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957A -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957A
KR20030027957A KR10-2003-7002372A KR20037002372A KR20030027957A KR 20030027957 A KR20030027957 A KR 20030027957A KR 20037002372 A KR20037002372 A KR 20037002372A KR 20030027957 A KR20030027957 A KR 2003002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est
host
declaration
area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 그리입피터
이. 시. 램리츠마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2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시스템은 무선 매체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를 포함하고, 선택된 게스트(20)에 선택된 호스트(10)를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선택을 수행하고 간이화된 방식으로 이러한 링크를 할 수 있도록, 호스트(10)는 게스트(20)가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고 이 선언 신호(50)가 호스트(10)의 선언 영역(50)에서 전송되는 이중적인 조건에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이 선언 영역은 게스트 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40)과는 실질적으로 다르다. 호스트(10) 및 게스트(20)의 선택 및 링크는 선택된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에 선택된 게스트(20)를 놓음으로써 그리고 이 선언 영역(40)으로부터 선택된 게스트(20)에 의해 선언 신호(50)의 전송을 트리거함으로써 간단히 행해진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DECT 표준(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의 프레임워크(framwork) 내의 이동국(mobile station)(게스트(guest))과 기지국(호스트(host))을 링크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하는 PCT 특허출원번호 WO94/10785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처리의 선언 위상(declaration phase)에서, 다음의 단계들이 호스트와 게스트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첫째, 사용자는 게스트가 시스템의 복수의 호스트들 중 어느 호스트에 링크되어야 하는 가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뤄지는 제 1 선택을 행해야 한다. 선택된 호스트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종종 행해지는 이러한 제 1 선택 시에, 선택된 호스트는 게스트들의 주목(attention)을 위한 알림 신호(announcement signal)를 전송한다. 둘째, 사용자는 선택된 호스트가 시스템의 복수의 게스트들 중에서 어느 게스트에 링크되어야 하는 가를 선택함으로써 제 2 선택을 행해야 한다. 선택된 게스트의 특정 버튼(조합(combination))을 눌러서 종종 행해지는 이러한 제 2 선택 시에, 선택된 게스트는 선택된 호스트의 주의를 위한 선언 신호의 형태로 알림 신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선택된 호스트에 의한 선언 신호의 수신 시에, 선택된 호스트와 선택된 게스트 사이의 추가적인 트랜잭션들(transactions)이 일어나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호스트와 선택된 게스트가 서로 링크되게 한다.
이 링크 처리의 목적은 호스트가 단지 어떤 게스트에게만은 응답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사실, 링크 처리에 후속하여, 선택된 호스트는 링크된 게스트들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고, 링크되지 않은 게스트들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지된 처리들은 많은 상황들에서 잘 작동하지만, 간이화된 시스템뿐만 아니라, 간이화된 링크 처리를 시스템에 제공하고자 하는 바램이 있다.
본 발명은 게스트 신호들(guest signals)을 전송하기 위한 게스트 전송기를 포함하는 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와, 상기 게스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호스트 수신기(host receiver:15)를 포함하는 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declaration signal)의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를 갖는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 후에, 상기 호스트는 링크된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regular operation signals)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요소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2가지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2가지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 상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처리의 기능적인 챠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 상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처리의 기능적인 챠트를 보여주는 도면.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와 게스트 사이의 간이화된 링크 처리를 간이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게스트 전송기가 상기 호스트의 선언 영역 내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의 호스트에 의한 수신 시에 게스트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언 영역은 게스트/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normal operating area)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영역이고, 상기 링크 설정 수단은 게스트 전송기가 상기 선언 영역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에 의해 선언 신호의 전송 시에 게스트와의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우선 호스트의 선언 영역으로 게스트의 게스트 전송기를 가져오고, 상기 선언 영역은 상기 호스트의 정상 동작 영역과는 다르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호스트를 직접 선택한다. 그후에, 사용자는 예컨대 상기 게스트 상의 특정 버튼을 눌러 상기 게스트를 선택함으로써 게스트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 후에, 선택된 게스트는 호스트들의 주의(attention)를 위한 선언 신호를 전송한다. 이 신호의 수신 시에, 선택된 호스트는 선택된 게스트와의 링크를 설정한다. 선택된 게스트가 호스트의 선언 영역 외부로부터 이 신호를 전송하면, 호스트는 이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거나 이 신호를 검출하지 않으며, 계속해서, 선택된 게스트와의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특징들에 따라, 호스트의 선택, 게스트의 선택, 및선택된 게스트와 선택된 호스트의 링크가 신호 사용자 동작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링크 처리를 간이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호스트를 선택하기 위해서 호스트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자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 부가적인 이점은 호스트에 대한 직접적인 동작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리고/또는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호스트의 선언 영역이 호스트 수신기 주변으로 확장하며, 게스트 전송기/호스트 수신기 쌍의 정상 동작 영역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그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호 호스트 수신기는 선언 신호들 및 정규 동작 신호들 양자 모두를 다루는데 충분하며, 이로써 시스템을 간이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호스트의 선언 영역의 반경은 게스트 전송기/호스트 수신기 쌍의 정상 동작 영역의 반경의 10%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반경은 호스트 수신기로부터 측정된다. 이는 두 영역들 사이의 간단한 구별(distinction)을 제공하여, 요구된 회로를 추가적으로 간이화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호스트는 또한 게스트 전송기가 호스트의 선언 영역 내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언링킹 신호(unlinking signal)의 수신 시에 게스트와의 링크를 해체하기(breaking up)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게스트 전송기가 상기 선언 영역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에 의한 언링킹 신호의 전송 시에 게스트와의 링크를 해체하지 않는다. 이는 선택된 호스트로부터 선택된 게스트를 언링크하는 역전(reverse) 문제의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상들은 이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은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동일한 성분들은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로써 표기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게스트들 및 호스트들은 무선 매체를 통해서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서로 통신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의 요소들(2)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요소(2)는 호스트 또는 게스트이며, 전송기(3)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수신기(4)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전송된 신호(7)는 전송기(3)로부터 기원하는 화살표로 나타내져 있으며, 수신된 신호(8)는 수신기(4)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나타내져 있다.
제 1 요소가 제 2 요소로부터의 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요소의 수신기와 제 2 요소의 전송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보통의 양(quantity)으로 서로로부터의 리치(reach)의 주어진 거리 내에 있어야 한다. 상기 요소들 간의 리치의 다양한 거리들은 제 1 요소/제 2 요소 쌍의 정상 동작 영역을 정의한다.
이들 신호들이 무선 매체를 통해서 전파하므로, 제 2 요소의 리치(또는 다른 말로는, 정상 동작 영역)의 거리 내의 임의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을 유효하게 수신하고, 그러므로 이러한 신호들에 응답할 수 있다. 이것이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 게스트/다수 호스트 환경에서, 예컨대, 호스트가 어떤 게스트들로부터 기원하는 신호들에만 응답하고, 심지어는 다른 게스트들이 호스트의 정상 동작 영역 내에서 신호들을 전송한다 할지라도 다른 게스트들로부터 기원하는 신호들에 응답하지 않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이 선택도(selectivity)를 달성하기 위해서, 한가지 공지된 방법은 호스트와 게스트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고, 호스트가 링크된 게스트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만 응답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지된 방법은 PCT 특허출원번호 WO94/107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된 방법은 2개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그 첫째는 일반적으로 호스트 상의 특정 버튼을 누르고, 그후에 호스트가 모든 게스트들에게 요청 신호들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트리거(trigger)되는 요청 스테이지(또한 선언 스테이지라고 부름)이다. 상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실제로 사용자는 그가 링크를 준비하기 원하는 임의의 호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동작을 행한다. 이 제 2 동작은 일반적으로 선택된 게스트 상의 특정 버튼 또는 버튼들의 조합을 누르는 것을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동작 시에, 선택된 게스트는 선택된 호스트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응답한다. 이러한 응답은 선언 신호라고 불린다. 상기 응답 수신 시에, 선택된 호스트는 선택된 호스트를 등록하기 위해 제 2 스테이지로 들어가서, 선택된 호스트를 선택된 게스트에 링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 선택 및 링크는 이하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를 위해 간이화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2가지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제 1 요소는 게스트 전송기(25)를 포함하는 게스트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게스트(20)이다. 게스트 전송기(25)는 무선 주파수(radio-frequency: RF) 또는 자외선(IR) 타입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요소를 포함한다. 제 2 요소는 호스트 수신기(15)를 포함하는 게스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호스트(10)이다. 호스트 수신기(15)는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타입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요소를 포함한다.
게스트(20)가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서 선언 신호(50)를 전송할 때, 즉 게스트 전송기(25)가 이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호스트(10)는 상기 선언 신호(50)의 수신 시에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한다. 역으로, 게스트(20)가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의 외부로부터 선언 신호(50)를 전송할 때, 즉 게스트 전송기(25)가 이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호스트(10)는 게스트(20)와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다.
상기 선언 영역(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영역(60)에 의해 부분적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지만, 또는 도 5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정상 동작 영역(60)에 의해 실질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지만, 게스트/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과 실질적으로 다른 영역이다.
이러한 구별을 달성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호스트 수신기(15)가 두 개의 개별적인 호스들 수신기 센서들을 포함하는 호스트(10)에 의한 것이며, 제 1 센서의 특징들 및 위치는 선언 영역(40)을 결정하고, 제 2 센서의 특징들 및 위치는 정상 동작 영역(60)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호스트의 선언 영역내에 선택된 게스트의 전송기를 간단히 가져오고 이 위치로부터 선언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함으로써 선택된 게스트와 선택된 호스트 사이에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선언 신호(50)의 전송을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예컨대, 게스트(20) 상의 특정 버튼 또는 센서를 간단히 누를 수 있고, 이것은 그 과정이 더 간단하다. 대안으로, 버튼들 및/또는 센서들의 간단한 조합이 또한 우연한 트리거링(tiggering)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호스트(10)에 대한 직접적인 동작은 불필요하다. 이 양상은 예컨대, 호스트가 사용자의 리치 밖에 있는 경우, 또는 미적인 이유로, 호스트에 대한 요청 스테이지를 트리거하기 위해 버튼들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갖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의 부가적인 이점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또한 선언 영역(40) 내에 있는 것으로서 시스템에 의해 다뤄지는 게스트 전송기(25)의 다른 위치들(21,22) 및 선언 영역(40) 밖에 것으로서 시스템에 의해 다뤄지는 게스트 전송기(25)의 또 다른 위치들(70,71,72)의 예들이 나타내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은 호스트 수신기(15) 주변으로 확장하고,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보다 실질적으로 작고, 그 영역 내에 포함된다. 하나의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서의 선언 신호(50)의 전송이 또 다른(원하지 않은) 호스트의 등록 스테이지를 트리거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호스트들의 선언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오버랩하지않도록 배치된다. 이 요구사항의 이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대부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호스트(10)는 그 반경이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의 반경의 10%를 초과하지 않는 선언 영역(40)을 가지며, 상기 반경은 호스트 수신기(15)로부터 측정된다. 더욱이, 이 특징은 영역들 사이의 간단한 구별을 제공하며, 그에 의해서 요구된 회로를 더 간이화한다.
선언 영역들 및 정상 동작 영역들은 단순화를 위해 평면도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져 있지만, 실제로는 이들 영역들은 3차원 영역들임에 유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게스트(20)는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기 위해 그리고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송 전력을 사용하며, 모든 다른 것들은 물론 동일하다(호스트 배터리 전원의 충전 상태와 같은 것). 이러한 실시예에서, 호스트(10)는 수신된 선언 신호(50)의 신호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선언 신호(50)의 기원(origin)을 결정한다. 상기 신호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호스트(10)는 선언 신호(50)가 이 선언 영역(40) 내에서, 즉 게스트 전송기(25)가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에 의해 전송된다고 결정하며, 그 결과 호스트(10)는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한다. 상기 신호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제 2 임계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실질적으로 작다면, 호스트(10)는 그의 선언 영역(40) 외부로부터, 즉 게스트 전송기(25)가 그의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된다고 결정하고, 호스트(10)는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호스트(10) 상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과정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게스트(20)는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 전력과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 전력을 사용하며,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실질적으로 작고, 모든 다른 것들은 물론 같다(호스트 배터리 전원의 충전 상태와 같은 것). 호스트(10)가 일반적으로 검출 신호에 대한 최소 신호/잡음비를 요구하면,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선언 영역(40)은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최소보다 높은 신호/잡음비를 갖는 호스트(10)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기 위해서 선언 신호(50)를 전송하는 동안 위치되어야 하는 영역에 대응하고, 정상 동작 영역(60)은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최소보다 높은 신호/잡음비를 갖는 호스트(10)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기 위해서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는 동안 위치되는 영역에 대응한다.
제 1 전송 전력은 제 2 전송 전력보다 실질적으로 낮으며, 따라서 선언 영역(40)은 정상 동작 영역(60)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호스트(10)는 선언 신호(50)의 기원을 검사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호스트(10)가 유효한 선언 신호(50)를 수신하면, 이것은 내재적으로(inherently) 그의 선언 영역(40) 내에서 그 신호가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호스트(10)는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할 것이다. 게스트(20)가 호스트의 선언 영역(40) 외부로부터 선언 신호(50)를 전송하면, 호스트(10)는 그의 신호/잡음비가 상기 최소보다 작기 때문에 선언 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것이며, 게스트(20)와의 링크가 설정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이점은 호스트(10)가 기본적으로 선언 신호(50)의 전송 기원을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특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호스트(10) 상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단점은 이것이 다른 전력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게스트(20)의 단부(end)에서 구별(differentiation)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게스트(20)에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므로, 실시예들에서, 호스트(10)는 게스트(20)에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것은 시스템을 간이화하고, 따라서, 단가를 줄인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호스트(10)는 의도적으로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역으로, 게스트(20)는 호스트(10)로부터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갖출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게스트(20)는 의도적으로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서, 호스트(10)는 링크가 게스트(20)와 효과적으로 설정됨을 사용자에게 표시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예컨대, 일시적으로 빛을 스위칭(switching)하거나 소리를 내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은 호스트(10)가 전송기를 포함하지 않으며 게스트(20)가 수신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이로운데, 왜냐하면, 그 경우에, 링크가 게스트(20)와 설정되었음을 호스트(10)가 게스트(20)에게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러므로게스트(20)가 사용자에게 그것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수 호스트 환경에서, 게스트(20)는 이들 호스트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가정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히 복수의 호스트들에 링크될 수 있다.
다수 게스트 환경에서, 호스트(10)는 이들 게스트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과정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히 복수의 호스트들에 링크될 수 있다.
다수 호스트/다수 게스트 환경에서, 게스트(20)는 상기 두 가지 예들에 따라 복수의 호스트들에 링크될 수 있으며 호스트(10)는 복수의 게스트들에 링크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이화된 선택 및 링크 과정이 이롭게는 선택된 게스트(20)가 앞서 링크된 곳에서 선택된 호스트(10)로부터 선택된 게스트(20)의 간이화된 언링킹(unlinking)을 위해 시스템에 역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게스트 전송기(25)가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언링킹 신호의 호스트(10)에 의한 수신 시에 게스트(20)와의 링크를 해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게스트(20)에 의한 언링킹 신호의 전송 시에 게스트와의 링크를 해체하지 않는다. 링크를 해체하는 것에 후속하여, 호스트(10)는 임의의 또 다른 링크까지, 게스트(20)와 호스트(10)의 링크 전인 경우와 같이,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게스트(20)에 대한 링크가 효과적으로 해체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예컨대, 일시적으로 빛을 스위치하거나 소리를 내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은 호스트(10)가 전송기를 포함하지 않으며 게스트(20)가 수신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이로운데, 왜냐하면, 그 경우에, 게스트와의 링크가 해체되었음을 호스트(10)가 게스트(20)에게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러므로 게스트(20)가 사용자에게 그것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시스템은 무선 매체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를 포함하고, 선택된 게스트(20)에 선택된 호스트(10)를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선택을 수행하고 간이화된 방식으로 이러한 링크를 할 수 있도록, 호스트(10)는 게스트(20)가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고 이 선언 신호(50)가 호스트(10)의 선언 영역(50)에서 전송되는 이중적인 조건에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이 선언 영역은 게스트 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40)과는 실질적으로 다르다. 호스트(10) 및 게스트(20)의 선택 및 링크는 선택된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에 선택된 게스트(20)를 놓음으로써 그리고 이 선언 영역(40)으로부터 선택된 게스트(20)에 의해 선언 신호(50)의 전송을 트리거함으로써 간단히 행해진다.

Claims (17)

  1. 게스트 신호들(guest signals)을 전송하기 위한 게스트 전송기(25)를 포함하는 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20)와, 상기 게스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호스트 수신기(host receiver:15)를 포함하는 수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25)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declaration signal: 50)의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 후에, 상기 호스트(10)는 링크된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regular operation signals)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선언 신호(50)의 호스트(10)에 의한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언 영역(40)은 상기 게스트/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normal operating area: 60)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영역이고, 상기 링크 설정 수단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상기 선언 신호(50)의 전송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언 영역(40)은 상기 호스트 수신기(15) 주변으로확장하고, 상기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상기 정상 동작 영역(60)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그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언 영역(40)의 반경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상기 정상 동작 영역(60)의 반경의 10%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반경은 상기 호스트 수신기(15)로부터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20)는 상기 선언 신호(50) 및 상기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20)는 상기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 전력과, 상기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 전력을 사용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20)에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10)는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20)는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20)는 신호들을 의도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링크가 상기 게스트 내에 효과적으로 설정됨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언링킹 신호(unlinking signal)의 호스트(10)에 의한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해체(break up)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한 상기 게스트(20) 언링킹 신호의 전송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해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가 효과적으로 해체됨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20)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10)로서, 상기 게스트(20)는 게스트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게스트 전송기(25)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호스트 수신기(15)를 포함하는 수단과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50)의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후에, 상기 호스트(10) 링크된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10)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50)의 수신 신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언 영역(40)은 상기 게스트/호스트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과는 실질적으로 다르며,상기 링크 설정 수단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가 상기 선언 영역(40)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게스트(20)에 의한 상기 선언 신호(50)의 전송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
  14.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스트(20)로서, 상기 게스트(20)는 게스트(20)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게스트 전송기(25)를 포함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호스트(10)는 상기 게스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호스트 수신기(15)를 포함하는 수단과 상기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선언 신호(50)의 수신 시에 상기 게스트(20)와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그후에, 상기 호스트(10)는 링크된 게스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스트(20)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20)는 상기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전송 전력과 상기 정규 동작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제 2 전송 전력을 사용하고, 상기 제 1 전송 전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전송 전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스트.
  15.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 수신기(15)를 갖는 호스트(10)와 게스트 전송기(25)를 갖는 게스트(20)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그 후에, 호스트(10)가 링크된 게스트(20)에의해 전송되는 정규 동작 신호들에 응답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호스트(10)의 선언 영역(40) 내에 상기 게스트 전송기(25)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선언 영역(40)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상기 게스트 전송기(25)를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게스트(20)에 대한 사용자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그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게스트(20)가 선언 신호(50)를 전송하게 하는, 상기 사용자 동작 수행 단계,
    c) 상기 선언 신호(50)의 전송 기원(transmission origin)이 선언 영역(40) 내에 있다면 상기 호스트(10)와 상기 게스트(20) 사이에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전송 기원이 상기 선언 영역(40) 외부에 있다면 상기 링크를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언(40)은 상기 호스트 수신기(15) 주변으로 확장하고, 상기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보자 실질적으로 작으며, 그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언 영역(40)의 볼륨(volume)은 상기 게스트 전송기(25)/호스트 수신기(15) 쌍의 정상 동작 영역(60)의 볼륨의 10%를 초과하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2372A 2001-06-19 2002-06-11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30027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2373 2001-06-19
EP01202373.5 2001-06-19
PCT/IB2002/002200 WO2002103962A2 (en) 2001-06-19 2002-06-1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57A true KR20030027957A (ko) 2003-04-07

Family

ID=818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372A KR20030027957A (ko) 2001-06-19 2002-06-11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92694B2 (ko)
EP (1) EP1402686B1 (ko)
JP (1) JP2004521564A (ko)
KR (1) KR20030027957A (ko)
CN (1) CN1518815A (ko)
AT (1) ATE407496T1 (ko)
DE (1) DE60228708D1 (ko)
WO (1) WO20021039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7905B2 (en) 2003-07-28 2015-12-08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y group status information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086752B2 (en) 2006-11-22 2011-12-2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that independently source digital data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8024055B1 (en) 2004-05-15 2011-09-20 Sono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mplifiers
US8326951B1 (en) 2004-06-05 2012-12-04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US8868698B2 (en) 2004-06-05 2014-10-21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DE102005009504B3 (de) * 2005-03-02 2006-03-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obilteil und Basisstation für ein Kommunikationsprotokoll mit einer Normal-Anmeldung und einer Ad-hoc-Anmeldung
US8788080B1 (en) 2006-09-12 2014-07-22 Sonos, Inc. Multi-channel pairing in a media system
US8483853B1 (en) 2006-09-12 2013-07-09 Sonos, Inc.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9202509B2 (en) 2006-09-12 2015-12-01 Sonos, Inc. Controlling and grouping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429343B2 (en) 2011-01-25 2022-08-30 Sonos, Inc. Stereo playback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1265652B2 (en) 2011-01-25 2022-03-01 Sonos, Inc. Playback device pairing
US8938312B2 (en) 2011-04-18 2015-01-20 Sonos, Inc. Smart line-in processing
US9042556B2 (en) 2011-07-19 2015-05-26 Sonos, Inc Shaping sound responsive to speaker orientation
US9729115B2 (en) 2012-04-27 2017-08-08 Sonos, Inc. Intelligently increasing the sound level of player
US9008330B2 (en) 2012-09-28 2015-04-14 Sonos, Inc. Crossover frequency adjustments for audio speakers
US9244516B2 (en) 2013-09-30 2016-01-26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using standby mode in a mesh network
US9226087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9226073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10248376B2 (en) 2015-06-11 2019-04-02 Sonos, Inc. Multiple groupings in a playback system
US10712997B2 (en) 2016-10-17 2020-07-14 Sonos, Inc. Room association based on n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8162B (en) * 1989-02-08 1993-05-19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obile radio transmission system and a mobile station for use in the system
SE514018C2 (sv) * 1993-09-23 2000-12-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för registrering i ett cellindelat mobilradiosystem
US5610969A (en) * 1994-12-23 1997-03-11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registration system and method
US5640756A (en) * 1995-02-08 1997-06-24 Gencorp Inc. Manufacturing system
AU1206897A (en) * 1996-01-11 1997-08-01 Aptel Ltd. Wireless messaging system
US6035193A (en) * 1996-06-28 2000-03-07 At&T Wireless Services Inc. Telephone system having land-line-supported private base station switchable into cellular network
EP1075770B1 (en) * 1998-04-27 2003-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station regist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148205A (en) * 1998-06-30 2000-11-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registration within an in-home wireless network
CA2323881A1 (en) * 2000-10-18 2002-04-18 Dps Wireless Inc. Adaptive personal rep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2694B2 (en) 2006-08-15
EP1402686B1 (en) 2008-09-03
CN1518815A (zh) 2004-08-04
DE60228708D1 (de) 2008-10-16
JP2004521564A (ja) 2004-07-15
ATE407496T1 (de) 2008-09-15
WO2002103962A2 (en) 2002-12-27
US20030069012A1 (en) 2003-04-10
WO2002103962A3 (en) 2003-10-02
EP1402686A2 (en)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79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
US7149551B2 (en) Wireless headset capable of automatic link conn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200398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mobile telephones
US7096001B2 (en) Security system with telephone controller
KR101678390B1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01086231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KR100224109B1 (ko) 유.무선 링크를 동시에 이용하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100658021B1 (ko) 통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JP2906603B2 (ja) 視覚障害者用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
KR20060016869A (ko)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667A (ko) 전화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장치
KR19990064845A (ko) 휴대폰 호출음 자동변환 시스템
JP3633529B2 (ja) ワイヤレ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2112312A (ja) 自営基地局、携帯端末、および位置情報システム
JPH06284081A (ja) 無線電話機
KR2002007837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시간 표시 방법
KR20000062908A (ko) 통화권 확인 방법
JP2001175979A (ja) 無線検針システム
JP3585669B2 (ja) コードスケルチ機能付無線通信機の終話方法及びその終話方法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H11168553A (ja) 携帯電話機
KR20160007921A (ko) 센서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긴급 통보 시스템
JPH1032620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登録方式
JPH05218964A (ja) 通話予約システム
KR19980065973A (ko) 무선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 전화장치와 제어방법
JPH04239859A (ja)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