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244A -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 Google Patents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244A
KR20030031244A KR1020010063037A KR20010063037A KR20030031244A KR 20030031244 A KR20030031244 A KR 20030031244A KR 1020010063037 A KR1020010063037 A KR 1020010063037A KR 20010063037 A KR20010063037 A KR 20010063037A KR 20030031244 A KR20030031244 A KR 2003003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ing
tree
watermelon
angl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042B1 (ko
Inventor
성용기
황원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우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우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우그린텍
Priority to KR102001006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0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박계통대목과 박계통 대목 또는 양생수박인 공대계통 대목을 이용하는 수박의 2단 접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1단 접목방법이 가지는 재배상의 문제점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극복하기 위하여 2가지 이상의 각기 다른 기능성대목을 동시에 이용하여 접목·활착시키는 기술을 도입한 것으로서, 호박계통 대목의 안정된 생육특성과 박계통 대목 또는 수박계통 대목에 의한 고품질 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Method for grafting a watermelon plant by 2-step grafting and a 2-step grafted plant}
본 발명은 수박묘종(watermelon young plant) 생산에 사용되는 접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1단 접목방법이 가지는 재배상의 문제점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악영향을 극복하기 위하여 2가지 이상의 각기 다른 기능성대목을 동시에 사용하여 접목·활착시키는 기술인 2단 접목을 통해 연작재배지 등 열악한 환경조건 하에서도 재배기간 중 안정된 생육이 보장되는 동시에 고품질의 수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박(watermelon;Citrullus vulgarisSchrad)은 박과 작물에 속하는 여름철의 대표적인 과채류로서 1997년에 대한민국에서의 재배면적이 40,204ha, 생산량은 1,006,000 M/T으로 연간 시장규모가 8,000억원에 달하는 농가소득원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의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채소 접목 재배법이 1960년대에 보급된 이래, 최근에는 수박의 90%, 참외의 80%, 오이의 70% 정도가 접목에 의하여 재배되고 있으며, 금후 접목재배 면적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일부 수박 등 주산지에서는 계속되는 연작재배 등으로 인하여 접목재배를 함에도 불구하고 급성위조증상과 생육부진현상이 발병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촉성용 수박 재배지역의 연작재배지를 중심으로 재배 중 각종 생리장애로 인한 잎마름증, 급성위조현상의 발생이 빈번하며, 특히 함안, 군북, 월촌, 가야, 의령, 밀양, 논산, 부여, 고창지역 등 조기재배용 수박집산지에서는 그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채소작물의 접목재배는 본래 박과채소에 치명적인 토양전염성 병해인 덩굴쪼김병(만할병)의 회피를 통한 안정생산이 주된 목적이었으나, 근래에는 품질향상과 수량증대는 물론 저온, 건조 등 각종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의 증대와 윤작연한의 단축, 재배규모의 확대 등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목이 갖추어야 할 특성도, 재배기술이 발달하고 작형이 다양화됨에 따라, 덩굴쪼김병 저항성 외에도 풋마름병, 바이러스병, 선충에 의한 뿌리혹병 등 병충해저항성과 내저온성, 내건·내습성, 내염성 등 환경 내성이 강한 쪽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국민 식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당 함량, 향기, 육질 등 품질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최근에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중요하게 검토되고 있다.
종래, 수박의 통상적인 접목묘에 사용되는 대목은 호박(Cucurbita maxima또는Cucurbita moschata)계통의 신토좌 품종과, 박(Lagenaria siceraria)계통의 참박 품종 등이 있다. 호박계통인 신토좌를 대목으로 할 경우 저온신장성 및 흡비력이 좋아 연작 재배지에서 급성위조증상, 잎말이탄저증의 발생이 거의 없고, 만할병 및 만고병(덩굴마름병) 등 토양전염성 병해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연작재배지, 저온기 등 열악한 환경조건 하에서 수박의 생육이 왕성하고 착과 역시 양호하지만, 최종수확물인 과실의 당도, 식미, 치감 등의 저하와 공동과, 황대과 등의 과다발생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가 수반되어 시장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반면, 참박을 대목으로 할 경우 수확물인 과실의 품질이 좋아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어 유리하지만, 호박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거의 없어 생리장해로 인한 급성위조증상, 잎말이탄저증 등은 물론 토양전염성 병해인 만할병 및 만고병 등이 재배 중에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서 다량의 최종 수확물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박대목을 사용한 촉성용 수박에서 나타나는 급성위조현상 및 잎마름증(일명 잎말이탄저)이 호박대목을 사용한 경우에는 크게 발병하지 않아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박대목에 비해 호박대목을 사용한 경우는 당도 등 과실의 품질이 좋지 않아 상인은 물론 농가의 재배 기피 경향이 뚜렷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1단 접목방법은 한가지 대목을 사용함으로서 양자택일적으로 한가지의 효과만을 얻을 수 있었던 바, 재배기간 중의 안정된 생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종수확물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최종수확물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재배기간 중의 안정된 생육을 포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1단 접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대목으로서 호박과 박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는 접목을 생산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대목으로서, 호박과 박을 동시에 사용하는 2단 접목의 경우, 종래 1단 접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성위조현상, 잎마름증 등을 예방하여 수박 재배중의 피해를 줄이면서 고품질 수박을 생산하기 위해, 2가지의 기능성 대목을 이용한 2단 접목에 의한 접목방법 및 그 접목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2단 접목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1단 접목방법이 초래하는 재배기간 중 문제점 또는 최종수확물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열악한 환경조건 하에서도 안정된 생육을 유지하고, 고품질의 최종수확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원대목의 절단 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원대목(1차 대목)이 절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접목방법 1에 적용되는 중간대목(2차 대목)이 절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접수의 절단 전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접수가 절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접목방법 1에 의한 2단 접목 실현 예시도이다.
도 7은 접목방법 2에 적용되는 중간대목 절단 후의 접수 삽입 예시도이다.
도 8은 접목방법 2에 의한 접목 실현 예시도이다.
도 9는 접목방법 1에 의한 접목 활착(活着) 직후의 촬영도이다.
도 10은 접목방법 1에 의한 접목 실현 촬영도이다.
도 11은 접목방법 1에 의한 접합부의 근접 촬영도이다.
도 12는 2단 접목묘 실현 후 포장에서 재배중인 수박의 발육상태에 대한 촬영도이다.
도 13은 2단 접목묘 실현 후 포장 재배중인 수박의 지제부에 대한 근접 촬영도이다.
도면 14.은 2단 접목묘 실현 후 수확기에 접어든 수박 과실 촬영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박 묘종에 대한 대목으로서 호박계통(Cucurbita spp.)의 대목, 박계통(Lagenaria siceraria) 및 야생종 수박인 공대계통(squash melon;Citrullus fistulosus)의 대목에서 선택된 2 개의 서로 다른 대목을 사용하는 2단 접목에 의한 묘종의 접목방법 및 그에 의해 생산된 묘종을 제공한다. 상기 호박계통 대목은, 바람직하게는,Cucurbita maxima또는Cucurbita moschata을 각각 사용할 수 있으며,이들의 제 1 잡종(F1-hybrid)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뿌리와 연결되는 1차 대목은 호박계통의 대목이고, 접수와 연결되는 2차 대목은 박계통 또는 공대계통의 대목인 것이 좋다.
상기 호박계통의 대목으로서는, 토좌계 또는 신토좌계의 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박계통의 대목으로서는 참박계 도는 FR계의 작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접수는 통상적으로 많이 재배하는 아폴로 계통의 수박이나 F1-Hybrid 계통의 수박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1차 대목이란 뿌리와 연결되는 대목부분을 의미하며, 2차 대목이란 상기 1차 대목과 연결되는 중간대목을 의미하며, 접수란 최종산물을 얻기 위하여 대목에 최종적으로 접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박이 접수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2단접목 묘종의 접목방법은 하기와 같다.
접수와 중간대목을 1차 접목한 후 중간대목과 원대목을 2차 접목한다. 일반적으로 두 접목단계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접목에 비해 고수준의 접목기술, 빠른 작업속도 및 완벽한 활착환경 관리기술을 요한다.
<접목 방법 1>
원대목인 1차 대목과 중간대목인 2차 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제 1 본엽이 쌀알크기 정도로 접목에 적합한 시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접수는 자엽전개부 아래 0.5∼1.0cm 부위를 40°∼75°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준비한다(도 5 참조). 바람직하게는 60°의 각도가 적당하다. 중간대목(2차 대목)은 자엽 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접수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부 밑 1.5∼4.5cm 부위를 다시 40°∼75°의 각도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준비한 후(도 3 참조), 접수의 아래쪽 절단면과 중간대목의 위쪽 절단면을 완전 밀착시키고 소형클립 등으로 밀착부위를 고정시키는 1차접목을 실시한다. 그 후 즉시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중간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중간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키고 소형크립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하 상기 방법을 "접목방법 1" 이라 한다.
<접목방법 2>
상기 접목방법 1과는 구별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방법이 있다.
원대목과 중간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자엽전개 직후 제1본엽이 보이기 시작할 무렵인 접목에 적합한 시기에 실시하게 되는데, 접수는 자엽전개부 밑 0.5∼1.0cm 부위를 40°∼75°, 바람직하게는 45°정도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준비한다. 중간대목은 자엽전개부 아래 1.5∼4.5cm 정도 부위를 40°∼75°,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의 각도로 사면절단한 후 자엽전개부의 생장점을 제거하고, 그 제거 부위에 접수의 배축굵기보다 약간 작은 지지대(예를 들어, 꼬챙이)를 이용하여 약 60°각도로 지지대의 끝부분이 반대쪽에서 약간 보일 정도까지 관통하듯 찌른다. 상기 지지대를 제거함과 동시에 준비해 둔 접수를 절단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지지대에 의하여 생긴 구멍에 천천히 삽입하고 끝부분이 반대쪽으로 약간 나오게 하여 완전한 삽입을 확인함으로서 1차접목을 완료한다. 그 후 즉시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중간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중간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키고 소형크립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하 "접목방법 2"라 한다.
<파종 및 대목 생육>
접목에 사용될 대목과 접수의 파종시기는 접목의 방법과 대목의 종류에 따라 며칠간의 차이가 있다. 상기 접목방법 1의 경우 박계통대목은 접수와 동시에, 호박계통대목은 접수보다 하루정도 늦게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접목방법 2의 경우 박계통대목은 접수보다 2∼3일 먼저 파종하고, 호박계통대목은 접수보다 하루정도 먼저 파종하여야 접목시기에 접목작업에 알맞은 접수 및 대목의 배축굵기를 얻을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파종시기는 접목 후 접합부의 완전밀착을 통한 활착을 위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완전하고 일시적인 발아를 위하여 반드시 일정시간 침지, 세척 및 침지액 제거 등 최아(催芽; germination forcing)를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며, 파종 후 환경관리가 가능한 발아실 내에서 일정기간 관리함으로서 일정한 발아율 및 발아세를 유지시켜야 한다.
<활착>
상기 접목된 대목과 접수가 살아붙게 하는 활착단계에 있어서, 상기 접목 작업 완료 후 묘종을 즉시 접목 활착시설로 옮겨야 하며, 일반접목에 비해 절단면이 많고, 접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시들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하므로 빠른 이송은 물론 완벽한 환경관리가 요구된다. 접목묘의 활착에 적당한 환경은 활착초기 기준으로 상대습도 85∼95%, 온도 26∼29℃, 60% 정도의 차광환경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착의 정도에 따라 저광에 의한 도장을 막기 위하여 차광비율을 점차 낮추어 주어야 하며,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 위해 점차적으로 습도를 낮추어 일반 온실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접목 후 3∼5일 경부터 순화를 시작하며, 완전한 활착까지는 접목작업 후 약 8∼10일 정도가 소요된다.
<정식 및 재배>
정식 및 정식 후 재배는 일반 접목묘와 대체로 동일하나, 2단 접목 수박은 초기는 물론 후기의 초세가 일반 접목묘에 비해 비교적 강하여 기존의 다량소회의 시비형식보다는 소량다회 시비를 원칙으로 작물의 생육정도(초세)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서 재배해야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 접목 수박의 시비방법은 대체로 정식 한달 전 퇴비 2,000kg/10a 이상, 석회 120kg/10a를 전면에 살포 후 경운한다. 시비는 수박 추천 시비량(N:P:K = 20 : 5.9 : 12.8)을 기준으로 토양의 조건에 따라 가감을 하여 적용하는데, 기비(基肥; basic fertilizer)와 추비(追肥; additional fertilizer)의 비율을 50:50 정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인산은 전량(용성인비: 29.5 kg/10a) 기비로 시용하고, 질소(요소: 43.5kg/10a)와 칼륨(염화가리: 21.3kg/10a)는 50%(각각 23.5kg, 11.3kg) 기비 후 나머지는 1 내지 2회에 나누어 액비형태로 관주하는 것이 좋다.
반면 2단 접목 수박의 시비방법은 정식 한달 전 퇴비 2,000kg/10a 이상, 석회 120kg/10a를 전면에 살포 후 경운하고 수박 추천 시비량(N:P:K = 20:5.9:12.8)을 기준으로 토양의 조건에 따라 가감을 하여 적용하는 것은 동일한데, 기존의 시비법과는 달리 소량다회 시비를 원칙으로 한다. 토양조건에 따라 설정된 시비량을기준으로 기비와 추비의 비율을 30:70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데, 인산은 전량(용성인비: 29.5kg/10a) 기비로 시용하고, 질소(요소: 43.5kg/10a)와 칼륨(염화가리: 21.3 kg/10a)는 약 30%(각각 약 13.0 kg, 6.4 kg) 기비 후 나머지는 작물의 초세를 보아가며 3 내지 4회에 나누어 액비형태로 관주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목의 종류별 특성은, 호박계통 대목은 저온 신장성이 강하고, 급성위조현상이 적으며, 각종 생리장해에 비교적 강하나, 변형과가 많고 과실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박계통 대목은 당도가 높고 과실의 품질은 대체로 좋으나, 저온 신장성이 호박대목에 비해 다소 약하여 각종 생리장해가 나타나기 쉽고, 만할병, 만고병 등 토양병해에 약하며, 급성위조현상이 많아 수량의 감소가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야생종 수박계통 대목은 공대가 바람직한데, 과실의 품질이 극히 우수하고, 바이러스에 아주 둔감하며, 건조와 선충에 강하나, 저온다습에 대단히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박의 2단 접목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접목 후 재배되는 수박은 일반적인 재배법을 따랐을 경우 일반접목수박에 비해 환경적응력이 뛰어나 재배 중 소실이 적으며, 동시에 고품질의 수박을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일반접목수박에 비해 고품질·다수확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범위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호박계통 대목, 박계통 야생종 수박계통 대목을 사용하고 접목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묘종을 생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호박계통 대목의 품종은 '신토좌'(신토좌 호박; 농우 바이오사)이며, 박계통 대목의 품종은 '참박'(파트너 참박; 농우 바이오사)이며, 야생종 수박계통 대목의 품종은 '공대'(우뚝대목; 농우 바이오사)였다. 한편, 접수로 사용된 수박의 품종은 '아폴로'(아폴로 꿀수박; 농우 바이오사)였다..
구분 원대목(1차 대목) 중간대목(2차대목) 접수 접목방법
실시예 1 호박계통 박계통 수박 접목방법 1
실시예 2 호박계통 박계통 수박 접목방법 2
실시예 3 호박계통 공대계통 수박 접목방법 1
실시예 4 호박계통 공대계통 수박 접목방법 2
비교예 1 호박계통 - 수박 접목방법 1
비교예 2 박계통 - 수박 접목방법 1
비교예 3 수박계통 - 수박 접목방법 1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2단 접목묘와 일반접목묘는 연작, 염류장해 등의 이유로 생리장해 및 토양병해가 만연한 농가를 선정(경남 의령군 대의면)하여 일반 경종법에 의거 재배함으로서 재배 중 발생되는 생리장해 및 토양병해로 인한 소실과 수확된 과실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요인 등을 조사함으로써 실시되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각각 300 주의 묘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3> 접목방법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대목을 사용하였다.
1) 파종단계
접목의 방법과 대목의 종류에 따라 며칠간의 차이가 있다. 박계통 대목은 접수와 동시에, 호박계통 대목은 접수보다 하루 늦게 파종하여 알맞은 접수 및 대목의 배축굵기를 얻었다.
먼저, 대목의 종자를 세척하고 파종하였다. 한편, 박계통 대목의 종자에 대하여는 8시간동안 침지를 실시하였다. 파종 후 발아실 내의 온도로서 박계통 및 야생종 수박인 공대계통은 28℃로 하였으며, 호박계통은 25℃로 유지하였다. 습도는 모두 80∼95%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2) 접목단계
접목단계에서 실제 접목 시기는 동절기였다. 접목시점까지의 접수 및 대목의 육묘일수 및 배축의 길이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구분 육묘일수 배축의 길이(cm)
원대목 호박계통 14 4.5∼6.0
중간대목 박 계통(실시예 1) 15 3.0∼4.0
공대계통(실시예 3) 15 3.0∼4.0
접수 수박 15 0.8∼1.0
원대목과 중간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제1 본엽이 쌀알크기 정도일 때 접목을 실시하였다. 우선 접수의 자엽전개부 밑 0.5∼1.0cm 부위를 예리한 스텐날을 이용하여 60°이상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접수를 준비하였다. 중간대목은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접수의 사면각과 동일한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부 아래 1.5∼4.5cm 부위를 다시 예리한 스텐날을 이용하여 60°이상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준비한 후 접수의 아래쪽 절단면과 중간대목의 위쪽 절단면을 완전 밀착시키고 소형클립 등으로 밀착부위를 고정시키는 1차접목을 실시하였다. 그 후 즉시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중간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중간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키고 소형크립 등으로 고정시켰다.
3) 활착단계
접목 작업 완료 후 즉시 전용 접목활착시설로 옮겼다. 접목묘의 활착에 적당한 환경은 활착초기 기준으로 상대습도 85∼95%, 온도 26∼29℃ 및 60% 정도의 차광환경에서 활착을 실시하였다. 활착의 정도에 따라 저광에 의한 도장을 막기 위하여 차광비율을 점차 낮추어 주었으며,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기 위해 점차적으로 습도를 낮추어 일반 온실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관리하였다. 접목 후 3∼5일 경부터 순화를 시작하며, 완전한 활착까지는 각각의 묘정에 따라 다른데, 접목작업 후 약 8∼10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4) 정식 및 재배단계
정식 및 정식 후 재배는 일반 접목묘와 대체로 동일하나, 초세가 종래의 1단 접목묘에 비해 강하므로 기비위주의 관리보다는 작물의 생육정도에 맞추어 갈 수 있는 기비 및 추비의 균형있게 시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2단 접목묘는 상기 설명한 2단 접목의 재배 방법에 따랐다. 즉, 정식 한달 전 퇴비 2,000kg/10a 및 석회 120kg/10a를 전면에 살포 후 경운하고 수박 추천 시비량을 기존의 시비법과는 달리 소량 다회 즉, 기비 1회, 추비 4회에 걸쳐시비하였다. 토양조건에 따라 설정된 시비량을 기준으로 기비와 추비의 비율을 30:70 정도로 하였는데, 인산은 전량(용성인비: 29.5kg/10a) 기비로 시용하고, 질소(요소: 43.5kg/10a)와 가리(염화가리: 21.3 kg/10a)는 약 30% (각각 약 13.0 kg, 6.4 kg)기비 후 나머지는 작물의 초세를 보아가며 4회에 나누어 액비형태로 관주하였다. 정식일은 2001년 3월 30일이었으며, 수확일은 2001년 6월 30일 및 7월 1일이었다.
<실시예 2 및 4>
접목 방법 2에 따라 접목을 실시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3과 동일하다.
즉, 박 및 수박계통대목은 접수보다 2일 먼저 파종하고, 호박계통대목은 접수보다 하루 먼저 파종하여 접목시기에 접목작업에 알맞은 접수 및 대목의 배축굵기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원대목과 중간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자엽전개 직후 제1 본엽이 보이기 시작할 무렵에 접목을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접목시점까지의 접수 및 대목의 육묘일수 및 배축의 길이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구 분 육묘일수 배축의 길이(cm)
원대목 호박계통 15 4.5∼6.0
중간대목 박계통(실시예 1) 16 3.0∼4.0
공대계통(실시예 3) 16 3.0∼4.0
접수 수박 14 0.8∼1.0
먼저, 접수의 자엽전개부 밑 0.5∼1.0cm 부위를 예리한 스텐날을 이용하여 45°정도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접수를 준비하였다. 중간대목은 자엽전개부 밑 1.5∼4.5cm 정도 부위를 60°이상의 각도로 사면절단한 후 자엽전개부의 생장점을 제거하고 그 부위에 이쑤시개 등 접수의 배축굵기보다 약간 작은 꼬챙이를 이용하여 약 60°각도로 꼬챙이의 끝부분이 반대쪽에서 약간 보일 정도까지 관통하듯 찔렀다. 꼬챙이를 제거함과 동시에 준비해 둔 접수를 절단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천천히 삽입하고 끝부분이 반대쪽으로 약간 나오게 하여 완전한 삽입을 확인함으로서 1차접목을 완료하였으며, 그 후 즉시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중간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중간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키고 소형크립 등으로 고정시켰다.
<비교예 1 내지 3>
비교예 1, 2 및 3은 각각 원대목을 호박계통, 박계통 및 수박계통을 사용하여 1단 접목을 실시하였다.
접목방법은 통상의 접목방법을 따랐으며, 중간대목인 2차 대목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및 3에 의한 접목방법 1과 동일하였다.
<평가>
1) 수확량 평가
구분 정식주수 수확과수 수확율 상품과수 상품과율 소득지수
비교예 1 300 195 65.0 % 182 93.3 % 116.7
비교예 2 300 295 98.3 % 156 52.9 % 100.0
비교예 3 300 187 62.3 % 176 94.1 % 112.8
실시예 1 300 293 97.7 % 265 90.4 % 169.9
실시예 2 300 290 96.7 % 259 89.3 % 166.0
실시예 3 300 291 97.0 % 261 89.7 % 167.3
실시예 4 300 289 96.3 % 256 88.6 % 164.1
상기 4표에 나타난 결과는 1본당 수박 1개 착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결과를 얻었다.
※ 수확율 = (수확과수/정식주수)×100
※ 상품과율 = (상품과수/수확과수)×100
※ 소득지수 : 호박계통대목을 이용한 일반접목묘의 비교예 2를 100으로하여 환산.
2) 과실의 품질 비교
과피두께 및 당도를 측정하고, 수박 과육 내에 노란 심줄이 생기는 황대과와 속이 비어있는 부분이 생기는 공동과의 발생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문 패널10명의 시식에 의한 식미를 평가하였다. 지수 1(매우 좋음)부터 5(매우 나쁨)까지 단계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구 분 과피두께(mm) 당 도(Brix°) 황대과(%) 공동과(%) 식미지수
비교예 1 14 10.5 2.3 2.8 1
비교예 2 19 9.1 11.8 12.5 2
비교예 3 13 11.2 2.0 2.1 1
실시예 1 15 10.3 2.4 1.1 1
실시예 2 14 10.2 2.3 1.0 1
실시예 3 14 11.0 2.3 0 1
실시예 4 13 10.7 2.3 0 1
3) 수확된 수박 과실의 생육 비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수박의 평균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과 장(cm) 과 경(cm) 과 중(g)
비교예 1 25.6 18.2 8,368
비교예 2 26.6 18.9 8.758
비교예 3 24.8 17.9 8,165
실시예 1 26.2 18.1 8,469
실시예 2 26.1 18.0 8,436
실시예 3 25.9 18.1 8,356
실시예 4 25.7 17.9 8,265
<생리장애에 대한 저항성 평가> 내성 평가
1) 급성 위조현상의 극복
- 원인
불명확한 원인으로 뿌리의 흡수력이 떨어지고, 약일조, 강정지 등으로 잎과과일간, 지상부와 뿌리간의 양·수분 경합이 일어나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사질토인 하우스 내 밀식재배시 발생이 많고, 어린 시기에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 흐린 날이 몇 일간 지속되다가 맑은 날이 올 경우 발생이 많으나, 수박 과실이 작을 때와 과실 완숙 후에는 위조증상의 발생이 적다.
- 증상과 특징
생육 중기부터 불명확한 원인으로 줄기가 시들면서 말라죽는 현상이다. 이는 급성으로 포장 전체에 발생하기 때문에 수확 직전에 과실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켜 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관수 부족, 덩굴쪼김병 등으로 나타나는 위조증상과는 완전히 다르며, 뿌리를 절단했을 때 육안으로 관찰되는 증상은 일반적인 위조증상과 유사하다.
- 2단 접목 활용
원대목은 토성의 사질 또는 점질, 토양산도의 산성 또는 알카리성, 토양수분의 건조 또는 다습, 기후의 혹한기 또는 혹서기, 엽류집적지, 처녀지 등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호박계통대목을 이용하고, 계절과 기후를 고려한 박계통 또는 수박계통의 중간대목을 이용하기 때문에, 온도 부족, 토양 병해, 환경 병해를 극복할 수 있는 관리기술로서, 2단 접목에 의한 초세향상은 과실수에 비례한 충분한 잎과 덩굴 및 뿌리를 유지시켜 양·수분의 경합을 최소화함으로서 급성 위조증상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중간대목의 특정 기능에 의해 고품질의 수박을 수확할 수 있다.
2) 잎마름증의 극복
- 발생원인
과실이 급속히 비대해지는 성숙기는 마그네슘이 다량으로 필요한 시기로 뿌리에서 흡수되는 마그네슘만으로 그 필요량을 충당하지 못할 때, 잎내의 마그네슘이 과실로 급격히 전류됨으로써 일어나는 증상이다. 호박을 대목으로 사용하면 박을 대목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발생이 적은데, 이는 호박이 박에 비해 마그네슘의 흡수력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 증상과 특징
과실의 비대후기부터 성숙기에 걸쳐 발생하는데 초기 증상이 탄저병과 유사하여 "잎말이 탄저"라고도 한다. 이 증상은 급성 마그네슘 결핍으로 유발되는 증상으로서 처음에는 착과 절위의 잎에 발생하여 서서히 부근의 다른 잎으로 퍼져 결국은 생장점 부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흑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났다가 서서히 확대되어 잎 전체가 말라죽고, 이병된 잎의 탄소동화능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동화산물의 전류가 저해되어 결국 과실의 품질저하를 초래한다. 이 증상은 박을 대목으로 사용했을 때 주로 발생하며, 호박을 대목으로 사용했을 때는 비교적 발생이 적다. 착과시키지 않은 포기에서는 전혀 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 대책
응급대책으로서 마그네슘의 엽면 살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나타난 뒤에는 엽면살포를 하여도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착과 전에 미리 실시하여 잎의 마그네슘 함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 토양 관리를 철저히 하여 마그네슘의 흡수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엽면적을 일시에 과다하게 줄이는 강적심과 강정지를 피하여 과일 1개당 엽면적이 충분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다.
- 2단 접목 활용
2단 접목은 원대목을 호박계통대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마그네슘 결핍에 의한 잎마름증에 큰 효과가 있으며, 박계통 또는 수박계통대목을 중간대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우수한 품질의 과실을 얻을 수 있다.
3) 생리장애 및 토양에 대한 내성평가
재배 중 생리장애 및 토양병해 발병 비율 결과는 표 7에 나타나 있다. 표 7에 나타난 숫자는 묘종의 수를 나타낸다.
구 분 정식 주수 수확 불가능주 생리장해(급성위조, 잎말이탄저) 기 타(토양병해충 등)
비교예 1 300 105 96 9
비교예 2 300 5 4 1
비교예 3 300 113 106 7
실시예 1 300 7 6 1
실시예 2 300 10 9 1
실시예 3 300 9 7 2
실시예 4 300 11 9 2
이상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단 접목묘는 종래의 1단 접목에 의한 접목묘에 비하여 우수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박 2단 접목묘는 연작, 염류장해 등의 이유로 수박 재배 중 발생할 수 있는 생리장해 및 토양병해가 만연한 토양에서의 적응력이 뛰어나 일반접목묘에 비해 수량이 월등히 많고, 수확율, 상품과율 및 품질요인이 비교적 우수하여 164.1∼169.9 %의 증수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으로서, 접목방법 1과 접목방법 2의 성능차이는 거의 없다.

Claims (6)

  1. 수박을 접수로 하는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에 있어서,
    호박계통(Cucurbita spp.)의 대목, 박계통(Lagenaria siceraria) 및 야생종 수박인 공대계통(squash melon;Citrullus fistulosus)의 대목에서 선택된 2 개의 서로 다른 대목을 각각 뿌리에 연결되는 1차 대목(원대목)과 접수에 연결되는 2차 대목(중간대목)으로 사용하는 2단 접목법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대목은 호박계통의 대목이고, 상기 2차 대목은 박계통 또는 공대계통의 대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박계통의 대목Cucurbita maxima,Cucurbita moschata또는Cucurbita maximaCucurbita moschata의 제 1 잡종(F1-hybr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대목과 상기 2차 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제 1 본엽이 쌀알크기 정도로 성장 것을 접목에 사용하되,
    접수 묘종의 자엽전개부 아래 0.5∼1.0cm 부위를 40°∼75°의 각도로 사면 절단하여 접목용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2차 대목의 자엽 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접수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하고, 절단부 밑 1.5∼4.5cm 부위를 다시 40°∼75°의 각도로 사면 절단하여 접목용 2차 대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수의 아래쪽 절단면과 상기 2차 대목의 위쪽 절단면을 완전 밀착시키고 밀착부위를 고정시키는 1차 접목을 실시하는 단계; 및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상기 2차 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상기 2차 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대목과 상기 2차 대목의 배축의 굵기가 거의 동일하고 접수는 자엽전개 직후 제 1 본엽이 보이기 시작할 정도로 성장한 것을 접목에 사용하되,
    접수묘종의 자엽전개부 밑 0.5∼1.0cm 부위를 40°∼75°정도의 각도로 사면절단하여 준비하는 접목용 접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2차 대목의 자엽전개부 밑 1.5∼4.5cm 정도 부위를 40°∼75°의 각도로 사면절단 한 후, 자엽전개부의 생장점을 제거하여 접목용 2차 대목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2차 대목의 생장점 제거 부위에 접수의 배축굵기보다 약간 작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40°∼75°의 각도로 지지대의 끝부분이 반대쪽에서 약간 보일 정도까지 관통하듯 찌른 후, 상기 지지대를 제거함과 동시에 준비해 둔 상기 접수를 절단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지지대에 의하여 생긴 구멍에 천천히 삽입하고 끝부분이 반대쪽으로 약간 나오도록 삽입하여 1차 접목하는 단계; 및
    배축의 길이가 5∼7cm 정도인 원대목의 자엽전개부를 자엽 1개와 생장점을 포함하여 상기 2차 대목 아래쪽의 사면각과 동일한 각도로 절단한 후 상기 2차 대목의 아래쪽 절단부와 완전밀착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박의 2단 접목 묘종.
KR1020010063037A 2001-10-12 2001-10-12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KR10040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37A KR100405042B1 (ko) 2001-10-12 2001-10-12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37A KR100405042B1 (ko) 2001-10-12 2001-10-12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44A true KR20030031244A (ko) 2003-04-21
KR100405042B1 KR100405042B1 (ko) 2003-11-07

Family

ID=2956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037A KR100405042B1 (ko) 2001-10-12 2001-10-12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0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3853A (zh) * 2014-10-11 2015-01-28 河北双星种业有限公司 一种西瓜二重砧木嫁接方法
CN105284434A (zh) * 2015-11-24 2016-02-03 全椒县太平农作物幼苗培育专业合作社 一种南瓜苗嫁接甜瓜培育方法
CN105340586A (zh) * 2015-11-09 2016-02-24 界首市憨友西瓜专业合作社 西瓜高产高甜嫁接培育方法
CN105409521A (zh) * 2015-11-24 2016-03-23 全椒县太平农作物幼苗培育专业合作社 一种大棚西瓜嫁接苗培育方法
CN111108933A (zh) * 2019-12-09 2020-05-08 上海曹野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观赏南瓜复合体的培育方法
KR20210012389A (ko) * 2019-07-25 2021-02-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과채류 접목묘의 저장 방법
CN115176655A (zh) * 2022-07-14 2022-10-14 宁夏塞上江南农业科技有限公司 西瓜集约化育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98B1 (ko) 2012-02-27 2013-12-23 김철호 왜성 체리 묘목 생산방법
CN107371825A (zh) * 2017-08-28 2017-11-24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瓜果的嫁接方法
CN109845504A (zh) * 2019-04-15 2019-06-07 吉林农业大学 一种甜瓜真叶叶柄基部嫁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6514A (ja) * 1983-02-14 1984-08-22 瀬々 恒徳 ウリ科、ナス科作物の接木育苗における複数の台木を用いた接木育苗法
JPH03119929A (ja) * 1989-10-02 1991-05-22 Kiyoharu Harada リンゴ果樹木の苗木育成方法
JPH10136782A (ja) * 1996-11-09 1998-05-26 Masayuki Takahara 接木サボテンとその生産方法
JPH10262452A (ja) * 1997-03-28 1998-10-06 Nippon Derumonte Kk トマトの1本仕立接木苗
JP3737657B2 (ja) * 1999-11-10 2006-01-18 日本デルモンテ株式会社 野菜の二品種側枝二本仕立て苗の作成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3853A (zh) * 2014-10-11 2015-01-28 河北双星种业有限公司 一种西瓜二重砧木嫁接方法
CN105340586A (zh) * 2015-11-09 2016-02-24 界首市憨友西瓜专业合作社 西瓜高产高甜嫁接培育方法
CN105284434A (zh) * 2015-11-24 2016-02-03 全椒县太平农作物幼苗培育专业合作社 一种南瓜苗嫁接甜瓜培育方法
CN105409521A (zh) * 2015-11-24 2016-03-23 全椒县太平农作物幼苗培育专业合作社 一种大棚西瓜嫁接苗培育方法
KR20210012389A (ko) * 2019-07-25 2021-02-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과채류 접목묘의 저장 방법
CN111108933A (zh) * 2019-12-09 2020-05-08 上海曹野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观赏南瓜复合体的培育方法
CN111108933B (zh) * 2019-12-09 2021-08-10 上海曹野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观赏南瓜复合体的培育方法
CN115176655A (zh) * 2022-07-14 2022-10-14 宁夏塞上江南农业科技有限公司 西瓜集约化育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042B1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evitch et al. Artocarpus heterophyllus (jackfruit)
Singh Recent development in production of guava
Menzel Propagation of lychee: a review
Ravi et al. Growth and productivity of elephant foot yam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an overview
KR100405042B1 (ko) 2단 접목에 의한 수박 묘종의 접목방법 및 2단 접목 묘종
Singh et al. Lychee production in India
CN112293077A (zh) 一种缩短蜡梅育种年限的方法
De Bruijn et al. The Mukibat system, a high-yielding method of cassava production in Indonesia.
Chauhan et al. Methods of propagation in vegetable crops
CN110754235A (zh) 西番莲大田高位嫁接及栽培方法
Zijlstra et al. Effects of root systems of tomato genotypes on growth and earliness, studied in grafting experiments at low temperature
Bratsch Specialty crop profile: globe artichoke
Andersen et al. The blackberry
CN108934881A (zh) 一种薯菜两用甘薯的高效种植栽培方法
Mortley et al. Plant spacing influences yield of vegetable amaranth
Langer Growth of lucerne
Tripathi et al. Status and prospects of rambutan cultivation in India
Shanmugasundaram et al. Suggested cultural practices for onion
Nandwani et al. Grafting and improvement of breadfruit production in Micronesia
RU2086097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капусты
Pandey et al. Advances in Cultivation and Propagation of Walnut (Juglans regia L.)
Birhanu et al. Leaf and Seed Yield Response of Vegetable Amaranths to Nitrogen Fertilizers Applications and Harvesting Frequency at Jimma, South West, Ethiopia
Kasrawi Response of cucumbers grown in plastic greenhouses to plant density and row arrangement
Bindiya et al. Methods of grafting in horticultural crops
Meghwal Production Technology of Less Known Fruit Crops of Arid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