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432A -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432A
KR20030023432A KR1020010078573A KR20010078573A KR20030023432A KR 20030023432 A KR20030023432 A KR 20030023432A KR 1020010078573 A KR1020010078573 A KR 1020010078573A KR 20010078573 A KR20010078573 A KR 20010078573A KR 20030023432 A KR20030023432 A KR 2003002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wired
cal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271B1 (ko
Inventor
김병수
황혜정
오홍미
Original Assignee
(주)아이넥스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넥스트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아이넥스트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PCT/KR2002/0017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24080A1/en
Publication of KR2003002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유선전화기간 통화과금방법은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종료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 및 통화종료시간에 따라,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통화시간을 연산하여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 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찾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견된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전달받은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발신하는 단계를 가진다.

Description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A charging system for calls between wired telephones on the wire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by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하여 그 요금을 과금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은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과 접속된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과 복수개의 유선전화기를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여 이들간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전화기와 유선전화기간에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상기 교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선전화기간을 교환 연결하여, 또한, 유선전화기간에도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통화시스템은 무선전화통신망을 활용하여 복수개의 유선전화기가 자유롭게 외부와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유선전화기는 공중전화망(PSTN)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특정지역의 통신인프라 구축에 매우 유용한데, 왜냐하면 이미 구축된 무선전화통신망이 있는 경우, 이를 활용하여 유선전화기의 통화가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선전화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그 유선전화기 사용에 대하여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유선전화기가 서로간에 통화를 한 경우, 그에 대하여 과금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과금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유선전화기들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그 과금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기간 통화에 대하여 과금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은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과 접속된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과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여 이들간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전화기와 유선전화기간 및 상기 유선전화기 사이에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들 사이의 통화에 대하여, 통화를 시도한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통화시간을 측정하여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각각의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기지국으로 상기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신하여, 이를 전달받은 통신사업자가 각 유선전화기별로 유선전화기 사용시간에 근거하여 과금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발신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발송된 후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사업자의 과금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발신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발송된 후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통신사업자의 팩스기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유선전화기간 통화과금방법은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종료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 및 통화종료시간에 따라,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통화시간을 연산하여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 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찾는 단계와, 상기 기억된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견된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전달받은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발신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은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사용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어, 상기 교환국은 동일 유선전화기 번호에 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번호로써 이들을 구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은 각각의 유선전화기가 속하는 시스템 번호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유선전화기에 대한 시스템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이외에도 그 시스템 번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교환국과 약속된 프로토콜 필드에 상기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및 시스템번호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상기 교환국은 상기 시스템 번호를 활용하여 동일한 유선전화기 번호를 실질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이 다수 개 설치된 경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이는 시퀀스 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시간을 체크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보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에 저장되는 유선전화기 사용시간 테이블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과금데이터를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으로 발송하는 과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과금데이터가 무선전화통신망 사업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보이는 구성도; 그리고
도 8은 제어부로부터 무선통신모듈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통화시스템(100)은 무선전화통신망(300)으로 전화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으로부터 전화신호를 수신하는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을 가진다.
상기 무선전화통신망(300)은 기지국(310), 제어국(330) 및 교환국(350)을 가지며,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은 상기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기지국(310)으로 전화신호를 발신하거나 기지국(310)으로부터 전화신호를 수신하며, 이에 따라 공중전화망(PSTN)(200)을 통하여 상기 무선전화통신망(200)과 접속된 외부의 유선전화기(210) 또는 상기 기지국(310)과 통신하는 이동전화기(410)와 전화통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100)은 유선전화기접속부(30)를 가지며, 상기 유선전화기접속부(30)에 다수개의 유선전화기(1a, 1b, 1c, ···,1n)가 전화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상기 각각의 유선전화기(1a, 1b, 1c, ···,1n)는 고유의 전화번호를 가진다.
상기 시스템(100)은, 또한, 상기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과 상기 유선전화기접속부(30)에 접속된 다수개의 유선전화기(1a, 1b, 1c, ···,1n)를 교환 연결하고, 또한 상기 다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교환 연결하는 교환부(23)를 가지며, 나아가서 상기 교환부(23)에 스위치 되어 연결된 무선통신모듈 또는 유선전화기에 전화통화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안내부(24)를 가진다.상기 교환부(23)는 공지의 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 또는 키 시스템(Key system)에서 교환 연결을 이루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교환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안내부(25)는 링신호, 통화음 신호 또는 통화중 신호와 같은 전화통화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부(23)에 연결된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 또는 유선전화기(1a, 1b, ···, 1n)에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후술하듯이, 통화를 위하여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교환부(23)는 전화신호를 수신 또는 발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스위칭시키는 무선통신모듈 교환부(232)와, 상기 유선전화기접속부에 접속되어 전화신호를 수신 또는 발신하는 유선전화기를 스위칭하는 유선전화기 교환부(2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더부(24)는 상기 무선통신모듈 교환부(232)와 연결된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디코딩하는 무선통신모듈 디코더부(242)와 상기 유선전화기 교환부(231)와 연결된 유선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디코딩하는 유전전화기 디코더부(241)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교환부(23)와 연결된 무선통신모듈 또는 유선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DTMF 형태인 전화신호를 디코딩하여 이를 데이터화하는 디코더부(24)를 가진다.
이들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과, 상기 유선전화기접속부(30)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다수개의 유선전화기(1a, 1b, ···, 1n)와, 상기 교환부(23)와, 상기 안내부(25)와 그리고 상기 디코더부(24)는 제어부(21)와 연결되어 제어부(21)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제어부(21)는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모리부는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순서를 결정하는 제어프로그램이나 중앙처리장치가 기억하여야 할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21)는 유선전화기가 통화를 목적하는 유선전화기에 전화를 걸어, 목적 유선전화기가 전화를 받으면 그 통화시작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양 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전화를 끊어 통화가 종료되면 그 통화중단을 체크하여 그 통화종료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통화시작시간과 상기 통화중단시간에 따라 통화시간을 연산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수단을 가진다.
상기 디코더부(24)에서 디코딩되어 데이터화된 전화신호는 상기 제어부(21)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21)는 입력된 상기 전화신호 데이터를 활용하여 외부의 전화기와 유선전화기사이에 (또는 유선전화기들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시스템(100)이 다수개 설치된 경우를 보인다. 무선통신전화망(300)에 대하여, 상기 시스템(100)들은 지역별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100)이 이동식으로 완성된 경우, 이동장소에 따라서, 동일 지역 내에서도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외부의 전화기(210 또는 410)와 상기 유선전화기(1a, 1b,···, 1n)사이에서, 통상적으로, 통화가 실현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전화기(210 또는 410)에서 상기 유선전화기(1a, 1b,···, 1n)로 전화를 거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의 전화기(210 또는 410)가 상기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 중 어느 하나에 전화신호를 발신한다. 이 신호는 무선전화통신망(200)을 통하여 목적하는 무선전화통신모듈에 수신되고, 상기 전화발신을 시도한 외부전화기(210 또는 410)와 목적무선통신모듈사이에는 통화모드가 유지된다. 다시 말하여, 외부전화기 사용자가 사용전화기에 무선통신모듈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그 전화기는 전화신호를 발신하고 발신된 전화신호는 무선전화통신망(200)을 경유하여 목적하는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되어 외부전화기와 무선통신모듈사이에는 통화모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화통신망(200)의 교환국(350)은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 중 어느 하나에는 대표전화번호를 할당하고, 나머지 무선통신모듈의 전화번호는 포워딩 번호로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의 전화기 사용자가 대표전화번호로 전화를 발신한 경우에 상기 대표전화가 할당된 무선통신모듈이 사용중이라면, 상기 무선통신망의 교환국(350)은 자동으로 다른 무선통신모듈로 발신 전화신호를 포워딩한다. 따라서, 외부의 전화기 사용자는 각각의 무선통신모듈의 모든 전화번호를 알 필요가 없이, 상기 대표전화로만 전화를 하면 된다.
상기 제어부(21)는 무선통신모듈(10a, 10b, ···, 10n)과 연결되어 이들의 전화신호수신상태를 항시 체크한다. 무선통신모듈이 외부의 전화기(210, 410)로부터 전화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1)는 이를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21)는 상기 교환부(23)로 하여금 상기 전화신호를 수신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에 연결되게 하고 상기 교환부(23)와 연결된 디코더부(24)를 작동시킨다.
다음, 상기 제어부(21)는 안내부(25)로 하여금 상기 전화수신을 감지한 무선통신모듈로 목적하는 유선전화기의 고유번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의 전화기와 이미 통화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안내부(25)의 안내 메시지는 외부전화기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외부 전화기(210, 410)사용자가 목적유선전화기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이 입력신호는 통화모드가 설정된 무선통신모듈을 경유하고교환부(23)를 통하여 디코더부(24)로 전달된다. 외부전화기에서 입력하는 통화목적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인 입력신호는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DTMF 신호형태로 디코더부(24)로 전달되며, 디코더부(24)는 이 신호를 디코딩하여 데이터화한다. 디코딩된 목적 유선전화기의 고유전화번호데이터는 제어부(21)로 입력된다.
목적유선전화기고유번호 데이터를 읽은 제어부(21)는 그 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통화중이라면 제어부(21)는 안내부(25)로 하여금 통화중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달케 하여 목적유선화기가 통화중임을 외부전화기 사용자에게 알린다.
만일 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이 아니라면, 제어부(21)는 교환부(23)로 하여금 상기 목적유선전화기를 연결하게 한다. 그리고, 안내부(25)는 교환부(23)와 연결된 목적유선전화기에 링을 전달한다. 목적유선전화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음으로써 상기 외부전화기와 목적전화기간에 통화가 가능해진다.
본 시스템(100)에 접속한 다수개의 유선전화기(1a, 1b,···,1n)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외부의 전화기(210 또는 410)로 전화를 거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훅을 오프(off)하여 유선전화기가 통화를 시도한다. 상기 제어부(21)는 유선전화기 접속부(30)를 통하여 이와 접속된 다수개의 유선전화기(1a, 1b, ···, 1n)와 연결되어 상기 유선전화기의 전화신호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훅 오프가 있는 경우, 제어부(21)는 그 유선전화기의 통화시도를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21)는 교환부(23)를 제어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유선전화기를 교환부(23)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환부(23)에 연결된 디코더부(24)를 작동시킨다.
다음, 제어부(21)는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이 존재하는지를 찾는다.
만일 휴식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발견되지 않으면, 제어부(21)는 안내부(25)로 하여금 통화중 메시지(예를 들어 통화음)를 통화를 시도하는 유선전화기에 알리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상기 통화를 시도하는 유선전화기의 교환부(23)의 연결을 차단한다.
만일, 휴식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발견된 경우, 유선전화기로 통화음이 전달되고, 유선전화기 사용자는 통화를 목적하는 외부의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DTMF 신호인 외부전화기신호는 교환부(23)를 통하여 디코더부(24)로 전달되어 여기서 디코딩되어 데이터화 되어, 제어부(21)로 입력된다. 이 경우, 제어부(21)는 외부전화기 번호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더 이상 입력이 8초간 없는 경우 목적외부전화기 번호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유선전화기 사용자가 특수문자, 예를 들어 *, #문자를 입력하면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21)는 발견된 휴식 무선통신모듈을 교환부(23)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통화를 목적하는 외부전화기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상기 교환부(23)에 연결된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RS 232C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목적외부전화기번호를 수신전화기 번호로 하여 상기 무선전화통신망(200)의 기지국(310)으로 발신한다.
상기 유선전화기접속부(30)에 접속한 유선전화기들(1a, 1b,···, 1n)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유선전화기가 통화를 시도하면(훅 오프),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유선전화기를 교환부(23)에 연결하며, 또한 디코더부(24)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임을 알리기 위하여 유선전화기 사용자는 유선전화기에 특수문자를 입력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1)는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임을 인식한다. 대안으로서, 훅크를 한번 더 누르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유선전화기 사용자가 통화의 목적이 되는 유선전화기의 번호를 입력하면, DTMF 신호인 이 신호는 디코더부(24)로 전달되어, 디코딩되어 데이터화된다.
상기 목적유선전화기번호데이터를 제어부(21)는 읽어들여 통화목적유선전화기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 제어부(21)는 안내부(25)로 하여금 상기 통화시도 유선전화기로 통화중 신호를 보내게 한다. 만일, 상기 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이 아니라면, 제어부(21)는 상기 목적 유선전화기를 교환부(23)에 연결하고, 안내부(25)로 하여금 링을 전달하게 한다. 목적유선전화기가 전화를 받으면(즉 훅 오프), 상기 유선전화기와 목적유선전화기 사이에서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선전화기와 목적유선전화기들 중 어느 한쪽 유선전화기가 전화를 끊으면(즉 훅 온), 제어부(21)는 이를 감지하고 양쪽에 대하여 교환부(23)의 연결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과 접속하는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과 다수개의 유선전화기간을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며, 또한 유선전화기들 사이를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유선전화기 사이에 또는 상기 유선전화기들 사이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이들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21)는 각각의 통화시도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통화시작 시간 및 통화종료 시간을 체크하여 그 통화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기억한다. 다음,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동안의 통화시간을 합산하여 그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교환국(350) 발송한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는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통화시간에 근거하여 과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유선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통화를 시도한다. (S301) 그러면, 상기 제어부(21)는 이를 감지한다. (S302) 이때, 유선전화기 사용자가 유선전화기 통화임을 알리기 위하여 일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1)는 교환부(23)를 제어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유선전화기를 교환부(23)에 연결되도록 한다. (S303) 또한 상기 교환부(23)에 연결된 디코더부(24)를 작동시킨다. (S304)
유선전화기 사용자가 통화를 목적하는 목적유선전화기 번호를 입력하면(S305), 이 입력신호는 DTMF 신호로서 상기 교환부(23)를 통하여 디코더부(24)로 전달되어 디코딩되어 데이터화된다.(S306)
상기 목적유선전화기번호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1)는 읽어들여 목적유선전화기를 확인하고, 상기 목적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8) 만일 목적 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이라면, 제어부(21)는 안내부(25)로 하여금 통화중 신호를 상기 통화시도 유선전화기로 전달케 한다. (S309) 만일 목적 유선전화기가 통화중이 아니라면, 그 목적유선전화기를 교환부(23)에 연결한다.(S310) 그리고, 안내부(25)로 하여금 그 목적유선전화기에 링을 전달하도록 한다.(S311)
상기 목적유선전화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아, 통화가 이루어진다. (S312) 이때, 상기 목적유선전화기 사용자가 전화를 받은 것을 감지한 제어부(21)는 그 통화시작시간을 상기 통화시작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기록한다. (S313)
양 유선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전화를 끊으면(S314 또는 S314'), 제어부(21)는 이를 감지하고 양 유선전화기의 교환부 연결을 차단한다. (S315 및 S315') 이때, 양 유선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통화를 끊은 것을 감지한 유선전화기는, 그 통화중단시간을 상기 전화를 건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기록한다.(S316)
다음, 제어부(21)는 상기 통화시작시간 및 통화중단 시간에 따라, 상기 통화시도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통화시간을 연산하여 저장한다. (S317)
제어부(21)는 상술한 방식으로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통화시간을 측정하여 기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는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통화시간을, 도 5의 테이블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화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한 통화시간 데이터는 통신사업자에게 발신된다. 그러면, 통신사업자는 수신한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유선전화기들에 대하여 과금을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1)가 기억한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달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이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발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가 기억하는 각각의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일정 주기별로 통신사업자에게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유선전화기 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어부(21)는 먼저, 상기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 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찾는다. (S318) 그리고, 발견된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입력한다. (S319)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들은 RS 232C 통신으로 연결되어있어,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무선전화통신망(300)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시스템에 대하여 동일한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있을 수 있다.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는 각각의 유선전화기의 번호는 각기 다르지만, 다른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유선전화기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은 과금을 위해서는 동일한 유선전화기 전화번호를 실질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도 8은, 상기 제어부(21)에서 상기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보인다.
도 8의 (a)의 경우 상기 제어부(21)는 헤더정보와 유선전화기 번호와 상기 유선전화기의 통화시간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교환국(350)은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유전전화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통신모듈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지고 있다. 그러면, 교환국(350)은 동일한 유선전화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무선통신모듈 전화번호로서 이들을 구별할 수 있다.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어부(21)는 이와 교환 연결된 무선통신모듈로 헤더정보와 유선전화기 번호와 상기 유선전화기의 통화시간 정보이외에도 시스템 구별 번호를 가지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환통신망의 교환국(350)은 각각의 유선전화기가 속하는 시스템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교환국은 시스템 번호로서 동일한 유선전화기 전화번호를 구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1)는 유선전화기들에 대하여 그 시스템의 구별번호를 기억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1)로부터 각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사용시간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입력받은 무선통신모듈은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기지국(310)으로 전화신호를 발신한다. (S320) 이후, 상기 데이터는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교환국(350)으로 전달되어, 통신망 사업자는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선전화기간의 사용에 대하여 과금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발송된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팩스형태로 통신사업자에게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교환국에 설치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그러한 경우의 구성도를 보인다.
무선통신모듈로부터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기지국(310)으로 발송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무선전화통신망(300)의 제어국(330) 및 교환국(350)을 거쳐 공중전화망(200)을 경유하여 통신사업자의 팩스(250)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모듈로부터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기지국(310)으로 발송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무선전화통신망(300)의 제어국(330) 및 교환국(350)을 거쳐 IWF(Interworking Function)(400) 및 인터넷(500)을 경유하여 교환국(350)의 과금데이터베이스 서버(550)로 전달될 수 있다.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정보를 받은 통신사업자는 이에 근거하여 각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과금을 행한다.
도 4는 제어부(21)가 각 유선전화기별로 그 통화시간 정보를 얻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먼저, 유선전화기가 통화를 시도하는 목적 유선전화기가 전화를 받으면제어부(21)는 이를 감지한다. (단계 S401) 그리고, 제어부(21)는 통화시작시간을 체크하여 이를 기억한다. (단계 S402) 다음, 양 유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통화를 끊으면 이를 감지하고(단계 S403), 그 통화종료시간을 체크하여 기록한다. (단계 S404) 다음, 통화시도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상기 통화시작시간 및 통화종료시간에 따라, 통화시간을 연산하고, 이를 기억한다. (단계 S405)
도 6은 상기 제어부(21)가 일정 주기별로 기억한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그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발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1)의 동작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21)는 일정 주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S601) 만일, 일정 주기에 해당되면,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 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검색한다. (S602) 검색된 휴식무선통신모듈에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를 전달한다. (S603) 다음,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하여금 무선전화통신망(300)의 기지국(310)으로 상기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송케한다. (S60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 사이의 통화에 대하여 그 사용시간을 측정하여 각 유선전화기별로 그 사용시간을 기억하고, 기억된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여 그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전달하게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사업자는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각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과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6)

  1.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과 접속된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과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여 이들간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전화기와 유선전화기간 및 상기 유선전화기 사이에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선전화기들 사이의 통화에 대하여
    통화를 시도한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그 통화시간을 측정하여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각각의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데이터를 상기 다수개의 무선통신모듈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기지국으로 상기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신하여,
    이를 전달받은 통신사업자가 각 유선전화기별로 유선전화기 사용시간에 근거하여 과금을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간 통화에 대하여 과금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발신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발송된 후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사업자의 과금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간 통화에 대하여 과금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발신하는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발송된 후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통신사업자의 팩스기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간 통화에 대하여 과금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
  4.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과 접속된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과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유선전화기 사이를 교환부를 통하여 교환 연결하여 이들간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상기 외부의 무선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전화기와 유선전화기간 및 상기 유선전화기 사이에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
    (a)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b)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종료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와;
    (c) 상기 유선전화기와 목적전화기 사이의 통화시작시간 및 통화종료시간에 따라,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통화시간을 연산하여 기억하는 단계와;
    (d) 상기 복수개의 무선통신모듈 중 휴식하고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찾는 단계와;
    (e) 상기 기억된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발견된 휴식 무선통신모듈로 전달하는 단계와;
    (f)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전달받은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데이터를 통신사업자에게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유선전화기간 통화과금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은 각각의 유선전화기에 대하여 사용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어,
    상기 교환국은 동일 유선전화기 번호에 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번호로써 이들을 구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유선전화기간 통화과금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통신망의 교환국은 각각의 유선전화기가 속하는 시스템 번호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유선전화기에 대한 시스템 번호를 기억하고 있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각 유선전화기별 통화시간 이외에도 그 시스템 번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교환국과 약속된 프로토콜 필드에 상기 각 유선전화기별 사용시간 및 시스템번호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상기 교환국은 상기 시스템 번호를 활용하여 동일한 유선전화기 번호를 실질적으로 구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의 유선전화기간 통화과금방법.
KR10-2001-0078573A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2/001713 WO2003024080A1 (en) 2001-09-12 2002-09-12 A charging system for calls between wired telephones on the wire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by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72A KR20010090084A (ko) 2001-09-12 2001-09-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 전화통화 시스템
KR1020010056072 2001-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432A true KR20030023432A (ko) 2003-03-19
KR100510271B1 KR100510271B1 (ko) 2005-08-26

Family

ID=1971418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72A KR20010090084A (ko) 2001-09-12 2001-09-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 전화통화 시스템
KR1020010078469A KR20030023429A (ko) 2001-09-12 2001-12-12 요금미납 유선전화기에 대한 사용중지가 가능한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1-0078573A KR100510271B1 (ko)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1-0078493A KR100454614B1 (ko)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1-0078506A KR100427495B1 (ko)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72A KR20010090084A (ko) 2001-09-12 2001-09-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 전화통화 시스템
KR1020010078469A KR20030023429A (ko) 2001-09-12 2001-12-12 요금미납 유선전화기에 대한 사용중지가 가능한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493A KR100454614B1 (ko)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1-0078506A KR100427495B1 (ko) 2001-09-12 2001-12-12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외부전화기와 통화를 이룬 유선전화기의 과금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0100900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56B1 (ko) * 2007-03-14 2008-05-07 주식회사 원포유텔레콤 전화기를 이동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종단장치 및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911A (ko) * 1989-07-03 1991-02-26 최근선 흡수특성이 향상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960020319A (ko) * 1994-11-25 1996-06-17 배순훈 전화기의 통화료 누산/표시방법
KR960027656A (ko) * 1994-12-12 1996-07-22 정장호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사용 중지 및 해제방법
US6081716A (en) * 1995-05-04 2000-06-27 Interwave Communications, Inc.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KR0156175B1 (ko) * 1995-07-11 1998-11-16 문정환 전화기의 통화요금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100396276B1 (ko) * 1995-10-20 200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시스템에서통화과금검출방법
KR19980057415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전전자 교환기에서 과금 정보 자동 전송방법
KR100245987B1 (ko) * 1997-06-27 2000-04-01 서평원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요금 확인방법
JPH11127462A (ja) * 1997-10-23 1999-05-11 Oki Electric Ind Co Ltd 端末閉塞方法、ディジタル構内交換機および電話網
KR100273818B1 (ko) * 1997-11-28 2000-12-15 강병호 전전자교환기에서의과금데이터기록장치및그방법
KR19990054982A (ko) * 1997-12-27 1999-07-15 송재인 전화통화시간 계산방법
KR1999005613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고정장치의 휴대장치별 통화내역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360545B1 (ko) * 1999-03-25 2002-11-13 최정심 휴대형 유선전화기와 이를 이용한 전화서비스 방법
KR100348291B1 (ko) * 1999-04-20 2002-08-09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멀티유저를 위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0320910B1 (ko) * 1999-05-25 2002-02-04 서평원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호 처리 방법
KR20010017871A (ko) * 1999-08-16 2001-03-05 김진찬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보고 장치
KR100349018B1 (ko) * 1999-12-22 2002-08-14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일반전화기와 연동시킨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단말 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20058373A (ko) * 2000-12-29 200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번호를 이용한 전화사용 차단방법
KR20030014920A (ko) * 2001-08-13 2003-02-20 길동수 공용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전화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084A (ko) 2001-10-18
KR100427495B1 (ko) 2004-04-28
KR100510271B1 (ko) 2005-08-26
KR20030023429A (ko) 2003-03-19
KR20030023431A (ko) 2003-03-19
KR20030023430A (ko) 2003-03-19
KR100454614B1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271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50432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US6532362B1 (en) Over the air service provisioning (OTASP)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06154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음원 설정 시스템과 그 방법
WO1999033289A2 (en) Accelerated call establishment
JPH08275238A (ja) 公専接続方式
KR100348291B1 (ko) 멀티유저를 위한 무선가입자망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EP1282322B1 (en) Communications systems and mobile stations and installations for use therein
KR100789076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JPH0472850A (ja) 改番加入者選択接続方式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50038868A (ko) Rcf 방식에 의한 번호이동성 제공시 발신자 표시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CN101150784B (zh) 处理由专用小交换机向移动无线电网交换的连接的方法
KR100598580B1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58501B1 (ko) 개인통신가입자 부가서비스 원격기능제어방법
KR20060029417A (ko) 이동 단말기의 통화 실태 파악 방법 및 시스템
WO2003024071A1 (en) A wire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by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20040105412A (ko) 이동 전화망에서의 지능망 전화 처리장치 및 방법
WO2003024080A1 (en) A charging system for calls between wired telephones on the wire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by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method for the same
KR19980037038A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전환서비스방법
JPH1188956A (ja) 簡易携帯電話システムの自動転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