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506A -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506A
KR20030025506A KR1020010058578A KR20010058578A KR20030025506A KR 20030025506 A KR20030025506 A KR 20030025506A KR 1020010058578 A KR1020010058578 A KR 1020010058578A KR 20010058578 A KR20010058578 A KR 20010058578A KR 20030025506 A KR20030025506 A KR 2003002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itional video
graphic
key input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525B1 (ko
Inventor
허정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5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생되는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지원하지 않는 광 디스크의 경우에도 키입력 버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키입력 버튼을 통해 부가 영상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optical disc containing audio data and additional video data}
본 발명은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DVD-Audio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트랙과 함께 정지 영상(Still Picture)들이 기록되어 있다. 정지 영상은 오디오 트랙이 재생될 때 더불어 재생되기 위한 부가 영상의 일종으로서 비디오 데이터, 서브-픽처(Sub-Picture) 데이터, 및 하이라이트 정보로 구성된다. 서브-픽처 데이터는 통상 비디오 데이터와 중첩되어 표시됨으로써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하이라이트 정보는 해당 오디오 트랙 및 정지 영상을 네비게이션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입력 버튼에 하이라이트를 주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이다.
그런데, 종래 DVD-Audio에 기록된 정지 영상은 반드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픽처 데이터 및 하이라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키입력 버튼이 표시되지 않는 정지 영상의 경우에는, 키입력 버튼이 표시되는 정지 영상의 경우와 달리, 재생 순서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원하는 정지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처럼,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생되는 키입력 버튼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정지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이 제한적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로이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생되는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지원하지 않는 광 디스크의 경우에도 키입력 버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키입력 버튼을 통해 부가 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오디오 트랙과 부가 영상이 함께 재생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에서의 슬라이드-쇼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의 브라우저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그래픽 생성부(4) 및 믹서(5)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 및 7은 그래픽 생성부(4)에 의해 생성된 버튼 프레임과 정지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재생방법은 (c)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는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영상에 대한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재생방법은 (e)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e)단계는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타이밍이 미리 결정된 모드로부터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단계; 및 (b)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이 미리 결정된 모드로부터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와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 상기 독출부에 의해 독출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믹서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픽 생성부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로서 서브-픽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방식에 따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 방식에 따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고, 서브-픽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서브-픽처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상기 그래픽 생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그래픽 생성부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키입력 버튼은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 , 및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생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생 모드를 판단하며,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키입력 버튼은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 및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가 영상에 대한 네비게이션이 불가한 재생 모드에서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제어부;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독출부(1), 디코더(2), 제어부(3), 그래픽 생성부(4), 및 믹서(5)를 포함한다. 독출부(1)는 광 디스크(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여 데이터를 읽어내는 픽업 섹션, 광 디스크(10)를 클램핑하고 회전시키며 픽업 섹션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 섹션, 및 구동 섹션을 제어하는 제어 섹션을 구비함으로써 광 디스크(10)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 부가 영상 데이터, 및 기타정보를 독출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는 광 디스크(10)에 기록된 오디오 트랙을 구성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가리킨다. 오디오 트랙은 논리적 데이터 단위로서 보통 한 곡을 지칭한다. 「부가 영상 데이터」는 오디오 트랙이 재생될 때 함께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나아가, 부가 영상 데이터는 부가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키입력 버튼 등을 구성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DVD-Audio의 경우 그래픽 데이터는 서브-픽처 데이터로 기록된다. 키입력 버튼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부가 영상 데이터에는 키입력 버튼을 위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포함된다. 하이라이트 정보는 해당 오디오 트랙 및 부가 영상을 네비게이션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입력 버튼에 하이라이트를 주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이다. 기타정보는 전술한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 및 저작권 정보 등을 말한다.
디코더(2)는 독출부(1)에 의해 독출된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코더(2)는 오디오 디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를구비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타입에 따라 적용된 인코딩(압축) 방식(예를 들면 LPCM)에 기초하여 디코딩하고, 함께 재생되어야 할 부가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적용된 인코딩(압축) 방식(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MPEG-2)에 따라 디코딩한다. 나아가, 부가 영상 데이터에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위해 그래픽 디코더를 구비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광 디스크(10)가 DVD-Audio인 경우에는 서브-픽처 디코더를 구비하여 서브-픽처 데이터로 구현된 그래픽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제어부(3)는 독출부(1)로부터 입력된 기타정보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부가 영상을 재생함에 있어서 슬라이드-쇼(slide-show) 모드 또는 브라우저블(browsable) 모드로 재생한다. 슬라이드-쇼 모드 및 브라우저블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3)는 광 디스크(10)에 부가 영상 데이터로서 키입력 버튼을 지원하는 그래픽 데이터(DVD-Audio의 경우 서브-픽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그래픽 생성부(4)로 알려준다.
그래픽 생성부(4)는 키입력 버튼을 지원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키입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또는 서브-픽처 데이터)를 생성하여 믹서(5)로 제공한다. 실제로, 그래픽 생성부(4)는 키입력 버튼을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또는 서브-픽처 데이터)를 미리 가지고 있다가 믹서(5)로 제공한다. 즉, 재생장치의 제조업자는 미리 몇 가지의 그래픽 데이터를 그래픽 생성부(4)에 저장해둔다. 믹서(5)는 디코더(2)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대응 부가 영상과 키입력 버튼이 중첩되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재생장치와 별개로 또는 일체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은 리모트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부(3)로 입력된다.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커서 이동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커서 이동버튼은 「→」,「←」, 「↑」,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키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부가 영상의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오디오 트랙과 부가 영상이 함께 재생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부가 영상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는 독출되어 제어부(3)에 구비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프리로드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해당 오디오 트랙이 재생될 때 디스플레이 순서와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출력되고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일 예로, 부가 영상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DVD-Audio 규격 Version 1.2에 따른 ASV(Audio Still Video)로 구현될 수 있다. ASV로 구현된 부가 영상은 오디오 타이틀 셋(Audio Title Set, ATS)에 포함된 오디오 오브젝트(Audio OBject)를 사용하여 정의된 AOTT(Audio-Only Title)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ATS_PGCI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ASV 오브젝트(Audio Still Video Object, ASVOB) 단위로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통해 재생된다. 하나의 ASV 오브젝트는 정지 영상 데이터, 하이라이트 정보(선택적), 및 키입력 버튼을 위한 서브-픽처 데이터로 구성된다. 정지 영상 데이터는 오디오 트랙의 재생이 시작되기 전에 제어부(3)에 구비된 메모리에 프리로드된다. 제어부(3)는 정지 영상 데이터가 로딩되는 동안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뮤트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에서의 슬라이드-쇼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쇼 모드는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이 오디오 트랙의 재생과 정확히 동기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은 오디오 트랙의 재생시간 범위 내의 특정 값을 갖게 된다. 슬라이드-쇼 모드는 다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바, 하나는 정렬(sequential) 슬라이드-쇼 모드 (a)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random/shuffle) 슬라이드-쇼 모드 (b)이다. (a)는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 광 디스크(10)를 제작할 때 디스크 제조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르면 부가 영상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재생정보에 포함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순서와 타이밍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b)는 재생장치가 디스플레이 순서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타이밍은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을 변경할 수 없다. 이처럼, 원칙적으로 슬라이드-쇼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을 변경할 수 없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재생장치는 슬라이드-쇼 모드에서도 디스플레이 순서는 변경할 수 없으나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는 단순 브라우저블 모드로 변환되거나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을 모두 변경할 수 있는 브라우저블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장치의 브라우저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우저블 모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 버튼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존재여부에 상관없이 오디오 트랙이 재생될 동안 부가 영상을 브라우징할 수 있다. 즉, 부가 영상이 정지 영상일 경우 이전 영상으로 되돌아가거나 다음 영상으로 건너 뛸 수 있다. 각 정지 영상의 프리젠테이션 시간(duration)은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결정되지만 사용자는 각 정지 영상에 할당된 프리젠테이션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다른 정지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마련된 커서 이동버튼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키입력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대로 브라우징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서 이동버튼을 통해「◀」이 선택되면 직전에 표시되었던 영상이 다시 표시되며 「▶」가 선택되면 다음 영상이 즉시 표시된다. 또는 「▶▶」을 선택하거나 「◀◀」을 선택하여 미리 정해진 개수를 단위로 정지 영상을 건너 뛸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브라우저블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키입력 버튼이 표시되지 않으면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정지 영상을 볼 수 있을 뿐이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를 이용하면 브라우저블 모드에서 키입력 버튼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브라우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단순 브라우저블 모드는 브라우저블 모드와 달리 디스플레이 화면에 키입력 버튼이 표시되지 않는다. 즉, 미리 정해진 디스플레이 순서는 그대로 두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소정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5는 그래픽 생성부(4) 및 믹서(5)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디스크(10)에 정지 영상 (a)에 대한 키입력 버튼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래픽 생성부(4)는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로서 버튼 프레임 (b)을 생성하여 믹서(5)로 전달한다. 믹서(5)는 정지 영상 (a)과 버튼 프레임 (b)을 조합하여 (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3)는 그래픽 생성부(4)로 패턴 생성을 명령함과 동시에 생성된 버튼 프레임 (b)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와 제어정보를 확인해둔다.
도 6 및 7은 그래픽 생성부(4)에 의해 생성된 버튼 프레임과 정지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커서 이동버튼을 사용하여 화면에 표시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튼에 하이라이트를 주고 (a)와 같이 이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하이라이트를 주는 방식은 버튼 또는 버튼의 주변을 이전과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커서 이동버튼을 사용하여 「▶」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3)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튼에 하이라이트를 주고 (c)와 같이 다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재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트랙에 대한 해당 부가 영상의 재생 모드를 확인한다(801단계). 재생 모드가 슬라이드-쇼 모드일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부가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다(802단계). 따라서, 슬라이드-쇼 모드에서는 키입력 버튼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가 광 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라도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재생 모드가 브라우저블 모드일 경우 제어부(3)는 키입력 버튼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로서 버튼 프레임이 광 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803단계). 광 디스크(10)가 DVD-audio인 경우 버튼 프레임은 서브-픽처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버튼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재생장치는 기록된 버튼 프레임을 해당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생한다(804단계).
버튼 프레임이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3)는 그래픽 생성부(4)로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명령하고 그래픽 생성부(4)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버튼 프레임을 믹서(5)로 제공한다(805단계). 믹서(5)는 제공된 버튼프레임을 해당 비디오 데이터와 조합하여, 도 6 및 7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806단계).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재생장치와 별개로 또는 일체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재생 중,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3)는 이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가 재생되어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는 광 디스크(10)가 슬라이드-쇼 모드만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부가 영상을 브라우저블 모드로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즉, 제어부(3)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드 선택버튼을 통해 브라우저블 모드로의 변환을 요구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의 소정 버튼을 통해 단순히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는 단순 브라우저블 모드로 변경하거나, 버튼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정 버튼을 선택하면 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전술한 브라우저블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부가 영상을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재생장치의 그래픽 생성부(4)에서 생성되어 표시되는 키입력 버튼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을 만들어 화면에 표시한 다음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커서 이동버튼을 통해 커서를 이동시켜 화면 상의 기능 버튼을 선택하는 방법을 통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재생되는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지원하지 않는 광 디스크의 경우에도 키입력 버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키입력 버튼을 통해 부가 영상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23)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5.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부가 영상에 대한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e)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9.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타이밍이 미리 결정된 모드로부터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단계; 및
    (b) 사용자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0.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타이밍이 미리 결정된 모드로부터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1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와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
    상기 독출부에 의해 독출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믹서는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생성부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로서 서브-픽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방식에 따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 방식에 따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서브-픽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서브-픽처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상기 그래픽 생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그래픽 생성부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버튼은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 , 및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9.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생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부가 영상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인 경우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생 모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버튼은 직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부가 영상이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 및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부가 영상이 즉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3.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때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영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가 영상에 대한 네비게이션이 불가한 재생 모드에서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모드로의 변환을 요청받는 제어부;
    부가 영상 데이터에 네비게이션을 위한 키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래픽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부가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키입력 버튼과 상기 부가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KR10-2001-0058578A 2001-09-21 2001-09-2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043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578A KR100433525B1 (ko) 2001-09-21 2001-09-2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578A KR100433525B1 (ko) 2001-09-21 2001-09-2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506A true KR20030025506A (ko) 2003-03-29
KR100433525B1 KR100433525B1 (ko) 2004-05-31

Family

ID=2772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578A KR100433525B1 (ko) 2001-09-21 2001-09-21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41B1 (ko) * 2005-08-10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파일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41B1 (ko) * 2005-08-10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파일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525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8368B2 (ja) 動画像データの編集装置および動画像データの編集方法
JP4225418B2 (ja) 複合装置
WO2006043383A1 (ja) 動画像データの編集装置及び動画像データの編集方法
KR20050018315A (ko) 텍스트 자막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정보저장매체, 자막 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6500720A (ja) 記録媒体に情報を記録する方法および装置、情報を含む記録媒体、記録媒体から情報を読み出す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60616A (ko) 외부 연결기기에 대한 영상기기의 메뉴 원격제어방법
KR20050058294A (ko) 오디오를 갖는 슬라이드 쇼
KR101195501B1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버튼간에포커싱을 이동시키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정보 저장 매체
KR20010064657A (ko) 외부 연결기기의 메뉴 원격제어방법
JPH1132303A (ja) 映像再生装置
JP2007158959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433525B1 (ko)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US20070180405A1 (e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369436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7045374A (ja) 表示装置
US20040042766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66249A (ko) 디지털 기록장치에서의 녹화 품질 설정방법
JP2003032602A (ja) 画像編集装置及び方法、画像記録再生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519384A2 (en) Signal processor
JP2000113652A (ja) 情報再生方法
KR100609549B1 (ko) 변속재생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변속 재생방법
KR100917886B1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JPH1079921A (ja) 映像再生装置
JP2001052470A (ja) キー操作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KR20050050865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멀티 랭귀지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