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910A -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910A
KR20030027910A KR1020030011641A KR20030011641A KR20030027910A KR 20030027910 A KR20030027910 A KR 20030027910A KR 1020030011641 A KR1020030011641 A KR 1020030011641A KR 20030011641 A KR20030011641 A KR 20030011641A KR 20030027910 A KR20030027910 A KR 2003002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zer
center
grill
holes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739B1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이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5785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279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열 filed Critical 이종열
Priority to KR10-2003-001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7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고 등의 내,외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냉동고 내,외 기압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서 냉동고 도어의 개폐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도어의 손잡이나 기타 부속품 등에 과중한 힘이 가해져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염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고 내,외 기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냉동고(R)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그릴(1)과, 상기 내측그릴(1)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측은 연장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는 전열선수용홈(21)을 따라 히터의 전열선(22)이 수납 고정됨과 동시에 어스(earth)된 상태이며 상기 연장부(20)의 내부 중앙에는 십자형의 지지대(23)가 형성됨에 따라 4개의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3)의 중앙에는 축공(2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와, 상기 지지대(23)의 일측에는 상기 구멍(24)중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301)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 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기밸브판(3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공(301)과 축공(25)을 관통하는 볼트(3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머지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301')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통기밸브판(30')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25)으로 관통된 볼트(31)에 중심공(301')이 끼워지고 순차적으로 스프링(32)과 스프링탈거방지판(33) 및 너트(34)가 결합되어 있는 기압조정변(3)과, 상기 케이스(2)의 연장부(20)가 삽입가능하도록 중앙에는 통기구(4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두께 조절연장부(41)가 돌출 구비된 내측관체(4)와,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지름이 큰 조절연장부(60)가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통기구(61)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6)와, 냉동고(R)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8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외측그릴(8)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은 양측면의 외측연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미세한 요홈(302)들을 무수히 형성한 것과,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가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에 수납되는 정도를 냉동고(R) 벽면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26)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통기밸브판(30)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내측관체(4)와 냉동고(R) 장착홀 사이에는 패킹(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관체(6)와 냉동고(R) 장착홀 사이에도 별도의 패킹(7)을 형성한 것과, 상기 외측관체(6)와 외측그릴(8) 사이에 여과망판(9)을 형성하여 외부로 부터 이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토록 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는 냉동고 또는 냉동창고의 일측 벽면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조립 설치하여 냉동고의 도어 개폐시 밀폐된 냉동고 내부 및 외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상호 통기되어 순환되면서 자연스럽게내기압 및 외기압이 조정되어 냉동고의 도어 개폐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도어의 손잡이나 기타 부속품 등에 과중한 힘이 가해져 도어의 손잡이 및 기타 부속품의 손상 또는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Apparatus to control the air pressure of freezer}
본 발명은 냉동고 등의 내,외 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냉동고 내,외 기압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서 냉동고 도어의 개폐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도어의 손잡이나 기타 부속품 등에 과중한 힘이 가해져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염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고 내,외 기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응축-팽창-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 냉장고 내를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치로서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저온, 저압상태의 가스 냉매를 고온, 고압 기체 상태로 승온, 승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 부터 유입되는 고온, 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외기에 의해 냉각, 응축하여 온도 40℃, 압력 9atm의 액체 냉매로 변환하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되어 상기 응축기로 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을 통과한 냉매를 저압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증발함에 따라 고내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기본 ㅅ스템으로 하여 냉동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와 달리 냉동고는 극저온을 제공하여 식품이나 기타 물품을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는 장치로서, 대략 -70℃ 이하의 온도로 저장하여 식품이나 물품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냉동고의 일 예를 설명하면, 냉동고는 냉각장치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각장치의 위에는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에는 보관되는 물품 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보관함이 수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냉동고의 전면에는 컨트롤부가 구비된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냉동고는 기본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여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불의의 정전이나 냉동고 자체의 고장 등에 이해 냉각 계통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온의 영향을 받아 냉동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기 마련이며, 이를 대비하여 냉동 백업장치가 준비되어 있고 상기 백업장치는 대부분 액체 이산화탄소나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이들 액체를 냉동고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이들 액체가 기화하면서 잠열을 흡수한 방법으로 냉동고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냉동고는 냉동실의 기압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므로 냉도고의 이용이 불편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냉동고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냉동고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냉동고 내부는 극저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가 수축하여 냉동고 내부의 기압은 대기압보다 낮아 음압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음압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동고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가 잘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무리한 힘으로 도어를 오픈시키는 것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은 물론 도어의 손잡이나 경첩 등에 무리가 가고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할 염려조차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술한 냉동 백업기능이 작동된 상태에서는 액체 이산화탄소 또는 액체 질소가 기화하면서 냉동고 내부의 기압이 상승하여 고압 상태가 되며, 심한 경우에는 도어가 폭발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위험조차 있다.
즉, 냉동고 외부의 기압에 비하여 냉동고 내부의 기압이 떨어지면 냉동고 출입구 문이 냉동고 내측에 흡인되어 개폐가 곤란해지고, 또 냉동고 내부 기압이 과도하게 상승되면 냉동고본체가 기압에 의해 팽창변화하기도 하여 문이 열리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냉동고 내부의 냉각에 따라 냉동고 내,외 기압 제어장치 전체 및 댐퍼(damper)에 서리나 결빙에 의해 동결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된다.
상기 동결의 원인을 냉동고 내, 외부를 통하는 통기공내에 단일의 댐퍼를 설치한 종래의 기압 제어장치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냉동고 내부 온도가 직접 댐퍼에 전해져서 냉동고의 온도 이하에 댐퍼 및 장치 전체가 냉각되므로 이 장치에 서를 발생시키고 게다가 0℃이하에 냉각되어 서리가 결빙되는 경우도 있어 댐퍼가 작동 불능이 된다.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즉, 냉동고 도어 개폐시 냉동고 내,외 기압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도어의 손잡이나 기타 부속품 등에 과중한 힘이 가해져 손상 및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염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고 내,외 기압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되어 냉동고의 도어 개방하는 순간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되어 냉동고의 도어를 닫는 순간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측그릴 2 : 케이스
3 : 기압조정변 4 : 내측관체
5 : 패킹 6 : 외측관체
7 : 패킹 8 : 외측그릴
9 : 여과망판 10 : 연통공
20 : 연장부 21 : 전열선수용홈
22 : 전열선 23 : 지지대
24 : 구멍 25 : 축공
26 : 걸림돌기 30,30':제1 및 제2통기밸브판 31 : 볼트 32 : 스프링
33 : 스프링탈거방지판 34 : 너트 40 : 통기구 41 : 조절연장부
60 : 조절연장부 61 :통기구
80 : 연통공 301,301' : 중심공
302 : 요홈 R : 냉동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냉동고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그릴과, 상기 내측그릴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측은 연장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는 전열선수용홈을 따라 히터의 전열선이 수납 고정됨과 동시에 어스(earth)된 상태이며 상기 연장부의 내부 중앙에는 십자형의 지지대가 형성됨에 따라 4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구멍중 대향되는 2개의 구멍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기밸브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공과 축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머지 대향되는 2개의 구멍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통기밸브판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으로 관통된 볼트에 중심공이 끼워지고 순차적으로 스프링과 스프링탈거방지판 및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기압조정변과, 상기 케이스의 연장부가 삽입가능하도록 중앙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두께 조절연장부가 돌출구비된 내측관체와, 상기 내측관체의 조절연장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지름이 큰 조절연장부가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와, 냉동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외측그릴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은 양측면의 외측연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미세한 요홈들을 무수히 형성한 것과, 상기 내측관체의 조절연장부가 외측관체의 조절연장부에 수납되는 정도를 냉동고 벽면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통기밸브판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상기 내측관체와 냉동고 장착홀 사이에는 패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관체와 냉동고 장착홀 사이에도 별도의 패킹을 형성한 것과, 상기 외측관체와 외측그릴 사이에 여과망판을 형성하여 외부로 부터 이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토록 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의 요부인 기압조정변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되어 냉동고의 도어 개방하는 순간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되어 냉동고의 도어를 닫는 순간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에 있어서 냉동고의 벽면에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지시부호 1은 내측그릴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그릴(1)은 냉동고(R)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판으로서 상기 내측그릴(1)은 냉동고(R)의 일측 벽면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조립 설치함에 있어 냉동고(R)의 내부 최후방에 안착되는 것이다.
지시부호 2는 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2)는 내측그릴(1)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가능하도록 외주연부가 평평한 상태이며 상기 평평한 외주연부 안쪽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반대쪽으로 즉, 타측으로 연장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는 전열선수용홈(21)을 따라 히터의 전열선(22)이 수납 고정됨과 동시에 어스(earth)된 상태이며 상기 연장부(20)의 내부 중앙에는 십자형의 지지대(23)가 형성됨에 따라 4개의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3)의 중앙에는 축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는 다이케스트(die casting) 공정을 통해 단일체로 제작된 것으로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열선수용홈(21)에 수용된 전열선(22)이 발열하여 상기 케이스(2)에 발생되는 성애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3은 기압조정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우선 상기 기압조정변(3)의 구성요소는 모두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기압조정변(3)은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과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을 상기 지지대(23)의 축공(25)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23)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각각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은 아라비아 숫자 '8'을 가로로 눕힌 것과 유사한 형태로서 중앙에는 중심공(301.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공(301,301')을 따라 양측으로 면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에 있어서 양측으로 형성된 면의 외측연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미세한 요홈(302)들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302)은 상기에서 언급한 히터의 발열로 발생된 열원이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기압조정변(3)중 특히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에 원활하게 전달됨은 물론이고 전도된 열원의 발열면적 확대 및 발열의 지속성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은 상기 지지대(23)에 의해 형성된 4개의 구멍(24)중 대향되는 구멍끼리 동시에 개폐가능하도록 교차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23)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배치한 후 상기 지지대(23)의 축공(25)과 상기 중심공(301,301')이 일치하도록 상기 지지대(23)를 가운데에 위치시킨 후 양측면에서 적층한 상태이다.
이미 언급한 고정수단은,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을 교차되도록 상기 지지대(23)위에 적층한 연후에 즉, 일측인 제1 통기밸브판(30)에는볼트(31)가 구비되고 타측인 제2 통기밸브판(30')에는 스프링(32)과 스프링탈거방지판(33) 및 너트(34)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고정수단을 상기 제1 밑 제2 통기밸브판(30,30')의 중심공(301,301')과 축공(25)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주의할 것은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은 각각이 유동적으로 냉동고 내,외기압의 변화 및 통기에 의해 상기 지지대(23)의 구멍(24)중 대향되는 구멍끼리 즉, 일체로 된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은 상기 구멍(24)을 자유롭게 개폐 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유동적이다.
상세히 말하면, 냉동고(R)의 도어를 개방할 순간에는 상기 볼트(31)쪽에 있는 제1통기밸브판(30)이 상기 구멍(24)을 순간적으로 개방하여 냉동고(R)의 외부 공기를 냉동고(R) 내부로 유입시켜 냉동고(R) 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며,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반대현상이 일어난다. 즉, 너트(34)쪽에 있는 제2통기밸브판(30')이 상기 구멍(24)을 순간적으로 개방하여 냉동고(R)의 내부 공기를 냉동고(R) 외부로 유출시켜 다시 냉동고(R) 내부를 진공 상태 또는 냉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26)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은 냉동고(R) 내,외 기압에 따라 전후 운동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좌우로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지지대(23)의 구멍(24)에 일치되지 아니함으로서 이런 점을 감안하여 상기 걸림돌기(26)를 형성한 것이다.
지시부호 4는 내측관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관체(4)도 상기 케이스(2)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케이스(2)의 외주면에 결합가능하도록 외주연부가 평평한 상태이며 상기 평평한 외주연부 안쪽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반대쪽으로 즉, 타측으로 상기 케이스(2)의 연장부(20)를 삽입가능하도록 중앙에는 통기구(40)가 형성된 상태에서 돌출 형성된 두께 조절연장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요소 즉, 내측그릴(1) 케이스(2) 기압조정변(3) 내측관체(4)등은 냉동고(R)의 벽면 어느 한곳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의 사방 내측 벽면에 내측관체(4), 기압조정변(3)이 수납된 케이스(2), 내측그릴(1)이 순차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외주면에 다수개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장착홀의 사방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관체(4)와 냉동고(R)의 장착홀의 외주부 사방 내측벽면 사이에 패킹(5)을 결합하여 더욱 밀착되게 하고 조밀하게 함으로서 냉동고(R) 내, 외 기압이 새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부터 설명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냉동고(R)의 장착홀의 외측 벽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시부호 6는 외측관체를 지시하며 상기 외측관체(6)도 상기 케이스(2), 내측관체(4) 등과 마찬가지의 형태로서 외주연부 일측이 상기 냉동고(R)의 장착홀의외측 벽면에 결합가능하도록 평평한 상태이며 상기 평평한 외주연부 안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반대쪽으로 즉, 타측으로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지름이 큰 조절연장부(60)가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당연히 상기 내측곤체(4)의 조절연장부(41)를 수납키 위하여는 중앙에 통기구(6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를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가 수납할 정도로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의 지름이 커야하고 따라서 냉동고(R) 벽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관체(6)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관체(6)와 냉동고(R)의 장착홀의 외주부 사방 외측벽면 사이에 패킹(7)을 결합하여 더욱 밀착되게 하고 조밀하게 함으로서 냉동고(R) 내, 외 기압이 새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지시부호 8은 외측그릴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측그릴(8)은 냉동고(R) 내,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8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판으로서 상기 외측그릴(8)은 냉동고(R)의 장착홀에 조립 설치함에 있어 냉동고(R)의 외부 최외곽에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관체(6)와 외측그릴(8) 사이에 여과망판(9)을 형성하여 외부로 부터 이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그릴(8) 하단 측면에 전원 및 어스(earth)를 위한 홀(H)이 형성되어 있어 전원 및 어스선을 깔끔하고 심플하게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 조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동고(R)내에 여러가지 식품 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동고(R)내에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인출키 위하여 냉동고(R) 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그릴(1)에 가까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2) 내의 제1 통기밸브판(30)이 내측그릴(1)쪽으로 빨려들면서 상기 제1통기밸브판(30)이 막고 있는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을 개방시키는데 이와 같이 작동하는 이유는 상기 중심공(301)과 축공(25)에 관통하여 일측에는 볼트(31)가 타측에는 스프링(32), 스프링탈거방지판(33), 너트(34)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통기밸브판(30)이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에 의해 스프링(32)에 유동적으로 상기 구멍(24)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상기 구멍(24)이 개방되어 냉동고(R) 외부로 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외측그릴(8)의 연통공(80)을 지나 여과망판(9) 거침으로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외부공기만 통과시킨 후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의 중앙에 천공된 통기구(61)를 지나 내측관체(4)의 통기구(40)을 통과한 다음, 내측그릴(1)쪽에 있는 상기 제1통기밸브판(30)이 냉동고(R)의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상기 구멍(24)이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내측그릴(1)의 연통공(10)을 통해 냉동고(R) 내부로 유입되며 따라서, 상기 냉동고(R) 내부의 기압과 외부의 기압 차가 순간적으로 균형되게 유지됨과 동시에 냉동고(R) 도어가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함에 있어 한가지 설명해야할 부분은 상기 기압조정변(3)을 수납하는 케이스(2)의 연장부(20) 외주면에 형성 설치된 전열선수용홈(21)과 전열선(22)으로서 상기와 같은 전열선수용홈(21)과 전열선(22)은 냉동고(R)가 작동할 때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항상 기압조정변(3) 특히,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이 얼어붙거나 성애가 끼어서 작동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사용자가 냉동고(R) 도어의 작동시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고(R)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냉동고(R)내에 유입된 외부 공기가 냉동고(R)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내측그릴(1)과 상당적으로 멀리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2) 내의 제2통기밸브판(30')이 내측그릴(1) 반대쪽으로 밀려 나가 상기 제2통기밸브판(30')이 막고 있는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을 개방시킴으로서 냉동고(R) 내부로 부터 공기가 내측관체(4)의 통기구(40)을 통과하여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의 중앙에 천공된 통기구(61)을 지나 여과망판(9)을 통과한 후 외측그릴(8)에 천공된 연통공(80)으로 유출됨으로서 따라서, 상기 냉동고(R) 내부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서 보관되는 내용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을 수납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를 조절함으로서 냉동고(R)의 벽면의 두께에 따라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를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을 수납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적합한 두게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어느 냉동고(R)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는 냉동고 또는 냉동창고의 일측 벽면에 관통 형성된 장착홀에 조립 설치하여 냉동고의 도어 개폐시 밀폐된 냉동고 내부 및 외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상호 통기되어 순환되면서 자연스럽게 내기압 및 외기압이 조정되어 냉동고의 도어 개폐시 무리한 힘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도어의 손잡이나 기타 부속품 등에 과중한 힘이 가해져 도어의 손잡이 및 기타 부속품의 손상 또는 도어가 일시에 열리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세히 말하면 케이스(2)를 다이케스트 공정을 통해 단일체로 제작함으로서 전원 공급에 따라 히터의 전열선(22)이 가열되어 설정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히터가 조립되고 이 히터 작동에 의해 탄성 작동되도록 체결된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이 내/외기압 조정시 냉기에 의해 발생된 성애 등으로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이 얼어붙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기밸브판(30,30')에 미세한 요홈(30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히터의 발열로 발생된 열원이 원활하게 전달됨은 물론 전도된 열원의 발열면적 확대 및 발열의 지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냉동고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그릴(1)과,
    상기 내측그릴(1)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타측은 연장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0)의 외주면에는 전열선수용홈(21)을 따라 히터의 전열선(22)이 수납 고정됨과 동시에 어스(earth)된 상태이며 상기 연장부(20)의 내부 중앙에는 십자형의 지지대(23)가 형성됨에 따라 4개의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3)의 중앙에는 축공(25)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2)와,
    상기 지지대(23)의 일측에는 상기 구멍(24)중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301)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 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통기밸브판(3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공(301)과 축공(25)을 관통하는 볼트(3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머지 대향되는 2개의 구멍(24)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 중심공(301')을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통기밸브판(30')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25)으로 관통된 볼트(31)에 중심공(301')이 끼워지고 순차적으로 스프링(32)과 스프링탈거방지판(33) 및 너트(34)가 결합되어 있는 기압조정변(3)과,
    상기 케이스(2)의 연장부(20)가 삽입가능하도록 중앙에는 통기구(4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두께 조절연장부(41)가 돌출 구비된 내측관체(4)와,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를 수납할 수 있도록 지름이 큰 조절연장부(60)가 돌출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통기구(61)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6)와,
    냉동고(R) 외부와 연통되도록 연통공(8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외측그릴(8)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통기밸브판(30,30')은 양측면의 외측연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미세한 요홈(302)들을 무수히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체(4)의 조절연장부(41)가 외측관체(6)의 조절연장부(60)에 수납되는 정도를 냉동고 벽면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내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26)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제1 통기밸브판(30)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체(4)와 냉동고(R) 장착홀 사이에는 패킹(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관체(6)와 냉동고(R) 장착홀 사이에도 별도의 패킹(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체(6)와 외측그릴(8) 사이에 여과망판(9)을 형성하여 외부로 부터 이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10-2003-0011641A 2003-02-25 2003-02-25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10051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641A KR100515739B1 (ko) 2003-02-25 2003-02-25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641A KR100515739B1 (ko) 2003-02-25 2003-02-25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910A true KR20030027910A (ko) 2003-04-07
KR100515739B1 KR100515739B1 (ko) 2005-09-20

Family

ID=2957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641A KR100515739B1 (ko) 2003-02-25 2003-02-25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7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979B1 (ko) * 2008-06-10 2010-02-26 주식회사 공진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101140201B1 (ko) * 2009-12-28 2012-05-02 주식회사 한남냉동산업 기체분리용 멤브레인필터가 내장된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20180089779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초저온 냉동고
KR20190038635A (ko) * 2016-09-12 2019-04-08 피에이치씨 홀딩스 주식회사 음압 해제 포트 및 냉동장치
KR102356067B1 (ko)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12B1 (ko) 2019-04-16 2020-11-20 주식회사 동명기공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102341576B1 (ko) 2021-10-29 2021-12-21 주식회사 나우이엘 저온저장고의 기압조정장치
KR102635403B1 (ko) 2023-11-13 2024-02-08 주식회사 나우이엘 에너지 절감형 기압조정장치가 구비된 저온 저장창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979B1 (ko) * 2008-06-10 2010-02-26 주식회사 공진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101140201B1 (ko) * 2009-12-28 2012-05-02 주식회사 한남냉동산업 기체분리용 멤브레인필터가 내장된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20190038635A (ko) * 2016-09-12 2019-04-08 피에이치씨 홀딩스 주식회사 음압 해제 포트 및 냉동장치
US11248832B2 (en) 2016-09-12 2022-02-15 Phc Holdings Corporation Negative pressure release port and refrigeration device
KR20180089779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초저온 냉동고
KR102356067B1 (ko)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739B1 (ko) 200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42698B2 (en) Refrigerator and working method thereof
US20210239382A1 (en) Refrigerator
KR100515739B1 (ko)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US6196011B1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independent compartment temperature control
JP3545617B2 (ja) 冷凍冷蔵庫
KR101140201B1 (ko) 기체분리용 멤브레인필터가 내장된 냉동고용 기압조정장치
KR20150072951A (ko) 냉장고
KR10059543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20160697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direct-cooled in-door chamber
KR20070027307A (ko) 냉장고의 부압 방지 장치
CN210622568U (zh) 冰箱
KR20000004490A (ko) 냉장고의 야채보관실 냉각장치
JP2000065463A (ja) 冷凍冷蔵庫
KR100469781B1 (ko) 도어 증발관이 설치된 김치저장고
KR20160115091A (ko) 반찬 냉장고가 구비된 식탁
KR100340323B1 (ko) 서랍식 김치 저장고
KR0129494Y1 (ko) 냉장고
KR20060032479A (ko) 일체형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댐퍼개폐식 냉장고
KR200141315Y1 (ko) 냉장고의 냉기 덕트
KR200332882Y1 (ko) 냉장고의 고내 진공해제장치
KR200333204Y1 (ko) 냉장고 방열용 에어덕트시스템
KR960001982B1 (ko) 냉장고
KR0128872Y1 (ko) 냉장고
KR19990004814A (ko) 냉장고의 상하 도어 고정장치
KR20090088023A (ko) 이원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68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306

Effective date: 201709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