3075067B2 (ja) デジタル移動無線装置
US2003006551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natural speech
JP3954288B2 (ja) 音声符号化信号変換装置
KR100757858B1 (ko) 선택적 인코딩 시스템 및 상기 선택적 인코딩 시스템의동작 방법
JPH11163974A (ja) 電話装置及び音声記録方法
JP2000151827A (ja) 電話音声認識システム
JP3885989B2 (ja) 音声補完方法及び音声補完装置ならびに電話端末装置
JP4507822B2 (ja) 音楽提供システム、音楽提供方法及び音楽提供用プログラム
KR100318421B1 (ko) 단말기간에구별이용이하도록하기위한링서비스방법
JP2001211251A (ja) 音声録音器を含む無線ディジタル電話機
KR100760905B1 (ko)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출력 품질 개선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상기방법을 채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JPH0713593A (ja) 音声処理システム
KR200600769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 재생 중 문자 메세지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