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517A -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517A
KR20030029517A KR1020020069746A KR20020069746A KR20030029517A KR 20030029517 A KR20030029517 A KR 20030029517A KR 1020020069746 A KR1020020069746 A KR 1020020069746A KR 20020069746 A KR20020069746 A KR 20020069746A KR 20030029517 A KR20030029517 A KR 2003002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ssage
water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용
Original Assignee
상원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9517A/ko
Publication of KR2003002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more than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3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in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염색장치에서 배수되는 고온의 폐열수를 냉수와 열교환하여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케이싱(11)에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21)가 배치되어 폐열수와 용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상단에 상부원통(31)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원통(31)의 상단이 커버패널(35)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상부원통(31)에 폐열수 공급관(37) 및 세척수 공급관(39)이 배치되어, 폐열수 공급관(37)을 통해 상부원통(35)으로 공급된 고온의 폐열수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39)을 통해 상부원통(31)으로 공급된 세척수 및 에어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므로서 열교환 파이프(21)를 세척하고, 상기 케이싱(11)의 하단에 하부원통(41)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41)의 측면에 폐열수 배출관(43)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41)의 하단에 원뿔형 포집관(51)이 배치되고, 상기 포집관(51)의 하단에 에어 공급관(53)이 배치되고 세척수 배출관(5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Heat exchanger and waste-heat recoverying system of textile dyeing factor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직물염색장치에서 배수되는 고온의 폐열수를 냉수와 열교환하여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폐열수에 함유된 슬러지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 염색에 사용된 고온의 폐열수에 슬러지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폐열을 회수하고자 할 경우, 슬러지에 의해 열교환기의 관로가 막혀 열교환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어, 현재 직물염색공장에서는 폐열회수시스템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에 의해 관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로가 막혔을 때 관로를 청소하여 막힌 관로의 뚫을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의 열교환기를 적용하여 직물염색공장에 폐열회수시스템을 설치하므로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열교환기에서 세척수 관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열교환기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제 1 열교환기 그룹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00 : 열교환기 11 : 케이싱
21 : 열교환 파이프 31 : 상부원통
41 : 하부원통 51 : 포집관
101 ; 폐열수 통로 120 : 용수 통로
102 ~ 108 : 폐열수 통로 151 ~ 157 : 세척수 공급관
201 ~ 207 : 집수정 211 ~ 217 : 제 1 열교환기 그룹
231 : 고온용수탱크 235 : 제 2 열교환기
240 : 제 3 열교환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일례는 칸막이에 의해 상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의 케이싱에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용수의 흐름을 안내하고 열교환 파이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판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하단에 저온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 상부에 용수 배출관이 배치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상부원통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원통의 상단이 커버패널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상부원통에 폐열수 공급관 및 세척수 공급관이 배치되어, 폐열수 공급관을 통해 상부원통으로 공급된 고온의 폐열수가 열교환 파이프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을 통해 상부원통으로 공급된 세척수 및 에어가 열교환 파이프로 공급되므로서 열교환 파이프를 세척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하부원통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의 측면에 폐열수 배출관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의 하단에 원뿔형 포집관이 배치되고, 상기 포집관의 하단에 에어 공급관이 배치되고 세척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 상부원통, 커버패널, 하부원통 및 포집관은 볼트에 의해 각각의 플랜지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패널은 투명한 아크릴판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관에는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예는 전체적으로 상단과 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이며, 원통형의 폐열수 통로와 용수 통로가 교대로 배열되어 폐열수 통로를 따라 흐르는 폐열수와 용수 통로를 따라 흐르는 용수가 향류방식으로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열수 통로는 최외각에 배치된 제 1 통로와 제 2 통로가 폐열수 공급관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1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와 제 3 통로가 제 1 파이프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2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와 제 4 통로가 제 2 파이프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와 제 5 통로가 제 3 파이프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와 제 6 통로가 제 4 파이프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6 통로와 제 7 통로가 제 5 파이프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6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폐열수 배출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수 통로는 중심에 배치된 제 1 통로와 제 2 통로가 제 1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와 제 3 통로가 제 1 파이프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와 제 4 통로가 제 2 파이프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와 제 5 통로가 제 3 파이프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와 제 6 통로가 제 4 파이프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에 의해 소통되고, 상기 제 6 통로의 상부에 배치된 용수 배출관를 통해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폐열수 통로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반대편인 폐열수 통로의 하단에 배치된 세척수 배출구 및 상기 세척수 배출구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은 제 1 집수정의 제 1 폐열수공급라인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에 연결되고,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이 직열로 연결되어 폐열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제 1 열교환기 4그룹에서 제 1 열교환기 1그룹으로 흐르는 용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폐열수가 배수집수정으로 배출되고, 열교환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의 고온용수배출라인을 통해 고온용수탱크로 공급되고, 제 2 집수정의 제 2 폐열수공급라인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제 3 집수정의 제 3 폐열수공급라인이 제 1 열교환기 2그룹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제 4 집수정에 저장되는 폐열수가 제 2 열교환기에서 저온의 용수와 열교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용수배출라인이 제 1 열교환기 4그룹으로 공급되는 용수공급라인에 연결되며, 제 3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에서 배출되는 용수와 함께 고온용수탱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는 칸막이(13, 15)에 의해 상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의 케이싱(11)에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21)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 용수의 흐름을 안내하고 열교환 파이프(2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판(17)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외주면 하단에 저온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23)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11)의 외주면 상부에 용수 배출관(25)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용수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된 저온의 용수가 안내판(17)에 의해 안내되어 용수 배출관(25)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열교환 파이프(21)를 통과하는 고온의 폐열수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는 상기 케이싱(11)의 상단에 상부원통(31)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원통(31)의 상단이 커버패널(35)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상부원통 (31)에 폐열수 공급관(37) 및 세척수 공급관(39)이 배치되어, 폐열수 공급관(37)을 통해 상부원통(35)으로 공급된 고온의 폐열수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39)을 통해 상부원통(31)으로 공급된 세척수 및 에어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므로서 열교환 파이프(21)를 세척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의 하단에 하부원통(41)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 (41)의 측면에 폐열수 배출관(43)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41)의 하단에 원뿔형 포집관(51)이 배치되고, 상기 포집관(51)의 하단에 에어 공급관(53)이 배치되고 세척수 배출관(55)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11), 상부원통(31), 커버패널(35), 하부원통(41) 및 포집관(51)은 볼트(61)에 의해 각각의 플랜지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어느 한 부분이 슬러지에 의해 막힌 경우 막힌 부분을 분해하여 인위적으로 막힌 부분을 뚫을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1), 상부원통(31), 하부원통 (41) 및 포집관(51)의 플랜지부는 도 1에 되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일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일링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것은 당연한 기술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패널(35)은 투명한 아크릴판일 수 있다.
상기 포집관(51)에는 투시창(57)이 형성되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용수 공급관(23)을 통해 케이싱(11)으로 공급된 저온의 용수가 안내판(17)에 의해 안내되어 용수 배출관(25)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열교환 파이프(21)를 통과하는 고온의 폐열수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고, 폐열수 공급관(37)을 통해 상부원통(35)으로 공급된 고온의 폐열수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어 저온의 용수와 열교환되므로서 냉각되고, 냉각된 저온의 폐열수가 폐열수 배출관(43)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세척수 공급관(39)의 밸브(75, 77) 및 세척수 배출관(55)의 밸브(79)가 닫히고, 폐열수 공급관(37)의 밸브(71) 및 폐열수 배출관(43)의 밸브(73)가 개방되어 폐열수의 흐름의 안내하고, 폐열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포집관(51)에 쌓이게 된다.
이후, 포집관(51)에 슬러지가 소정의 설정치 만큼 쌓이면, 세척수 공급관 (39)의 밸브(75, 77) 및 세척수 배출관(55)의 밸브(79)가 개방되고, 폐열수 공급관 (37)의 밸브(71) 및 폐열수 배출관(43)의 밸브(73)가 닫히게 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관(39)을 통해 상부원통(31)으로 공급된 세척수 및 에어가 열교환 파이프(21)를세척하고, 계속해서 낙하하여 포집관(51)에 쌓인 슬러지를 세척수 배출관(55)으로 강하게 밀어낸다. 이 때 에어 공급관(53)을 통해 공급된 에어가 포집관(51)에 쌓인 슬러지를 부유시키므로서 세척수 및 에어가 포집관(51)에서 슬러지를 밀어내지 쉽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에 따른 열교환기는 전체적으로 상단과 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이며, 원통형의 폐열수 통로(101)와 용수 통로(120)가 교대로 배열되어 폐열수 통로(101)를 따라 흐르는 폐열수와 용수 통로(120)를 따라 흐르는 용수가 향류방식으로 열교환된다.
상기 폐열수 통로(101)는 최외각에 배치된 제 1 통로(102)와 제 2 통로(103)가 폐열수 공급관(141)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1 파이프(111)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103)와 제 3 통로(104)가 제 1 파이프(111)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2 파이프(112)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104)와 제 4 통로(105)가 제 2 파이프(112)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113)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105)와 제 5 통로(106)가 제 3 파이프(113)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114)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106)와 제 6 통로(107)가 제 4 파이프(114)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115)에 의해 소통되고, 제 6 통로(107)와 제 7 통로(108)가 제 5 파이프(115)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6 파이프(116)에 의해 소통되고, 폐열수 배출관(14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용수 통로(120)는 중심에 배치된 제 1 통로(121)와 제 2 통로(122)가제 1 파이프(131)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122)와 제 3 통로(123)가 제 1 파이프(131)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파이프(132)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123)와 제 4 통로(124)가 제 2 파이프(132)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133)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124)와 제 5 통로(125)가 제 3 파이프(133)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134)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125)와 제 6 통로(126)가 제 4 파이프(134)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135)에 의해 소통되고, 상기 제 6 통로(126)의 상부에 배치된 용수 배출관(144)를 통해 용수가 배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열교환기(100)는 각각의 폐열수 통로(102 ~ 108)의 상부 일측에 세척수 공급관(151 ~ 157)이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151 ~ 157)에 에어 공급관(159)이 각각 연결되어 세척수와 에어가 각각의 폐열수 통로(102 ~ 108)를 세척한 후, 상기 세척수 공급관(151 ~ 157)의 반대편인 폐열수 통로(151 ~ 157)의 하단에 배치된 세척수 배출구(161 ~169) 및 상기 세척수 배출구(161 ~169)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관(169)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통해 세척수와 에어에 의해 폐열수 통로(102 ~ 108)가 세척될 때 페열수 공급관(141)의 밸브(171) 및 폐열수 배출관(142)의 밸브(172)가 닫히고, 세척수 공급관의 밸브(173), 에어 공급관(159)의 밸브(174) 및 세척수 배출관(169)의 밸브(175)가 개방되지만, 폐열수와 용수가 열교환될 때 상기 밸브들이 반대로 작동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열교환기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은 제 1 집수정(201)의 제 1 폐열수공급라인(202)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 연결되고,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211, 213, 215, 217)이 직열로 연결되어 폐열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211, 213, 215, 217)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에서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으로 흐르는 용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폐열수가 배수집수정(219)으로 배출되고, 열교환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의 고온용수배출라인(221)을 통해 고온용수탱크(231)로 공급되고, 제 2 집수정(203)의 제 2 폐열수공급라인(204)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라인(223)에 연결되고, 제 3 집수정(205)의 제 3 폐열수공급라인(206)이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 (215)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라인(225)에 연결되고, 제 4 집수정(207)에 저장되는 폐열수가 제 2 열교환기(235)에서 저온의 용수와 열교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 (235)의 용수배출라인(237)이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으로 공급되는 용수공급라인(220)에 연결되며, 제 3 열교환기(240)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서 배출되는 용수와 함께 고온용수탱크(231)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집수정(201)은 직물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75℃ 정도(및 75℃ 이상)의 고온의 폐열수를 저장하고, 제 2 집수정(203)은 직물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65℃ 정도의 폐열수를 저장하고, 제 3 집수정(205)은 직물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55℃ 정도의 폐열수를 저장하며, 제 4 집수정(207)은 55℃ 이하로 직물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모든 폐열수를 저장한다.
상기 제 1, 2 및 3 집수정(201, 203, 205)은 본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02-20713호(2002년 4월 16일 출원) 및 실용신안등록 제 281195호(2002년 6월 6일 등록)에 소개된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의 1차 집수정 또는 2차 집수정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위에 소개된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및 실용신안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4 집수정(207)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 84864호에 소개된 "개방형 집수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제 1 열교환기 4그룹(211, 213, 215, 217)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직렬로 연결된 것으로서, 도 5에는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이 대표로 도시되어 있으며, 6개의 열교환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제 1 열교환기 2그룹 내지 4그룹의 구성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의 구성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기(235)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열교환기로서 용수의 온도보다는 높지만 다른 집수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이며 많은 양의 폐열수를 열교환시키기에 적합하다.
상기 제 3 열교환기(240)는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28493호 (2002년 7월 7일 등록)에 소개된 "보일러 연도의 배기가스폐열회수장치"에 소개된 것으로서, 직물염색공장의 보일러 연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고온용수탱크(231)로 가열된 용수를 공급한다.
상기 용수는 일반적으로 지하수 또는 수돗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 1 집수정(201)의 고온 폐열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211, 213, 215, 217)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용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폐열수가 배수집수정(219)으로 배출되고, 열교환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의 고온용수배출라인(221)을 통해 고온용수탱크(231)로 공급된다. 이 때, 제 2 집수정(203)의 폐열수가 제 1 연결라인(223)으로 공급되어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서 배출되는 폐열수와 함께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으로 유입되고, 제 3 집수정(205)의 폐열수는 제 2 연결라인(225)으로 유입되어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에서 배출되는 폐열수와 함께 제 1 열교환기 3그룹(215)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 (235)의 용수배출라인(237)이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으로 공급되는 용수공급라인(220)에 연결되어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으로 공급되는 용수와 함께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 3 열교환기(240)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서 배출되는 용수와 함께 고온용수탱크(231)로 공급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슬러지에 의해 관로가 막히지 않으며, 관로가 막힐 경우 청소하여 막힌 관로의 뚫을 수 있고, 상기 열교환기를 이용한 직물염색공장에 폐열회수시스템은 직물염색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칸막이(13, 15)에 의해 상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의 케이싱(11)에 다수개의 열교환 파이프(21)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 용수의 흐름을 안내하고 열교환 파이프(2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판(17)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외주면 하단에 저온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관(23)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외주면 상부에 용수 배출관(25)이 배치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상단에 상부원통(31)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원통(31)의 상단이 커버패널(35)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상부원통(31)에 폐열수 공급관(37) 및 세척수 공급관(39)이 배치되어, 폐열수 공급관(37)을 통해 상부원통(35)으로 공급된 고온의 폐열수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39)을 통해 상부원통(31)으로 공급된 세척수 및 에어가 열교환 파이프(21)로 공급되므로서 열교환 파이프(21)를 세척하고, 상기 케이싱(11)의 하단에 하부원통(41)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41)의 측면에 폐열수 배출관(43)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원통 (41)의 하단에 원뿔형 포집관(51)이 배치되고, 상기 포집관(51)의 하단에 에어 공급관(53)이 배치되고 세척수 배출관(5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상부원통(31), 커버패널(35), 하부원통(41) 및 포집관(51)은 볼트(61)에 의해 각각의 플랜지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35)은 투명한 아크릴판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관(51)에는 투시창(5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전체적으로 상단과 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이며, 원통형의 폐열수 통로(101)와 용수 통로(120)가 교대로 배열되어 폐열수 통로(101)를 따라 흐르는 폐열수와 용수 통로(120)를 따라 흐르는 용수가 향류방식으로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수 통로(101)는 최외각에 배치된 제 1 통로(102)와 제 2 통로(103)가 폐열수 공급관(141)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1 파이프(111)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103)와 제 3 통로(104)가 제 1 파이프(111)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2 파이프(112)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104)와 제 4 통로(105)가 제 2 파이프(112)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113)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 (105)와 제 5 통로(106)가 제 3 파이프(113)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 (114)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106)와 제 6 통로(107)가 제 4 파이프(114)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115)에 의해 소통되고, 제 6 통로(107)와 제 7 통로(108)가 제 5 파이프(115)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6 파이프(116)에 의해 소통되고, 폐열수 배출관(14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통로(120)는 중심에 배치된 제 1 통로(121)와 제 2 통로(122)가 제 1 파이프(131)에 의해 소통되고, 제 2 통로(122)와 제 3 통로(123)가 제 1 파이프(131)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2 파이프(132)에 의해 소통되고, 제 3 통로(123)와 제 4 통로(124)가 제 2 파이프(132)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3 파이프(133)에 의해 소통되고, 제 4 통로(124)와 제 5 통로(125)가 제 3 파이프(133)의 반대편 상부에 배치된 제 4 파이프(134)에 의해 소통되고, 제 5 통로(125)와 제 6 통로(126)가 제 4 파이프(134)의 반대편 하부에 배치된 제 5 파이프(135)에 의해 소통되고, 상기 제 6 통로(126)의 상부에 배치된 용수 배출관(144)를 통해 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폐열수 통로(102 ~ 108)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는 세척수 공급관(151~ 157)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151 ~ 157)에 각각 연결되는 에어 공급관(159)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151 ~ 157)의 반대편인 폐열수 통로(151 ~ 157)의 하단에 배치된 세척수 배출구(161 ~169) 및 상기 세척수 배출구(161 ~169)에 연결된 세척수 배출관(16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 1 집수정(201)의 제 1 폐열수공급라인(202)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 연결되고,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211, 213, 215, 217)이 직열로 연결되어 폐열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 내지 4그룹(211, 213, 215, 217)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에서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으로 흐르는 용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폐열수가 배수집수정(219)으로 배출되고, 열교환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의 고온용수배출라인(221)을 통해 고온용수탱크 (231)로 공급되고, 제 2 집수정(203)의 제 2 폐열수공급라인(204)이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라인(223)에 연결되고, 제 3 집수정(205)의 제 3 폐열수공급라인(206)이 제 1 열교환기 2그룹(213)과 제 1 열교환기 2그룹(215)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라인(225)에 연결되고, 제 4 집수정(207)에 저장되는 폐열수가 제 2 열교환기(235)에서 저온의 용수와 열교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235)의 용수배출라인(237)이 제 1 열교환기 4그룹(217)으로 공급되는 용수공급라인(220)에 연결되며, 제 3 열교환기(240)에 의해 가열된 용수가 제 1 열교환기 1그룹(211)에서 배출되는 용수와 함께 고온용수탱크(23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KR1020020069746A 2002-11-11 2002-11-11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KR20030029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46A KR20030029517A (ko) 2002-11-11 2002-11-11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746A KR20030029517A (ko) 2002-11-11 2002-11-11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517A true KR20030029517A (ko) 2003-04-14

Family

ID=2957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746A KR20030029517A (ko) 2002-11-11 2002-11-11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95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87B1 (ko) * 2010-06-17 2011-09-30 삼정보일러공업(주) 폐열 회수기를 이용한 물 및 공기 예열장치에 대한 폐 가스 이동통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3031685A (zh) * 2011-10-08 2013-04-10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热印染废水余热回收系统
WO2023104270A1 (en) 2021-12-07 2023-06-15 Knl Holding Hjørring Aps Heat exchanger water tra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89A (ko) * 1991-07-01 1993-02-23 박춘서 열 교환기
JPH112496A (ja) * 1997-06-13 1999-01-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交換器
KR20010044114A (ko) * 2000-10-27 2001-06-05 윤홍용 보일러의 다단식 폐열회수시스템
KR20010104408A (ko) * 2001-10-11 2001-11-26 임호권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KR200281195Y1 (ko) * 2002-04-16 2002-07-13 윤홍용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89A (ko) * 1991-07-01 1993-02-23 박춘서 열 교환기
JPH112496A (ja) * 1997-06-13 1999-01-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交換器
KR20010044114A (ko) * 2000-10-27 2001-06-05 윤홍용 보일러의 다단식 폐열회수시스템
KR20010104408A (ko) * 2001-10-11 2001-11-26 임호권 섬유 원단 후가공장치용 폐열회수장치 및 세척수자동여과장치와 이들을 응용한 배출가스 재처리장치
KR200281195Y1 (ko) * 2002-04-16 2002-07-13 윤홍용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87B1 (ko) * 2010-06-17 2011-09-30 삼정보일러공업(주) 폐열 회수기를 이용한 물 및 공기 예열장치에 대한 폐 가스 이동통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3031685A (zh) * 2011-10-08 2013-04-10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热印染废水余热回收系统
WO2023104270A1 (en) 2021-12-07 2023-06-15 Knl Holding Hjørring Aps Heat exchanger water tr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55500Y (zh) 生活浊水余热回收热泵热水器
CN101598507B (zh) 单层扁管全隔离污水管壳换热装置
CN1862208A (zh) 一种废水余热回收器
CN100504275C (zh) 印染行业废水热能回收方法及回收系统
CN203837331U (zh) 矿井水换热装置和利用矿井水供热的系统
KR20030029517A (ko) 열교환기 및 이를 적용한 직물염색공장의 폐열회수시스템
CN101149233A (zh) 污水或地表水源热泵流道式换热系统
CN107883611A (zh) 一种双侧可变流量污水源热泵机组及其操作方法
CN204574236U (zh) 一种带自清洗系统的二次澡堂废水再利用系统
CN206803552U (zh) 一种气水联合双向冲洗除垢余热回收式污水源热泵系统
CN208059044U (zh) 双源热泵多层建筑双水箱分置分层供水的热水系统
CN210831947U (zh) 余热发电凝结水综合回收系统
CN208751331U (zh) 自清洗污水热能回收系统
KR101998235B1 (ko) 하수열 회수시스템
CN208562827U (zh) 一种高温染色机排水装置
CN106196731B (zh) 热泵机组及使用该热泵机组的直进式源生污水供暖系统
CN220153372U (zh) 一种用于板式换热器的清洗装置
CN201093926Y (zh) 热交换器自动清洗装置
KR200281195Y1 (ko)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CN216081012U (zh) 一种基于真空相变的高炉冲渣水余热回收系统
KR20030055238A (ko) 펌프이용 열교환기튜브 자동세정장치
KR100541407B1 (ko) 폐수열회수장치의 온도분리형 회수시스템
KR20030029444A (ko)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CN213363517U (zh) 一种蒸汽换热系统
CN214620838U (zh) 一种热交换器清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