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081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081A
KR20030025081A KR1020010058011A KR20010058011A KR20030025081A KR 20030025081 A KR20030025081 A KR 20030025081A KR 1020010058011 A KR1020010058011 A KR 1020010058011A KR 20010058011 A KR20010058011 A KR 20010058011A KR 20030025081 A KR20030025081 A KR 2003002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nformation
terminal
video caller
imag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은
김규웅
문현정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081A/ko
Priority to US10/186,842 priority patent/US7013131B2/en
Priority to CNB021270392A priority patent/CN1190093C/zh
Priority to EP02016889A priority patent/EP1296499A3/en
Publication of KR2003002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표시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시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간에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도록 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ICTURE CALLER IDENTIF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시 화상을 이용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표시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의 한 방식인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방식은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비동기 방식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한다) 통신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W-CDMA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CDMA 2000등의 다른 C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런 이동 통신 시스템은 현대 사회가 발전해 나감에 따라서 개인 정보 통신화에 적응하여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개인 정보 통신화에 적응하여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호출기(Pager), 휴대 전화 단말기(MS: Mobile Station)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들이 기술발전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들에게 급속도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개인들의 휴대 전화 단말기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 일 예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와, 발신자 정보(Caller Information) 표시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서는 단순히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정보인 발신자 아이디(Caller ID)만을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수신측 사용자는 단순히 발신자 아이디만을 보고서 송신측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송신측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의 상태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 혹은 상대방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송신측에서는 성공적으로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음성통화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단말기 대 단말기(Point To Point) 수행 서비스로서 단문의 문자데이터 서비스만을 제공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들의 욕구, 일 예로 화상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단문의 문자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 일 예로 화상(image) 데이터와 같은 비교적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전송 데이터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패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성향에 부합하도록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가 발생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간에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가 발생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간에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용량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데이터 채널 용량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의 예들을 도시한 테이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단말기(UE: User Equipment)(106)의 연결(Connection)에 관한 모든 프로세스(Process)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102)가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2)는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101)에 연결되며, 또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기지국(Node B라 칭한다)들(103),(104),(105)에 접속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자원할당을 담당한다. 상기 기지국(Node B)들(103),(104),(105)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2) 및 코어 네트워크(101)로 구성된 통신시스템을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라 칭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2)가 상기 단말기(106)에 자원을 할당하여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기(106)는 순방향(Downlink) 또는 역방향(Uplink)의 전용 물리 채널(Dedicated Physical Channel: 이하 DPCH라 칭한다)을 사용하여 통신을 지속시키게 된다. 상기 W-CDMA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기들이 기지국(Node B)과 동기를 맞추지 않는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02)는 하나의 기지국(Node B), 일 예로 기지국(Node B)(103)을통하여 다수의 단말기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은 상기 기지국(Node B)(103)이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 각각의 신호를 구분해 낼 수 있도록 단말기 자신의 고유한 스크램블링코드(Scrambling code)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여 역방향 링크 신호로 전송한다.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11)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3)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신시 발신자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일 예로 캐릭터 이미지(character image) 혹은 스틸 이미지(still image)와 같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발신자 정보를 단순히 나타내기 위한 화상 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일종의 상업성을 가지는 화상 데이터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11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모드(mode)를 상기 단말기에서 발신시 발신자 정보로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들중 하나를 화상 발신자 정보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하는 모드인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실제 화상 발신자 정보로서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는 상기 키입력부(115)상에 별도의 키로 구비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키입력부(115)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키들중 일부를 조합하여, 일 예료 "메뉴키+다이얼링 디지트 1+다이얼링 디지트 3"과 같은 조합으로 구현할수 있으며,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 역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
음성메모리(117)는 다수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며, 음성처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성 메모리(117)로부터 독출된 음성 메시지를 아날로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송신부(121)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123)로 전달한다. 상기 듀플렉서(123)는 상기 송신부(1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25)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5)는 상기 듀플렉서(123)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통화를 제어한다. 표시부(127)는 LCD(Liquid CrystalDisplay Unit) 및 LED 등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 데이터 및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면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111)는 키입력부(115)로부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가 입력되면(311단계) 상기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시킨다(313단계). 여기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라 함은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들중 하나를 화상 발신자 정보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하는 모드인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키이며, 상기 화상 데이터들은 캐릭터 이미지(character image) 혹은 스틸 이미지(still image)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메모리(113)에 데이터 베이스(data base)화하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는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발신자 정보들, 즉 이미지들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로서 상기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번호나 혹은 상기 이미지들 자체를 나열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렇게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315단계).여기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선택가능한 다수의 이미지들중 하나를 선택한 선택신호를 의미한다. 일 에로 상기 다수의 이미지들이 1번부터 10번까지 일련의 순서를 가지는 번호로 나열되어 있을 때 2번을 선택하면 상기 2번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선택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일 예로 5초가 경과되었는지 검사한다(317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설정시간을 지속적으로 대기하여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선택키 신호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키 신호에 해당하는 선택된 화상 발신자 신호를 버퍼링(buffering)한 후 종료한다(319단계). 여기서, 상기 선택된 화상 발신자 신호를 버퍼링하는 이유는 상기 단말기가 발신시 상기 버퍼링되어 있는 선택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첨부하기 위해 대기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발신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직접 전환하여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여 발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다음으로 단말기에서 실제 호 발신 및 수신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측 단말기(UE)는 네트워크(network), 즉기지국(Node B)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102)와,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101) 등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측 단말기(UE)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먼저,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RRC_CONNECTION_REQ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11단계). 여기서, 상기 RRC RRC(Radio Resource Controller)_CONNECTION_REQ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발신을 위한 신호(signal)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채널(channel) 할당을 요청하는 메시지(message)이다. 그리고, 상기 RRC 계층(layer)은 상기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radio resource)를 제어하는 계층이다. 이렇게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RRC_CONNECTION_REQ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측은 상기 RRC_CONNECTION_REQ를 수신하게 되고, 이에 상기 RRC_CONNECTION_REQ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기 채널을 셋업(setup)한 후 RRC_CONNECTION_SETUP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전송한다(413단계). 상기 RRC_CONNECTION_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채널 셋업을 인식하고 RRC_CONNECTION_COMPLETE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15단계). 이렇게 상기 411단계, 413단계, 415단계를 통해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채널 할당이 완료된다.
상기 채널 할당이 완료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CM_SERV_REQ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17단계). 여기서 상기 CM(Call Management)_SERV_REQ 메시지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대한 환경 설정을 위한 메시지로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 대한 CM 서비스(Service)를 요청하는 메시지로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네트워크간의 환경 설정을 위한 CM 서비스 타입(Service type)과, 단말기ID(identity)등의 파라미터(parameter)를 포함한다. 상기 CM_SERV_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CM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는 CM_SERV_ACCEPT 메시지를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419단계).
이렇게 상기 417단계와 419단계를 통해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네트워크간의 환경 설정이 완료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CC_SETUP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421단계). 여기서, 상기 CC_SETUP 메시지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발신(originating)을 위한 메시지로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환경 정보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즉 상기 CC_SETUP 메시지의 착신측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가 존재하는 기지국(Node B)으로 상기 CC_SETUP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기지국(Node B)은 상기 CC_SETUP 메시지에 해당하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TYPE 1)를 전송한다(423단계). 그러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채널 할당을 받기 위해 RRC_CONNECTION_REQ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25단계). 여기서, 상기 RRC RRC(Radio Resource Controller)_CONNECTION_REQ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착신을 위한 신호(signal)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채널(channel) 할당을 요청하는 메시지(message)이다. 이렇게 상기 착신측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RRC_CONNECTION_REQ를 전송하면 상기 네트워크측은 상기 RRC_CONNECTION_REQ를 수신하게 되고, 이에 상기 RRC_CONNECTION_REQ에 응답하여 상기 착신측 단말기 채널을 셋업(setup)한 후 RRC_CONNECTION_SETUP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 전송한다(427단계). 상기 RRC_CONNECTION_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채널 셋업을 인식하고 RRC_CONNECTION_COMPLETE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29단계). 이렇게 상기 425단계, 427단계, 429단계를 통해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 채널 할당이 완료된다.
상기 네트워크측과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측, 특히 상기 착신측 기지국(Node B)으로 전송한다(431단계). 상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CC_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433단계). 여기서, 상기 CC_SETUP 메시지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CC_SETUP 메시지가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수신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CC_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발신호에 대한 착신을 수행함을 확인하는 CALL CONFIRM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한다(435단계). 여기서, 상기 CALL CONFIRM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101)로 전송되는 것이고, 이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101)가 상기 CALL CONFIRM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전달한다(CALL PROCEEDING)(437단계).
그러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발신호의 통화에서 발생하는 음성데이터(voice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로 무선 베어러를 셋업하기 위한 RB(Radio Barer) 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 역시상기 발신호를 착신함에 따라 형성되는 통화에서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RB SETUP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한다(439단계). 이렇게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의 무선 베어러 셋업 요구에 의해 상기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형성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데이터 패스(data path)를 형성하기 위한 화상 발신자 정보 연결 요구(CONNECTION_PCLID_REQ) 메시지를 전송한다(441단계).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CONNECTION_PCLID_REQ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DATA PATH)를 생성한다(447단계).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스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스로서,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용량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도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문제가 없는 용량을 가질 경우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일부를 할당하여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용량이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기에 불가능한 용량을 가지는 경우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패스, 즉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상기 새로이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용량이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 유지를 위한 제어 신호들(control signalling)과 음성 데이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 즉 스틸 이미지 데이터를 가산한 용량을 초과할 경우(음성채널용량>제어 신호들+음성 데이터+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 상기 데이터 패스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일부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용량이 상기 제어신호들과, 음성 데이터와,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가산한 용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패스, 즉 채널을 새롭게 형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데이터 패스를 별도의 새로운 채널로 형성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전송되는 시간의 예들을 나타내면 도 5와 같으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데이터 패스가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사용자가 선택하여 버퍼링해놓은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한다(449단계). 이렇게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완료한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DISCONNECTED PCLID 메시지를 전송한다(451단계). 여기서, 상기 DISCONNECTED PCLID 메시지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발신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전송완료함에 따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연결하였던 데이터 패스를 제거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상기 DISCONNECTED PCLID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패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로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기 위한, 즉 상기 데이터 패스를 제거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RB RECONFIGURE)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RB RECONFIGURE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발신측 단말기간 무선 베어러를 재구성하여 상기 데이터 패스를 제거한다(453단계). 이렇게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가 제거되면 상기 발신호에 대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에서는 호가 착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ALERT)가 발생된다(455단계). 여기서 상기 경보는 상기 착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링(ring) 혹은 멜로디(melody)와 같은 벨이 울림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착신측 단말기에 경보가 발생하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상기 발신측 단말기의 화상 발신자 정보를 보고서 통화를 알지 아니면 통화를 거부할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만약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 통화를 연결하고(CONNECT)(457단계) 이렇게 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467단계).
그러면 상기에서 설명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들의 예들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의 예들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할 때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의 종류와, 채널의 종류(채널 속도에 따른 종류)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상이해진다. 상기 LCD 종류에 따라 한 픽셀(pixel)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들의 수가 달라지며,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의 이미지 종류, 일 예로 QCIF 이미지인지 혹은 SQCIF 이미지인지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들의 수가 달라지며, 상기 채널의 속도가 얼마인지에 따라, 일 예로 16K, 32K, 64K, 128K 인지에 따라서 동일시간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들의 수가 달라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도 5의 테이블에서 SQCIF 이미지를 32kpbs 채널로 모노(mono) LCD(1pixcel=1bit)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0.3초가 소요된다. 즉, SQCIF()=12288, CHANNEL=32kbps ===> 속도=12288/32=0.384(초)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측의 발신자 정보를 화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화상으로 식별 가능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상승시킬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에 일 예로 광고사진과 같은 화상 정보를 발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신자 정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간에 단순히 음성 데이터와 문자데이터뿐만 아니라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욕구 역시 극대화시킬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9)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가 발생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간에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는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는 캐릭터 이미지, 스틸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발신호 발생 이전에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은;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로 부가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에서 발신시 전송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한 이후 발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해당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는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는 캐릭터 이미지, 스틸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은;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로 부가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시 전송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한 이후 발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착신측 단말기와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상기 선택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는 캐릭터 이미지, 스틸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은;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를 입력받으면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로 부가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발신호가 발생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발신호에 해당하는 착신측 단말기간에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의 용량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데이터 채널 용량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음성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데이터 채널 용량이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일 경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상기화상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패스를 통해 화상 발신자 정보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기 위한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측 단말기는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패스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데이터는 캐릭터 이미지, 스틸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상기 발신호 발생 이전에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은;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키를 입력받으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발신자 정보 선택 모드에서 상기 발신호에 대한 화상 발신자 정보로 부가할 화상 발신자 정보를 선택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KR1020010058011A 2001-09-19 2001-09-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3002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11A KR20030025081A (ko) 2001-09-19 2001-09-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US10/186,842 US7013131B2 (en) 2001-09-19 2002-07-01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aller image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NB021270392A CN1190093C (zh) 2001-09-19 2002-07-26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接收呼叫者图像信息的方法
EP02016889A EP1296499A3 (en) 2001-09-19 2002-07-30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aller image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11A KR20030025081A (ko) 2001-09-19 2001-09-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081A true KR20030025081A (ko) 2003-03-28

Family

ID=197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11A KR20030025081A (ko) 2001-09-19 2001-09-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13131B2 (ko)
EP (1) EP1296499A3 (ko)
KR (1) KR20030025081A (ko)
CN (1) CN11900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37B1 (ko) * 2002-08-16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00670B1 (ko) * 2002-12-07 2005-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발신자 정보 출력 시스템 및 단말기 및 방법
KR100584226B1 (ko) * 2003-05-01 2006-05-26 이태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파일, 멀티미디어파일인 스피커스 이미지 아이덴티티(spiid)를 이용한 발신자id 표출방법
US7280647B2 (en) * 2003-08-07 2007-10-09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photo caller identification
US8990304B2 (en) 2003-11-11 2015-03-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information to a calling party at call set up
US7865181B1 (en) 2004-03-19 2011-01-04 Single Touch Interactive, Inc. Searching for mobile content
CN100384292C (zh) * 2004-05-10 2008-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孤站点对点呼叫的实现方法
US7333797B2 (en) * 2004-09-23 2008-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 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mits a sharing of mobile identifiers
EP1696645A1 (en) * 2005-02-25 2006-08-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ller information provision
US20070129067A1 (en) * 2005-11-04 2007-06-07 Summer Robert D Ring-tone system and methodology
KR100762704B1 (ko) * 2006-08-09 2007-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호가 연결되기 전에 착신 단말기에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GB2444998A (en) * 2006-12-11 2008-06-25 Nec Corp Dedicated radio resource control
US8515478B2 (en) * 2006-12-18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Fast state transition for a UE with reconfiguration over paging
US8489684B2 (en) * 2007-02-06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mage inclusion in e-mail messages
US8677351B2 (en) * 2007-03-29 2014-03-18 Vm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oftware update to guest software on virtual machines through a backdoor software communication pipe thereof
GB201104558D0 (en) 2010-10-18 2011-05-04 Data Connection Ltd Data communication
WO2012052709A1 (en) 2010-10-18 2012-04-26 Metaswitch Networks Ltd Data communication
GB201104591D0 (en) 2010-10-18 2011-05-04 Data Connection Ltd Data communication
GB201104602D0 (en) 2010-10-18 2011-05-04 Data Connection Ltd Data communication
WO2012110804A1 (en) 2011-02-14 2012-08-23 Metaswitch Networks Ltd Telecommunication with associated data communication
US9450667B2 (en) * 2012-03-19 2016-09-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US9554406B2 (en) * 2012-03-19 2017-01-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node using the same
US20140038666A1 (en) * 2012-08-03 2014-02-06 Qualcomm Incorporated Receiving multiple voice calls in a multi-sim device
CN103888631A (zh) * 2014-04-15 2014-06-25 许昌学院 用户图像发送方法及移动通信系统
CA2895599C (en) * 2014-06-24 2018-08-07 Qinghua Xi Access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111780A (zh) * 2014-06-30 2014-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3309A2 (en) * 1998-07-17 2000-01-19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ller name alerting
JP2000332886A (ja) * 1999-05-25 2000-11-30 Nec Software Tohoku Ltd 携帯電話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10045A (ko) * 1999-07-15 2001-02-05 구자홍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KR20010026476A (ko) * 1999-09-07 2001-04-06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20010039318A (ko) * 1999-10-29 2001-05-15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904A (en) * 1991-04-24 1993-12-07 Ricoh Company, Ltd. ISDN terminal equipment control method
US5699413A (en) * 1995-12-13 1997-12-16 Motorola, Inc. Voice data modem, voice data method and voice data modem system
DE19645433C2 (de) * 1996-11-04 2002-10-10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Mobilvermittlungszentru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hrdialog-Kommunikation zwischen Teilnehmerstationen
US6282190B1 (en) * 1997-12-17 2001-08-28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centric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using distributed call segments
JP2000059857A (ja) * 1998-08-11 2000-02-25 Casio Comput Co Ltd 画像通信装置、画像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US6687515B1 (en) * 1998-10-07 2004-02-03 Denso Corporation Wireless video telephone with ambient light sensor
US6317609B1 (en) * 1998-12-30 2001-11-13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digital speech and digital pictures
JP3397163B2 (ja) * 1999-03-25 2003-04-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
US6584321B1 (en) * 1999-05-07 2003-06-24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services over a selected bearer service
CA2377644A1 (en) 1999-06-30 2001-01-11 Nokia Networks O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ller picture
GB2356314B (en) * 1999-07-06 2003-12-31 At & T Lab Cambridge Ltd A thin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7177627B2 (en) * 2001-07-17 2007-02-13 Comver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s for caller identification over a mobile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3309A2 (en) * 1998-07-17 2000-01-19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ller name alerting
JP2000332886A (ja) * 1999-05-25 2000-11-30 Nec Software Tohoku Ltd 携帯電話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10045A (ko) * 1999-07-15 2001-02-05 구자홍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KR20010026476A (ko) * 1999-09-07 2001-04-06 김대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20010039318A (ko) * 1999-10-29 2001-05-15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0093C (zh) 2005-02-16
EP1296499A3 (en) 2006-03-15
US20030054863A1 (en) 2003-03-20
EP1296499A2 (en) 2003-03-26
CN1406079A (zh) 2003-03-26
US7013131B2 (en)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508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발신자 정보 송수신 방법
JP4263261B2 (ja) Ds−cdmaセルラー電話のマルチキャスト通信
US69179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and displaying of character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1590987B1 (en) Priority e911 call back during access class restrictions
MXPA02009512A (es) Metodo para permitir que una estacion movil reciba una pagina de conmutacion por cirutios.
KR2006008716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회의 통화 중에 1:1 통화 제공방법
US20060099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group call processing in a key telephone system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CN111557102B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6688274B (zh) 终端、移动管理实体和交换中心、业务处理方法和系统
JPH11146462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通信方法
KR20000044506A (ko) 이동전화 교환망에서 발신자정보 서비스방법
KR20010066455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구현 방법
EP1772033B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09247748A (ja) 緊急呼制御方式
KR101048190B1 (ko) 화상제한구역 내에서 화상 전송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및 장치
KR1006060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설정 방법
KR100250666B1 (ko) 개인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요구방법
JP444733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981352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676877B1 (ko)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9731A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7967A (ko) 이동교환시스템의 호 처리방법
KR100933169B1 (ko) 시그널링 메시지와 데이터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표시 데이터 제공 방법
KR2006001664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자동응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312

Effective date: 2005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