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151A -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 Google Patents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151A
KR20030024151A KR1020010057169A KR20010057169A KR20030024151A KR 20030024151 A KR20030024151 A KR 20030024151A KR 1020010057169 A KR1020010057169 A KR 1020010057169A KR 20010057169 A KR20010057169 A KR 20010057169A KR 20030024151 A KR20030024151 A KR 2003002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inform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희
조철형
손명기
공재섭
김시영
Original Assignee
앳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앳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앳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151A/ko
Publication of KR2003002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중교통을 사용하는 각 기점을 표준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정류장에 구비된 키오스크에 제공하며, 단거리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키오스크와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 사이에 구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정보를 서비스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정보를 네트워크상에서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한 대중교통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소정의 주파수로 무선 송수신하는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과,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대중교통정보를 송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제 2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Traffic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to mobile terminal connected at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 교통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에 무선정보제공 시스템을 구비하여 교통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대도시에서는 지하철,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을 운송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의 생활영역에서 벗어난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노선의 지하철과, 버스노선에 대한 사전정보를 알고 있어야만 가능하다.
이를 돕기 위하여 대중교통의 노선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버스정류장에 목적지를 선택할 경우 해당 버스노선을 표시하는 버스노선 안내표시장치가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최단 거리의 지하철노선과 시간, 환승지점 등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인터넷 사이트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를 설치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교통 정보제공장치는 대한민국특허출원 "2000-80362"(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1), PDA(2), 핸드폰(4)등의 정보 단말기와, 이를 인터페이스하는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10∼15)와, 인터넷을 통하여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이용 정보제공시스템(20)과, 대중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오스크(30)로 구성된다.
정보 단말기(1∼4)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대중교통 이용정보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를 대중교통 이용정보제공 웹사이트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정보는 주소, 상호, 업종 또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정보제공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전송한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경로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정보 단말기(1∼4)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목적지에 대한 최적경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키오스크(30)의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사용자는 전송받은 최적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향하는 도중에 대중교통 이용정보 제공시스템(20)과 연동하는 키오스크(30)에서 이미 전송받았던 최적경로 정보와 동일한 정보 또는 더욱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교통정보 제공시스템은 인터넷망 단말기가 인터넷에 접속된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으므로,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나 인터넷환경이 구비되지않은 단말기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정보제공 웹사이트에 네트워크로 접속된 키오스크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방적인 교통안내 시스템에 비하여 유용성이 있으나, 한 명의 사용자가 화면을 점유하고 있으면, 다른 사용자들은 차례를 기다려야 하므로,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사용량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버스정류장 등과 같이 교통기점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여 안내를 받아 직접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중교통을 사용하는 각 기점을 표준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정류장에 구비된 키오스크에 제공하며, 단거리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키오스크와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 사이에 구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정보를 서비스하도록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오스크에 의한 교통정보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 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교통기점 표준화 및 자료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5a, 5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교통기점 표준화의 결과를 이용하여 교통노선을 나타내는 자료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개인휴대단말기102,121 : 제 1, 제 2 블루투스모듈
120, 200 : 교통안내 키오스크122 : 중앙처리장치
123 : 통신접속부130 : 교통정보 안내서버
131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2 : DBMS
133 : 웹서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는 대중교통정보를 네트워크상에서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오스크를포함한 대중교통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소정의 주파수로 무선 송수신하는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과,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대중교통정보를 송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제 2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에 부가하여 표준화된 각 교통기점, 각 정류장의 고유명칭, 정류장이 위치한 지명, 정류장의 주소 데이터 및 버스 노선번호를 필드값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각 필드를 중심으로 재배열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는 상기 키오스크내부에 구비하거나, 또는 전용통신라인을 통해 접속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제 1 블루투스모듈(102)을 내장한 개인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제 1 블루투스모듈(1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대중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와,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서 요청된 대중교통정보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상기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로 전송하는 교통정보안내서버(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는 소정 주파수의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블루투스모듈(121)과, 제 2 블루투스모듈(121)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22)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전용통신라인으로 송출하는 통신접속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교통정보안내서버(130)는 대중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와,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132)과, 상기 DBMS(132)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웹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용통신라인으로 전송하는 웹서버(1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대중교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된 교통정보안내서버(130)에서 다수의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네트워크를 통해 교통정보를 전송하고,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는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구비된 제 2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주변에 위치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PDA, 전자수첩 또는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한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목적지까지 사용 가능한 대중교통편 정보를 얻고자 할 경우에 휴대하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100)에 교통안내 모드를 선택하면, 주변에 위치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를 탐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100)에서 교통안내모드를 선택하면, 내장되어 대기중인 제 1 블루투스모듈(102)이 구동되어 주변에 위치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를 탐색한다.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내장된 제 2 블루투스모듈(121)에서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블루투스모듈(102)과 접속하므로, 상기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와 개인휴대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는 버스정류장 등의 대중교통이용이 많은 곳에서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화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블루투스모듈를 이용하여 정보만 제공할 경우에는 별도의 화면장치가 필요없이 소형화하여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 파손의 위험을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유선 또는 무선 랜 접속포트를 구비하여 주변의 랜기기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개인휴대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여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이용 방법을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요청한다.
교통안내 키오스크(120)는 제 2 블루투스모듈(121)을 통해 무선 입력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22)에서 처리한 후 통신접속부(123)를 통해 교통정보 안내서버(130)에 전송한다.
교통정보 안내서버(130)에서는 웹서버(133)에 사용자의 정보검색 요청데이터를 입력하여 DBMS(132)에 해당 정보의 검색을 요청한다. DBMS(132)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웹서버(133)를 통하여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 응답하고, 교통안내 키오스크(120)에서는 제 2 블루투스모듈(121)을 통해 해당 개인휴대단말기(100)로 요청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되는 대중교통정보는 교통기점을 표준화하여 구축하는데, 그 실시예로 도 4a 내지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버스정류장은 고유한 이름을 부여받는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버스 정류소 3개의 자료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각 정류장은 고유한 이름과 통상적으로 그 정류장을 지칭할 때에 인지될 수 있는 지명, 예를 들어 압구정 한양아파트 앞이라던지, 성수대교 사거리등의 지명을 데이터로 가지며, 또한 행정 구역상 그 정류장에서 도보로 통상적인 거리에 있는 주변의 주소들을 주소 필드의 값으로 갖게 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각 필드를 중심으로 재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주소별로 가까운 정류장들을 나열하거나, 각 지명에 가까운 정류장들을 나열하는데 용이하다.
도 5a, 5b는 교통기점 표준화의 결과를 이용하여 각 버스의 노선에 대한 자료구조를 예시한 도로서, 각 버스의 노선은 이미 정해진 정류장의 고유명칭으로 배열한다. 시간에 대한 것은 버스의 첫차와 막차시간을 나타내며, 추가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료구조로 구축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노선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L00023'이라는 버스정류장에 위치한 사용자가 압구정동 갤러리아에 가기 위하여 현재 위치인'L00023'과 목적지인 압구정 갤러리아를 입력하면 DBMS(132)는 먼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을 탐색하여 압구정 갤러리아 주변의 버스정류장을 추출한다. 도 4a, 4b에 의하면 'K00084'와 'K00085'가 해당된다. 그리고는 현재 위치인 'L00023'을 지나는 버스의 노선을 검색하여 'K00084'나 'K00085'를 지나는 버스가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만약, 현재 위치에서 직접가는 버스가 없다면, 'K00084'와 'K00085'를 통과하는 버스노선을 검색한 후 'L00023'을 통과하는 버스노선과 교차하는 정류장이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 도 5b를 보면 'L00023'을 통과하는 29번 버스의 노선 중 'J00068'과 'K00084'를 지나는 11번 버스의 노선 중 'J00068'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검색하고자 하는 버스 연계정보는 'L00023'에서 29번 버스를 타고 'J00068'에 서 하차한 후 같은 지점에서 11번 버스를 타고, 'K00084'나 'K00085'에서 하차하면 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정보에 따라 정확하게 명기된 정류장에서 하차하게 되므로 목적지까지의 명확한 정보를 얻게 된다.
한편, 보다 복잡하게는 두 번 이상의 연계버스를 갈아타는 경우도 검색이 가능하며, 가장 최적의 연계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 제 1 블루투스모듈(102)을 내장한 개인휴대단말기(100)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제 1 블루투스모듈(1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대중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웹서버(133),DBMS(132) 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를 내장한 교통안내 키오스크(20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개인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정보가 필요할 경우, 휴대하고 있는 개인휴대단말기(100)에 교통안내 모드를 선택하면, 내장되어 대기중인 제 1 블루투스모듈(102)가 구동되어 주변에 위치한 교통안내 키오스크(200)를 탐색한다.
교통안내 키오스크(200)에 내장된 제 2 블루투스모듈(121)에서 제 1 블루투스모듈(102)과 접속하므로, 상기 교통안내 키오스크(200)와 개인휴대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교통안내 키오스크(200)는 개별적인 동작을 하도록 한다. 즉, 인터넷 등의 전용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와 접속할 필요없이 중앙처리장치(122)에서 웹서버(133)에 직접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즉, 제 2 블루투스모듈(121)에 전송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122)에 의하여 웹서버(133)에 이더넷 등의 통신접속장치가 필요없이 DBMS(132)에서 직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131)를 검색하여, 웹서버(133), 중앙처리장치(122)와 제 2 블루투스모듈(121)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모듈 뿐만아니라, RF 모듈등 단거리 무선네트워크 모듈로 변형가능하며, 대중교통정보 뿐만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개인휴대단말기(100)에 제공이 가능하므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는 하나의 키오스크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교통기점의 표준화와 교통연계정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므로 노선정보에 대한 명확하고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규모 수송수단의 이용율을 높여 대중 교통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교통환경 개선에도 지대한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세계적 표준화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하므로 외국 관광객도 자국에서 사용하던 블루투스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대중교통정보를 네트워크상에서 제공하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한 대중교통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에 전송된 대중교통정보를 소정의 주파수로 무선 송수신하는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 및
    상기 제 1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에서 전송된 상기 대중교통정보를 송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의 개인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제 2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단거리 무선전송수단은 고주파(RF)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에 부가하여 표준화된 각 교통기점, 각 정류장의 고유명칭, 정류장이 위치한 지명, 정류장의 주소 데이터 및 버스 노선번호를 필드값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각 필드를 중심으로 재배열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전용통신 라인을 따라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가 상기 키오스크 내에 위치하여 대중교통정보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 교통정보제공장치.
KR1020010057169A 2001-09-17 2001-09-17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KR20030024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69A KR20030024151A (ko) 2001-09-17 2001-09-17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69A KR20030024151A (ko) 2001-09-17 2001-09-17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51A true KR20030024151A (ko) 2003-03-26

Family

ID=2772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169A KR20030024151A (ko) 2001-09-17 2001-09-17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1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041B1 (ko) *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US8966001B2 (en) 2008-09-02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eployment and distribution model for improved content delivery system
US9178632B2 (en) 2008-09-02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nhanced media content rating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267A (en) * 1996-03-20 1998-10-20 Mcmillan; James Michael Web information kiosk
JPH1166015A (ja) * 1997-08-26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通機関利用案内装置
KR20000050157A (ko) * 2000-05-19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도로 정보 서비스 방법
JP2000222514A (ja) * 1999-01-29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パ―ソナル・デジタル・アシスタントを使用した金融取引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00064200A (ko) * 2000-08-29 2000-11-06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010069445A (ko) * 2001-03-23 2001-07-25 강민구 휴대단말을 이용한 버스노선 안내 및 검색 방법
KR20010102633A (ko) * 2000-05-02 2001-11-16 이창희 버스노선 db를 이용한 실시간 노선 안내 및 약도 전송및 찾기.
KR20020061785A (ko) * 2001-01-18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최단노선과 도착시간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267A (en) * 1996-03-20 1998-10-20 Mcmillan; James Michael Web information kiosk
JPH1166015A (ja) * 1997-08-26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通機関利用案内装置
JP2000222514A (ja) * 1999-01-29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パ―ソナル・デジタル・アシスタントを使用した金融取引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10102633A (ko) * 2000-05-02 2001-11-16 이창희 버스노선 db를 이용한 실시간 노선 안내 및 약도 전송및 찾기.
KR20000050157A (ko) * 2000-05-19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도로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00064200A (ko) * 2000-08-29 2000-11-06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020061785A (ko) * 2001-01-18 2002-07-25 엘지전자주식회사 지하철 최단노선과 도착시간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10069445A (ko) * 2001-03-23 2001-07-25 강민구 휴대단말을 이용한 버스노선 안내 및 검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6001B2 (en) 2008-09-02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eployment and distribution model for improved content delivery system
US9178632B2 (en) 2008-09-02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nhanced media content rating system
KR101337041B1 (ko) *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8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proximate devices based on time and heading information
US7263437B2 (en) Vehicle dispatching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US6956504B2 (en)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system,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method, and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program
US20060144920A1 (en) Identifiable reading tag, commercial system and portable device applying identifiable reading tag
JP200032244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503918A (ja) 移動端末をデータベースと接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025225A (ko) 위치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187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of a building, campus or retail structure with a mobile device
US7644132B2 (en) Home telematics system providing synchronization service between telematics terminal and computer and method thereof
KR20120087267A (ko) 다중 위치 기반의 po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4151A (ko) 키오스크에 무선 접속된 개인휴대단말기로의교통정보제공장치
US20090083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sightseers
KR101754304B1 (ko) Poi별 특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3357A (ko) 지역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JPH11261592A (ja) 位置依存情報提供方式
JP4167164B2 (ja) 営業支援システム
CN111949748A (zh) 多语言智能翻译电子地图系统
US20010055962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by using visu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KR101049200B1 (ko) 위치정보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대기 정보 확인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90214A (ko)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20120048411A (ko) 논리 공간 기반의 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2002171565A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0213949A (ja) 携帯型電話機によるナビゲ―ションシステム
JP200228820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3070041A (ja) 地図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