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877B1 -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877B1
KR100676877B1 KR1020050019529A KR20050019529A KR100676877B1 KR 100676877 B1 KR100676877 B1 KR 100676877B1 KR 1020050019529 A KR1020050019529 A KR 1020050019529A KR 20050019529 A KR20050019529 A KR 20050019529A KR 100676877 B1 KR100676877 B1 KR 10067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ed
information
originating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922A (ko
Inventor
전대진
임승혁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8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교환기가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는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됨-를 포함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확장 발신 정보, X_CID, 트래픽 채널

Description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extended calling informa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서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태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서비스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발신 정보 헤더값을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WIPI 플랫폼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패이징 채널 101, 301; 발신 단말기
302; 발신측 기지국 103, 303; 발신측 교환기
107, 307; HLR/VLR 109, 309; 수신측 교환기
310; 수신측 기지국 111, 311; 수신 단말기
본 발명은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신자는 통화 전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되었으며, 자신의 상황이나 의사에 따라 통화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의하여 수신자는 익명을 이용한 장난 전화, 음란 전화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전화 받기 곤란한 상황에서 수신되는 전화의 중요 여부를 판단하여 최상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된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양이 높아지고 네트워크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통신 사용자들은 이러한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자의 확인하는 것 외에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무언가를 원하게 되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통신 사용자들은 단순히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 외에 수신 단말기의 설정을 통하여 발신자에 따른 LCD 화면의 변경이나 벨소리의 차별화 등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나 이러한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수신 단말기의 설정 변경은 수신자의 입장에서 발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에 그치며, 그 외의 정보의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01)가 수신 단말기(111)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측 교환기(103)는 패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자 데이터 및 발신자 전화번호 등의 발신 정보를 포함한 호신호(Call signal)를 접수한다. 상기 패이징 채널을 통한 호신호를 접수한 발신측 교환기(103)는 HLR/VLR(Home Location Register/Visiter Location Register)(107)을 참조하여 수신측 단말기(111)의 위치 정보를 조회한다. 수신측 단말기(111)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면 발신측 교환기(103)은 수신측 교환기(109)로 이동 통신망(105)를 통하여 호신호를 송신한다. 호신호를 접수한 수신측 교환기(109)는 수신자가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조회한 후, 수신자가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호신호만을 수신 단말기(111)로 전송하고, 수신자가 발신번호 표시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발신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 호신호를 수신 단말기(111)에 전송한다.
그 후 수신 단말기(111)에는 수신 단말기(111)의 설정에 따라 발신번호만이 표시되거나 발신번호에 따라 설정된 아이콘 또는 사진이 표시되고, 발신자나 발신자 그룹에 따른 벨소리를 울리게 된다.
여기서 발신자 단말기(101)에서 발신측 교환기(103)으로 접수되고 발신측 교환기(103)에서 수신측 교환기(109)를 통하여 수신측 단말기(111)로 전송되는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신호는 패이징 채널이라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패이징 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서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태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시스템에 사용된 페이징 채널(200)은 수신자 데이터 필드(201) 및 발신자 정보를 나타내는 CID(Calling Information Display) 데이터 필드(203)를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필드는 87byte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수신자 데이터 필드(201)는 수신 정보 확인을 위한 수신 번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CID 데이터 필드(203)는 발신 번호 정보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종래 발신 번호 표시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패이징 채널의 CID 데이터 필드에는 발신 번호 정보만이 포함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통화 연결 전 수신 단말기에는 발신자의 번호만이 표시되거나 수신 단말기의 설정에 따른 수신 단말기에 저장된 발신자의 사진이나 캐릭터 등이 표시되는 것이 전부였다. 비록 발신자가 자기 의사에 따라 발신 번호 표시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동반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발신자는 발신정보 즉 발신 번호 표시를 허용할 것인지만을 결정할 수 있을 뿐 자신의 의사에 의하여 발신 정보를 변경하거나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발신자에 의하여 설정된 문자 등이 전송되는 시스템이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신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는 패이징 채널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는 CID 데이터 필드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간단한 문자열이나 캐릭터에 그치는 것이 전부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패이징 채널의 용량을 초과하는 확장 발신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선택에 의해 발송된 확장 발신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자의 선택에 의해 발신자에 의해 발송된 확장 발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확장 발신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교환기가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사이에 트래픽 채널인 호를 설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는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 호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됨-를 포함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 발신 정보는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확장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측 교환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트래픽 채널인 호를 설정하는 발신측 교환기-여기서,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는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 호를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됨-;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수신측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301), 발신측 기지국((302), 발신측 교환기(303), 이동 통신망(305), HLR/VLR(307), 확장 발신 정보 호출/전송 프로그램(308), 수신측 교환기(309), 수신측 기지국(310) 및 수신 단말기(311)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301)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나 PDA,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통화 서비스와 함께 송신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여야 한다.
발신측 기지국(Originated Base Transceiver Station; O_BTS, 302)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발신 단말기(301)와 직접적으로 무선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가 발신 단말기(301)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발신측 기지국(302)은 기지국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를 받아 발신 정보를 수신측 기지국(31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신측 교환기(Orig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O_MSC, 303)는 발신 단말기(301)에서 착신 단말기(311)로 통화를 연결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301) 측의 교환기를 의미한다.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가장 중요한 망 구성 장치로서 유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이다.
HLR/VLR(Home Location Register/Visiter Location Register; 207)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이나 착신 상태, 위치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HLR/VLR(307)은 발신 단말기(301)와 수신 단말기(311)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측 교환기(303) 및 발신측 교환기(309)에 제공함으로써 채널을 통하여 접수된 정보를 호출 및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확장 발신 정보 호출/전송 프로그램(308)은 수신 단말기(311)의 설정에 따라 확장 발신 정보의 수신을 위하여 발신측 교환기(303)로 확장 발신 정보의 호출을 요청하고, 발신측 기지국(302)을 통하여 발신 단말기(301)로부터 접수된 확장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305)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수신측 교환기(Term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T_MSC, 309)는 발신 단 말기(301)에서 착신 단말기(311)로 통화를 연결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311) 측의 교환기를 의미한다.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가장 중요한 망 구성 장치로서 유선 통신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이다.
수신측 기지국(Terminated Base Transceiver Station; T_BTS, 31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수신 단말기(31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가 발신측 기지국(302)로 부터 접수되는 경우 수신측 기지국(310)은 기지국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제어를 받아 발신 정보를 수신 단말기(31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단말기(311)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나 PDA,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통화 서비스와 함께 수신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여야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서비스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자는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발신 단말기를 통하여 발신 옵션의 사용 여부를 선택(단계 401)할 수 있다.
발신자가 발신 옵션 사용을 선택(단계 403)한 경우, 발신 단말기는 발신할 확장 발신 정보(이하 "컨텐츠"라 함)를 선정할 것을 발신자에게 요구하고, 이에 따라 발신자는 자신이 발신하기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단계 405)할 수 있다. 발신자가 발신 옵션 사용을 선택한 경우(단계 405), 발신할 컨텐츠가 선정(단계 405)되면 발신 단말기는 패이징 채널의 CID 데이터 필드에 일반적인 발신 번호 데이타 외에 확장 발신 정보(컨텐츠)가 더 포함되어 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더 포함한 기본 CID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전송(단계 407))한다. 발신자가 선택하는 컨텐츠는 발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미리 녹음된 음성 등이거나 발신 단말의 컨텐츠 선정 요구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나 녹음한 음성 등일 수 있다.
반대로, 발신자가 발신 옵션 미사용을 선택(단계 409)한 경우, 발신 단말기는 발신자에게 별도의 컨텐츠 선정을 요구하지 않고, 페이징 채널의 CID 데이터 필드에 일반적인 발신 번호 데이타 외에 확장된 발신 정보(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더 포함한 기본 CID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전송(단계 407)한다.
수신자는 수신 단말기에 확장된 발신 정보의 수신 옵션 사용 여부를 선택(단계 411)할 수 있다. 수신자가 수신 옵션 사용을 선택(단계 413)한 경우,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수신 단말기는 패이징 채널을 통하여 접수된 기본 CID 데이터 중 확장 발신 정보 포함 여부를 알리는 데이터(이하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참고하여 컨텐츠 포함 여부를 조회(단계 415)한다.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단계 417), 수신 단말기는 컨텐츠 전송을 요청(단계 419)함과 동시에 트래픽 채널을 개방한다. 발신 단말기는 개방된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발신자가 선정한 컨텐츠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단계 421)하고, 수신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 단말기 내에 저장(단계 423)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수신자는 수신 옵션 선택 후에도 상기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는 경우라도 상기 컨텐츠의 전송 과정을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수신 단말기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컨텐츠의 전송이 끝난 경우 트래픽 채널을 닫고 컨텐츠를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들려준다(단계 429). 상기 컨텐츠는 발신자가 선정한 특정의 컨텐츠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미리 녹음된 음성 등이거나 발신시 촬영한 사진이나 녹음한 음성 등일 수 있다.
수신자가 수신 옵션 미사용을 선택(단계 425)하거나 수신 옵션 사용을 선택한 경우라도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427), 수신 단말기는 종래와 같이 기본 CID 데이터 중 발신 번호 데이터만을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발신 번호만을 표시하거나 수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나 캐릭터 등을 함께 표시(단계 429)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 옵션이 선택되고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 옵션이 선택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는 발신측 교환기로 호 접속 요청 신호(IAM; Initial Address Massage)를 전송(단계 501)한다. 상기 IAM 신호는 발신 단말기가 수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출중계선의 점유를 개시하고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기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순방향으로 보내는 메세지를 가리키며, 본 발명에서는 수신자 식별 번호 및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 등을 포함하는 기본 CID 데이터를 포함한다.
발신측 교환기는 HLR/VLR로 위치 정보 요청 신호(LOCREQ; Location Request)를 전송(단계 503)한다. 상기 위치 정보 요청 신호는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하기 위한 신호이다. HLR/VLR은 상기 위치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발신측 교환기로 위치 정보 응답 신호를 전송(단계 505)한다. 발신측 교환기는 HLR/VLR의 위치 정보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수신측 교환기에 IAM 신호를 전송(단계 507)한다. 수신측 교환기는 패이징 채널을 통화여 수신 단말기로 상기 IAM 신호를 전송(단계 509)한다. 상기 IAM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자 식별 번호 및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 등을 포함하는 기본 CID 데이터를 포함한다.
수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또는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측 교환기로 IAM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ACK)를 전송(단계 511)한다. 상기 ACK 신호는 IAM에 대한 응답 신호이며, 발신 단말기로의 확장 발신 정보를 요청해 줄 것을 요구하는 신호이다. 수신측 교환기는 발신측 교환기로 ACK 신호를 전송(단계 513)하고, 발신측 교환기는 발신 단말기로 ACK 신호를 전송(단계 515)한다. 상기 ACK 신호는 발신 단말기의 최초 IAM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이며,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의 인출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상기 ACK 신호가 발신 단말기에 전송되면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며, 발신 단말기는 수신 단말기로 확장 발신 정보를 전송(단계 517)한다. 상기 확장 발신 정보는 발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미리 녹음된 음성 등이거나 발신 단말의 컨텐츠 선정 요구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나 녹음한 음성 등일 수 있다. 수신 단말기는 상기 확장 발신 정보를 저장한 후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들려주게 되며 수신자는 발신자에 의하여 선택된 발신 정보를 보거나 듣고 통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사용되는페이징 채널(600)은 수신자 데이터 필드(601) 및 발신자 정보를 나타내는 CID(Calling Information Display) 데이터 필드(603)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데이터 필드는 87byte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수신자 데이터 필드(601)는 수신 정보 확인을 위한 수신 번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CID 데이터 필드(603)의 첫 비트는 확장 발신 정보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E_CID_IND;Extended Calling Information Display_Indicator) (605)이다. E_CID_IND(605)는 확장 발신 정보가 있는 경우 1로, 확장 발신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CID 데이터 필드(603)에는 발신 번호 데이터(CALL_NUM; Calling Number)(607)가 포함된다. CALL_NUM(607)는 확장 발신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수신 단말기에 발신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이징 채널(600)의 CID 데이터 필드(603)에는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605) 및 발신 번호 데이터(607) 외에도 확장 발신 정보의 종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E_CID_INF;Extended Calling Information Display_Information )(6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신자는 자신이 수신할 발신 정보를 예측하고 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발신 정보의 종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609)는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605)가 1로 설정된 경우에 한하여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말기의 WIPI 플랫폼 구조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단말기에 설치된 하드웨어 및 원 시스템 소프트웨어층(701) 위에 HAL(Handset Adaptation Layer)(703), WIPI 동작 엔진(705), 기본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및 확장 API(707)가 탑재된 구조를 갖고, 어플리케이션 메니져(709) 및 동적 컴포넌트(711)를 포함한다.
HAL(703)은 플랫폼 이식에 있어서 하드웨어 독립성을 지원하기 위한 계층이다. 이를 통해 단말기에 대한 추상화가 이루어지며,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플랫폼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위층들은 HAL 위에서 원 시스템과 무관하게 동작하게 된다.
기본 API 및 확장 API(707)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사용하는 API 모음이다. 기본 API는 C 및 자바 API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다른 개발 환경을 위한 API가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져(709)는 응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설치, 삭제 등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하고, API 및 컴포넌트들을 추가하거나 갱신한다. 또한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로서 WIPI의 일부가 된다. 동적 컴포넌트(711)는 어플리케이션 메니져(709)에 의하여 추가/ 갱신된 컴포넌트 들을 의미한다.
기본 어플리케이션(713)은 이메일, 게임, 케릭터 벨소리 등을 포함하며, 단말기 생산시 최초로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나타내며, 동적 어플리케이션(715)는 필요에 따라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들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져에 의하여 기존의 단말기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의 변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발신 정보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이징 채널의 용량을 초과하는 확장 발신 정보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의 선택에 의해 발송된 확장 발신 정보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자의 선택에 의해 발신자에 의해 발송된 확장 발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확장 발신 정보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교환기가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사이에 트래픽 채널인 호를 설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는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 호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됨-
    를 포함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발신 정보는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확장 발신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측 교환기로부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사이에 트래픽 채널인 호를 설정하는 발신측 교환기-여기서,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확장 발신 정보는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 호를 통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에 전송됨-;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기본 발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지시자에 상응하는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확장 발신 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수신측 교환기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050019529A 2005-03-09 2005-03-09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7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29A KR100676877B1 (ko) 2005-03-09 2005-03-09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29A KR100676877B1 (ko) 2005-03-09 2005-03-09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22A KR20060098922A (ko) 2006-09-19
KR100676877B1 true KR100676877B1 (ko) 2007-02-01

Family

ID=3763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529A KR100676877B1 (ko) 2005-03-09 2005-03-09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8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22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60908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과금요율 차등적용 및 위치표시 방법
KR20040069072A (ko) 착신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내려 받는 이동전화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103570A1 (en) Method, system and relevant apparatuses for select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US7957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o a wireless network the operational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or
KR200300392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KR20040048751A (ko)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JP4354875B2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676877B1 (ko) 확장 발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07738B1 (ko) 이동 단말의 벨소리 상태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1035853B1 (ko) 이동전화 사용자의 기념일 관리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043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방법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757006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49694B1 (ko) 근거리 무선통신방법
KR101129198B1 (ko) 멀티미디어 통화연결음/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방법
KR10053232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