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245A -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245A
KR20030024245A KR1020010057299A KR20010057299A KR20030024245A KR 20030024245 A KR20030024245 A KR 20030024245A KR 1020010057299 A KR1020010057299 A KR 1020010057299A KR 20010057299 A KR20010057299 A KR 20010057299A KR 20030024245 A KR20030024245 A KR 2003002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water supply
opening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035B1 (ko
Inventor
남영식
김순태
Original Assignee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035B1/ko
Priority to US10/191,616 priority patent/US20030052051A1/en
Priority to CNB021321280A priority patent/CN1239224C/zh
Publication of KR2003002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6Calibrate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유출부로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상부에 제 1챔퍼를 갖는 제 1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2챔퍼 및 이 제 2챔퍼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연통되어 용수를 유출시키는 제 1 및 제 2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챔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제 1유입부 및 제 1연통공을 통과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유출부로 공급하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급수밸브를 용수가 경유하는 본체의 유입.유출부에 일체화함으로써, 용수를 이용한 단일기구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용수가 통과하는 연결관을 한장소에서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급수밸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급수장치는 통상적으로 생활용 단일기구(예를 들면 냉장고, 정수기, 전기세탁기, 식기세척기 또는 온수보일러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일기구에 장착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는 입.출구를 갖는 본체 및 이 본체를 통과한 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본체는 단일기구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입구측에서 유입한 후, 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입구측을 통해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용수는 연결관을 거쳐 단일기구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급수밸브로 공급되고, 이 급수밸브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용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사용처로 공급시키게 된다.
즉, 단일기구에 설치된 급수장치는 본체로부터 용수를 급수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단일기구의 전체적인 형상에 적합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연결관들을 본체 및 급수밸브에 각각 결합하여 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단일기구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본체 및 급수밸브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들을 결합,보수 또는 교체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본체 및 급수밸브가 단일기구내에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이들 본체 및 급수밸브로 용수를 공급시키기 위한 연결관들도 상기 본체 및 급수밸브의 배치상태에 의해 여러방향으로 나누어지면서 분산처리됨에 따라 상기 본체 및 급수밸브에 연결관들을 일일이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공정수가 많아지므로 인해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상기 본체 및 급수밸브에 연결관들을 각각 배치하는 과정에서 연결관들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자재비가 상승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는 연결관의 소정위치에 단독적으로 장착되어 공급된 용수를 하나의 출구측으로 개폐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연결관의 내측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주변기기들의 조작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단독적으로 사용된 급수밸브의 밀폐부위로 증가된 용수의 압력이 집중됨에 따라 급수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출구측에서 용수가 미세하게 누설되어 주변기기에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수의 공급시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급수밸브를 본체의 유입.유출부에 일체화함으로써, 급수장치가 적용되는 단일기구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단일기구내의 한장소에서 연결관들을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급수밸브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상부에 제 1챔퍼를 갖는 제 1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2챔퍼 및 이 제 2챔퍼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연통되어 용수를 유출시키는 제 1 및 제 2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챔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제 1유입부 및 제 1연통공을 통과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의 유량제어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의 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20 : 제 1개폐수단
30 : 제 2개폐수단40 : 제 1밀폐부재
50 : 가압부재60 : 탄성부재
70 : 제 2가동부재80 : 유량제어수단
90 : 결속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는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생활용 단일기구(예를 들면 냉장고, 정수기, 전기세탁기, 식기세척기 또는 온수보일러 등)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단일기구의 소정 위치로 유입.유출부를 갖는 본체(10)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10)는 일측에 연결관(1)을 통해 용수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1유입부(11)가 형성되고, 이 제 1유입부(11)의 상부에는 용수를 체류시킬 수 있도록 제 1챔퍼(12)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챔퍼(12)의 일측에는 제 2챔퍼(14)를 갖는 제 1연통공(13)이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챔퍼(14)에는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단일기구의 사용처에 따라 각각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제 2유출부(15)(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챔퍼(12)의 소정위치, 즉 상기 제 1연통공(13)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연결관(1) 및 제 1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1개폐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개폐수단(20)은 상기 제 1챔퍼(12)의 일측에 연결관(1)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제 1연통공(13)내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제 1가동부재(22)가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연통공(13)에 면접촉된 제 1가동부재(22)의 일단에는 제 1연통공(13)과의 면접촉시 기밀성이 우수한 밀폐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함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가동부재(22)의 타단에는 탄성력에 의해 제 1가동부재(22)를 밀어주어 제 1연통공(13)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1스프링(24)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가동부재(22)의 외주연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기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 1가동부재(22)의 외측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제 1가동부재(2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코일(26)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 1가동부재(22) 및 제 1스프링(24)은 하우징(25)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5)과 본체(10)의 결합부위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밀폐부재(28) 및 밀폐링(29)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개폐수단(20)에 의해 진입이 허용된 용수는 제 1연통공(13)을 통해 제 2챔퍼(14)로 공급되고, 상기 제 2챔퍼(14)의 상부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공급된 용수를 제 1 또는 제 2유출부(15)(16)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 2개폐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개폐수단(30)은 상기 제 1연통공(13)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체류시키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유출부(15)(16)와 연통되도록 제 2챔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챔퍼(14)의 바닥면(32)에는 상기 제 1유출부(15)와 연통되어 용수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제 2연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챔퍼(14)의 내측으로는 제 1밀폐부재(40)가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 1밀폐부재(40)는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42)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42)의 바닥으로부터 하향되게 다수개의 슬라이드홈(44)이 형성되며, 저면부의 중앙으로부터 상향되게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2유출부(16)와 연통되도록 제 1통공(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밀폐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44)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압부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44)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도록 작동편(5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52)의 하부측 외주연에는 제 1연통공(13)을 통해 공급된 용수가 상기 제2챔버(14)에 체류함과 동시에 제 2유출부(16)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 2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0)의 하단부 내측에는 기밀성이 우수한 제 2밀폐부재(56)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유출부(15)의 제 2연통공(33)과 제 1밀폐부재(40)에 형성된 제 1통공(46)을 상.하이동되면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챔퍼(14)의 바닥면(32)과 상기 제 2밀폐부재(56)의 사이에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60)가 개재되는데, 상기 탄성부재(6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32)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제 2밀폐부재(56)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밀폐부재(56)를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60)는 가압부재(50)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 1밀폐부재(40)의 제 1통공(46)을 제 2밀폐부재(56)가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연통공(13)을 통해 제 2챔퍼(14)로 공급된 용수는 제 2연통공(33)을 통해 제 1유출부(15)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1밀폐부재(40)의 안착홈(42)으로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부에 제 2스프링(72)을 갖는 제 2가동부재(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2스프링(72)의 상단부는 상단이 고정된 고정부재(74)의 하단부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74)는 제 2가동부재(70)의 이동시 제 1밀폐부재(40)의 슬라이드홈(44)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압부재(50)의 작동편(52)과 제 2가동부재(70)의 길이조절을 이룸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스프링(72)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부재(60)의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보다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가동부재(70)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홈(44)에 끼워진 가압부재(50)의 작동편(52) 상단부와 면접촉되어 작동편(52)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2가동부재(70)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가동부재(70)를 이동시키는 제 2코일(76)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2코일(76)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제 2가동부재(7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부재(50)의 작동편(52)을 슬라이드홈(44)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가압부재(50)의 하부에 개재된 탄성부재(60)는 제 2밀폐부재(56)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제 2밀폐부재(56)의 저면부위는 제 2연통공(33)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밀폐부재(40)의 제 1통공(46)으로부터 개방됨에 따라 제 1연통공(13)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제 2챔퍼(14), 가압부재(50)의 제 2통공(54) 및 제 1밀폐부재(40)의 제 1통공(46)을 통해 제 2유출부(16)로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및 제 2개폐수단(20)(30)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단일기구의 사용처에 따라 공급시키기 위한 작동설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제 1개폐수단(20)을 온(On)시키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제 1유입부(11)를 통해 제 1연통공(13)을 폐쇄하고 있던 제 1가동부재(22)가 제 1코일(26)의 전자기력에 의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연통공(13)을 개방시킴에 따라 용수는 제 2챔퍼(14)로 공급된다.
상기 제 2챔퍼(14)로 공급된 용수는 제 2개폐수단(30)에 의해 제 1 또는 제 2유출부(15)(16)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데, 여기서는 제 2유출부(16)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 2개폐수단(30)의 온(On)에 의해 용수는 제 2유출부(16)로 공급되는데, 이는 제 2코일(76)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되면서 제 2가동부재(70)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 2가동부재(70)의 이동에 의해 가압부재(50)내의 제 2밀폐부재(56)가 제 1유출부(15)의 제 2연통공(33)을 폐쇄시킴에 따라 제 1연통공(13)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제 2챔퍼(14)에서 가압부재(5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 2통공(54)을 통해 제 1밀폐부재(40)의 제 1통공(46)을 거쳐 제 2유출부(16)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유출부(15)로 용수를 공급할 경우에는 제 2개폐수단(30)을 오프(Off)시켜 제 2연통공(33)을 제 2밀폐부재(56)가 개방시킴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서, 상세한 작동설명은 앞에서 언급한 작동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1)의 내측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주변기기들의 조작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중적으로 밀폐부위를 갖는 제 1 및 제 2개폐수단(20)(30)이 본체(10)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본체(10)의 제 1 및 제 2유출부(15)(16)측에서 용수가 누설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유출부(15)(16)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80)이 설치되는데, 여기서는 제 1유출부(15)측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량제어수단(80)은 상기 제 1유출부(15)의 내측에 제 3연통공(81)을 갖는 지지플레이트(8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82)의 상면에는 저면이 면접촉되도록 곡면부(83)를 이루면서 내측 중앙에 유량조절공(84)이 형성된 유량조절부재(8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개폐수단(30)의 오프(Off)작동에 의해 용수가 제 2연통공(33) 및 제 1유출부(15)를 통해 압력이 증가한 상태로 유량조절부재(85)인 유량조절공(84)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유량조절공(84)은 지지플레이트(82)에 접하고 있는 곡면부(83)가 용수의 유체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되는데, 이때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된 유량조절공(84)은 곡면부(83)의 변형에 의해 상부가 좁아지고 하부가 넓어지면서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유출부(15)(16)를 통해 공급된 용수는 별도의 연결관(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제 2유출부(15)(16)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관(1)은 결속수단(90)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속수단(90)은 상기 제 1,제 2유출부(15)(16)의 내측에 연결관(1)의 외측면이 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재(92)가 개재되고, 이 탄성고정부재(92)의 하부에는 탄성고정부재(9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유동공(95)을 갖는 고정캡(94)이 제 1,제 2유출부(15)(16)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부재(92)는 내측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단이 탄성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되는 다수개의 탄성편(91)이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1)의 외측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게 된다.
상기 탄성고정부재(92)의 탄성편(91)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캡(94)의 유동공(95)내에 전.후이동되어 상기 연결관(1)을 착탈시키도록 록킹부재(9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고정부재(92)의 탄성편(91)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된 연결관(1)이 록킹부재(96)의 이동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보면, 먼저 상기 록킹부재(96)의 선단을 본체(10)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96)는 상기 고정캡(94)의 유동공(95)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96)의 선단은 상기 탄성고정부재(92)의 탄성편(9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상기 탄성편(91)은 연결관(1)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있던 상태에서 록킹부재(96)의 가압력이 더 크게 작용됨에 따라 연결관(1)의 외측면을 고정하고 있던 가압력이 제거되면서 상기 연결관(1)은 록킹부재(96)내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전환되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는 유입.유출부를 갖는 본체에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1 및 제 2개폐수단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용수를 이용하는 단일기구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유입.유출부를 갖는 본체에 제 1 및 제 2개폐수단이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연결관의 사용량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본체에 결합되는 연결관을 한장소에서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공정수가 줄어 들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내측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주변기기들의 조작에 의해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중적으로 밀폐부위를 갖는 제 1 및 제 2개폐수단이 본체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본체의 제 1 및 제 2유출부측에서 용수가 누설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상부에 제 1챔퍼를 갖는 제 1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2챔퍼 및 이 제 2챔퍼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연통되어 용수를 유출시키는 제 1 및 제 2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챔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제 1유입부 및 제 1연통공을 통과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또는 제 2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은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용수를 제 1연통공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 1연통공에 면접촉되고, 그 타단에 제 1스프링이 개재된 제 1가동부재; 및
    상기 제 1가동부재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으로 상기 제 1가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 1유입부를 통해 제 1연통공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허용하거나 차단시키는 제 1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개폐수단은
    상기 제 2챔퍼의 바닥면에 상기 제 1유출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 2연통공;
    상기 제 2챔퍼의 내측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하향되게 형성되며, 그 저면부의 중앙으로부터 소정높이 상향되어 상기 제 2유출부와 연통되도록 제 1통공을 갖는 제 1밀폐부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도록 상부에 작동편을 가지며, 상기 작동편의 하부측 외주연으로 상기 제 2챔버에 체류중인 용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제 2통공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의 내측에 제 2밀폐부재를 갖는 가압부재;
    상기 제 2챔퍼의 바닥면에 하단이 안착되고, 그 상단이 상기 제 2밀폐부재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제 1통공을 상기 제 2밀폐부재의 상단면이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연통공을 개방시켜 제 1연통공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제 1유출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편에 면접촉되면서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연통공에 제 2밀폐부재의 저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통공을 개방시켜 제 1연통공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제 2유출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제 2스프링 및 이 제 2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제 3고정부재가 순차적으로 개재된 제 2가동부재; 및
    상기 제 2가동부재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으로 상기 제 2가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2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유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수단은
    상기 제 1유출부의 소정위치에 제 3연통공을 갖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면접촉되는 하단에 곡면부를 가지며, 그 내측 중앙에 유출되는 용수량의 압력으로 유량이 조절되도록 유량조절공이 형성된 유량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2유출부의 일단에 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급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제 1,제 2유출부의 내측에 연결관의 외측면이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편이 형성된 탄성고정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하부에는 탄성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부 중앙에 유동공을 갖는 고정캡이 제 1,제 2유출부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캡의 유동공내에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탄성편에 면접촉되어 연결관을 고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8.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그 상부에 제 1챔퍼를 갖는 제 1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제 1연통공을 갖는 제 2챔퍼 및 이 제 2챔퍼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연통되어 용수를 유출시키는 제 1 및 제 2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챔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상기 제 2챔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제 1유입부 및 제 1연통공을 통과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또는제 2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
    상기 제 1 및 제 2유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 및
    상기 제 1,제 2유출부의 일단에 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KR10-2001-0057299A 2001-09-17 2001-09-17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KR10043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99A KR100433035B1 (ko) 2001-09-17 2001-09-17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US10/191,616 US20030052051A1 (en) 2001-09-17 2002-07-09 Fluid supplying manifold having multiple ports
CNB021321280A CN1239224C (zh) 2001-09-17 2002-08-30 具有多口部的供液歧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99A KR100433035B1 (ko) 2001-09-17 2001-09-17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245A true KR20030024245A (ko) 2003-03-26
KR100433035B1 KR100433035B1 (ko) 2004-06-07

Family

ID=1971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299A KR100433035B1 (ko) 2001-09-17 2001-09-17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52051A1 (ko)
KR (1) KR100433035B1 (ko)
CN (1) CN12392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4502B2 (en) * 2005-02-14 2008-08-19 Delta Power Company Harsh environment coil-actuator for a cartridge type valve
CN101325251B (zh) * 2008-07-23 2010-06-02 青岛武晓集团有限公司 一种多头间歇供液装置
CN102563180B (zh) * 2010-12-23 2014-02-12 李飞宇 一种流量调节阀
KR101270518B1 (ko) * 2011-10-05 2013-07-04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석 급수밸브
US20140096558A1 (en) * 2012-07-14 2014-04-10 Manitowoc Foodservie Compan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food zone of an ice machine from external contaminants
US9303604B2 (en) 2014-01-14 2016-04-05 Caterpillar Inc. Asymmetrical orifice for bypass control
CN109973672A (zh) * 2018-06-19 2019-07-05 李乔利 一种定量调水阀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590A (en) * 1982-08-30 1985-07-09 Eaton Corporation A.C. solenoid three way pilot valve
JPS62215182A (ja) * 1986-03-12 1987-09-21 Nippon Denso Co Ltd 電磁式圧力制御弁
KR100232848B1 (ko) * 1997-08-30 1999-12-01 윤종용 냉장고의 급수 조절장치
JP3715762B2 (ja) * 1997-12-05 2005-11-16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量調節器及び流量調節器を備えた多連電磁弁
US6003552A (en) * 1998-07-13 1999-12-21 Automatic Switch Company Rocker valve for sealing large orifices
KR20000011251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물공급장치
JP3661987B2 (ja) * 1999-12-16 2005-06-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電磁式給水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035B1 (ko) 2004-06-07
US20030052051A1 (en) 2003-03-20
CN1239224C (zh) 2006-02-01
CN1408459A (zh)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720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20100081827A (ko) 필터어셈블리와 밸브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KR100433035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US7096879B2 (en) Pillar sink mixer with hand spray
US5313985A (en) Modular valve assembly
KR100433034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CN1316189C (zh) 流体阀装置
KR20090071507A (ko) 온냉수혼합꼭지
KR101955859B1 (ko) 조립식 샤워수전
KR20030018275A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CN104646208A (zh) 喷枪
USRE24255E (en) Fluid mixing valve
CN108201359B (zh) 烹饪设备
KR200452398Y1 (ko) 감압밸브
CN111720588A (zh) 一种拨动式阀芯及应用该阀芯的阀
CN220803853U (zh) 一种流量调节器及花洒
CN208919390U (zh) 一种三阀组
CN215719448U (zh) 一种具有水路切换结构的控流泵及其构成的净饮系统
CN219850192U (zh) 一种带暂停的多按键联动切换机构
CN219699731U (zh) 破壁机的水路开关装置
CN216131065U (zh) 一种具有水路切换结构的新型控流泵及其构成的净饮系统
CN219126023U (zh) 一种茶吧机供水结构及茶吧机
CN215908048U (zh) 一种控流多路泵的控压结构
CN221323385U (zh) 阀芯部件
KR101179375B1 (ko) 감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