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872Y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872Y1
KR0128872Y1 KR2019960034461U KR19960034461U KR0128872Y1 KR 0128872 Y1 KR0128872 Y1 KR 0128872Y1 KR 2019960034461 U KR2019960034461 U KR 2019960034461U KR 19960034461 U KR19960034461 U KR 19960034461U KR 0128872 Y1 KR0128872 Y1 KR 0128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vessel
evaporation
refrigerator
compressor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186U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4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87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증발용기내에 고인 응축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증발용기의 고정부위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켜 증발용기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응축수가 고인 증발용기(40)의 양측을 별도의 지지부재(3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증발용기(40)의 고정이 견고하여 안정되므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재질의 증발용기(40)로 인해 열전도율이 높아 증발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아내는 증발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증발용기내에 고인 응축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정이 견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각기 주위의 냉기를 팬에 의해 강제로 대류시키거나 냉각기를 냉동실, 냉장실에 각각 설치하여 직접 냉각함으로써, 각종 식품을 냉동 및 냉장상태로 저장하여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저장실(2)을 포함하는 본체(1)가 마련된다. 이 가운데 저장실(2) 내부에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다단의 선반(2a)이 설치되어 있고, 저장실(2)의 후방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 일측에는 전방이 개구된 저장실(2)을 개폐하는 도어(3)가 마련되며, 본체(1) 하부 후방에는 압축기(5) 등이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기계실 내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 저면에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만드는 압축기(5)가 안착되어 있으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응축기에서 연장된 냉매관(7)이 압축기(5)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5)의 상측에는 증발기(2b)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아내는 물받이수단으로 증발용기(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증발용기(6)의 후방상단에는 부분적으로 복수개의 돌출편(6a)이 마련되어 본체(1)의 후면판(1a)에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고정된다. 또한, 이 증발용기(6)는 플라스틱재질로,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기(5)의 열을 이용하여 증발용기(6)내에 고인 응축수를 증발시킨다. 이 증발용기(6)는 압축기(5)의 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압축기(5)에 인접설치되도록 압축기(5)의 상부형상을 따라 하부가 요입형성된 요입부(6b)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증발용기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져 압축기로 부터 전달되어 오는 열에 대한 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이로 인해 증발용기내 응축수의 증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증발용기를 통과하는 열전달파이프를 내설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품의 원가상승을 야기하고, 진동소음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증발용기는 후방상단에 부분적으로 연장돌출 형성된 돌출편에 의해서만 고정지지되어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돌출편에 하중이 무리하게 걸리기 때문에 증발용기의 고정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불안정하게 고정되는 증발용기는 압축기 등의 주변 장치들에 의해 진동과 소음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증발용기내에 고인 응축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키고, 증발용기의 고정부위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켜 증발용기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 A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기계실
30 : 지지부재 31 : 결합부
32 : 지지부 33 : 걸이부
31a : 돌기부 31b : 관통구
40 : 증발용기 41 : 받이부
42 : 고정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기계실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 상측에 마련되어 응축수를 받는 물받이수단이 마련된 냉장고에 있어서, 물받이수단은 응축수가 고이는 증발용기, 증발용기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이 하중이 분산되도록 기계실 후방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상의 본체(10)가 마련되며, 본체(10) 내부에는 저장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장실(11) 내부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다단의 선반(1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실(11)의 후방에는 각 실로 공급할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1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이 수행되어 증발기(11b)에서 생성된 냉기는 강제송풍으로 저장실(11)로 토출된다. 이 토출된 냉기는 저장실(11)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저장실(11)을 빙온 또는 저온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냉장고는 냉동 또는 냉장식품을 저장보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의 본체(10) 하부 후방에는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1b)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환되는 압축기(21)가 설치된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기계실의 내부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 (20)내부 저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응축기나 증발기(11b)에서 연장된 고온이나 저온의 냉매관(22)들이 압축기(21)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압축기의 상측에는 증발기 주위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생성된 응축수를 받아내는 물받이수단이 마련된다. 물받이수단은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이에 고인 물을 증발시키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이수단은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쟁반형상의 증발용기(40)를 구비한다. 이 증발용기(40)는 응축수가 고이도록 그 내부가 함몰된 받이부(41)와, 이 받이부(41)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테(42)를 구비한다. 또한, 받이부(41)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테(42)에는 후술할 리벳(34)이 관통결합될 결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증발용기(40)는 이에 고인 응축수의 증발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알루미늄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증발용기(40)가 기계실(20)의 일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기계실(20) 상측에는 기계실(20)의 후방을 가로질러 본체(10) 후방 일측과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30)가 마련된다. 이 지지부재(30)는 그 후방이 전방보다 넓게 형성되어 증발용기(40)와 결합될 판상의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후방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연장되어 나와 본체(10)에 결합고정되는 지지부(3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30)의 결합부(31)에는 증발용기(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증발용기(4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테(42)가 삽입될 걸이부(33)가 마련된다. 이 걸이부(33)는 결합부(31)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향돌출시키고, 이를 절곡시켜 고정테(42)가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증발용기(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증발접시(40)의 결합공(42a)에 상응하는 결합구(33a)가 형성되어 이들을 관통하는 리벳(34)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증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증발용기(40)의 상측에 마련되어 압축기(21)를 빠져 나온 고온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23)의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냉매관(23)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1b)이 결합부(31)에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부(31)가 견고하도록 결합부(31)에는 줄형상의 돌기부(31a)가 다수개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받이수단은 기계실(20)을 가로지른 지지부(32)의 양끝단을 이용하여 본체(10)에 고정시키고, 걸이부(33)에 증발용기(40)의 고정테(42)를 슬라이딩삽입시키면서 결합공(42a)과 결합구(33a)를 일치시켜 리벳(34)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고정이 된 증발용기(40)의 하중은 기계실(20)을 가로질러 형성된 지지부재(30)의 지지부(32)에 분산되어 걸리게 된다. 또한, 이렇게 고정된 증발용기(40)는 하부에 마련된 압축기(21)의 열과 이 열을 전도하는 알루미늄의 재질의 증발용기(40)에 의해 그 내부에 고인 응축수를 증발시키게 된다. 이 때, 증발용기(40)의 양측이 지지부재(30)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주변장치들에 의하여 진동과 그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증발용기(40) 내부에 안착된 고온의 냉매관에 의해 증발효율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응축수가 고인 증발용기의 양측을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증발용기의 고정이 견고하여 안정되므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재질의 증발용기로 인해 열전도율이 높아 증발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그 내부에 기계실(20)을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 상기 압축기(21) 상측에 마련되어 응축수를 받는 물받이수단이 마련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수단은 응축수가 고이는 증발용기(40), 상기 증발용기(40)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이 하중이 분산되도록 기계실(20) 후방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부재(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기(40)의 상부 외주연에는 고정테(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증발용기(40)와 결합되는 판상의 결합부(31), 상기 결합부(31)의 후방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지지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31) 하면에는 상기 고정테(42)가 삽입안내되어 지지되도록 연장절곡된 걸이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에는 상기 압축기(21)에서 연장된 냉매관(23)이 상기 증발용기(40)내에 삽입안착되도록 관통공(3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에는 상기 결합부(31)를 보강하도록 줄형상의 다수의 돌기부(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기(40)는 알루미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60034461U 1996-10-18 1996-10-18 냉장고 KR0128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461U KR0128872Y1 (ko) 1996-10-18 1996-10-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461U KR0128872Y1 (ko) 1996-10-18 1996-10-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186U KR19980021186U (ko) 1998-07-15
KR0128872Y1 true KR0128872Y1 (ko) 1999-01-15

Family

ID=1947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461U KR0128872Y1 (ko) 1996-10-18 1996-10-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8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186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049B2 (en) Refrigerator including cryogenic freezing compartment
US4497183A (en) Compressor auxiliary condenser arrangement adapted to be mounted in a refrigerator machinery compartment
US5784896A (en) Freezer or refrigerator construction suitable for food service use
KR0168995B1 (ko) 냉장고의 냉동실구조
EP3537063B1 (en) Refrigerator
US20210239382A1 (en) Refrigerator
US8931297B2 (en) Cooling apparatus condenser, and a cool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0128872Y1 (ko) 냉장고
JP2007064596A (ja) 冷蔵庫
WO2006041246A1 (en) Refrigerator
KR100549076B1 (ko) 냉장고
CN210625070U (zh) 蒸发器固定结构优化的冰箱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100412416B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증발관 설치구조
KR19990018510U (ko) 냉장고용 증발접시덮개의 고정장치
KR200333204Y1 (ko) 냉장고 방열용 에어덕트시스템
JP3392713B2 (ja) 冷蔵庫
KR100692303B1 (ko) 냉장고용 핫파이프의 손상 방지를 위한 사절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체
KR200203435Y1 (ko) 냉장고의증발기고정장치
KR200288708Y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증발관 설치구조
KR200288665Y1 (ko) 반찬 냉장고 설치용 브라켓
JP2003130534A (ja) 冷蔵庫
KR20070025474A (ko) 냉장고
KR19980013790U (ko) 냉장고의 물받이 설치구조
KR19990018512U (ko) 냉장고용 증발접시덮개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