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926A -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 Google Patents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926A
KR20030027926A KR1020030016651A KR20030016651A KR20030027926A KR 20030027926 A KR20030027926 A KR 20030027926A KR 1020030016651 A KR1020030016651 A KR 1020030016651A KR 20030016651 A KR20030016651 A KR 20030016651A KR 20030027926 A KR20030027926 A KR 2003002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rcoal
building
ceiling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3001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926A/ko
Publication of KR2003002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의 방사와 멸균 및 유해가스를 흡착시키는 숯의 유익한 성질을 이용하여 생활공간중에 냄새와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정판에는 안내대를 갖는 흡기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릴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공기가 대류 하도록 안내대를 갖는 배기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릴이 설치되어 있다.
더워진 실내의 공기가 위로 상승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형성된 안내대를 갖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굴뚝과 같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되는 양만큼의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게 된다.
즉 흡기구의 안내대와 배기구의 안내대 사이에 단차가 생겨 공기의 온도 균형이 깨어지므로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숯팩이 적재된 천정판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숯에 의하여 유해가스는 흡착되어져 공기가 정화되면서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게된다.

Description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a charcoal bag use an edifice air cleaner structure}
본 발명은 원적외선의 방사와 멸균 및 유해가스를 흡착시키는 숯의 유익한 성질을 이용하여 생활공간중에 냄새와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구조에서 종래에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전 후 좌 우측을 막는 수직벽(51)과 그리고 윗층(52)과 아래층(53)을 나누어 윗층(52)은 천장이 되고 아래층(53)은 바닥이 되는 슬라브(54)로 구성된 건물(50)에, 윗층(52)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막고 기타 전기시설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천정판(55)이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되는 천정판(55)은 단순히 윗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감소와 조명시설을 비롯하여 전기시설을 하는데 따른 전선과 기타 소재들을 은폐시키는 목적으로 천정판(55)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사와 내부 실내장식들에 따른 오염으로 최근에 조사된 바로, 주방과 방에서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최고 0.8ppm이 나왔으며, 새 아파트의 실내공기오염의 주범은 내장재료로 특히 목재가 아닌 판넬을 접착제로 붙인 재질의 주방가구 재료와 도배와 바닥재 시공에 쓰이는 접착성이 빠른 화학풀 등에서 포름알데히드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즉, 벽지나 비닐장판 그리고 페인트 등도 오염덩어리로 주택 10곳의 실내 오염을 측정한 결과 톨루엔에틸렌 등 화학물질 농도가 실외보다 최고 4배 높게 나오며,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기물질은 실내에서 주로 발생되어 장기간 노출됐을 경우에 발암성을 나타낼 수 있고 호흡기나 눈이나 비강에 자극성을 나타내게 된다.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는 유해물질은 줄잡아 2백여종, 건축 마감재나 가구 접착제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해 원목, 가죽쇼파에 사용되는 방부제 붕산염, 색을 내는 염화메틸렌 등과 톨루엔, 벤젠으로 인쇄하는 새 종이 벽지는 휘발성 유기화학물이 나올 가능성이 크고, 실크벽지는 종이 위에 염화폴리비닐을 입힌 뒤 인쇄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에다 환경호르몬까지 방출할 수 있다.
이밖에도 주방의 프로판가스에서 나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흡연과 방향제, 살충제 사용에 의한 유기물질이 집안 공기를 오염시키며, 이들 물질은 강한 마취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리고 계절별로는 환기문제로 인하여 겨울이 여름의 1.9배에서 25배를 기록했으나 근간에는 여름의 경우에도 냉방관계로 환기를 자주 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피해는 항시 받게 된다.
특히 새 아파트의 경우 내장재료로 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적어도 1년은 지나야 다소 방출되며, 겨울엔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화학물질이나 미세 입자에 노출될 경우 만성 피부질환 및 폐질환자나 노약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이러한 실내의 전반적인 오염에 대하여 환기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으며, 환기의 경우에는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가온하거나 차갑게 냉온 하는데 들어간 에너지가 모두 방출되므로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와 함께 항시 유해환경에 노출되어야 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을 흡수하도록 건물의 천장에 흡입구와 배기구를 형성하여 숯의 정화 작용, 여과 작용, 해독, 탈취작용, 습도조절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왕겨훈탄 및 숯의 들어 있는 팩을 적재시켜 흡입구와 배기구를 실내공기를 대류 시키므로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팩을 이용하여 숯을 생활공간중에 위치시키므로 숯은 음이온을 발산하여 뇌파의 안정을 도와주며 원적외선을 내뿜어 혈액 순환을 돕고 숙면을 취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이 제공되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천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건물의 천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숯팩의 일부를 절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건물의 천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숯팩 11 : 봉지
12 : 숯
20 : 천정판 21 : 흡입구
22 : 배기구 23, 24 : 안내대
25 : 그릴 26 : 팬
50 : 건물 51 : 수직벽
52 : 윗층 53 : 아랫층
54 : 슬라브 55 : 천정판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는,
건물의 천장에 흡입구와 배기구를 형성하여 공기를 대류 시키도록 하되 숯의 정화 작용, 여과 작용, 해독, 탈취작용, 습도조절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왕겨훈탄 및 숯의 들어 있는 팩을 천장에 적재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천정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로서, 전후 좌 우측을 막는 수직벽(51)과 그리고 윗층(52)과 아래층(53)을 나누어 윗층(52)은 천장이 되고 아래층(53)은 바닥이 되는 슬라브(54)로 구성된 건물(50)에윗층(52)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막고 설치되는 전기기구의 노출을 막도록 천정판(20)이 설치된다.
상기 천정판(20)에는 안내대(23)를 갖는 흡기구(2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릴(2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공기가 대류 하도록 안내대(24)를 갖는 배기구(22)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릴(25)이 설치되어 있다.
천정판(20)에는 더워진 실내의 공기가 위로 상승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형성된 안내대(23)를 갖는 흡기구(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굴뚝과 같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기구(21)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배기구(22)는 비교적 차가운 실내의 공기가 아래로 하강하는 작용을 이용하여 하측으로 형성된 안내대(24)를 갖는 배기구(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되는 양만큼의 실내의 공기를 배기시키게 된다.
즉 흡기구(21)의 안내대(23)와 배기구(22)의 안내대(24) 사이에 단차가 생겨 공기의 온도 균형이 깨어지므로 흡기구(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숯팩(10)이 적재된 천정판(20)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숯(12)에 의하여 유해가스는 흡착되어져 공기가 정화되면서 배기구(22)를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2의 경우는 천정판(20)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천정판(20)에 흡기구(21)나 배기구(22)측에 팬(26)을 설치. 이용하여 강제 대류 시키므로 숯팩(10)에 내재된 숯(12)으로 공기를 정화하도록 한 것으로 팬(26)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져 숯팩(10)과 공기가 접촉이 많아지므로 공기의 정화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흡기구(21)와 배기구(22)에 각기 그릴(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천장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은폐되도록 하며 공기가 저항을 받지 않고 흡기와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숯팩의 봉지(11)는 망체를 비롯하여 통기성이 좋은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섬유로 된 봉지나 저밀도 종이류도 사용되며 숯의 입자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왕겨 훈탄의 경우는 쉽게 부스러지므로 봉지(11)를 제조하는데 부직포나 섬유 및 저밀도 종이류 등이 적합하다.
그리고 잘 부스러지지 않는 숯을 비롯하여 활성탄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활성탄이 있으므로 크기에 따라 봉지(11)에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통기가 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아파트를 비롯한 주거환경에서 숯을 이용하여 주거공간 자체의 천장에서 항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므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숯에 유해물질 및 가스등이 잘 흡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양이온 덩이가 숯의 수많은 미세한 구멍 속에서 숯의 자유전자와 결합하여 음이온의 공기를 만들어 청량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인체에 유해한 요소인 포름알데히드, 방부제 붕산염, 색을 내는 염화메틸렌 등과 톨루엔, 벤젠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흡연과 방향제, 살충제 사용에 의한 유기물질 등을 흡착하는 숯의 고유한 정화, 여과, 해독, 탈취작용과 아울러 습도조절이 이루어져 쾌적한 주거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천장에 흡입구와 배기구를 형성하여 공기를 대류 시키도록 하되 숯의 정화, 여과, 해독, 탈취, 습도조절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숯의 들어 있는 팩을 천장에 적재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건물의 천장에 흡입구와 배기구를 형성하여 흡입구와 배기구중 한곳에 팬을 설치하여 공기를 대류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KR1020030016651A 2003-03-12 2003-03-12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KR20030027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51A KR20030027926A (ko) 2003-03-12 2003-03-12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51A KR20030027926A (ko) 2003-03-12 2003-03-12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372U Division KR200306120Y1 (ko) 2002-11-21 2002-11-21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26A true KR20030027926A (ko) 2003-04-07

Family

ID=2957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651A KR20030027926A (ko) 2003-03-12 2003-03-12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9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30B1 (ko) * 2004-10-13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30B1 (ko) * 2004-10-13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44616Y (zh) 节能新风系统及具有该系统的节能窗或门
AU2010352074A1 (en) Healthcare cum optimal illumination device
WO2011136735A1 (en) Healthcare cum optimal illumination device
KR20100069339A (ko) 피톤치드를 이용한 공기정화청정 시스템
KR100728327B1 (ko)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JP2007198652A (ja) 空調家具
KR200306120Y1 (ko)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JPS6030946A (ja) フアンヒ−タ
CN201176818Y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门
KR20030027926A (ko)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Han et al. The sources and health impacts of indoor air pollution
JP5147262B2 (ja) 室内脱臭工法
KR2015013906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Bahobail Sick building syndromes and their effects on homes within Riyadh city
JP3974874B2 (ja) 住宅内換気システム
JP2002121830A (ja) 木造住宅
Laquatra Indoor Air Quality
CN100563511C (zh) 节能型换气式物理养生保健保温床罩
JP2003253973A (ja) ドア装置
CN209004791U (zh) 室内空气消毒装置
JP2002071186A (ja) 空気浄化式家屋
JPH0440619B2 (ko)
CN206582989U (zh) 一种家用空气净化器
KR200401575Y1 (ko) 숯 필터장치
CN204020157U (zh) 防火吸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