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647A - 컴퓨터 - Google Patents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647A
KR20030032647A KR1020010064584A KR20010064584A KR20030032647A KR 20030032647 A KR20030032647 A KR 20030032647A KR 1020010064584 A KR1020010064584 A KR 1020010064584A KR 20010064584 A KR20010064584 A KR 20010064584A KR 20030032647 A KR20030032647 A KR 2003003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vable bracket
guide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345B1 (ko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45B1/ko
Priority to US10/125,497 priority patent/US6711011B2/en
Priority to CNB021188408A priority patent/CN1266562C/zh
Publication of KR2003003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기기 및 보조기억장치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을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주변기기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지지하는 가동브래킷과; 상기 가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케이싱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본체케이싱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컴퓨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컴퓨터{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브래킷에 대한 가동브래킷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는 본체와, 외부로 화상을 전달하는 모니터와, 모니터로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본체(30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고정브래킷(330,3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310)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제1고정브래킷(330)에는 CD롬, DVD과 같은 주변기기(335)가 장착되고 제2고정브래킷(340)에는 HDD, FD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345)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싱(310) 내의 일측면에는 CPU 및 RAM 등이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3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케이싱(310) 내의 일측면에 메인보드(320)를 장착한 다음, 주변기기(335)는 제1고정브래킷(330)에 삽입하여 볼트(332)로 결합시키고보조기억장치(345)는 제2고정브래킷(342)에 삽입하여 볼트(342)로 체결한다. 그런 다음, 커넥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주변기기(335) 및 보조기억장치(345)를 메인보드(320)와 연결함으로써 본체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에 있어서는, 메인보드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본체케이싱으로부터 메인보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제2고정브래킷 및 제2고정브래킷에 수용된 보조기억장치의 위치적인 간섭으로 인해 메인보드를 본체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즉, 제2고정브래킷이 제1고정브래킷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고정브래킷에 수용된 보조기억장치의 내측단이 제2고정브래킷의 내측단보다 더 돌출되어 메인보드의 판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보드의 설치 및 분리시 공간상의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결국, 종래에는 이러한 공간상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본체케이싱의 부피를 크게 제조해야만 하므로 본체케이싱의 컴팩트화를 추구하기에는 실질적으로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케이싱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본체케이싱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및 가동브래킷, 보조기억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 및 가동브래킷, 보조기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고정브래킷에 가동브래킷이 결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고정브래킷으로부터 가동브래킷이 결합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 및 가동브래킷, 보조기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래킷 및 가동브래킷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컴퓨터 본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싱 15 : 측면케이싱
18 : 전면케이싱 20 : 메인보드
30 : 고정브래킷 35 : 주변기기
40 : 가동브래킷 45 : 보조기억장치
50 : 슬라이딩부 51 : 안내돌기
60 : 이탈방지부 62 : 후크부
70 : 걸림해제부 72 : 바아스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변기기 및 보조기억장치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을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주변기기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지지하는 가동브래킷과; 상기 가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 및 상기 가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안내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저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가동브래킷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들의 경우에 대해 모두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각 안내돌기를 상호 연결하는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그루브와, 상기 보조기억장치의 외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싱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그루브와 연통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그루브는 상기 각 안내돌기의 이격간격만큼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그루브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상기 가동브래킷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동브래킷의 양측 판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되는 후크부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부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를 더마련하는 것이 본체케이싱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외측단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와;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후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아스템과; 상기 바아스템과 상기 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아스템을 상기 후크부의 걸림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아스템에는 상기 리브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바아스템에 비해 협소한 굵기를 갖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아스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바아스템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아헤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바아스템이 상기 리브의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마련된 회동지지돌기와; 상기 회동지지돌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돌기와; 상기 가동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돌기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결합부와;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부분 원호 형상의 안내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가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리브와 리브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브래킷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 중 동일구성에 관해서는 참조부호만 구별하고 그 설명은 부분적으로 생략한다.
컴퓨터는 본체(1)와, 외부로 화상을 전달하는 모니터(미도시)와, 모니터로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 중, 주변기기(35)는 CD롬 및 DVD 등을 포함하며, 보조기억장치(45)는 HDD 및 FDD 등을 포함한다고 정의한다.
컴퓨터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과, 본체케이싱(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케이싱(15)과, 본체케이싱(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케이싱(18)을 갖는다.
측면케이싱(15)에는 본체케이싱(10) 내에 설치된 각종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통과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통과공(15a)의 상부에는 본체케이싱(10)에 대해 측면케이싱(15)의 착탈을 위한 파지용 손잡이부(15b)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케이싱(18)의 판면 하부영역에는 본체케이싱(10)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유입슬롯(18c)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슬롯(18c)의 상부에는 주변기기(35) 및 보조기억장치(45)의 외측단(45a)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복수의 노출공(18a,18b)이 형성되어 있다. 각 노출공(18a,18b)은 본체케이싱(1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0a,10b)과 상호 대응하게 연통되어 있다.
본체케이싱(10) 내의 일측 판면에는 메인보드(20)가 볼트(26)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메인보드(20)에는 램(RAM, 21), 중앙처리장치(CPU, 22)를 포함하여 각종카드(23)가 장착되어 있다. 카드(23)는 본체케이싱(10)의 후면에 마련된 카드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된다.
본체케이싱(10) 내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는 주변기기(35)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래킷(30)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브래킷(30)은 본체케이싱(10)과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브래킷(30)의 하부에는 보조기억장치(45)를 지지하는 가동브래킷(40)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브래킷(40)은 자세히 후술할 슬라이딩부(50, 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브래킷(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래킷(30)은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측단(30a)은 본체케이싱(10)의 전면에 배치되고 내측단(30b)은 본체케이싱(10) 내의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고정브래킷(30) 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CD롬 및 DVD와 같은 주변기기(35)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 때, 주변기기(35)의 외측단(35a)은 전면케이싱(18)에 형성된 노출공(18a)에 배치된다.
가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과 마찬가지로 철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단(40a) 및 내측단(40b)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가동브래킷(40) 내에는 HDD 및 FD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45)가 수용되어 지지된다. 가동브래킷(40)의 측면에는 보조기억장치(45)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공(45c)과의 볼트(47)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40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4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립이 간편해지도록 장공(40d)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과는 분리된 채로 제조되어 고정브래킷(3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제1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50)를 마련하고 있다.
슬라이딩부(50)는 고정브래킷(30)의 저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 쌍의 안내돌기(51)와, 가동브래킷(40)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그루브(52a,52b)를 포함한다. 이 때, 안내돌기(51)로는 리벳이나 볼트 등으로 하여 고정브래킷(30)의 저면에 부분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안내돌기(51)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거니와 고정브래킷(30)의 제조시 일체로 안내돌기(5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그루브(52a,52b)는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삽입되도록 각 안내돌기(51)를 상호 연결하는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그루브(52a)와, 제1그루브(52a)와 연통되며 보조기억장치(45)의 외측단(45a)이 전면케이싱(18)의 노출공(18b)에 배치되도록 가동브래킷(40)을 안내하는 제2그루브(52b)를 갖는다. 제2그루브(52b)는 각 안내돌기(51)가 상호 이격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그루브(52a)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에, 보조기억장치(45)가 수용되어 지지된 가동브래킷(40)을 잡고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1그루브(52a)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동브래킷(40)에 수용된 보조기억장치(45)의 외측단(45a)이 전면케이싱(18)의 노출공(18a,18b)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한 쌍의 안내돌기(51)는 제1그루브(52a)로부터 제2그루브(52b)로 이동되면서 가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이동만으로는 가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0)의 하부에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60, 도 5 참조)를 마련하여 고정브래킷(30)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가동브래킷(4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탈방지부(60)는 가동브래킷(40)의 양측 판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61)과, 걸림턱(61)에 걸릴 수 있도록 고정브래킷(30)에 마련되는 후크부(62)를 포함한다. 이에 가동브래킷(4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브래킷(30)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2그루브(52b)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고정브래킷(30)에 마련된 후크부(62)는 가동브래킷(40)에 형성된 걸림턱(61)에 걸림으로써 가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이탈방지부(60)와 그 역할이 대비되는 걸림해제부(70, 도 3 참조)를 더 마련함으로써 고정브래킷(30)에 결합된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해제시키고 있다.
걸림해제부(70)는 고정브래킷(30)의 외측단(30a)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71)와, 각 리브(71)에 형성된 수용부(71a)와, 후크부(62)를 지지하며 수용부(7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아스템(72)과, 바아스템(72)과 리브(71) 사이에 배치되어 바아스템(72)을 후크부(62)의 걸림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73)를 포함한다.
수용부(71a)는 각 리브(71)의 선단으로부터 절취되어 형성된다. 바아스템(72)에는 리브(71)의 수용부(7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바아스템(72)의 단면적에 비해 협소한 굵기를 갖는 한 쌍의 결합부(72a)가 형성되어 있다.결합부(72a)는 바아스템(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기 소정의 길이구간을 갖는다.
바아스템(72)의 일측 단부에는 스프링부재(73)가 바아스템(7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후크부(62)를 걸림턱(61)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바아스템(72)을 가압하는 바아헤드(72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아스템(72)의 길이방향에 대한 바아헤드(72b)의 대향측 단부에는 바아스템(72)이 리브(71)의 수용부(7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2c)가 형성되어 있다. 바아헤드(72b)와 스토퍼(72c)는 각기 바아스템(72)에 비해 그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에 결합 및 결합해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동브래킷(40) 내에 보조기억장치(45)를 수용한다. 볼트(47)를 가동브래킷(4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40c)으로 삽입하여 보조기억장치(45)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공(45c)으로 체결함으로써 보조기억장치(45)와 가동브래킷(40)을 일체로 조립한다(도 2 참조).
다음, 보조기억장치(45)가 수용되어 지지된 가동브래킷(40)을 잡고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1그루브(52a)에 삽입되도록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의 저면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도 4 참조).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1 및 제2그루브(52a,52b)의 상호 교차지점에 배치되면(도 5 참조), 다시 가동브래킷(40)을 전면케이싱(18) 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러면, 한 쌍의 안내돌기(51)는제1그루브(52a)로부터 제2그루브(52b)로 이동된다.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2그루브(52b)의 단부측에 거의 다다르게 되면, 가동브래킷(40)의 외측단(40a)이 후크부(62)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면케이싱(18)의 노출공(18b)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바아스템(72)은 후크부(62)와 더불어 도 6의 우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다. 이러한 바아스템(72)의 이동은 스프링부재(73)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는데 기인한다.
한 쌍의 안내돌기(51)가 제2그루브(52b)의 단부에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동브래킷(40) 내에 수용된 보조기억장치(45)의 외측단(45a)이 전면케이싱(18)의 노출공(18b)에 배치되면, 이와 동시에 스프링부재(73)는 다시 탄성적으로 팽창되고 이에 연동하여 바아스템(72)과 더불어 후크부(62)는 도 6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크부(62)는 가동브래킷(40)에 형성된 걸림턱(61)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에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작업은 쉽게 완료된다.
이와는 반대로, 메인보드(20)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 본체케이싱(10)으로부터 메인보드(2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의 방법을 취한다.
바아헤드(72b)를 도 7의 우측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스프링부재(73)는 탄성적으로 수축하고 후크부(62)와 더불어 바아스템(72)은 도 7의 우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다. 이 때, 후크부(62)는 가동브래킷(40)의 걸림턱(6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된다.
바아헤드(72b)의 가압에 의해 후크부(62)를 걸림턱(61)으로부터 걸림해제시킨 후, 가동브래킷(40)을 잡고 고정브래킷(30)에 대해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한 쌍의 안내돌기(51)는 제2그루브(52b) 및 제1그루브(52a)를 차례로 거치면서 가동브래킷(40)은 고정브래킷(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간편한 방법으로 보조기억장치(45)가 장착된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메인보드(20)를 교체 및 수리하고 다시 도 4 내지 도 6의 방법에 의해 가동브래킷(40)을 고정브래킷(30)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가동브래킷(40)이 고정브래킷(30)에 대해 슬라이딩 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본체케이싱(10)이 동일한 부피를 갖더라도 그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케이싱(10)의 부피를 줄여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고정브래킷(30)에 안내돌기(51)를 마련하고 가동브래킷(40)에 안내그루브(52a,52b)를 형성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브래킷(130)에 안내그루브(152a,152b)를 형성하고 가동브래킷(140)에 한 쌍의 안내돌기(151)를 마련하더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미도시)로써, 고정브래킷(230)의 하단에는 회동지지돌기(251a)와 안내돌기(251b)가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고 가동브래킷(240)의 상면에는 회동지지돌기(251a)와 안내돌기(251b)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결합부(241)와 안내그루브(25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그루브(252)는 부분 원호 형상을 가지며, 일단(252b)에는 안내돌기(251b)가 용이하게 안내그루브(252)로 수용되도록 하는 단차부(252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브래킷(240)에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리브연장부(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브연장부(260)의 판면에는 걸림리브(262)가 돌출되어 있다. 고정브래킷(230)에는 가동브래킷(240)에 형성된 걸림리브(262)가 걸릴 수 있도록 리브수용홈(26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리브(262)는 리브연장부(260)의 판면을 부분적으로 천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가동브래킷(240)에는 가동브래킷(24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회동제한리브(270)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제한리브(270)는 회동에 의해 고정브래킷(2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가동브래킷(240)이 회동 정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동브래킷(240)을 고정브래킷(230)으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 손잡이로써 활용된다. 여기서, 회동제한리브(270)에 형성된 관통공(271)은 고정브래킷(230)의 하부에 회동결합된 가동브래킷(240)을 좀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공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브래킷(240) 내에 보조기억장치(45)를 결합시킨 후, 돌기결합부(241)를 회동지지돌기(251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단차부(252a)를 통해 안내돌기(251b)가 안내그루브(252)의 일단(252b)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정브래킷(230)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동브래킷(240)을 회동시키면 안내돌기(251b)는 안내그루브(252)의 일단(252b)으로부터 타단(252c)을 향해 원호 궤적을 형성하면서 이동한다. 가동브래킷(240)의 회동에 의해 안내돌기(251b)가 안내그루브(252)의 타단(252c)에 배치되면 가동브래킷(240)에 형성된 걸림리브(262)는 고정브래킷(230)에 형성된 리브수용홈(261)에 걸린다. 그리고, 회동제한리브(270)는 고정브래킷(230)의 측면에 접촉되어 가동브래킷(240)의 회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45)가 결합된 가동브래킷(240)의 결합작업은 간단하게 완료된다(도 11 참조).
반대로, 고정브래킷(230)으로부터 가동브래킷(24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동브래킷(240)에 형성된 걸림리브(262)가 고정브래킷(230)에 형성된 리브수용홈(26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제한리브(270)를 잡고 전술한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가동브래킷(240)이 고정브래킷(2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가동브래킷(240)의 결합작업이 용이해진다. 뿐만 아니라 본체케이싱(10)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본체케이싱(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술한 제3실시예 외에도 회동지지돌기(251a) 및 안내돌기(251b)를 가동브래킷(240)에 마련하고 돌기결합부(241) 및 안내그루브(252)를 고정브래킷(230)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걸림리브(262)는 고정브래킷(230)에 형성하고 리브수용홈(261)은 가동브래킷(24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안내그루브가 가동브래킷 혹은 고정브래킷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통상적으로 가동브래킷 및 고정브래킷을 이루는 철 재질이 얇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동브래킷 및 고정브래킷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제조한다면 안내그루브가 관통공의 형태가 아닌 레일 형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안내그루브가 도시된 형태와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케이싱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본체케이싱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컴퓨터가 제공된다.

Claims (15)

  1. 주변기기 및 보조기억장치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을 갖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상기 주변기기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지지하는 가동브래킷과;
    상기 가동브래킷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 및 상기 가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안내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저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가동브래킷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한 쌍의 안내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각 안내돌기를 상호 연결하는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그루브와, 상기 보조기억장치의 외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싱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그루브와 연통되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루브는 상기 각 안내돌기의 이격간격만큼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그루브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으로부터 상기 가동브래킷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가동브래킷의 양측 판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에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외측단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와;
    상기 각 리브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후크부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아스템과;
    상기 바아스템과 상기 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아스템을 상기 후크부의 걸림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스템에는 상기 리브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바아스템에 비해 협소한 굵기를 갖는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스템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바아스템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아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헤드에 대향하도록 상기 바아스템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바아스템이 상기 리브의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단에 마련된 회동지지돌기와;
    상기 회동지지돌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돌기와;
    상기 가동브래킷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돌기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결합부와;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그루브는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리브와 리브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브래킷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KR10-2001-0064584A 2001-10-19 2001-10-19 컴퓨터 KR10043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84A KR100431345B1 (ko) 2001-10-19 2001-10-19 컴퓨터
US10/125,497 US6711011B2 (en) 2001-10-19 2002-04-19 Computer hardware structure
CNB021188408A CN1266562C (zh) 2001-10-19 2002-04-29 计算机的硬件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584A KR100431345B1 (ko) 2001-10-19 2001-10-19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647A true KR20030032647A (ko) 2003-04-26
KR100431345B1 KR100431345B1 (ko) 2004-05-12

Family

ID=1971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84A KR100431345B1 (ko) 2001-10-19 2001-10-19 컴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11011B2 (ko)
KR (1) KR100431345B1 (ko)
CN (1) CN126656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4B1 (ko) * 2002-06-20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장치
US7139167B2 (en) 2003-08-07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4426U (en) * 2002-05-09 2003-03-11 Hon Hai Prec Ind Co Ltd Disk drive bracket assembly
US6874223B2 (en) * 2002-10-30 2005-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positioning apparatus within a housing
US6914778B2 (en) * 2003-06-27 2005-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unting peripheral devices using a mounting mechanism
TWM246677U (en) * 2003-12-05 2004-10-11 Shuttle Inc Arrangement of framework for host computer
US20050168116A1 (en) * 2004-01-29 2005-08-04 Chih-Peng Chuang Auxiliary bracing structure for movable racks
US20070008693A1 (en) * 2005-07-05 2007-01-11 Che-Fu Yeh Clamping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CN2831212Y (zh) * 2005-07-22 2006-10-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磁架固定装置
CN100558131C (zh) * 2005-12-02 2009-11-04 华为技术有限公司 在无线一键通业务中实现语音信箱及留言通知方法
US20070230110A1 (en) * 2006-03-31 2007-10-04 Spectra Logic Corporation High density array system with active storage media support structures
CN101075150B (zh) * 2006-05-19 2010-05-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机箱
CN201421574Y (zh) * 2008-12-31 2010-03-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硬盘固定装置
CN102096450A (zh) * 2009-12-11 2011-06-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机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054A (ko) * 1991-11-09 1994-06-20 에프.지.엠 헤르만스·에이.지.제이.베르미렌 흡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054B1 (ko) * 1992-04-15 1994-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hdd 착탈구조와 그 방법
JPH06348366A (ja) * 1993-06-04 1994-12-22 Toshiba Corp 電子機器
US5447367A (en) * 1994-05-31 1995-09-05 Wei; Hui-Yao Structure of vertical computer mainframe
US5995364A (en) * 1997-07-28 1999-11-30 Dell Computer Corporation Hard disk drive mounting bracket
KR100252249B1 (ko) * 1997-08-28 2000-04-15 윤종용 컴퓨터 시스템
KR19990015965U (ko) * 1997-10-22 1999-05-15 윤종용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장착장치
KR19990028691U (ko) * 1997-12-27 1999-07-15 구자홍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장착구조
US6147862A (en) * 1998-08-26 2000-11-14 Ho; Hsin Chien Quick-detachable computer housing
TW376223U (en) * 1999-01-08 1999-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quipment of computer housing
US6437977B1 (en) * 2000-08-03 2002-08-20 Lite-On Enclosure Inc. Screwless disk drive frame positioning structure
US6580606B1 (en) * 2000-09-25 2003-06-17 Micron Technology, Inc. Modular drive cage assembly
TW435931U (en) * 2000-09-26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Computer casing
TW534350U (en) * 2001-06-15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Magnetic rack improvement structure
US6538879B2 (en) * 2001-07-31 2003-03-25 Lite-On Enclosure Inc. Assembly frame of computer housing capable of rotating and position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4B1 (ko) * 2002-06-20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장치
US7139167B2 (en) 2003-08-07 2006-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6562C (zh) 2006-07-26
KR100431345B1 (ko) 2004-05-12
CN1412644A (zh) 2003-04-23
US20030075994A1 (en) 2003-04-24
US6711011B2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345B1 (ko) 컴퓨터
US734523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7443668B2 (en) Hard disk drawing device
US7639506B2 (en) Moun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y
US7495905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7589961B2 (en) Pushing assembly for data storage device
EP0977227A2 (en) Key switch
US6296334B1 (en) Latch mechanism for a housing
US73887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thereof
US6547347B2 (en) Device unit housing apparatus
CN108933338B (zh) 端子装卸装置
US201401531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etachable assembly thereof
US8403375B2 (en) Face panel for a computer housing
KR20050000244A (ko) 컴퓨터
US7916464B2 (en) Fixture mechanism
CN112312717B (zh) 推拉杆模块
US7974092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cover mounting apparatus
KR100456582B1 (ko) 컴퓨터
JPH03171314A (ja) 小型電子機器
KR100435109B1 (ko) 컴퓨터
TWI616871B (zh) 光碟機及鎖固模組
TWI803961B (zh) 固定機構、介面卡組裝架及其電子設備
CN114828466B (zh) 机壳的锁定机构
JP445714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4071175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