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924A -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 Google Patents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924A
KR20030030924A KR1020020061500A KR20020061500A KR20030030924A KR 20030030924 A KR20030030924 A KR 20030030924A KR 1020020061500 A KR1020020061500 A KR 1020020061500A KR 20020061500 A KR20020061500 A KR 20020061500A KR 20030030924 A KR20030030924 A KR 2003003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sheet
skeleton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시다타카시
카토타다요시
Original Assignee
신니폰세키유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26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2765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2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2764A/en
Application filed by 신니폰세키유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니폰세키유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924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PURPOSE: An antistatic separate sheet is provided, to allow it to be prepared with a low cost easily and to improve the antistatic performance on the entire sheet. CONSTITUTION: The antistatic separate sheet comprises a polyolefin-based resin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resin essentially having both polyolefin-based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nd it has a surface inherent resistivity of 10¬11 Ohm or less. Also the antistatic separate sheet comprises a polyolefin-based resin,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resin essentially having both polyolefin-based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nductive fiber member; and it has a surface inherent resistivity of 10¬7 Ohm or less. Preferably the conductive fiber member is a carbon fiber. Preferably the polyolefin-based resin is polypropylene.

Description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Non-static Separator Sheets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본 발명은, 팔레트 위에 용기를 다단으로 겹쳐 쌓아고 유닛화 할 때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트 시트(티어 시트라고 말함)에 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sheet (referred to as a tier sheet) used when stacking containers in multiple stages on a pallet and unitizing the containers.

종래, 청량음료, 맥주, 식용유, 통조림 등에 사용되는 금속용기, 의약품, 공업약품, 액체조미료 등에 사용되는 유리용기, 또는 액체세제, 조미료, 아이스크림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용기 등, 많은 분야에서 다종 다양한 용기가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용기의 짐꾸림이나 반송 등의 하역작업의 대부분은 기계화 혹는 자동화되고 있다.Conventionally, various kinds of containers ar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metal containers used for soft drinks, beer, cooking oil, canned food, glass containers used for pharmaceuticals, industrial medicines, liquid seasonings, or plastic containers used for liquid detergents, seasonings, and ice cream. It is used in large quantities. And most of the unloading operations, such as packing and conveying of this container, are mechanized or automated.

상기의 짐꾸림이나 반송의 한 태양(一態樣)으로서, 유닛로드(UNITE ROAD)화가 있다. 이 방법은, 용기 등을 짐꾸림하거나 반송 할 때에 이것들을 적당 갯수 또는 중량으로 한데 모아서 한 단위로, 도중에서 흐트러짐 없이 일체적으로 기기(器機)에 의한 하역을 행하는 방법이다.As one aspect of said packing and conveyance, there exists a unit rod. This method is a method of carrying out the unloading by the unit integrally, without disturbing in the middle, by gathering them in a suitable number or weight when packing or conveying a container etc. in one unit.

즉, 팔레트 위에 일정 갯수의 용기를 다수열 다단으로 겹쳐 쌓아고 유닛화 한 후에, 슈링크 포장이나 스트레치 포장 등의 짐꾸림을 행하는 하역 작업에 제공하는 것으로, 용기를 유닛화 할 때에, 용기의 안정화, 짐의 무너짐을 방지, 방진등의 목적으로 각 단마다에 세퍼레이트 시트가 삽입되어진다.In other words, after stacking a number of containers on a pallet in a multi-stage multi-stage unit and providing them for unloading operations such as shrink packaging or stretch packaging, the containers are stabilized when unitizing the containers. A separate sheet is inserted into each stag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load and dustproofing.

종래, 세퍼레이트 시트로는, 지제(紙製)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제의 시트는 흡수, 흡습 등에 의해서, 굽힘 강성,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 해 오는 것으로부터 반복 사용에 제한이 있다. 게다가, 소재가 종이이기 때문에 보풀이 일어나거나 파손, 더러워짐이 심해지고,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식품이나 의료품 등의 티끌이나 먼지를 꺼려하는 분야에서는 사용이 제한되어진다.Conventionally, the paper-made thing is used a lot as a separate sheet. However, the sheet made of a paper has a limitation in repeated use since mechanical strength such as bending stiffness and impact resistance decreases due to absorption, moisture absorp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is paper, fluffing, damage, and dirt are aggravated, and it is unsanitary. Therefore, its use is restricted in fields where dust and dust such as food and medical products are reluctant.

이것들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제의 세퍼레이트 시트도 있지만, 플라스틱제의 세퍼레이트 시트는 대전이 심하고 티끌이나 먼지를 쉽게 달라붙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플라스틱제 세퍼레이트 시트는 대전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대전 방지제나 카본블랙 등을 배합하는 방법이 종종 제안되고 있다.There are also plastic separate sheets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 separate sheets made of plastic have a problem of serious charging and easy adhesion of dust and dust. Therefore, as a method of preventing the charging of the plastic separate sheet, a method of incorporating an antistatic agent, carbon black, or the like is often proposed.

그러나, 대전 방지제를 배합하는 방법으로는, 장기간에 걸친 사용이나 시트가 세정에 의해서 대전 방지제가 침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주위나 세정액이 오염되거나, 대전 방지 성능이 저하하거나 해 버린다.However, as a method of compounding the antistatic agent, the antistatic agent is leached by use for a long time or the sheet is washed, whereby the surroundings and the cleaning liquid are contaminated, or the antistatic performance is reduced.

한편, 카본블랙을 배합한 것에서는, 카본 분이 표면에 나오는 우려가 있고, 그 자체가 티끌이나 먼지가 되거나, 환경오염의 원인도 된다. 더욱이, 카본블랙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시트가 거무스름해진 색이 되기 때문에, 사용용도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carbon black is blended, carbon powder may come out on the surface, which itself becomes dust or dust, or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Moreover, since the sheet becomes a blackish color by mix | blending carbon black, usage may be restrict | limited.

그래서, 특공평(特公平)7-59642호 공보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도전성 섬유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한 세퍼레이트 시트가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섬유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향상시키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지고, 환경오염도 없는 세퍼레이트 시트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59642 discloses a separate sheet provided with antistatic performance by blending conductive fibers with a polyolefin resin. By blending the conductive fibers in this manner, a separate sheet having excellent antistatic performance and excellent environmental pollution while improving water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can be obtained.

그러나, 도전성 섬유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배합한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절연성 재료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도전성 섬유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가 어떤가, 즉, 시트 전면에 걸쳐서 도전성 섬유끼리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가 또한 대전한 전하를 놓아 줄 수 있는 정도에 근접하고 있는가 어떤가로, 대전 방지 성능은 임계적으로 격변한다. 이 때문에, 도전성 섬유끼리가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지 않는 영역이 있으면, 국소적으로 대전 방지 성능이 저하한 부위가 발생하는 일이 있고, 대전 방지 성능이 불안정하게 되어 버린다.However, when the conductive fibers are blended with the polyolefin-based resin, since the polyolefin-based resin is an insulating material, whether or not the conductive fibers form a network therein, that is, the conductive fi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ver the entire sheet. The antistatic performance is critically catastrophic, whether or not it is close enough to release the charged charge. For this reason, when there exists an area | region which a conductive fiber does not contact or adjoin, the site | part in which antistatic performance fell locally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antistatic performance will become unstable.

또한, 도전성 섬유를 사용한 경우, 세퍼레이트 시트를 저속으로 성형하지 않으면, 세퍼레이트 시트의 성형 중에 도전성 섬유가 절손(折損)되거나, 도전성 섬유끼리의 교락(交絡)이 얻어지기 어렵게 되거나 해서 도전성 섬유간의 거리가 커지게 되고, 도전성 섬유에 의한 네트워크가 손상되어 버려지기 때문에, 세퍼레이트 시트의 생산성이 저하해져 버린다. 바꾸어 말하자면, 시트 전면에 걸쳐서 양호한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성형 속도를 느리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세퍼레이트 시트 제조 코스트가 고가가 되어 버린다.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fiber is used, if the separate sheet is not molded at a low speed, the conductive fiber is broken during molding of the separate sheet, or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becomes difficult to be obtained, resulting in a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Since it becomes large and the network by a conductive fiber is damaged, productivity of a separate sheet will fall.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hibit good antistatic performance over the entire sheet, the molding speed must be slowed down, resulting in a high cost of manufacturing the separate sheet.

특공평(特公平)8-13527호 공보에서는, 세퍼레이트 시트를 다층화하고 표면층 만에 도전성 섬유를 배합하는 것으로, 도전성 섬유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세퍼레이트 시트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특개평(特開平)11-35064호 공보에는, ABS폴리머제의 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친수성 폴리머와 혼합하는 것으로 대전 방지 성능을실현시킨 세퍼레이트 시트가 개시되고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3527 discloses a separate sheet in which the amount of the conductive fiber is reduced by layering the separate sheet and blending the conductive fiber only in the surface layer. 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35064 discloses a separate sheet in which an antistatic performance is realized by mixing with a hydrophilic polymer in a separator sheet made of ABS polymer.

그러면서도, 세퍼레이트 시트를 다층화하고 표면 층만에 도전성 섬유를 배합하는 방법은, 다층 시트를 만들지 않으면 안되고 장치가 복잡화하기 때문에,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친수성 폴리머와 혼합하는 방법은, 세퍼레이트 시트가 ABS폴리머제인 경우에는, ABS폴리머는 친수성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있기 때문에 대전 방지 성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세퍼레이트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소수성 폴리머이고 친수성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극히 나쁘다. 그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친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더라도, 양자는 성형 시에 서로 분리해서 도해구조(島海構造)를 형성하고,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분산할 수 없기 때문에, 세퍼레이트 시트의 전면에 걸쳐서 대전 방지 성능을 주는 것이 곤란하다.At the same time, the method of multilayering the separate sheet and blending the conductive fibers only in the surface layer is the best method because the multilayer sheet must be made and the apparatus is complicated. In addition, the method of mixing with the hydrophilic polymer can realize the antistatic performance when the separator sheet is made of ABS polymer because the ABS polymer has compatibility with the hydrophilic polymer, but when the separator sheet is a polyolefin resin, the polyolefin System resins are hydrophobic polymers and have extremely poor compatibility with hydrophilic polymers. Therefore, even if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hydrophilic polymer are mixed, bot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molding to form a schematic structure, and the hydrophilic polymer cannot be dispersed in the polyolefin resin. It is difficult to give antistatic performance over.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저가로 또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고, 게다가 시트 전면에 걸쳐서 대전 방지 성능이 부여된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electrolytic separator sheet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easily, and which is further imparted antistatic performance over the entire sheet surface.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도전성 섬유를 배합해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면서, 고속으로 성형한 경우라도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된 대전 방지 성능이 얻어지는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in which a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is obtained over the entire sheet even when molded at a high speed while blending conductive fibers with polyolefin resin to impart antistatic performance.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 비대전성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가, 앞에서 기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혼합된 조성물을 조금이라고 포함하고,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11Ω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트 시트가 제공되어진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a composition in which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is mixed with the polyolefin resin described above A separate sheet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little and has a surface resistivity of 10 11 Ω or less.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혼합하는 것으로, 이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상용하게 분산한다. 이것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세퍼레이트 시트라도, 도전성 섬유 없이 시트 전면에 걸쳐서 대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공중합 수지를 혼합하는 것만으로,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성형하는 것과 같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도 용이하다.In this way,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is mixed with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copolymer resin is commonly dispersed in the polyolefin resin. Even in the case of the separator sheet using the polyolefin resin,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sheet without conductive fibers. Moreover, since it can manufacture similarly to shape | molding a normal polyolefin resin sheet only by mixing a copolymer resin with polyolefin resin, manufacture is also easy.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와, 도전성 섬유 재료가, 앞에서 서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혼합된 조성물을 적어도 포함,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7Ω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트 시트가 제공되어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containing the polyolefin resin, the copolymer resin having both the polyolefin skeleton and the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nd the conductive fiber material, the polyolefin resin described above A separate sheet is provided comprising at least a composition mixed in the composition, wherein the surface resistivity is 10 7 Ω or less.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혼합하는 것으로, 이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상용하고 분산한다. 그 결과, 세퍼레이트 시트를 고속으로 성형하고 그에 따른 도전성 섬유간의 거리가 커지는 경우에도, 공중합 수지를 개재시켜도 도전성 섬유의 네트워크가 양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된 대전 방지성능을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is mixed with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copolymer resin is compatible with and dispersed in the polyolefin resin. As a result, even when the separator sheet is formed at high spe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increases, the network of conductive fibers can be formed satisfactorily even through the copolymer resin, so that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sheet.

(제1의 실시 형태)(1st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의 세퍼레이트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1성분,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제2성분으로 하고, 이것들을 혼합해서 압출 성형법 등에 의한 시트 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The separator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based resin as a first component, a polyolefin-based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s a second component, and these are mixed and molded into a sheet by an extrusion molding method or the like. .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제1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에 더하는 것으로, 공중합 수지의 폴리올레핀계 골격의 부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용성이 있기 때문에, 소수성 폴리머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세퍼레이트 시트이더라도,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분산한다. 그 결과, 고가인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세퍼레이트 시트 전면에 걸쳐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함유시켜 대전 방지 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에 의해, 종래의 대전 방지제를 배합한 세퍼레이트 시트처럼 세정에 의해서 대전 방지 성능이 저하되지는 않고, 영구적으로 대전 방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카본블랙을 사용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카본블랙 자신에 의한 티끌이나 먼지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색깔이 검게 되는 것도 방지 할 수 있다. 더욱이,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조하는 것과 같은 프로센스로 용이 또한 효율적으로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dding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to the matrix of the polyolefin resin as the first component, since the part of the polyolefin skeleton of the copolymer resin is compatible with the polyolefin resin, Even if it is the separator sheet using the polyolefin resin which is a polymer, copolymerization resin is It is partially enclosed and dispersed in the matrix of polyolefin resin. As a result, even if expensive conductive fibers are not used,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provid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By incorporating the copolymerized resin into the polyolefin-based resin and exhibiting antistatic performance, the antistatic performance is not lowered by washing like a separate sheet containing a conventional antistatic agent, and th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permanently. hav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carbon bl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ust and dust caused by the carbon black itself and also to prevent the color from becoming black. Moreover, since no conductive fiber is used, the separator sheet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produced with the same sense as for producing a conventional polyolefin resin.

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공중합 수지의 함유량은, 3∼20질량%가 좋다.In a separate sheet, content of copolymerization resin is 3-20 mass%.

3질량% 미만에선,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한편, 20질량%를 넘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의 물성을 크게 변화시키는 우려가 있고, 또한,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도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적으로 불리하게 된다.If it is less than 3 mas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antistatic performance may 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20 mas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rix of the polyolefin resin are greatly changed, and since the copolymer resin is more expensive than the polyolefin resin,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on cost.

제1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골격으로는, 공중합 수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중에 의해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경우, 폴리올레핀계 골격에도 폴리프로필렌이 적절하게 사용되어진다. 또한, 공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친수성 폴리머 골격으로는, 아미드기, 알코올기, 카르복시기 등을 가진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폴리에틸렌글리콜 골격 등을 들 수 있다.As polyolefin resin which is a 1st component, polypropylene resin, polyethylene resin,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resin, etc. can be used suitably. As polyolefin frame | skeleton which comprises copolymer resin, in order to disperse | distribute copolymer resin uniformly in polyolefin resin, it is good to use the same material as polyolefin resin. For example, when polyolefin resin i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is used suitably also for polyolefin frame | skeleton. In addition, as a hydrophilic polymer backbone which comprises a copolymer resin, an amide group, The polymer which has an alcohol group, a carboxyl group, etc. can be used, Specifically, a polyamide skeleton, a polyvinyl alcohol skeleton, a polyethyleneglycol skeleton, etc. are mentioned.

세퍼레이트 시트의 표면 고유 저항치는, 1011Ω이하이다.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11Ω를 넘으면, 대전 방지 성능이 낮아지고, 티끌이나 먼지를 쉽게 달라붙게 한다. 세퍼레이트 시트의 두께는 0.3∼15mm의 범위가 적당하다.The surface specific resistance of the separate sheet is 10 11 Ω or less. If the surface resistivity exceeds 10 11 Ω, the antistatic performance is lowered and the particles and dust easily stick together. As for the thickness of a separate sheet, the range of 0.3-15 mm is suitable.

두께가 0.3mm미만에서는, 세퍼레이트 시트의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15mm를 넘으면, 세퍼레이트의 중량이 크게 되어, 하역 작업의 자동화나취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우려를 발생시킨다.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3 mm, the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he rigidity of the separate sheet is not sufficient, and if the thickness exceeds 15 mm, the weight of the separator becomes large,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e automation and handling of the unloading operation.

세퍼레이트 시트가, 음식품용 용기 혹은 약품용 용기 등 위생성을 요구하는 용기의 반송이나 짐꾸림에 사용되어지는 경우, 세퍼레이트 시트에 곰팡이나 잡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항균제를 조금이나마 세퍼레이트 시트의 표면에 부가하는 것이 좋다. 항균제로는, 특히 제한 되어있지 않지만, 은, 동, 아연 등의 항균성 금속, 특히 은 이온을 함유한 용해성 유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균제를 세퍼레이트 시트에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성형 후에 세퍼레이트 시트의 표면에 항균제를 도포하는 방법, 및 성형 전의 세퍼레이트 재료에 제3의 성분으로서 항균제를 첨가하는 방법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성형 전의 세퍼레이트 시트 재료에 항균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성형 후의 도포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략화 되고,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When a separate sheet is used for conveyance and packing of the container which requires hygiene, such as a container for food-drinks or a container for chemicals, in order to suppress that mold and various germs generate | occur | produce in a separate sheet, an antimicrobial agent may be a little It is good to add to the surface. Although it does not restrict | limit especially as an antimicrobial agent, Antimicrobial metals, such as silver, copper, zinc, and the soluble glass containing silver ion especially can be used suitably. In addition, as a method of adding an antimicrobial agent to a separate sheet, either the method of apply | coating an antimicrobial agent to the surface of a separate sheet after shaping | molding, and the method of adding an antimicrobial agent as a 3rd component to the separator material before shaping | molding are applicable. Since the method of adding an antimicrobial agent to the separate sheet material before shaping | molding does not require the application | coating process after shaping | molding, a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앞에서 서술한 예에선, 단층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다층구조로도 좋다. 이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된 시트를 주층으로,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상기의 적어도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포함한 시트를 표층으로 적층한 구조로써, 공중합 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although the single-layered separator sheet was demonstrated to the example, you may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in this case, The use amount of copolymer resin can be reduced by the structur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sheet | seat containing said at least 1st component and the 2nd component as the surface layer on the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the sheet | seat of polyolefin resin as the main layer.

(제2의 실시 형태)(2nd embodiment)

앞에서 서술한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 없이,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된 대전 방지 성능을 달성했지만, 보다 고성능 세퍼레이트 시트가 요구되어지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지만, 도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따한 생산성의저하를 최대로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In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was achieved over the sheet whole surface, without using a conductive fiber, a higher performance separate sheet may be required.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atisfy such a request, although conductive fiber is used, the fall of the productivity by using conductive fiber is suppressed to the maximum.

즉, 본 실시 형태의 세퍼레이트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1성분,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제2성분, 도전성 섬유를 제3성분하여, 이것들을 혼합해서 압출 성형법 등에 의해서 시트 상으로 성형된 것이다.That is, the separator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of a first component,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s a second component, a conductive fiber as a third component, a mixture of these and an extrusion molding method. Molded into a sheet by a sheet or the like.

제1성분 및 제2성분에 관해서는, 그것들을 구성하는 수지나 함유량 등은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About the 1st component and the 2nd component, resin, content, etc. which comprise them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제3성분인 도전성 섬유는, 세퍼레이트 시트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섬유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서, 대전 방지제를 배합한 것과 같이 세정에 의해서 대전 방지 효과가 저하하는 것은 없고, 영구적으로 대전 방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카본블랙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카본블랙 자신에 의해서 티끌이나 먼지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fiber which is a 3rd component can be used in order to provide antistatic performance to a separate sheet. By containing conductive fibers, the antistatic effect is not lowered by washing as the antistatic agent is blended, and since th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permanently and carbon black is not used, carbon black itself I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dust and dust.

도전성 섬유로서는, 일반적인 탄소 섬유 외, 알루미늄, 황동, 스텐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 섬유, 유리섬유에 은, 동, 황동, 니켈 등의 금속분말을 코팅한 섬유, 또는, 은, 동, 황동, 니켈 등의 금속분말을 혼합시킨 합성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탄소 섬유, 및 탄소 섬유에 니켈을 코팅을 한 것이, 강성이나, 배합했을 때의 표면 저항치 등의 성능 면, 게다가 가격 면 등에서 가장 좋다. 탄소 섬유에는 PAN계와 피치계가 있지만, PAN계는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섬유는, 단섬유 혹는 장섬유 어느 쪽이라도 좋지만, 적어도 배합량에서 효과가 뛰어난 장섬유 쪽이 좋다.Examples of the conductive fiber include a fiber coated with metal powder such as silver, copper, brass, and nickel on metal fiber and glass fiber made of aluminum, brass, stainless steel, etc., in addition to general carbon fiber, or silver, copper, brass, nickel Synthetic fiber which mixed metal powders, such as thes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coating nickel with carbon fiber and carbon fiber is the best in terms of performance, such as rigidity and surface resistance at the time of blending, and also in terms of price. Although carbon fiber has a PAN system and a pitch system, PAN system can improve rigidity. The fibers may be either short fibers or long fibers, but at least the long fibers having an effect in blending amount are preferred.

한편, 제2성분인 공중합 수지는, 세퍼레이트 시트를 고속으로 성형하더라도, 그에 의한 도전성 섬유에 악영향을 배제하고, 도전성 섬유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켜, 결과적으로 대전 방지 성능을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polymer resin as the second component, even if the separator sheet is molded at high speed, eliminates adverse effects on the conductive fibers thereby, exhibits the properties of the conductive fibers to the maximum, and as a result, stabilizes the antistatic performance over the entire sheet. Can be used for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도전성 섬유를 배합해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경우,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도전성 섬유끼리가 서로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시트 전면에 걸쳐서 도전성 섬유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전성 섬유를 배합한 경우에, 세퍼레이트 시트를 고속으로 성형하려고 하면, 성형할 때에 용융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더해진 전단력에 의해서 도전성 섬유가 절손해 버리는 일도 있고, 그 결과, 도전성 섬유의 평균 길이가 짧아지고, 네트워크가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특히 압출 성형에 있어서 현저하지만, 도전성 섬유를 배합한 경우에 성형 속도를 높혀 가면, 도전성 섬유가 압출 방향으로 정렬(整列)하는 정도가 높아져,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도전성 섬유끼리의 교락을 얻기 어렵게 되어진다.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fibers are blended with the polyolefin-based resin to impart the antistatic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ave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heet, the conductive fibers ar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in front of the sheet. It is necessary to form a network of conductive fibers over. However, when conductive fibers are blended, when the separator sheet is to be molded at high speed, the conductive fibers may be broken by the shear force added to the molten polyolefin resin during molding, and as a result, the averag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s It shortens and the network is damaged. Moreover, although it is remarkable especially in extrusion molding, when the forming speed is increased when the conductive fibers are blended, the degree of alignment of the conductive fibers in the extrusion direction is increased, and the entanglement of the conductive fiber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is is prevented. It becomes hard to get.

한편, 수지 제품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 친수성 폴리머를 혼합하고, 이 친수성 폴리머에 의해서 표면에 흡착된 공기중의 수분을 개재하여, 수지제품에 발생한 전하를 수지제품에서 놓쳐서, 수지제품의 대전을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도전성 섬유가 절손(折損)하고, 또는 압출 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등으로 도전성 섬유간의 거리가 크게 된다고 하더라도, 친수성 폴리머를 개재시켜서 도전성 섬유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of imparting antistatic performance to the resin product, the hydrophilic polymer is mixed, and the charge generated in the resin product is lost in the resin product through the water in the air adsorbed on the surface by the hydrophilic polymer, It is known to prevent the charging of a product. By using this,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conductive fibers becomes large, for example, because the conductive fibers are broken, or the degree of alignment in the extrusion direction is increased, forming a network of conductive fibers via a hydrophilic polymer is also possible. I can think of it.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소수성이 있고 친수성을 가지고 있는 첨가제와의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친수성 폴리머를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양자는 성형시에 서로 분리하고 도해구조를 형성해 버린다. 그 결과,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으로 분산할 수 없고, 도전성 섬유에 의한 대전 방지 성능을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하게 발현시킬 수 없다.However, since polyolefin resins are not hydrophobic and incompatible with hydrophilic additives, simply mixing hydrophilic polymers with polyolefin resins separates them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molding and forms a schematic structure. As a result, the hydrophilic polymer cannot be dispersed in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antistatic performance by the conductive fibers cannot be stably expressed over the entire sheet.

그래서,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제1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에 첨가하는 것으로, 공중합 수지의 폴리올레핀계 골격의 부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용성이 있기 때문에,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분산한다. 이것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도전성 섬유간의 거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이 경우와 비교해서 크게 되기 때문에, 세퍼레이트 시트를 고속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도전성 섬유간의 거리가 크게 된 경우라도, 공중합 수지를 개재하여 도전성 섬유간을 전하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세퍼레이트 시트의 전면에 걸쳐서 안정한 대전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is used as the first component of the polyolefin resin. By adding to a matrix, since the part of the polyolefin frame | skeleton of a copolymer resin is compatible with polyolefin resin, a copolymer resin is partially enclosed and dispersed in the matrix of polyolefin resin.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through which charges can move becomes larger than in the case of only the polyolefin resin, so that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fibers is increased by molding the separate sheet at high speed, the copolymer resin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 electric charge can be moved between conductive fibers, and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or sheet.

세퍼레이트 시트의 표면 고유 저항치는, 티끌이나 먼지를 불러일으키기 어려운 값을 요구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107Ω이하가 필요하다.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7Ω를 넘으면, 대전 방지 성능이 낮고, 티끌이나 먼지를 불러일으키기가 쉽다.Although the surface intrinsic resistance value of a separate sheet requires a value which is hard to cause dust and dust, in this embodiment, considering that it contains a conductive fiber, 10 7 ohm or less is required. When the surface resistivity exceeds 10 7 Ω, the antistatic performance is low, and it is easy to cause dust and dust.

세퍼레이트 시트의 두께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것과 같게, 세퍼레이트 시트의 용도에 의해서는, 적어도 표면에 항균제을 부가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형태에 서술한 것과 같이, 세퍼레이트 시트를 다층 구조로서 제작해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separate shee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good to add an antimicrobial agent to the surface at least by the use of a separate sheet similarly to having described in 1st Embodiment. Moreover, also in this embodiment, you may produce a separate sheet as a multilayered structure as described in 1st Embodiment.

(실시예)(Example)

이하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에 관해서,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다.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a comparative example about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is invention.

우선,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First, the Example regarding 1st Embodiment is shown.

(실시예 1-1)(Example 1-1)

제1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썬아로마사제(社製) 폴리올레핀, E300A(상품명), 제2성분인 공중합수지로서, 산요화성공업사제 대전방지제, 펠레스탁트(PELESTAT)3000(상품명)을 사용하고, 이것을 혼합해서 단층 T다이 장치로 성형하고, 두께가 1mm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본 예에서 사용한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골격으로서 폴리올레핀을 가지고, 친수성 폴리머 골격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진다. 공중합 수지의 함유량은 10질량%로 한다. 단층 T다이 장치의 성형 능력은, 최대로 10m/분이고, 본 예는 그 최대 속도로 성형했다.As polyolefin resin which is a 1st component, Sun Aroma Polyolefin, E300A (brand name), and the antistatic agent made by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ELESTAT3000 (brand name) are used as a copolymer resin which is a 2nd component. Then, this was mixed and molded in a single-layer T-die apparatus to prepare a separato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 mm. The copolymer resin used in this example has a polyolefin as a polyolefin skeleton, and has polyethylene glycol as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Content of copolymer resin is 10 mass%. The molding ability of the single-layer T-die apparatus was at most 10 m / min, and this example was molded at the maximum speed.

(실시예 1-2)(Example 1-2)

공중합 수지의 합유량을 5질량%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A separate sheet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oil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resin was 5% by mass.

(실시예1-3)(Example 1-3)

다층 T다이 장치를 사용해서, 주층과 표층과의 2층 구조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주층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썬아로마사제(社製) 폴리프로필렌, E300A(상품명)을 사용했다. 표층은,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것과 같게 조성했다. 각 층의 두께는, 주층이 0.85mm, 표면이 0.15mm로서, 세퍼레이트 시트 전체에서 두께를 1mm로 했다. 다층 T다이 장치의 성형능력은, 최대로 10m/분이고, 본 예에서 그 최대 속도로 성형했다.Using a multilayer T-die apparatus, a separate sheet having a two-layer structure of a main layer and a surface layer was produced. As a material which comprises a main layer, Sun Aroma Polypropylene and E300A (brand name) were used. The surface layer was formed like what was used in Example 1-2. As for the thickness of each layer, the main layer was 0.85 mm and the surface was 0.1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whole sheet was 1 mm. The molding ability of the multilayer T-die apparatus was at most 10 m / min, and was molded at this maximum speed in this example.

(비교예1-1)(Comparative Example 1-1)

실시예 1-1에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해서 실시예 1-1과 같게 단층 T다이 장치에서 성형하고, 두께가 1mm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세퍼레이트 시트의 성형 속도는 10m/분으로 했다.Using the polypropylene used in Example 1-1, it molded in the single-layer T-die apparatus similarly to Example 1-1, and produced the separator sheet of thickness 1mm. The forming speed of the separate sheet was 10 m / min.

(비교예1-2)(Comparative Example 1-2)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에, 탄소 섬유로서 도호텍렉스(TOHO TENAX)사제 탄소 섬유, 베스화이트(BESFIGHT) HTA(상품명)을 혼합하고, 실시예 1-1과 같게 단층 T다이 장치에 의해서 두께 1mm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탄소 섬유의 함유량은, 10질량%로 했다. 역시, 성형 속도에 관해서는, 성형 속도를 올려면 세퍼레이트 시트의 표면 고유 저항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탄소 섬유의 효과가 발휘되어지는 한계까지 내려서 행했다. 성형 속도를 낮추어 가면, 표면 고유 저항치가 돌연 작아지는 임계치가 있고, 본 예에선, 그 때의 성분속도는 4m/분 이였다.To the polypropylene used in Example 1-1, carbon fiber manufactured by TOHO TENAX Co., Ltd. and BESFIGHT HTA (trade name) were mixed as carbon fibers, and a single-layer T-die apparatus was used as in Example 1-1. Produced a 1 mm thick sheet. Content of carbon fiber was 10 mass%. In addition, regarding the molding speed, since the surface specific resistance value of a separate sheet increases when a molding speed is raised, it carried out to the limit to which the effect of a carbon fiber is exhibited. When the molding speed was lowered, there was a threshold value at which the surface specific resistance suddenly decreased, and in this example, the component speed at that time was 4 m / min.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다층 T다이 장치를 사용해서, 주층과 표층과의 2층 구조의 세퍼레이트 시트를제작했다. 주층에는 비교예 1-1과 같게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표층에는 비교예 1-2와 같게 조성한 것을 사용했다. 각층의 두께는, 주층이 0.85mm, 표층이 0.15mm로 하고, 세퍼레이트 시트 전체에서의 두께를 1mm로 했다. 성형속도에 관해서는, 비교예 1-2와 같게, 탄소 섬유의 효과가 발휘되어지는 한계까지 낮추어서 행했다.Using a multilayer T-die apparatus, a separate sheet having a two-layer structure of a main layer and a surface layer was produced. Polypropylene was used for the main layer similarly to the comparative example 1-1, and the composition similar to the comparative example 1-2 was used for the surface layer. As for the thickness of each layer, the main layer made 0.85 mm and the surface layer 0.15 mm, and made the thickness in the whole separator sheet 1 mm. Regarding the molding speed, it carried out by lowering to the limit at which the effect of the carbon fiber is exhibited, as in Comparative Example 1-2.

본 예에서는 3m/분이였다.In this example, it was 3 m / min.

앞에서 서술한 실시예 1-1∼1-3 및 비교에 1-1∼1-3의 조성 및 평가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 표1에 있어서, 재료 코스트에 관해서는, 폴리프로필렌만을 사용한 것을 기준으로 하고, 그 1.5배 이하인 경우를「◎」, 1.5배를 넘어, 2배 이하인 경우를 「○」, 2배를 넘은 경우를 「△」, 그 안에서도 2배를 큰 폭으로 넘은 경우를 「×」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생산성에 관해서는, 세퍼레이트 시트를 성형장치의 최대 속도에서 성형한 경우를 「○」, 최대속도의 절반 이하의 속도에서 성형한 경우를 「×」로 표시하고 있다.Table 1 shows the compositions and evaluation results of 1-1 to 1-3 in Examples 1-1 to 1-3 described above and the comparison. In Table 1, the material cost was based on the use of only polypropylene, and the case of 1.5 times or less exceeded "(circle)", 1.5 times, and the case of 2 times or less exceeded "○" and 2 times. In the case of "Δ", and the case of exceeding twice the width, "x" is indicated. In addition, regarding productivity, the case where the separate sheet was shape | molded at the maximum speed of a shaping | molding apparatus is shown by "(circle)" and the case where it shape | molded at the speed | rate of half or less of the maximum speed is represented by "x".

표1Table 1

조성Furtherance 표면고유저항치(Ω)Surface specific resistance (Ω) 재료코스트Material Coast 생산성productivity 실시예1-1Example 1-1 폴리프로필렌공중합수지 10질량%(PP/폴리에틸렌글리콜)10% by mass of polypropylene copolymer resin (PP / polyethylene glycol) 1010 10 10 실시예1-2Example 1-2 폴리프로필렌공중합수지 5질량%(PP/폴리에틸렌글리콜)5% by mass of polypropylene copolymer resin (PP / polyethylene glycol) 1011 10 11 실시예1-3Example 1-3 표층폴리프로필렌공중합수지 5질량%(PP/폴리에틸렌글리콜)주층폴리프로필렌Surface Polypropylene Copolymer 5% by mass (PP / Polyethylene Glycol) Main Layer Polypropylene 1011 10 11 비교예1-1Comparative Example 1-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1015 10 15 비교예1-2Comparative Example 1-2 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10% by mass of polypropylene carbon fiber 106 10 6 ×× ×× 비교예1-3Comparative Example 1-3 표층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주층폴리프로필렌Surface polypropylene carbon fiber 10% by mass main layer polypropylene 106 10 6 ××

실시예 1-1∼1-3에서는, T다이 장치의 최대 능력로 성형을 행하더라도 문제없이 성형할 수 있고, 또한, 표면 고유 저항치도 1011Ω이하로 되고,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진 세퍼레이트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1에서는, 재료 코스트도 저렴하고 또한 생산성도 양호했지만,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15Ω로 높아지고,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질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1-2 및 1-3에선, 탄소 섬유를 함유시킨 것에 의해서 대전 방지 성능은 충분한 것이 되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성형 속도를 내리지 않으면 안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절반이하로 저하하고 말았다. 이상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을 가진 공중합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탄소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전면에 걸쳐서 안정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진 세퍼레이트 시트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In Examples 1-1 to 1-3, mold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 even if molding is performed with the maximum capability of the T-die apparatus, and the surface resistivity is also 10 11 Ω or less, and the separator sheet has sufficient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1, the material cost was low and the productivity was good, but the surface resistivity increased to 10 15 Ω and could not have sufficient antistatic performance. Moreover, in Comparative Examples 1-2 and 1-3, the antistatic performance was sufficient by containing carbon fiber, but in order to do this, the molding speed had to be lowered, and as a result, productivity fell below half. From the above, it was found that by containing a copolymer resin having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 separate sheet having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over the entire surface can be produced with high productivity without using carbon fibers.

다음으로,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Next, the Example regarding 2nd Embodiment is shown.

(실시예 2-1)(Example 2-1)

제1성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썬아로마사제(社製) 폴리올레핀, E300A(상품명), 제2성분인 공중합 수지로서, 산요화성공업사제 대전 방지제, 펠레스탁트 3000(상품명), 제3성분인 도전성 섬유로서, 도호텍렉스사제 탄소 섬유, 베스화이트 HTA(상품명)을 사용하고, 이것을 혼합해서 단층 T다이 장치에서 성형하고, 두께가 1mm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본 예에서 사용한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 골격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가지고, 친수성 폴리머 골격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진다. 또한 도전성 섬유의 함유량은 10질량%, 공중합 수지의 함유량은 5질량%로 했다. 단층 T다이 장치의 성형 능력은, 최대로 10m/분이고, 본 예는 그 최대 속도로 성형했다.As a polyolefin resin which is a 1st component, it is a polyolefin made by Sun Aroma, E300A (brand name), and a copolymer resin which is a 2nd component, The antistatic agent by Sanyo Chemical Industries, Pestact 3000 (brand name), and a 3rd component As conductive fiber, carbon fiber made from Tohotec Rex company, Using Veswhite HTA (brand name), this was mixed and shape | molded by the single-layer T-die apparatus, and the separator sheet of thickness 1mm was produced. The copolymer resin used in this example is a polyolefin It has polypropylene as a backbone and polyethyleneglycol as a hydrophilic polymer backbone. In addition, content of the conductive fiber was 10 mass% and content of the copolymerization resin was 5 mass%. The molding ability of the single-layer T-die apparatus was at most 10 m / min, and this example was molded at the maximum speed.

(실시예 2-2)(Example 2-2)

다층 T다이 장치를 사용하고, 주층과 표층과의 2층 구조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주층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썬아로마사제(社製) 폴리프로필렌, E300A(상품명)을 사용했다. 표층은,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것과 같게 조성했다. 각 층의 두께는, 주층이 0.85mm, 표층이 0.15mm로 하고, 세퍼레이트 시트 전체에서의 두께를 1mm로 했다. 다층 T다이 장치의 성형 능력은, 최대로 10m/분이고, 본 예에서는 그 최대 속도로 성형했다.Using a multilayer T-die apparatus, a separate sheet having a two-layer structure of a main layer and a surface layer was produced. As a material which comprises a main layer, Sun Aroma Polypropylene and E300A (brand name) were used. The surface layer was formed like what was used in Example 2-1. As for the thickness of each layer, the main layer made 0.85 mm and the surface layer 0.15 mm, and made the thickness in the whole separator sheet 1 mm. The molding ability of the multilayer T-die apparatus was at most 10 m / min, and was molded at the maximum speed in this example.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실시예2-1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과 탄소 섬유를 혼합해서 실시예 2-1과 같게 단층 T다이 장치에서 성형하고, 두께가 1mm의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 탄소 섬유의 함유량은, 10질량%로 했다. 세퍼레이트 시트의 성형 속도는 10m/분으로 했다.The polypropylene and carbon fiber used in Example 2-1 were mixed and molded in a single-layer T-die apparatu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to prepare a separato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 mm. Content of carbon fiber was 10 mass%. The forming speed of the separate sheet was 10 m / min.

(비교예 2-2)(Comparative Example 2-2)

성형속도를 4m/분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2-1과 같게 세퍼레이트 시트를 제작했다.A separate sheet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2-1 except that the molding speed was 4 m / min.

앞에서 서술한 실시예 2-1, 2-2 및 비교예 2-1, 2-2의 조성 및 평가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역시, 표2에 있어서, 생산성에 관해서는, 세퍼레이트 시트를 성형장치의 최대 속도로 성형한 경우를 「○」, 최대속도의 반정도 이하의 속도에서 성형한 경우를 「×」로 표시하고 있다.Table 2 shows the compositions and evaluation results of Examples 2-1 and 2-2 and Comparative Examples 2-1 and 2-2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Table 2, regarding the productivity, the case where the separate sheet was molded at the maximum speed of the molding apparatus is indicated by "(circle)" and the case where the case where the molded sheet was molded at a speed of about half or less of the maximum speed is indicated by "x".

표2Table 2

조성Furtherance 성형속도(m/분)Molding speed (m / min) 표면고유저항치(Ω)Surface specific resistance (Ω) 생산성productivity 실시예2-1Example 2-1 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공중합수지 5질량%(PP/폴리에틸렌글리콜)10% by mass of polypropylene carbon fiber 5% by mass of copolymer resin (PP / polyethylene glycol) 1010 106 10 6 실시예2-2Example 2-2 표층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공중합수지 5질량%(PP/폴리에틸렌글리콜)주층폴리프로필렌Surface polypropylene Carbon fiber 10% by mass Copolymer 5% by mass (PP / polyethylene glycol) Main layer Polypropylene 1010 106 10 6 비교예2-1Comparative Example 2-1 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10% by mass of polypropylene carbon fiber 1010 1010이상10 more than 10 비교예2-2Comparative Example 2-2 폴리프로필렌탄소섬유 10질량%10% by mass of polypropylene carbon fiber 44 106 10 6 ××

실시예 2-1 및 2-2에서는, T다이 장치의 최대능력에서 성형을 행하더라도 문제없이 성형할 수 있고, 또한, 표면 고유 저항치도 107Ω이하로 되고, 충분한 대전방지 성능을 가진 세퍼레이트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 있어서는, 성형 속도를 빨리 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려고 하면, 탄소 섬유의 네트워크 구조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그 결과, 표면 고유 저항치도 높게 되어 필요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질 수 없었다(비교예 2-1). 거꾸로, 탄소 섬유의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표면고유 저항치를 107Ω이하로 하려고 하면, 성형속도가 느려져서, 생산성이 저하한다(비교예 2-2). 이상으로, 폴리올레핀계 골력 및 친수성 폴리머 골력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함유했기 때문에, 탄소섬유의 네트워크가 양호하게 형성되어 안정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진 세퍼레이트 시트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In Examples 2-1 and 2-2, even if molding is performed at the maximum capability of the T-die apparatus, mold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 problem, and the surface resistivity is also 10 7 Ω or less, and a separate sheet having sufficient antistatic performance. Could get 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when trying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 molding spee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arbon fiber was not sufficiently formed, and as a result, the surface specific resistance was also high, and thus it was not possible to have the required antistatic performance (Comparative Example 2 -One). Conversely, if a network structure of carbon fibers is formed and the surface intrinsic resistance value is set to 10 7 Ω or less, the molding speed is lower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Comparative Example 2-2). As mentioned above, since it contained the copolymer resin which has polyolefin type | system | group strength and hydrophilic polymer bone strength, it turned out that the network of carbon fiber is formed satisfactorily and the separator sheet which has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productivity.

이상 설명했던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세퍼레이트 시트(티어 시트)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를 혼합하는 것으로, 이 공중합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상용해서 분산하기 때문에, 도전성 섬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트 전면에 걸쳐서 안정한 대전성 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성형하는 것과 같이 저가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 sheet (tier sheet)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is mixed, and the copolymer resin is compatible with a polyolefin resin. In order to disperse | distribute, the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can be obtained over the whole sheet | seat, even without using conductive fiber. Moreover, it can manufacture easily and low cost like shape | molding a normal polyolefin resin sheet.

Claims (9)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적어도,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고,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11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A non-electrolytic separator sheet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comprising a composition in which a copolymer resin having at least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is mixed with the polyolefin resin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urface specific resistance is 10 11. Ω or less, non-electrostatic separate shee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적어도, 폴리올레핀계 골격 및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쌍방을 가진 공중합 수지와, 도전성 섬유 자재와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고, 표면 고유 저항치가 107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In 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the above-described polyolefin resin includes at least a copolymer resin having both a polyolefin skeleton and a hydrophilic polymer skeleton, and a composition mixed with a conductive fiber material, the surface inherent of A non-static separate sheet characterized by a resistance value of 10 7 Ω or less. 제 2 항에 있어서 도전성 섬유 재료가 탄소 섬유인,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material is carbon fi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앞서 서술한 폴리올레핀계 골격이 폴리프로필렌인,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polyolefin skeleton described above are polypropylen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친수성 폴리머 골격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인,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backbone is polyethylene glyco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합 수지의 함유량이 3∼20질량%인,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resin is 3 to 20% by ma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표면에 항균제가 부가된,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ntimicrobial agent is added to at least the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된 주층과 그 주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 된, 앞서 기술한 조성물로 된 표층으로 된,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lytic separator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comprising a main layer made of a polyolefin resin and a surface layer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lamin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ain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께가 0.3mm∼15mm의 범위인, 비대전성 세퍼레이트 시트.The nonelectrostatic separat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0.3 mm to 15 mm.
KR1020020061500A 2001-10-10 2002-10-09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KR2003003092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2604 2001-10-10
JPJP-P-2001-00312605 2001-10-10
JP2001312605A JP2003112765A (en) 2001-10-10 2001-10-10 Antistatic tear sheet
JP2001312604A JP2003112764A (en) 2001-10-10 2001-10-10 Antistatic tear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924A true KR20030030924A (en) 2003-04-18

Family

ID=2662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00A KR20030030924A (en) 2001-10-10 2002-10-09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30924A (en)
CN (1) CN1412086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6784B (en) * 2005-03-29 2011-09-21 大科能树脂有限公司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antistatic/pressure-sensitive-adhesive resin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2086A (en)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7445B1 (en) Multilayered packaging materials for electrostatic applications
EP0654504A2 (en)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isintegrating property and containers comprising thereof
KR20080076771A (en) Antistatic multilayered plastic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069495B1 (en) Heat shrinking polyester film
CN1178825C (en) Packaging container for electronic part
KR101215661B1 (en) Resin composition
KR20030030924A (en) A static free separation sheet
US5003002A (en) Blends of amorphous nylon and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s and laminates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EP0900141B1 (en) Multi-layered packaging materials for electrostatic applications
EP1601722B1 (en) Polymer packaging layer with improved release properties
JP2003112765A (en) Antistatic tear sheet
KR100217168B1 (en) Lamianated polyester film for metal lamination
JP2003112764A (en) Antistatic tear sheet
JP3782164B2 (en) Coextruded composite film for deep drawing
JP2004217257A (en) Sheet pallet
JP2757688B2 (en) Multilayer blow container
JP3037998B2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sheet and molded product
JPH0813527B2 (en) Tear sheet with permanent antistatic performance
WO2020218133A1 (en) Layered sheet, electronic component packaging container, and electronic component packaging
JPH1135064A (en) Separate sheet for container stacking
JP4402569B2 (en) Recycled multilayer polyester sheet
JPH0952327A (en) Multilayer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made of the same
JP4172012B2 (en) Multilayer molded container having excellent oxygen absorption and shielding properties, multilayer mold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molding sheet
KR100274181B1 (en) Polymer for having excellent rust resistance
KR100439626B1 (en) Two-axially drawn polyest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