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099A -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25099A KR20030025099A KR1020010058039A KR20010058039A KR20030025099A KR 20030025099 A KR20030025099 A KR 20030025099A KR 1020010058039 A KR1020010058039 A KR 1020010058039A KR 20010058039 A KR20010058039 A KR 20010058039A KR 20030025099 A KR20030025099 A KR 200300250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nformation
- location
- guide information
- lo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수신부 및 위치추출부로 구성된 위치인식부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부가된 위치인식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1 이상 위치가 알려진 장소에 설치되어 위치인식용 무선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장치 및 상기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기인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기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개인휴대단말기 (이하, 단말기) 에 수신부 및 위치추출부로 구성된 위치인식부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추가적으로 부가된 위치인식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PDA 또는 Post PC 와 같은 소형, 휴대형 이동컴퓨팅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어 이제는 개인 휴대소지품화가 되었다. 그에 따라 각 단말기 생산자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는 고객의 활용성 증대 요구에 부응코자 새로운 부가장치 및 기종들을 단말기에 부가시키는 개발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컴퓨팅기술은 기계중심의 환경 즉, 편리한 사용자 환경, 유저인터페이스 환경의 구축에서 인간중심의 환경 즉, 외부환경정보 (위치, 온도, 방향, 소리 등) 와 의 인터페이스 환경의 구축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위치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위치인식기술 및 위치정보서비스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 나 핸드폰망을 이용한 실외 광범위한 지역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로는 박물관, 전시장, 미술관 등과 같이 실내 및 장해물이 많은 실외 특정지역에서는 위성신호 수신의 난이성 증가, 외부 노이즈 증가, 핸드폰 무선신호의 다중경로성 증가 및 페이딩효과 상승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에는 실내에서 가이드안내를 자동화하기 위해 안내를 원하는 지역 및 전시물의 일정영역에 따라 FM 주파수를 변조하여 수신기가 자동으로 송신주파수를 검색하여 음성안내를 수행하는 방식과 고유한 ID 를 일정주기 또는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고주파인식 및 적외선 장치를 부착하여 별도의 수신장치에서 기 기록된 음성정보를 안내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기술과 장치들은 전시물 및 공간의 수량에 따른 비용의 비례적 증가, 인식범위 조정의 난이함, 중첩시상호 간섭에 의한 에러방생, 한 개의 송신장치와 다수 개의 수신장치간의 통신로 설정 시간 및 방법부재, 설치 후 유지보수의 난이성들로 운영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위치인식부를 내장하여 실내의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에서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무선데이터 통신장치가 내장 또는 구비된 단말기에 위치추출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실내의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에서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치인식부와 단말기가 외부에서 접속되어, 실내의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에서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고유의 식별 ID를 가지고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이드정보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상기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음의 기재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1 실시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2 실시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3 실시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4 실시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5 실시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6 실시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7 실시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출력화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선신호 송신장치 120: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수신장치
130: 위치정보 송신장치 송신부 150: 위치정보 송신장치
200: 단말기 210: 위치인식부
215: 가이드정보 재생기 220 : 무선신호 수신부
230: 위치정보 추출부 235: 무선신호 송신부
240: 재생기 제어부 250: 저장부
260: 입력부 270: 출력부
280: 외부회로연결부 290: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
300: 무선데이터 송수신 장치 400: 메뉴부
500: 정보표시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1 실시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1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수신부 (220),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단말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250),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260), 위치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270) 로구성된다.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는 실내의 특정된 한 층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고 각 송신장치는 다른 송신장치들과는 구별되는 아이디 (ID : Identifier) 를 단독으로 송신하거나 ID 정보와 함께 송신시각 및 송신 회수 등의 정보를 조합하여,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실내가 지상 또는 지하 2층 이상의 구조로 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는 송신전력이 1 W 이하의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전력소모 및 외벽에서의 반사파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파의 다중경로성을 극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신전파는 고유의 위치인식용 주파수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150 MHz 내지 650 MHz 의 주파수를 가진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은 시스템 구현의 경제성을 고려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인식기술은 GPS 나 핸드폰망을 이용한 실외 광범위 지역에 집중되고 있는 바, 전자의 경우 2 GHz 대의 전파를 사용하고 후자의 경우 800 MHz 내지 1.2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통상 주파수대가 높은 기기일수록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관계상 시스템의 제조비용에 있어서 불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실외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실내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을 가지고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즉 실내를 둘러싸고 있는 외벽에 의한 위성신호 수신신호의 급격한 감소 및 그 결과에 따른 S/N 비의 증가, 반사파에 의한 핸드폰 무선신호의 다중경로성의 증가와 그로인한페이딩효과 상승의 결과로 실내에서는 종래의 기술을 가지고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추출부 (230) 는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되, 실내의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실내에서도 정확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 및 실험에 의한 알고리즘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수신장치에 대하여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는 적어도 기 알려진 1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해야 되고, 송신장치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는 3 또는 4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또는 2 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영역기반 서비스에 국한되기가 쉬우나 3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5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도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3개 또는 4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정확도의 상승효과가 미미하다.
단말기 (200) 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기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영상, 문자 등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는 기존의 단말기, 바람직하게는 PDA 등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무선신호 수신부 (220), 제어부 (240), 저장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270) 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추출부 (230)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무선신호 수신부 (220) 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송신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유선신호로 변환하고수신된 무선신호의 시간차이 또는 전파의 세기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유선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수신부 (220) 에서 수신되는 시각정보 또는 전파의 세기정보는 아날로그 정보이므로 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디지털정보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위치정보 추출부 (230) 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의 위치정보에는 평면상의 위치, 층 위치, 건물의 구분 등이 있는데 실내가 단층인 경우에는 이차원의 평면좌표로 나타내어지고 다층인 경우에는 삼차원의 공간좌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시간 등의 정보를 부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정보로부터 얻어진다. 위치정보를 얻는데 활용할 수 있는 무선신호의 정보에는 송신시각과 수신시각의 차이 또는 수신전파의 세기가 있다.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의 송신장치 (100) 와 단말기 (200) 사이의 거리정보를 얻어야 하는데 이러한 거리정보는 시각 차이 또는 전파의 세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전파를 이용하여 송신장치에서 평면상 또는 공간상의 특정지점까지의 거리를 얻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무선주파수의 전파속도가 일정하다는 자연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로부터의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송신시각과 단말기 (200) 에서의 수신시각의 차이에 따른 거리정보를 추출하여 송신장치 (100) 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각 위치에서의 수신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거리정보를 얻을 수 있다. 거리정보를 얻은 후 위치정보는 1 또는 2 의 거리정보에 의해서도 얻어질수 있지만 통상 삼각 측량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위치인식을 위한 송신장치 (100) 는 3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에 본 바와 같다. 이러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특정위치의 좌표값과 그 곳의 측정값과의 차이인 거리오차는 대상물의 밀집정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5 m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민용 GPS 의 경우 거리오차가 200 m 이내의 범위를 가지므로 실내에서는 실용성이 없다. GPS 의 경우 거리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특정위치의 좌표값과 그 곳의 측정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정된 데이타를 반영하는 DGPS (Diferential GPS) 가 사용된다. 문제는 DGP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별도의 위치보정을 위한 송신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보정을 거친 후의 오차범위가 5 m 이내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추출부 (230) 에 의한 거리오차는 위치보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 90 % 이상의 확률로 2 m 내지 4 m 이내의 오차범위를 가지고 보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1 m 내지 30 cm 이내의 범위도 가질 수 있다. 위치보정을 하는 경우에도 DGPS 와 달리 별도의 부가장치없이 순수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어서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거리정보는 무선신호 수신부 (220) 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와 단말기 (200) 의 무선신호 수신부 (220) 와의 거리를 전파의 도달시간 또는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계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위치정보는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데 특히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가 3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삼각측량법에 의해 위치정보를 얻는다. 위치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정을 거친 후의 위치정보를 얻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추출부 (230) 는 단말기 회로의 주요부 (입력부, 출력부, 제어부, 내부시스템 버스, 데이터버스, 호스트 인터페이스, 반도체 칩 결합 및 연결회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분) 와 전기적 연결되어 결합되고 이러한 전기적 연결에는 PCB 패턴에 의한 연결, 선을 이용한 결선, 납땜 및 도전체를 이용한 연결이 있다.
제어부 (240) 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정보 저장부 (250) 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입력부 (260) 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자동, 재생, 일시정지, 멈춤, 음량조절 등으로 가이드정보의 재생방식를 제어하고 음성, 문자, 영상 등으로 가이드정보의 출력방식을 제어하며, 무선신호 수신부 및 위치정보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위치정보 추출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어부 (240) 는 통상 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된다.
저장부 (250) 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가이드정보는 음성, 영상, 문자 및 그래픽 정보로 저장된다. 따라서 제한된 저장공간에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가이드정보를 압축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정보는 각각의 가이드대상별로 위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고 동일한 가이드정보라도 등급, 언어 등의 분류기준에 따라 다른 내용이 저장된다. 그 외 제어부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예컨데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 입출력 모듈, 위치정보의 처리와 보정 작업 모듈, 위치에 따라 표현할 음성, 영상, 문자 및 그래픽 정보의 재생 모듈 등이 저장부 (250) 에 저장되어진다.
입력부 (260) 는 제어부 (240) 에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제어신호는 저장부 (250) 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부 (240) 를 구동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지정명령을 단말기 (200) 가 수행하도록 한다. 입력 수단에는 전자펜, 단축버튼,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및 마이크를 구비한 음성인식 모듈과 같이 사용자가 명령을 접촉 또는 비접촉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장치가 포함된다.
출력부 (270) 는 입력부 (260) 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위치정보 추출부 (230) 에서 추출된 위치정보 및 제어부 (240) 에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수단에는 영상출력을 위한 흑백 또는 칼라 LCD, LED, 유기 EL, PDP 등과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헤드폰 연결잭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를 지급받아 가이드대상물이 전시된 영역으로 들어간다. 들어가는 즉시 단말기 (200) 는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송신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 (200) 는 현재 위치에 있는 곳의 좌표로 표현되는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 (240) 는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가이드정보를 저장부(250) 에서 선택하여 재생하고 재생된 가이드정보는 출력부 (270) 를 통해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듣거나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그에 상응하는 가이드정보가 계속적으로 제공된다. 만일 사용자가 반복 재생을 원하면 입력부 (260) 에서 반복 재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 (240) 는 무선신호 수신부 (220) 또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동작에 병행하여 좀전에 재생했던 정보를 다시 재생하여 출력한다. 한편, 동일한 대상에 대한 가이드정보라도 사용자는 재생등급, 재생언어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입력부 (260) 를 조작하여 적절한 가이드정보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2 실시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2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수신부 (220),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단말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250),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260), 위치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270) 그리고 외부회로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외부회로연결부 (280) 로 구성되고 별도의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가 단말기 (200) 의 외부회로연결부 (280) 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외부회로연결부 (280) 는 단말기 (200) 의 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제어부(240) 와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유선통신, 적외선통신을 비롯한 무선통신 등을 위해 전기적으로 단말기 (200) 와 외부회로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PCMCIA (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face Association), Compact Flash, USB (Universial Serial Bus), Serial,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용 포트를 통칭한다.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는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장치에는 무선랜 (LAN), 블루투스 (Bluetooth), 적외선통신 등이 포함이러한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를 외부회로연결부 (280) 에 연결하게 되면 사용자는 단말기 (200) 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전파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인식용 무선신호가 무선신호 수신부 (210) 로부터 단말기 (200) 에 수신되어 위치정보에 따른 가이드정보를 제공받는 중 무선데이터통신 무선신호가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로부터 외부회로연결를 통해 단말기에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240) 는 무선신호 수신부 (210) 또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동작과 병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통상의 무선데이터통신 수단으로 쓰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를 이용하여 무선데이터 무선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 경우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송신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단말기 외부의 전산시스템 (도시되지 않음) 에 연결된 무선데이터 송신장치또는 타 사용자의 단말기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사용자는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를 이용하여 단말기 (200) 외부에 있는 전산시스템들 (도시되지 않음) 과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는 예컨데 주최측에 문의사항을 SMS (Short Message Service; 단문 서비스) 로 문의할 수 있고 그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 외부의 전산시스템 (도시되지 않음) 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정보도 외부의 전산시스템 (도시되지 않음) 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240) 는 재생되는 가이드정보의 음량을 소거하거나 감쇠하여 상황 정보만을 출력하거나 현재 표시화면에 중첩되어 상황대처 방안정보가 제공되도록 출력부는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가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는 가이드정보 제공지역 내에서 동행인인 타 사용자와 이메일 서비스, SMS 를 이용하여 집합하는 장소, 만날시간 약속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의 용도가 가이드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 외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같은 시스템의 구조를 이용하면 기존의 전산정보 자원을 공유할 수 있으며 물건구매, 고객동향분석, 포스트 마케팅 등과 같은 신규 서비스들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긴급상황 발생시 상황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관람 중에 동행인 상호간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3 실시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단대말기의 제 3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수신부 (220),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 (235), 단말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250),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260), 위치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270) 로 구성된다.
무선신호 수신부 (220) 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송신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유선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의 시간차이 또는 전파의 세기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또한 단말기 (200) 외부의 전산시스템에 연결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또는 타 사용자의 단말기의 송신장치 (도시되지 않음) 에서 송신되는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위치정보 추출부 (230) 는 무선신호 수신부 (220) 의 출력을 입력정보로 하여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정보에 따른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와 단말기 (200) 의 무선신호 수신부 (220) 와의 거리를 얻은 후 위치정보를 얻으며 유선신호로 변환된 무선데이터통신용 수신신호를 제어부 (240) 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무선신호 송신부 (235) 는 유선신호를 변조 및 인코딩하여 무선데이터통신용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송신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데이터통신을 위한 무선신호 송신부 (300) 를 단말기 (200) 내에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는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으로도 단말기 (20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MHz 내지 650 MHz 대는 물론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용으로 쓰이는 2 GHz 내지 6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위치인식용과 무선데이터통신용 주파수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로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말기 (200) 는 주파수가 동일하여도 위치인식용과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례는 상기 제 2 실시례의 경우와 달리 위치인식용 주파수와 무선데이터통신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이며, 별도의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의 부가없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200) 내부에 무선신호 송신부 (235) 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함으로써 사용자는 직접 무선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 외 구성부분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례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4 실시례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4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 (230), 단말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250),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260), 위치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270), 외부회로와의 정보교환을 위한 외부회로연결부 (280)로 구성된다. 또한, 별도의 무선데이터통신용 송수신장치 (300) 가 단말기 (200) 의 외부회로연결부 (280) 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외부회로연결부 (280) 에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를 연결하게 되면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는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를 거쳐 외부회로연결부 (270) 를 통해 위치정보 추출부 (230) 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 (200) 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송신장치 (100) 에서 전파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 3 실시례와 같이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으로도 단말기 (20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MHz 내지 650 MHz 대는 물론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용으로 쓰이는 2 GHz 내지 6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는 상기 제 2 실시례의 경우와 달리 위치인식용 주파수와 무선데이터통신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이며, 별도의 무선신호 송신부 (235) 및 수신부 (220) 의 부가없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회로연결부 및 이에 연결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를 포함하는 구조를 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 (200) 를 이용하여 직접 무선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는 상기 제 3 실시례의 경우와 달리 무선신호 수신부 (220) 및 무선신호 송신부 (235) 대신에 외부회로연결부 (280) 및 이에 연결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00) 를 이용하는 것으로 그 효과는 상기 제 3 실시례와 동일하게 된다. 그 외 구성부분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례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5 실시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5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인식부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정보를 재생하는 가이드정보 재생부 및 상기 위치인식부와 가이드정보 재생부를 연결하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로 구성된다.
위치인식부 (210) 는 다시 무선신호 수신부 (220), 위치정보 추출부 (230) 로 구성된다. 가이드정보 재생부 (215) 는 다시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 저장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270), 외부회로연결부 (280)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인식부 (210) 와 가이드정보 재생부 (215) 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고 양자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 (29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위치인식부 (210) 에서 얻어지 위치정보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 (290) 를 통해 가이드정보 재생기의 제어부 (240) 에 전달된다. 또한 제어부 (240) 에 의한 위치인식부의 제어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 (290) 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3 실시례와 같이 사용자는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으로도 단말기 (20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MHz 내지 650 MHz 대는 물론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용으로 쓰이는 2 GHz 내지 6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가이드정보 재생부 (215) 로써 기존의 개인휴대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면 별도 구비된 위치인식부 (210) 만을 외부회로연결부 (290) 를 통해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단말기와 호환성을 갖게 한다. 또한 PDA는 물론 핸드폰 및 MP3 플레이어와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핸드폰의 경우 PDA와 유사하게 음성, 문자, 영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MP3 플레이어는 음성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6 실시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6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인식부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가이드정보를 재생하는 가이드정보 재생부 및 상기 위치인식부와 가이드정보 재생부를 연결하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로 구성된다.
위치인식부 (210) 는 다시 무선신호 수신부 (220), 위치정보 추출부 (230), 위치인식부 제어부 (245) 로 구성된다. 가이드정보 재생부 (215) 는 다시 가이드정보 제어부 (240), 저장부 (250), 입력부 (260), 출력부 (270), 외부회로연결부 (280) 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위치인식부 (210) 에 별도의 제어부 (245) 가 더 구비되어 위치인식부 (210) 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게 됨으로써 정보처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례와 같이 사용자는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으로도 단말기 (20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MHz 내지 650 MHz 대는 물론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용으로 쓰이는 2 GHz 내지 6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례와 동일하게 위치인식부 (210) 가 가이드정보 재생기 (215) 와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게 하면 가이드정보 재생기 (215) 로써의 기존 단말기 외부에 장착되는 경우 기존 단말기와의 호환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 외 구성부분의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례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7 실시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제 7 실시례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 (235), 위치정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220), 단말기 (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240), 가이드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250),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260), 위치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270) 로 구성된다.
무선신호 송신부 (235) 는 실내의 특정된 한 층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각 수신장치 (120) 에 다른 단말기와는 구별되는 아이디 (ID : Identifier) 를 단독으로 송신하거나 ID 정보와 함께 송신시각 및 송신 회수 등의 정보를 조합하여,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무선신호 송신부 (235) 는 송신전력이 1 W 이하의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단말기 (200) 의 전력소모 및 외벽에서의 반사파 영향을 최소화하여 전파의 다중경로성을 극소화하였다.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수신장치 (120) 는 실내의 특정된 한 층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실내가 지상 또는 지하 2층 이상의 구조로 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1 이상의 위치가 알여진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수신장치 (120) 는 적어도 기 알려진 1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해야 되고, 수신장치 (120) 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또는 2 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거리정보에 따른 영역정보 외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3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3 또는 4 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정확도의 상승효과가 미미하다.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 는 각각의 위치인식용 무선신호 수신장치 (120) 와는 다른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수신장치 (120) 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무선신호 송신부 (130) 및 위치정보 추출부 (230) 를 갖추고 있다.수신장치 (120) 에서의 전파도달거리 또는 전파의 세기 중 어느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단말기 (200) 와 각각의 수신장치 (120) 와의 거리정보를 얻은 후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200) 의 위치정보를 얻는다. 그 후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는 위치정보 무선신호를 단말기 (200) 로 송신하게 되고 단말기 (200) 는 이러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가이드정보를 재생한다. 통상 복수개의 단말기 (200) 중에서 특정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해서 단말기 (200) 는 고유의 식별 ID를 가지며 위치정보 무선신호는 이러한 고유 식별ID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 는 정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하게 되는데 그 주기를 단말기 갯수만큼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다중정보를 포함하여 동시에 여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모든 단말기 (200) 에 송신하게 되면 단말기 (200) 는 자신의 해당 식별ID를 가진 정보만 추출함으로써 당해 무선신호에 대해서 자신만의 위치정보를 얻게 된다. 대용량의 정보처리를 위해 위치정보 추출부 (230) 와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 는 별도의 모듈과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무선신호 수신부 (220) 는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 에서 송신되는 위치정보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제어부 (240) 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제어부 (240) 는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부 (250) 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여 재생한 후 출력부 (270) 로 재생된 정보를 출력한다.
이같은 구조에서는 단말기 (200) 에 내장하거나 별도의 모듈로 위치정보 추출부 (220) 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 (200) 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단말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를 지급받아 가이드대상물이 전시된 영역으로 들어간다. 들어가는 즉시 단말기 (200) 는 위치인식용 수신장치 (120) 에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위치인식용 수신장치 (120) 가 수신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송신장치 (150) 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러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단말기 (200) 에 송신하게 된다. 단말기 (200) 는 위치정보 무선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얻은 후 제어부 (240) 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저장부 (250) 에서 가이드정보를 선택한 후 재생하여 가이드정보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제 3 실시례와 같이 사용자는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용으로도 단말기 (200)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 MHz 내지 650 MHz 대는 물론 일반적인 무선데이터통신용으로 쓰이는 2 GHz 내지 6 G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의 출력화면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출력부 화면 (270) 은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부 (400) 와 선택된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 (500) 로 구성된다.
메뉴부 (400) 는 설정부, 검색부, 추천부, 지도부, 구매부, 메일부, 제어부 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설정부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 (영어, 일어 등),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관람정보 지식에 따른 용어 (일반용어, 전문용어) 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별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검색부는 사용자가 정보제공지역에서 특히 관심대상을 찾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아이템 검색, 키워드 검색을 통해 정보제공지역 내의 관심대상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동행인 검색을 통해 현재 동행인의 위치도 검색할 수 있다. 이는 동행인이 소지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를 통해 파악된 위치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이다.
추천부는 현재 관함한 아이템과 연계가 되는 아이템을 추천하여 관련성있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도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정보제공지역 전체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구매부는 현재 관람한 아이템과 관련된 상품을 소개하고 구매장소 및 방법등이 소개된다.
메일부는 동행인들 간에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200) 가 실시례에 따라서는 위치정보에 기인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말기 기능을 가질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메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보가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것으로 앞으로, 뒤로, 일시정지, 정지, 재생, 처음으로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정보표시부 (500) 는 위치에 따른 정보 및 선택된 정보를 그래픽,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상시 피난경로 및 방법안내,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방송 및 메시지를 표출할 수 도 있으며, 메시지 수신여부 표시도 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 내용을 제어 (앞으로, 뒤로, 일시정지, 정지 등 )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신호 송신장치를 장착하여 방문객의 위치, 방문객의 나이, 지적수준, 관심분야, 사용언어에 따라 전시물 및 전시장의 안내를 음성, 영상, 문자를 조합하여 자동으로 또는 상세한 정보 및 부가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함으로써 별도의 안내인 대체, 불필요한 정보습득의 최소화를 통해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와 수준에 적합한 개인별 맞춤정보의 제공과 부가적인 기능, 예컨데 동행인 또는 그룹찾기, 관심품목, 관련물건의 주문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 실내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고유의 식별 ID를 가지고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이드정보 저장부;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상기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개인휴대단말기는 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와 정보교환을 할 수 있는 외부회로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외부회로연결부에는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무선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150 MHz 내지 650 MHz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실내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고유의 식별 ID를 가지고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와 정보교환을 할 수 있는 외부회로연결부;상기 외부회로연결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이드정보 저장부;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상기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상기 외부회로연결부에는 무선데이터통신용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실내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고유의 식별 ID를 가지고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인식부 및상기 위치인식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이드정보 저장부;상기 위치인식부에서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상기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출력부;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와 정보교환을 할 수 있는 외부회로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부 외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정보 재생부 및상기 위치인식부 및 상기 외부회로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위치인식부 및 상기 가이드정보 재생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재생기외부의 회로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인식부에는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 및 상기 위치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인식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실내의 1 이상의 위치가 알려진 특정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각각의 송신기와 상기 수신장치와의 거리를 추출한 후 상기 송신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정보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위치정보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있어서,고유의 식별 ID를 가지고 소전력 위치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 송신부;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한 위치정보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별로 구분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가이드정보 저장부;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가이드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가이드정보에 대한 재생 및 상기 재생된 가이드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에 추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되어 재생된 가이드정보를 음성, 문자, 영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무선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위치인식용 무선신호의 주파수는 2 GHz 내지 6 GHz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8039A KR100406003B1 (ko) | 2001-09-19 | 2001-09-19 |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8039A KR100406003B1 (ko) | 2001-09-19 | 2001-09-19 |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5099A true KR20030025099A (ko) | 2003-03-28 |
KR100406003B1 KR100406003B1 (ko) | 2003-11-17 |
Family
ID=2772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8039A KR100406003B1 (ko) | 2001-09-19 | 2001-09-19 |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06003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59A (ko) * | 2002-04-04 | 2002-05-09 | 모인텔레콤(주) | 휴대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표시 및 음성 안내 방법 과 밧데리 팩에 gps 모듈 및 부가 기능 악세사리 모듈 내장 방법 |
KR100647461B1 (ko) * | 2004-11-25 | 2006-1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복합 센서들을 구비하는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위치인식 방법 |
KR100646235B1 (ko) * | 2005-07-15 | 2006-11-2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위치기반 영상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673449B1 (ko) * | 2004-11-10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위치정보 확인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그 동작방법 |
KR100701351B1 (ko) * | 2005-11-03 | 2007-03-29 | 임재성 |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인식방법 |
KR100702673B1 (ko) * | 2005-06-21 | 2007-04-03 | 주식회사 팬택 |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판독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0761416B1 (ko) * | 2004-07-12 | 2007-09-27 | (주)유니콤트레이딩 |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이동궤적 추적을 위한 알에프 태그 |
KR100772013B1 (ko) * | 2004-07-14 | 2007-10-31 | (주)유니콤트레이딩 |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알에프 아이디시스템 및 알에프 태그와 리더 사이의 통신 방법 |
WO2007145417A1 (en) * | 2006-06-14 | 2007-1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si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
KR100790084B1 (ko) * | 2006-08-08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블루투스 단말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
KR101024732B1 (ko) * | 2004-11-03 | 2011-03-2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위치 식별 장치를 이용한 와이브로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브로 단말 |
US8718929B2 (en) | 2010-05-04 | 2014-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4282B2 (ja) * | 1992-08-31 | 1996-10-16 | 進 佐久間 | 電波を用いた移動体の位置確認システム |
JP3365054B2 (ja) * | 1994-06-29 | 2003-01-0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情報管理装置 |
KR960013107A (ko) * | 1994-09-05 | 1996-04-20 | 구자홍 | 간이전자교환기의 위치 파악 시스템 |
KR100312793B1 (ko) * | 1999-06-18 | 2001-11-03 | 김경오 | 원격 가이드 방법 및 장치 |
KR20010110878A (ko) * | 2000-06-09 | 2001-12-15 | 박영자 | 외국 여행을 위한 여행자 환경 프로그램 |
KR20020074591A (ko) * | 2001-03-20 | 2002-10-04 | 조형식 |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추적과 외국인 관광정보통화안내 시스템. |
KR20020083391A (ko) * | 2001-04-28 | 2002-11-02 | 정이영 | 블루투스 칩을 이용한 종합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
-
2001
- 2001-09-19 KR KR10-2001-0058039A patent/KR1004060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59A (ko) * | 2002-04-04 | 2002-05-09 | 모인텔레콤(주) | 휴대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표시 및 음성 안내 방법 과 밧데리 팩에 gps 모듈 및 부가 기능 악세사리 모듈 내장 방법 |
KR100761416B1 (ko) * | 2004-07-12 | 2007-09-27 | (주)유니콤트레이딩 |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이동궤적 추적을 위한 알에프 태그 |
KR100772013B1 (ko) * | 2004-07-14 | 2007-10-31 | (주)유니콤트레이딩 |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알에프 아이디시스템 및 알에프 태그와 리더 사이의 통신 방법 |
KR101024732B1 (ko) * | 2004-11-03 | 2011-03-24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위치 식별 장치를 이용한 와이브로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브로 단말 |
KR100673449B1 (ko) * | 2004-11-10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위치정보 확인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그 동작방법 |
KR100647461B1 (ko) * | 2004-11-25 | 2006-1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복합 센서들을 구비하는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위치인식 방법 |
KR100702673B1 (ko) * | 2005-06-21 | 2007-04-03 | 주식회사 팬택 |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판독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0646235B1 (ko) * | 2005-07-15 | 2006-11-2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위치기반 영상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701351B1 (ko) * | 2005-11-03 | 2007-03-29 | 임재성 |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인식방법 |
WO2007145417A1 (en) * | 2006-06-14 | 2007-1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si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
KR100790084B1 (ko) * | 2006-08-08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블루투스 단말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
US8718929B2 (en) | 2010-05-04 | 2014-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US9513123B2 (en) | 2010-05-04 | 2016-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06003B1 (ko) | 2003-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4939B2 (en) | Smart device performing LED-ID/RF communication through a camera,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same | |
US8914232B2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 |
KR101759912B1 (ko) |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0406003B1 (ko) |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 |
CN101493510B (zh) | 室内定位系统及方法 | |
CN106465052B (zh) | 用于将用户设备装置与合作装置自动连接的方法及其用户设备装置 | |
KR101070709B1 (ko) | 반경 내 채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
CN101751838A (zh) | 复合定位自助导游机 | |
CN110399570B (zh) | 地理对象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Ciavarella et al. | Design criteria for location-aware, indoor, PDA applications | |
CN110290469A (zh) | 一种导航方法及移动终端 | |
CN108769893A (zh) | 一种终端检测方法及终端 | |
US20030036391A1 (en) | Relating to information delivery | |
US2012031462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 of survey sensors and controllers | |
CN108917766B (zh) |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 |
CN115150646A (zh) | 一种显示第二电子设备控制窗口的方法及第一电子设备 | |
EP1238289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information delivery | |
Svalastog | Indoor positioning-technologies, services and architectures | |
KR20150069928A (ko) |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 |
KR20070046018A (ko) |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출력방법 | |
US2006009863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 |
JP2006148219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 |
CN107291791A (zh) | 一种位置信息分享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
CN114466304B (zh) |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智能家居平台 | |
GB2357404A (en) | Delivery of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