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28B1 -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28B1
KR100315328B1 KR1019990007890A KR19990007890A KR100315328B1 KR 100315328 B1 KR100315328 B1 KR 100315328B1 KR 1019990007890 A KR1019990007890 A KR 1019990007890A KR 19990007890 A KR19990007890 A KR 19990007890A KR 100315328 B1 KR100315328 B1 KR 10031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compressed
signal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944A (ko
Inventor
김두용
Original Assignee
진서용
주식회사 인포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서용, 주식회사 인포핸드 filed Critical 진서용
Priority to KR101999000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28B1/ko
Priority to CN00104127A priority patent/CN1267177A/zh
Priority to JP2000072463A priority patent/JP2000312388A/ja
Publication of KR2000005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압축 음성데이터의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과 이를 위한 디지털 휴대 이동전화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디지털 휴대 이동전화기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90), 음성신호 입력수단(90)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100), PCM 데이터로의 변환수단(100)의 출력신호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220), 필요시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700), 필요시 저장수단(700)으로부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읽어들여 채널부호화하기 위한 수단(300), 채널부호화 수단(30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RF 송신기(400), RF 송신기(400)를 통해 얻어진 신호를 입력하는 듀플렉서(500), 듀플렉서(500)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안테나(550),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음성데이터를 외부장치(900)를 통하여 수신하여 처리한 뒤 저장수단(700)에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800), 음성신호 입력수단(90)으로부터 입력되어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수단(700)에 저장하기 위한 암호화수단(600), 저장수단(7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저장수단(7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암호화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수단(650), 안테나(550)와 듀플렉서(500)를 통해 음성신호를 전송받는 RF수신기(450), RF수신기(45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채널복호화 수단(350), 채널복호화 수단(350)의 출력신호를 음성복호화시키기 위한 수단(240), 및 상기 음성복호화된 신호를 D/A변환 수단(105)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100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은,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외부장치(900)와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800)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는 경우에 있어서, 외부장치 (900)와 마이크로프로세서(8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단계(s300),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거쳐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10), 상기 수신한 음성데이터가 압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320), 상기 확인결과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부호화기를 이용하여 압축시킨(s330) 뒤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시키고, 상기 확인결과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로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Digital Portable Mobile Telephone and Methods for Inputting/Outputting and Storing/Retrieving Voice Data Therefor}
본 발명은 인터넷 또는 일반 PC통신망에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를 써서 음성데이터를 서비스받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서비스 방법의 구현을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춘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와, 상기한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가 음성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음성부호화기와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음성복호화기로 이루어진 보코더 (vocoder)를 이용해서 음성데이터를 입력해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코더를 이용한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 제공하는 음성정보 서비스는 상대방과 실시간 전화통화중인 경우에 가능하였다. 도 1 은 이러한 종래의 음성정보 서비스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가 음성정보를 서비스받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가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마이크(5)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T1)는 A/D 변환기(1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PCM 데이터(T2)로 바뀌어지며, 이어 보코더(20)의 음성부호화기(22)를 거쳐 압축된 데이터(T3)로 변환된다. 압축된 데이터(T3)는 채널부호화기(30)에 입력되고, 채널부호화기(30)의 출력신호(T4)가 RF 송신기(40)에 입력되고, RF 송신기(40)를 통해 얻어진 신호(T5)는 듀플렉서(50)와 안테나(6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역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60)와 듀플렉서(50)를 거쳐 RF수신기(45)에 입력되는 신호(R1)는 RF수신기(45)에서 디지털 신호(R2)로 바뀌며, 신호(R2)는 채널복호화기(35)를 통해 다시 음성부호화된 압축신호(R3)로 변환되어 음성복호화기(24)로 입력된다. 이러한 신호(R3)는 음성복호화기(24)를 통하여 음성 복호화된 PCM 데이터(R4)로 변환된 뒤, D/A 변환기(15)를 통해 스피커(70)나 이어폰을 통해 음성정보(R5)로 출력된다.
이분야의 다른 종래 기술로는 1998년 9월 24일에 김혜숙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1998-039557 호(공개번호 특1998-087832, 1998.12.5 공개)가 있다.
이 기술은 휴대이동전화기를 이용한 미디어청취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휴대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여 청취하거나 저장시켜서 필요한 시간에 청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압축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시 암호화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아니하며, 메모리가 상기 휴대이동전화기에 내장되어 있어서, 필요시 메모리를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아니하다.
이 분야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1996년 9월 18일 삼성전자 주식회사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제 1996-040624 호(공개번호 특1998-021680, 1998.6.25 공개)가 있다. 이 기술은 음성사서함 기능을 내장한 셀룰러 폰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셀룰러 폰은 메세지를 남기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나,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압축하여 저장하지 아니하며, 암호화기 및 암호해독기등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다. 그리고 인터넷 또는 PC통신망과 같은 네트웍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PC와 같은 외부장치를 거쳐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방법이 제공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분야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삼성전자 주식회사에 의해 1995년 10월 11일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 제 1005-34855 호(공개번호 97-24676, 1997.5.30 공개)가 있다. 이 기술은 휴대폰의 예약통화 방법에 대한 것이긴 하나, 인터넷 또는 PC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PC와 같은 외부장치를 거쳐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아니하며, 암호화기 및 암호해독기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와 암호화기, 암호해독기, 인터넷 또는 PC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를 외부장치를 써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또는 PC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외부장치를 써서 휴대이동전화기로 수신하고, 필요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며, 필요시 예약된 시간에 저장 및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음성정보 서비스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정보 서비스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를 통한 음성데이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예약된 시간에 수신하는 경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단말기를 통한 음성데이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예약된 시간에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정보 서비스 방법이 적용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가 음성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마이크(9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T1)는 A/D 변환기(10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PCM 데이터(T2)로 바뀌어지며, 이어 음성부호화기(220)를 거쳐 압축된 데이터(T3)로 변환된다.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T3)는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다. 압축된 데이터(T3)는 채널부호화기(300)로 입력되고, 채널부호화기(300)로부터 RF 송신기(400)로 디지털 데이터(T4)가 입력되고, RF 송신기(400)의 출력신호(T5)는 듀플렉서(500)와 안테나(55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필요시 메모리(700)에 저장된 압축데이터(M5)가 채널부호화기(300), RF송신기(400), 듀플렉서(500) 및 안테나(550)를 거처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만약 압축된 데이터(T3)를 메모리(700)에 저장하기 전에 암호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된 데이터(T3)는 암호화기(600)를 거쳐 암호화한 뒤, 암호화된 압축데이터(E1)를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한다. 이때 비휘발성 메모리(700)는 내장식 또는 착탈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를 단말기가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550)와 듀플렉서(500)를 거쳐 RF수신기(450)에 입력되는 수신신호(R1)는 RF수신기(450)에서 디지털 신호(R2)로 바뀌어 채널복호화기 (350)에 입력된다. 채널복호화기(350)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된 압축신호(R3)는 음성복호화기(240)에 입력된다. 압축신호(R3)는 음성복호화기(240)를 통하여 음성 복호화된 PCM 데이터(R4)로 변환된 뒤, D/A 변환기(105)를 통해 스피커(1000)나 이어폰을 통해 음성정보(R5)로 출력된다.
필요시 채널복호화기(350)의 출력신호(R3)는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되고, 필요시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 압축음성데이터(R2)는 음성복호화기 (240), D/A 변환기(105)를 거쳐 음성정보(R5)로 출력된다.
만약 PC와 같은 외부장치(90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신호는 휴대이동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800)에서 처리된 뒤(M1) 메모리(700)에 저장된다. 이 경우 외부장치(9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압축되지 않은 경우, 메모리(700)에 저장하기 전에 음성부호화기(220)를 통해 압축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은 기능과 구성의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서비스 받기 위해서는, 휴대이동전화기 내부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성데이터 저장 방법들을 제공한다.
첫번째 저장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휴대이동전화기의 마이크(90)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A/D 변환기(100)와 음성부호화기(220)를 차례로 거친 뒤,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암호화기(600)를 통과한 후,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먼저 마이크(90)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입력한다(S10). 입력된 음성데이터는 A/D 변환기(100)에 입력된다(S20). A/D 변환기(100)의 출력신호는 음성부호화기(220)에 입력된다(S30). 이후 암호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암호화가 필요할 경우 암호화기(600)에 음성부호화기(220)의 출력신호를 입력한다(S50). 암호화기(600)의 출력신호를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한다(S60). 그러나 암호화기(600)가 필요하지 않으면, 음성부호화기(200)의 출력신호를 바로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한다(S60).
두번째 저장 방법은,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나 휴대이동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업체로부터 압축된 음성 신호를 기지국과안테나(550)를 통해 수신하여 RF수신기(450), 채널복호화기(350)를 거쳐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 4 와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예약된 시간에 수신하는 경우의 입력 및 저장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음성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직접 서비스 업체에 접속한다(S110). 서비스 업체에 접속하고나서, 압축 음성데이터를 검색하여(S120), 필요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선택(S130)하고, 서비스 업체에 선택한 음성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구한다 (S140). 따라서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는 선택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안테나(550)를 통해 수신 받아(S150), RF수신기(450)를 거쳐(S160), 채널복호화기(350)에 입력한다(S170). 이후 채널복호화기 (350)의 출력신호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80). 저장할 것이면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여 필요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S190). 반면에 채널복호화기 (350)를 통과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복호화기(240)를 통과한(S200) 후 D/A 변환기(105)를 거쳐(S210) 스피커(1000)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S220).
반면에 만약 사용자가 자동예약을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는 자동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예약시간에 안테나(550)를 통해 압축 음성데이터를 수신 받아(S230), RF수신기(450)에 입력한다(S240). RF수신기(450)의출력신호는 채널복호화기(350)를 거쳐(S250)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다(S260).
세번째 방법은, 외부장치(900)가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인터넷, PC통신망 및 휴대용 저장수단 가운데 하나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휴대전화기 내부에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0)에서 처리한 뒤,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때 휴대용 저장수단은 CD-ROM과 디스켓과 같이 휴대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뜻한다. 그리고 외부장치(900)는 인터넷 및 PC통신망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외부장치(9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8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경우 만약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가 압축이 안된 데이터인 경우에는 휴대이동전화기내부에 있는 압축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한 뒤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한다.
도 6 에 이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단말기(900)와 휴대이동전화기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8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로를 설정하고(S300) 음성데이터를 수신받는다 (S310). 이때 수신된 음성데이터가 압축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확인결과 압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부호화기(220)를 이용하여 압축시킨(S330) 뒤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한다(S340). 만약 압축된 경우에는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바로 저장시킨다 (S340).
네번째 방법은, 압축된 음성데이터가 이미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700)를 휴대전화기에 장착하여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얻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의 네 가지 방법 가운데 한 가지 방법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 압축 음성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데이터 재생방법은, 메모리(70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암호화가 되어있을 경우에는 암호해독기(650)에서 암호를 해독한 뒤, 음성복호화기(240)와 D/A 변환기(105)를 차례로 거친 후 스피커(1000)나 이어폰을 통해 음성 정보를 전달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예약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자에게 음성데이터를 전송보낼 예약시간과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410). 예약된 시간에 압축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한다(S420).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있는 압축 음성 데이터는 예약된 시간에 휴대이동전화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S430). 선택된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700)로부터 읽혀져서 채널부호화기(300)에 입력된다 (S440). 체널부호화기 (300)의 출력신호는 RF송신기(400)와 듀플렉서(500)를 거쳐(S450) 기지국으로 출력된다(S460).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방법에서는 먼저,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 압축 음성데이터를 검색한다(S470). 검색후 필요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선택한다(S480). 이때 압축 음성데이터가 암호화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90). 확인결과 암호화가 되어 있으면 압축 음성데이터를 암호해독기(650)에 입력한다 (S500). 암호해독기(650)의 출력신호는 음성 복호화기(240)에 입력되고 (S510) 음성복호화기(240)의 출력신호는 D/A변환기(105)를 거쳐(S520) 스피커 (1000) 및 이어폰으로 음성을 출력한다(S530).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음성부호화기(220)/복호화기 (240)가 구비되어 있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 압축 음성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비휘발성 메모리(700)에 저장된 압축 음성데이터를 사용자가 언제든지 필요할 경우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음성 데이터의 저장시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므로 경제적이고, 시스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음성신호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PCM 데이터로의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필요시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의 착탈식 또는 내장식 메모리;
    필요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읽어들여 채널부호화하기 위한 수단;
    상기 채널부호화 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RF 송신기;
    상기 RF 송신기를 통해 얻어진 신호를 입력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안테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음성데이터를, 인터넷, PC통신망 및 휴대용 저장수단 가운데 하나를 통해 제공받는 PC를 통하여 수신하여 처리한 뒤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음성신호를 전송받는 RF수신기;
    상기 RF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채널복호화 수단;
    상기 채널복호화 수단의 출력신호를 음성복호화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음성복호화된 신호를 D/A변환 수단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정보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암호화수단;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암호화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수단은 CD-ROM 또는 디스켓인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C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가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압축데이터로의 변환수단을 통해 압축한 뒤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6. 마이크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A/D 변환하는 단계;
    상기 A/D 변환된 신호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신호를 암호화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암호화기로 상기 압축된 신호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압축신호를 바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및 저장 방법.
  7.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나 휴대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업체로부터 상기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로 전송받는 경우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컴퓨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 후, 압축 음성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필요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상기 서비스 제공 업체에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서비스 업체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RF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RF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채널복호화 하는 단계;
    상기 채널복호화된 신호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 저장할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 저장하지 않을 경우 음성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뒤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및 저장 방법.
  8.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외부장치와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통신로를 거쳐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성데이터가 압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압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부호화기를 이용하여 압축시킨 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
  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인터넷, PC통신망 및 휴대용 저장수단 가운데 하나를 통해 제공받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
  1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수단은 CD-ROM 또는 디스켓인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
  1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
  1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PC인 것이 특징인,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입력 방법.
  13.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 음성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후 필요한 압축 음성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압축 음성데이터가 암호화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암호화가 되어 있으면 압축 음성데이터를 암호해독하는 단계;
    상기 암호 해독된 데이터를 음성 복호화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압축 음성데이터를 바로 음성복호화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의 음성데이터 재생 및 출력 방법.
KR1019990007890A 1999-03-10 1999-03-10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KR10031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90A KR100315328B1 (ko) 1999-03-10 1999-03-10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CN00104127A CN1267177A (zh) 1999-03-10 2000-03-08 数字便携移动电话机及话音数据输入输出及存储再生方法
JP2000072463A JP2000312388A (ja) 1999-03-10 2000-03-10 ディジタル携帯移動電話機及びディジタル携帯移動電話機での音声データ入出力及び貯蔵/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890A KR100315328B1 (ko) 1999-03-10 1999-03-10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944A KR20000059944A (ko) 2000-10-16
KR100315328B1 true KR100315328B1 (ko) 2001-11-28

Family

ID=1957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890A KR100315328B1 (ko) 1999-03-10 1999-03-10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12388A (ko)
KR (1) KR100315328B1 (ko)
CN (1) CN12671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718A (ja) 1999-04-13 2000-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装置
KR100392199B1 (ko) * 2001-01-30 2003-07-22 주식회사 텔레게이트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428717B1 (ko) * 2001-10-23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CN100359908C (zh) * 2004-04-23 2008-01-02 哈尔滨工业大学 隐密电话
CN1937488B (zh) * 2006-08-28 2010-12-22 珠海金山软件有限公司 一种音频信号在网络中安全迅速传输和即时播放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737A (ja) * 1996-12-06 1998-06-26 Digital Vision Lab:Kk 個人用機器
KR19980087832A (ko) * 1998-09-24 1998-12-05 김혜숙 휴대폰을 이용한 미디어청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3737A (ja) * 1996-12-06 1998-06-26 Digital Vision Lab:Kk 個人用機器
KR19980087832A (ko) * 1998-09-24 1998-12-05 김혜숙 휴대폰을 이용한 미디어청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177A (zh) 2000-09-20
JP2000312388A (ja) 2000-11-07
KR20000059944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및 재생방법
KR100767462B1 (ko) 멜로디를 이용한 착신음 발생방법 및 통신단말장치
US20010039873A1 (en) Background music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station
US20020013784A1 (en) Audi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60090638A (ko) 휴대전화
EP0977200A1 (en) Recorder / reproducer,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data processor
WO20000383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back of digital audio data on wireless mobile terminal
US20050208893A1 (en) Bluetooth earphone module with audio player function
CN101237258B (zh) 内容提供和重放方法、便携无线终端以及内容重放设备
KR100315328B1 (ko)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 및 디지털 휴대이동전화기에서의 음성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재생 방법
KR20000042809A (ko) 음악화일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312955B1 (ko) 휴대폰의 인터넷 데이터 다운링크 예약방법
KR100442060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녹음 및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344871B1 (ko)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방법
JP2000293182A (ja) 音楽データ取得システム
JP4540072B2 (ja) 情報端末におけるオンライン音楽受信方法
KR100285304B1 (ko) 녹음 및 재생 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5136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2004177766A (ja) 通信機能を有する音声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音声データ転送方式ならびに転送システム
KR100521150B1 (ko) 통화 내용을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을재생할 수 있는 휴대 전화 시스템
JP2008065701A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情報の中継方法
KR20010084447A (ko) 엠피쓰리 복합형 휴대폰
KR20070045000A (ko) 휴대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KR200600769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 재생 중 문자 메세지 알림방법
KR20000050500A (ko) 음악 파일의 압축 녹음 및 재생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