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871A -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 Google Patents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871A
KR20030024871A KR10-2003-7002205A KR20037002205A KR20030024871A KR 20030024871 A KR20030024871 A KR 20030024871A KR 20037002205 A KR20037002205 A KR 20037002205A KR 20030024871 A KR20030024871 A KR 20030024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blowing agent
article
extrude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밀러래리엠
브레인델레이몬드엠
위클리미첼제트
시사르토마스이
프린스케리제이
Original Assignee
오웬스 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스 코닝 filed Critical 오웬스 코닝
Publication of KR20030024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9Mixtures of blowing agent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J9/141 - C08J9/14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08J2203/142Halogenated saturated hydrocarbons, e.g. H3C-CF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2Closed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cl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1/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1/91Plural blowing agents for producing nonpolyurethane cellular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압출 발포 제품의 제조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는 134a 및 알코올을 함유하는 발포제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 발포체 {EXTRUDED VINYL AROMATIC FOAM WITH 134A AND ALCOHOL AS BLOWING AGENT}
압출 합성 수지 발포체는 단열, 장식 효과, 포장 등을 비롯한 각종 용도에 유용한 물질이다. 압출 발포체는 통상적으로 중합체와 기타 임의의 첨가제를 용융시켜 중합체 용융물을 생성하고, 중합체 용융물을 적절한 온도 및 압력에서 발포제와 혼합하여, 발포제가 중합체 용융물에 가용성이 되는, 즉 용해되는 혼합물을 생성함으로써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발포제가 중합체 용융물에 불용성이 되며 기체로 전환되도록 감압 구역으로 압출할 수 있다. 발포제가 기체로 전환됨에 따라, 중합체 용융물 내에는 기포가 생성된다. 이 시점에서, 중합체 용융물을 냉각시켜, 발포제의 팽창의 결과로서 생기는 밀폐 셀을 포함하는 발포체 구조물을 생성한다.
압출 발포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발포제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 (CFC)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HCFC) 을 포함한다. CFC 및 HCFC 발포제의 잇점중 하나는 중합체 용융물 중에서의 이들의 높은 용해도이다. 발포제의 높은용해도는 중합체 용융물과 혼합시 점도 감소를 촉진한다. 차례로, 낮은 점도는 낮은 혼합 에너지 조건에 이르게 한다. 전통적인 발포제의 주요 단점은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기인하여 CFC 및 HCFC 발포제의 배제를 지시한 정부의 수가 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환경에 보다 우호적인 발포제를 위하여 전통적인 발포제를 대체하려는 운동이 있었다. 불행하게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HFC), 구체적으로 테트라플루오로에탄 (134a) 은 전통적인 발포제와 비교하여, 중합체 용융물 중에서 낮은 용해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는 알코올의 첨가에 의해 중합체 용융물 중에서 134a 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182,308 호 (Volker 등) ("Volker") 에는 일부가 HFC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발포제 조성물의 상세한 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Volker 의 발포제 조성물은 불충분한 단열성을 갖는 압출 발포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Volker 의 실시예는 어느것도 DIN 52 612 에 의해서 측정한 0.0376 W/mK 초과의 열전도율을 갖는 압출 발포체를 보여주지 못한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오직 134a 및 알코올 만을 함유하는 발포제를 사용함으로써, 단열성이 우수한 압출 발포체를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압출 발포체는 DIN 52 612 에 의해서 측정한 0.035 W/mK 미만, 바람직하게는 0.030 W/mK 미만의 열전도율을 가진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압출 발포 제품의 제조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는 134a 및 알코올을 함유하는 발포제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 발포 제품 및 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출 발포 제품은 99 부피% 의 134a 를 포함하는 기체를 함유하는 다수의 밀폐 셀을 가지며, DIN 52 612 에 의해서 측정한 0.035 W/mK 미만, 바람직하게는 0.030 W/mK 미만의 열전도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압출 발포 제품은 134a 및 알코올로 구성된 발포제 조성물로 제조된다. 발포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공급물의 총 중량에 대한 중량% 로 4∼8 중량% 의 134a 및 2∼5 중량% 의 알코올로 구성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건조 공급물" 은 압출되는 중합체 용융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발포제를 제외한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건조 공급물은 중합체 펠릿, 핵제, 가소제, 및 중합체 용융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타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은 압출 발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에 혼입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제 1 온도로 가열하여 가소화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고; 134a 및 알코올로 구성된 유체 발포제와 상기 가소화 수지 혼합물을 제 1 압력하에 그리고 상기 혼합물의 발포를 방지하는 조건하에서 완전히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포제 조성물을 혼입하여 가소화 수지 혼합물과 완전히 혼합하면, 수득된 배합물은 발포성 겔이라고 한다. 다음에, 발포성 겔을 제 2 온도 (통상, 다이 용융 온도라고 함) 로 냉각하고, 감압 (제 2 압력) 구역으로 압출하여 겔을 발포시키고 원하는 압출 발포 제품을 형성한다.
제 1 온도는 혼합물을 가소화 또는 용융시키는데 충분해야 한다. 제 1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5∼240 ℃ (275∼464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210 ℃ (293∼4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165 ℃ (302∼329 ℉) 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온도 또는 다이 용융 온도는 제 1 온도보다 낮다. 다이 용융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40∼105 ℃ (284∼221 ℉),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110 ℃ (266∼23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5∼115 ℃ (257∼239 ℉) 이다.
제 1 압력은 발포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겔의 사전발포를 방지하는데 충분해야 한다. 사전발포는 발포성 겔이 감압 영역으로의 압출전에 비바람직하게 미리 발포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압력은 발포성 겔 중의 발포제의 종류와 양에 따라 변한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제 1 압력은 700∼4,500 psia (4.826∼31.02 MPa) 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 1 압력은 840∼4,000 psia (5.791∼27.57 MPa) 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1 압력은 1,150∼3,500 psia (7.928∼27.57 MPa) 이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1 압력은 2,200∼3,495 psia (15.16∼24.1 MPa) 이다.
제 2 압력은 발포성 겔의 발포체로의 전환을 유도하는데 충분하며, 대기압 초과, 대기압 또는 대기압 미만일 수 있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제 2 압력은 0∼28 psia (0∼193 kPa) 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 2 압력은 1.4∼21 psia (9.652∼144.7 kPa) 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제 2 압력은 약 2.8∼15 psia (19.30∼103.4 kPa) 이다.
중합체
발포될 수 있는 임의의 중합체를 수지 혼합물중의 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일 수 있다. 적합한 플라스틱은 폴리올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페놀, 이들의 공중합체 및 삼중합체, 열가소성 중합체 블렌드, 고무 변성 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적합한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은 알케닐 방향족 단독중합체 및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과 공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은 또한 비-알케닐 방향족 중합체를 매우 적은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은 하나 이상의 알케닐 방향족 단독중합체, 하나 이상의 알케닐 방향족 공중합체, 하나 이상의 알케닐 방향족 단독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알케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블렌드, 또는 이들중 임의의 것과 비-알케닐 방향족 중합체의 블렌드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성에 관계없이,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은 5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초과의 알케닐 방향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 물질은 전부 알케닐 방향족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다.
적합한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 벤젠, 비닐 톨루엔, 클로로스티렌 및 브로모스티렌과 같은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에서 유도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케닐 방향족 중합체는 폴리스티렌이다.C2-C6알킬산 및 에스테르, 이오노머 유도체 및 C2-C6디엔과 같은 미량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을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과 공중합시킬 수 있다. 공중합성 화합물의 예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부타디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조는 폴리스티렌을 충분히 (즉, 95 %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부 포함한다.
압출 발포 제품의 성질은 중합체의 분자량을 선택함으로써 변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저밀도 압출 발포 제품의 제조는 저분자량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되는 반면, 고밀도 압출 발포 제품의 제조는 고분자량 또는 고점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발포제 조성물
본 발명의 발포제 조성물은 4∼8 중량% 의 134a 및 2∼5 중량% 의 알코올로 구성되며, 상기 % 는 건조 공급물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다. 알코올은 C1-C5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적합한 알코올의 예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임의 첨가제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에 혼입될 수 있는 임의 첨가제는 핵제, 적외선 약화제, 가소제, 난연성 화학제품, 안료, 엘라스토머, 압출 조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대전방지제, UV 흡수제 등을 포함한다. 이들 임의 첨가제는 원하는 특성의 발포성 겔 또는 생성 압출 발포 제품을 수득하기 위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의 첨가제는 수지 혼합물에 첨가하나, 대안적 방식으로,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에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 첨가제는 수지 혼합물중의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중합 공정전, 동안 또는 후에 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핵제의 예는 탈크, 규산칼슘, 탄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클레이, 실리카,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규조토, 인디고 등을 포함한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 부당 약 0.01 내지 약 2 부의 핵제가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 부당 약 0.05 내지 약 1 부의 핵제가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탈크는 중합체에 대해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4∼0.6 중량% 의 양으로 수지 혼합물에 핵제로서 첨가된다.
또한, 가소제를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에 첨가할 수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서 발포성 겔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발포성 겔에 첨가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가소제는 저분자량 수지 (분자량 약 20,000 미만) 이다. 가소제의 예는 액체 파라핀 또는 화이트 오일, 수소화 코코넛 오일, C4-C20모노알코올, 디올, 글리세린과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 스티렌 수지, 비닐 톨루엔 수지, 알파-메틸스티렌 수지 등을 포함한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부당 약 0.1 내지 약 20 부의 가소제가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 부당 약 1 내지 약 15 부의 가소제가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또한, 난연성 화학제품을 압출 발포체 제조 방법에 첨가할 수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생성되는 압출 발포 제품에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발포성 겔에 첨가된다. 난연성 화학제품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및 펜타브로모시클로헥산과 같은 브롬화 지방족 화합물, 브롬화 페닐 에테르, 테트라브로모프탈산의 에스테르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 부당 약 0.1 내지 약 5 부의 난연성 화학제품이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100 부당 약 0.5 내지 약 3 부의 난연성 화학제품이 발포성 겔에 혼입된다.
압출 발포 제품 성질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압출 발포 제품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저밀도, 전형적으로는 약 3 lbs/ft3(48.0 ㎏/㎥) 미만의 밀도를 가진다. 밀도는, 예컨대 ASTM D1622-88 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0.1∼3.75 lbs/ft3(1.60∼60.0 ㎏/㎥) 의 밀도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0.5∼3.75 lbs/ft3(8.00∼60.0 ㎏/㎥) 의 밀도를 가진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1∼3.75 lbs/ft3(16.0∼60.0 ㎏/㎥) 의 밀도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1.5∼3.56 lbs/ft3(24.0∼57.0 ㎏/㎥) 의 밀도를 가진다.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작은 평균 셀 크기, 전형적으로는 약 0.4 ㎜ 미만의 평균 셀 크기를 가진다. 평균 셀 크기는, 예컨대 ASTM D3576-77 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약 0.01 내지 약 0.4 ㎜ 의 평균 셀 크기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약 0.05 내지 약 0.35 ㎜ 의 평균 셀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약 0.1 내지 약 0.3 ㎜ 의 평균 셀 크기를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압출 발포 제품은 약 0.15 내지 약 0.25 ㎜ 의 평균 셀 크기를 가진다.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균일한 평균 셀 크기를 가지며, 전형적으로는 셀의 약 50 % 이상이 평균 셀 크기 약 0.06 ㎜ 내의 크기를 가진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셀의 약 60 % 이상은 평균 셀 크기 약 0.06 ㎜ 내의 크기를 가진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셀의 약 50 % 이상은 평균 셀 크기 약 0.05 ㎜ 내의 크기를 가진다. 또다른 양태에 있어서, 셀의 약 50 % 이상은 평균 셀 크기 약 0.045 ㎜ 내의 크기를 가진다.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통상적으로 다량의 밀폐 셀과 소량의 개방 셀을 함유한다. 밀폐 셀의 상대적인 양은, 예컨대 ASTM D2856-A 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의 셀의 약 70 % 이상은 밀폐 셀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의 셀의 약 80 % 이상은 밀폐 셀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의 셀의 약 90 % 이상은 밀폐 셀이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의 셀의 약 95 % 이상은 밀폐 셀이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임의의 방향에서 약 5 % 이하의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임의의 방향에서 약 4 % 이하의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임의의 방향에서 약 3 % 이하의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한 생성된 압출 발포 제품은 임의의 방향에서 약 2 % 이하의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치수 안정성은 ASTM D-2126/C578 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밀도는 ASTM 1622-88 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평균 셀 크기는 ASTM D3576-77 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열전도율은 DIN 52 612 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폴리스티렌을 160 ㎏/hr 의 속도로 난연제와 함께 동시 회전 2 축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폴리스티렌의 중량에 대해 0.5 중량% 의 탈크를 핵제로서 첨가하였다. 보다 양호한 혼합을 제공하도록 개량된 압출기내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탈크와 폴리스티렌인) 건조 공급물의 총 중량에 대해 5.50 중량% 의 HFC 134a 및 3.0 중량% 의 에탄올과 혼합하였다. 압출기상의 암페어수는 58 이었고, 압출기 배출 압력은 218 bar 였다. 생성된 겔을 성능이 향상된 냉각 시스템에 의해서 냉각시킨 후, 다이를 통해 저압 영역으로 발포시켰다. 다이에서의 압력은 90 bar 였다. 제조한 발포 패널은 밀도가 2.85 lbs/ft3(45.7 ㎏/㎥), 평균 셀 크기가 0.2 ㎜, 및 열전도율이 0.0271 W/mK 였다.
비교예 1
폴리스티렌을 100 ㎏/hr 의 속도로 난연제와 함께 동시 회전 2 축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폴리스티렌의 중량에 대해 0.5 % 의 탈크를 핵제로서 첨가하였다. 보다 양호한 혼합을 제공하도록 개량된 압출기내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탈크와 폴리스티렌인) 건조 공급물의 총 중량에 대해 11 중량% 의 HCFC 142b 와 혼합하였다. 압출기상의 암페어수는 42.8 이었고, 압출기 배출 압력은 234 bar 였다. 생성된 겔을 성능이 향상된 냉각 시스템에 의해서 냉각시킨 후, 다이를 통해 저압 영역으로 발포시켰다. 다이에서의 압력은 53 bar 였다. 제조한 발포 패널은 밀도가 2.52 lbs/ft3(40.4 ㎏/㎥), 평균 셀 크기가 0.25 ㎜, 및 열전도율이 0.025 W/mK 였다.
비교예 2
폴리스티렌을 160 ㎏/hr 의 속도로 난연제와 함께 동시 회전 2 축 압출기에공급하였다. 폴리스티렌의 중량에 대해 0.2 % 의 탈크를 핵제로서 첨가하였다. 보다 양호한 혼합을 제공하도록 개량된 압출기내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탈크와 폴리스티렌인) 건조 공급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의 HFC 134a 및 3.0 중량% 의 HFC 152a 와 혼합하였다. 압출기상의 암페어수는 67 이었고, 압출기 배출 압력은 233 bar 였다. 생성된 겔을 성능이 향상된 냉각 시스템에 의해서 냉각시킨 후, 다이를 통해 저압 영역으로 발포시켰다. 다이에서의 압력은 91 bar 였다. 제조한 발포 패널은 밀도가 2.75 lbs/ft3(44.0 ㎏/㎥), 평균 셀 크기가 0.15 ㎜, 및 열전도율이 0.0271 W/mK 였다.

Claims (12)

1.5∼3.0 lbs/ft3(24∼48 ㎏/㎥) 의 밀도, ASTM 2126/C578 에 의해서 측정한 4 % 이하의 임의의 방향에서의 치수 안정성, 및 DIN 52 612 에 의해서 측정한 0.035 W/mK 미만의 열전도율을 가지며, 셀의 70 % 가 134a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및 알코올로 구성된 발포제 기체를 함유하는 밀폐 셀인 셀을 포함하는 알케닐 방향족 열가소성 합성 수지 발포체.
제 1 항에 있어서, 셀의 80 % 가 밀폐 셀인 셀을 포함하는 제품.
제 1 항에 있어서, 셀의 90 % 가 밀폐 셀인 셀을 포함하는 제품.
제 1 항에 있어서, 핵제, 적외선 약화제, 가소제, 난연성 화학제품, 안료, 엘라스토머, 압출 조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대전방지제 및 UV 흡수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품.
제 1 항에 있어서, 탈크, 규산칼슘, 탄산칼슘, 스테아르산칼슘, 클레이, 실리카,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규조토, 인디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품.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파라핀, 수소화 코코넛 오일, C4-C20모노알코올, 디올, 글리세린과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 스티렌 수지, 비닐 톨루엔 수지, 알파-메틸스티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품.
제 1 항에 있어서, DIN 52 612 에 의해서 측정한 열전도율이 0.030 W/mK 미만인 제품.
하기 (a) 내지 (c) 의 단계를 포함하는 압출 발포 제품의 제조 방법:
(a) 중합체와 임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제 1 온도로 가열하여 가소화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b) 134a 및 알코올로 구성된 발포제와 상기 수지 혼합물을 제 1 압력하에 그리고 발포를 방지하는 조건하에서 완전히 혼합하여 발포성 겔을 생성하는 단계;
(c) 발포성 겔을 제 2 온도로 냉각시키고, 발포성 겔을 제 1 압력 미만의 제 2 압력으로 압출하여 겔을 발포시키고 압출 발포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제 8 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C1-C5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제 8 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제 8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중합체 및 임의 첨가제의 총 중량에 대해 4∼8 중량% 의 134a 및 2∼5 중량% 의 알코올로 구성되는 방법.
제 8 항에 있어서, 탈크가 임의 첨가제로서 존재하는 방법.
KR10-2003-7002205A 2000-08-17 2001-05-16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KR20030024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40,951 US6274640B1 (en) 2000-08-17 2000-08-17 Extruded foam product with 134a and alcohol blowing agent
US09/640,951 2000-08-17
PCT/US2001/015963 WO2002014411A1 (en) 2000-08-17 2001-05-16 Extruded vinyl aromatic foam with 134a and alcohol as blowing ag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151A Division KR100881874B1 (ko) 2000-08-17 2001-05-16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871A true KR20030024871A (ko) 2003-03-26

Family

ID=24570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205A KR20030024871A (ko) 2000-08-17 2001-05-16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KR1020077025151A KR100881874B1 (ko) 2000-08-17 2001-05-16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151A KR100881874B1 (ko) 2000-08-17 2001-05-16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274640B1 (ko)
EP (1) EP1311597B1 (ko)
JP (1) JP2004506765A (ko)
KR (2) KR20030024871A (ko)
CN (1) CN1195792C (ko)
AT (1) ATE453680T1 (ko)
AU (2) AU2001264643B2 (ko)
CA (1) CA2418103C (ko)
DE (1) DE60140946D1 (ko)
DK (1) DK1311597T3 (ko)
ES (1) ES2338754T3 (ko)
MX (1) MXPA03001386A (ko)
NZ (1) NZ524052A (ko)
WO (1) WO20020144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778A (ko) * 2015-11-05 2018-07-03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스티렌계 수지 압출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3981B1 (en) 2000-12-21 2007-08-2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low agent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fluorocarbons and a low-boiling alcohol and/or low-boiling carbonyl compound
DE60136485D1 (de) 2000-12-21 2008-12-1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reibmittelzusammensetzung und polymerschaum enthaltend ein normalerweise flüssiger hydrofluorkohlenwasserstoff und kohlenstoffdioxid
US20080287560A1 (en) * 2004-12-31 2008-11-20 Loh Roland R Polymer foams containing multi-functional layered nano-graphite
US8568632B2 (en) * 2003-11-26 2013-10-29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Method of forming thermoplastic foams using nano-particles to control cell morphology
US9359481B2 (en) 2003-11-26 2016-06-0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hermoplastic foams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ing nano-graphite
US9187608B2 (en) * 2005-09-08 2015-11-17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Polystyrene foam containing a modifier-free nanoclay and having improved fire protection performance
US20080242752A1 (en) * 2007-03-28 2008-10-02 Yadollah Delaviz Polystyrene foams incorporating nanographite and HFC-134
RU2009141968A (ru) * 2007-04-16 2011-05-27 Дау Гло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Us) Алкенилароматический пенопласт с низкорастворимыми фторуглеводородами
US7887909B2 (en) * 2007-07-26 2011-02-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ight transmissive foamed polymer sheet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90163609A1 (en) * 2007-12-20 2009-06-25 Lassor Richard D Low density and high density polyetherimide foam material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US20090163610A1 (en) * 2007-12-20 2009-06-25 Lanning Vincent L Continuous process for making polyetherimide foam material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859091B2 (en) * 2008-11-20 2014-10-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lored diffusion sheet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BR112013033178B1 (pt) 2011-06-27 2020-03-31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Espumas de polímero isolante e placas de espuma isolante rígida
CN108586869A (zh) * 2018-04-27 2018-09-28 上海新益电力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改性再生聚乙烯填充环保型电缆及其制备方法
CN111675831A (zh) * 2020-06-16 2020-09-18 普莱斯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hdb发泡橡塑隔音减震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1866A (en) 1989-11-08 1991-04-30 The Dow Chemical Company Insulating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EP0464581B1 (de) 1990-07-04 1995-02-22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S5147896A (en) 1991-05-20 1992-09-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oam blowing a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foams
DE4138388A1 (de) 1991-11-22 1993-05-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mit hoher druckfestigkeit
US5149473A (en) 1992-02-06 1992-09-22 Amoc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styrenic foam
US5244928A (en) 1992-08-07 1993-09-14 The Dow Chemical Company Foamab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large cell size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structure with 1,1-difluoroethane
US5434195A (en) * 1994-06-23 1995-07-18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open-cell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and process for making
US5688832A (en) * 1994-09-16 1997-11-18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alkenyl aromatic polymer foam
US5605937A (en) * 1994-09-30 1997-02-25 Knaus; Dennis A. Moldable thermoplastic polymer foam beads
SE504632C2 (sv) * 1994-12-12 1997-03-17 Rockwool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högisolerande cellplaster med ett klorfritt halogenerat kolväte som blåsmedel
US5674916A (en) * 1995-04-27 1997-10-07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open-cell microcellular alkenylaromatic polymer foams and process for making
US5650106A (en) * 1996-06-21 1997-07-22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foams having a monovinyl aromatic polymer with a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5869544A (en) * 1997-03-17 1999-02-09 The Dow Chemical Company Extruded, open-cell microcellular alkenyl aromatic polymer forms, process for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0882760B1 (en) * 1997-06-03 2003-11-05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synthetic resin
CN1371403A (zh) * 1997-12-18 2002-09-25 陶氏化学公司 包含hfc-134和低溶解度助发泡剂的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US6086788A (en) * 1999-03-15 2000-07-11 Alliedsignal Inc. Hydrofluorocarbon blown foam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DE19955146A1 (de) * 1999-11-17 2001-05-2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778A (ko) * 2015-11-05 2018-07-03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스티렌계 수지 압출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24052A (en) 2004-07-30
DK1311597T3 (da) 2010-04-19
US6350789B1 (en) 2002-02-26
US20020028855A1 (en) 2002-03-07
CA2418103C (en) 2009-11-10
US6274640B1 (en) 2001-08-14
CN1195792C (zh) 2005-04-06
JP2004506765A (ja) 2004-03-04
EP1311597B1 (en) 2009-12-30
WO2002014411A1 (en) 2002-02-21
CN1447833A (zh) 2003-10-08
ES2338754T3 (es) 2010-05-12
DE60140946D1 (de) 2010-02-11
AU6464301A (en) 2002-02-25
EP1311597A1 (en) 2003-05-21
KR100881874B1 (ko) 2009-02-06
AU2001264643B2 (en) 2006-01-05
ATE453680T1 (de) 2010-01-15
MXPA03001386A (es) 2003-06-06
KR20070117698A (ko) 2007-12-12
CA2418103A1 (en)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874B1 (ko) 발포제로서 134a 및 알코올에 의한 압출 비닐 방향족발포체
US5667728A (en) Blowing agent, expandabl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BRPI0809217A2 (pt) Espumas de poliestireno incorporando nanografita e hfc-134
AU2001264643A1 (en) Extruded vinyl aromatic foam with 134A and alcohol as blowing agent
US5422378A (en) Foamable styrenic polymer gel and resulting foam
CA2145297C (en) A process for making unimodal styrenic foam structure
KR100595337B1 (ko) 압출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0734789B1 (ko) 표면 결함이 감소된 압출 폼 제품
KR100350337B1 (ko) 물을하뷰스트림에주입하여제조한발포체
KR20120083389A (ko) San 압출 발포체
KR20010075187A (ko) 압출된 스티렌계 발포물의 제조 방법
KR20140017537A (ko) 고강도의 압출된 열가소성 중합체 발포체
US6342540B1 (en) Method for producing water expandable styrene polymers
MXPA02005370A (es) Producto de espuma extruida.
KR100626135B1 (ko) 스티렌계 발포물의 제조 방법
CA1080899A (en) Manufacture of fluorocarbon expanded polystyren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30

Effective date: 200809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112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30

Effective date: 20080930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