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949A -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949A
KR20030026949A KR1020030010674A KR20030010674A KR20030026949A KR 20030026949 A KR20030026949 A KR 20030026949A KR 1020030010674 A KR1020030010674 A KR 1020030010674A KR 20030010674 A KR20030010674 A KR 20030010674A KR 20030026949 A KR20030026949 A KR 2003002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se
water
holes
ho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균
Original Assignee
신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균 filed Critical 신문균
Priority to KR102003001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6949A/ko
Publication of KR2003002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949A/ko
Priority to KR1020030044792A priority patent/KR20040075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란재배 화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병의 벽에 구멍을 천공하여 풍란 뿌리를 꽂고 화병 내부에는 일정 수준까지 물을 담아 풍란이 병 내부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게 하여 풍란을 재배하는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The vase growing orchid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풍란재배 화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병의 벽에 구멍을 천공하여 풍란 뿌리를 꽂고 화병 내부에는 일정 수준까지 물을 담아 풍란이 병 내부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게하여 풍란을 재배하는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난 재배는 화분에 수분 흡수성이 좋은 굵은 모래나 인조석을 넣고 난을 부착하거나 심었으며 화분의 밑에는 화분 받침을 받쳐놓아 수분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식으로 재배하였으나 이러한 재배는 화분 내부에 난을 심고 수시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였으며 화분에는 난을 그려넣고 유약으로 도포함으로써 난 화분의 미감을 높이기도 하였다.
또한 난을 벽에 걸어 재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등록 제 1997-0004631호 실용신안에는 화분 또는 물을 흡수하는 석재로부터 그 하부의 수분저장 용기에 섬유석재를 넣어 수분을 공급하는 난 재배가 알려졌으며, 등록 제 20-0214427호 실용신안에는 투수성 원형관 내부에 물을 넣고 그 물이 외부로 빠져나와 원형관에 심은 풍란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하는 난 재배가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 난 재배방법은 난을 화분의 모래에서 재배하거나 벽걸이용 화분에만 제한되는 것이었고 화병이나 화분 등의 벽에 풍란을 직접 심어 재배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화분의 모래에 난을 심지않고 화병의 벽에 구멍을 뚫고 직접 풍란을 식재함으로써 한층 자연미있고 생동감 넘치는 미감을 창출하도록 하고, 난에 물을 자주 스프레이하지 않고 재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병의 벽에 풍란의 뿌리를 꽂아 식재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고 화병의 내부에는 물을 넣어 풍란의 뿌리가 닿지 않을 정도로 담으며, 화병의 물 주입구는 내부의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풍란재배 화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풍란재배 화병에 풍란이 식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병
2. 식재공
3. 구멍
4. 물주입구
5. 라인
풍란(風蘭)이란 이름은 바람이 솔솔 잘 통하고 공중습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풍란은 소엽풍란과 대엽풍란의 두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소엽풍란은 보통 자연에서는 6월경에 흰 꽃이 피며 주로 밤에 향기가 많이 나는 부귀란의 원종을 말한다. 학명은 Heofinetia falcata Hu이다.
또, 대엽풍란은 나도풍란이라고도 불리는데, 소엽풍란에 비해 잎이 넓으며 꽃대 하나에 여러송이의 엷은 연녹색 꽃이 피고 꽃의 혀에는 붉은 점에 여러개 있는 것을 말한다. 학명은 Aerides japonicum Reichbfil이다.
또, 풍란은 특유의 향과 고고함과 생명력으로 인하여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그윽한 향기가 매혹적으로 풍기는 난초라는 뜻에서 유래된 계란(桂蘭), 세속을 초월하여 높은 바위 위나 나무의 깨끗한 곳에서 고고하게 살아간다고 해서 선초(仙草), 강하고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영원히 죽지 않고 살아간다고 해서 불사초(不死草), 그 외에도 건란(乾蘭), 헌란(軒蘭) 등 다수의 이름으로 불려진다.
풍란은 보통 자생지에서는 일반식물과 달리 흙과 물이 없이 돌, 바위나 나무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착생란으로서 악조건에서도 싱싱하게 자라나는데에 매력이 있다.
풍란의 재배조건은 계절마다 다르나 일반적으로 온도는 10 ~ 25℃, 습도는 60 ~ 80%가 적당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풍란의 생육 특성을 이용하여 자생지가 아닌 가정에서도 풍란을 화병 등의 용기 자체에 꽂아 키움으로써 풍란의 신선한 매력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풍란재배 화병(1)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병(1)은 벽 상부에 풍란의 뿌리를 끼울 수 있도록 풍란 한 포기 당 4 ~ 5개의 구멍(3)을 한개조로 하여 식재공(2)을 천공하는데, 여러 포기의 풍란을 식재할 때는 풍란 포기수에 해당하는 조의 식재공(2)을 별도로 천공하여 풍란을 식재한다. 상기 구멍(3)은 직경 2 ~ 4 ㎜ 정도로 하며, 구멍(3)과 구멍(3)사이의 간격은 1 ~ 4 ㎝ 정도로 한다.
화병(1)의 물 주입구(4)는 화병(1)내의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습기가 항상 화병(1) 내부에 머물러서 풍란 재배에 적합한 습도인 70% 정도를 웃돌게 유지하도록 화병(1)몸통 직경의 1/4 ~ 1/8 정도로 좁게 형성한다. 화병(1) 내부에는 물을 풍란의 뿌리가 닿지 않을 정도로 채운다.
필요에 따라서 화병(1)은 물이 새지 않는 재료로서 유리병이나 유리상자, 도자기, 토기, 나무용기, 석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된 구성에 따라 화병(1)에 풍란을 재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 주입구(4)가 좁은 화병(1)의 벽 상부에 풍란 한포기의 뿌리를 꽂을 구멍(3)을 4 ~ 5개 천공하여 한개조의 식재공(2)을 형성하고 화병(1) 안에는 풍란의 뿌리에 물이 닿지 않을 정도로 물을 채워 넣되, 통상적으로 물은 화병(1)의 대략 중간 높이의 라인(5) 아래로 채운다. 이에 따라 화병(1)속에는 습기가 머므르게 되고 풍란의 뿌리가 습기에 노출되므로 풍란이 병속의 습기로부터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여 자라게 되어 별도의 물 공급(스프레이 등)이 필요없게 되며, 물은 항아리의 내부에서 변질되지 않도록 1 ~ 2 개월에 한번씩 교환한다.
화병안에 항상 습기가 있어 풍란에 자주 물 스프레이를 할 필요가 없으며, 풍란을 뽑아서 세척하거나 교환하기 용이하다.
또한, 풍란재배 취약지인 실내에서 풍란을 보육하기가 편리하고 다양한 용기 자체에서 직접 재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난 재배 용기에 난의 그림을 그려넣는 것보다 한층 생생한 자연미를 감상할 수 있다.

Claims (2)

  1. 화병(1)은 벽 상부에 풍란의 뿌리를 꽂을 수 있도록 한 포기당 구멍(3)을 4 ~ 5개 천공하여 한개조의 식재공(2)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3)의 직경은 2 ~ 4 ㎜로 하고 구멍(3)과 구멍(3)사이의 간격은 1 ~ 4 ㎝로 하며, 물 주입구(4)는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습기가 화병(1) 내부에 항상 머무르도록 몸통 직경의 1/4 ~ 1/8 정도로 좁게 형성하고, 풍란의 뿌리가 물에 닿지 않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화병(1) 몸통의 중간 높이의 라인(5) 이하로 물을 채워넣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란재배 화병 제조방법.
  2. 화병(1)의 벽 상부에 풍란 한포기의 뿌리를 꽂는 구멍(3)이 4 ~ 5개 천공되어 있어 한개조의 식재공(2)를 형성하되, 상기 구멍(3)의 직경은 2 ~ 4 ㎜ 이고, 구멍(3)과 구멍(3)사이의 간격은 1 ~ 4 ㎝이며, 화병(1)의 물 주입구(4)는 화병(1) 몸통 직경의 1/4 ~ 1/8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풍란재배 화병.
KR1020030010674A 2003-02-20 2003-02-20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KR20030026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74A KR20030026949A (ko) 2003-02-20 2003-02-20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KR1020030044792A KR20040075677A (ko) 2003-02-20 2003-07-03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674A KR20030026949A (ko) 2003-02-20 2003-02-20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89U Division KR200313531Y1 (ko) 2003-02-20 2003-02-20 풍란재배 화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949A true KR20030026949A (ko) 2003-04-03

Family

ID=295785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674A KR20030026949A (ko) 2003-02-20 2003-02-20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KR1020030044792A KR20040075677A (ko) 2003-02-20 2003-07-03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792A KR20040075677A (ko) 2003-02-20 2003-07-03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269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725B1 (ko) * 2018-06-15 2018-08-23 주식회사 유니솔브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50611B1 (ko) 2017-11-17 2019-02-20 홍진용 화병용 도자기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79B1 (ko) * 2007-03-20 2008-07-09 박청일 수직조립식화병(垂直組立式花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11B1 (ko) 2017-11-17 2019-02-20 홍진용 화병용 도자기 및 그 제작방법
KR101890725B1 (ko) * 2018-06-15 2018-08-23 주식회사 유니솔브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677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69941Y (zh) 一种新型水培花盆
JPH05123054A (ja) 植物育成器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KR20030026949A (ko) 풍란재배 화병 및 화병제조 방법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JP4249797B1 (ja) コチョウラン又はフウランの栽培方法およびコチョウランとフウラン
CN204742116U (zh) 基质培、气雾培、水培三培结合的攀延植物栽培盆
JP2014121306A (ja) 素焼き鉢の吸水機能を利用して栽培・管理に自然吸水。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JP3003090B2 (ja) ラン類の栽培方法
KR200317067Y1 (ko) 이끼화분
KR19980017484U (ko) 관상식물의 수경재배용 화분
CN201398333Y (zh) 节水花盆
KR200303993Y1 (ko) 수경화분
JPH06178625A (ja) 陸生植物の水上園芸施設
CN2857456Y (zh) 一种植物培养容器
KR100379852B1 (ko)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KR970004631Y1 (ko) 난재배용 벽걸이 화분
KR200186525Y1 (ko) 화분
JPH0928195A (ja) 鑑賞用植物や食用植物の水耕栽培用容器
KR200186526Y1 (ko) 식물 재배용 화분체
JP4305837B2 (ja) ドライフラワーの製造方法
KR910002245Y1 (ko) 화병 겸용 관상초 재배 용기
KR200213753Y1 (ko) 화초분(花草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