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698A -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698A
KR20030021698A KR1020010055079A KR20010055079A KR20030021698A KR 20030021698 A KR20030021698 A KR 20030021698A KR 1020010055079 A KR1020010055079 A KR 1020010055079A KR 20010055079 A KR20010055079 A KR 20010055079A KR 20030021698 A KR20030021698 A KR 2003002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semary
weight
eucalyptus
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아로마테라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아로마테라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아로마테라피
Priority to KR102001005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698A/ko
Publication of KR2003002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리(Eucalyptus)와 로즈마리(Rosemary)를 주성분으로 한 향치료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이 혼합된 공지의 향치료제에 있어서, 전체 중량비로서 유가리오일 30∼45%, 로즈마리오일 15∼45%와 기타 혼합오일로서 티트리오일 15∼25%, 페퍼민트 오일 15∼25%로 조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오일이 갖고 있는 효능이 상승되면서 부작용이 제거되도록 하며, 감기 및 비염의 치료예방에 쉽게 적용하여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A composite of aroma therapy made of Eucalyptus and Rosemary}
본 발명은 향치료제의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에 관한것으로, 특히 유가리(Eucalyptus)와 로즈마리(Rosemary)를 혼합 조성하여 각 조성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효능이 복합 되면서 치료 효과가 상승되므로 감기 및 비염등의 치료, 예방에 효과가 있도록 한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치료를 위하여 식물에서 추출되는 물질들 중에 휘발성이면서 독특한 향을 발산하는 에센셜 오일 성분을 이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자연의학적치료 방법이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오래전부터 살균소독, 피부미용, 향수제조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온 에센셜오일은 천연식물성 방향물질이 인체의 중추신경계와 피부세포를 통해 정신기능은 물론 피부 및 내부기관의 기능에 작용하여 다양한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많은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다.
에센셜오일은 인공합성물질로는 흉내낼 수 없는 수백개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알려져 있는 30%정도의 성분만으로도 인체에 작용되어 강력하고 특이한 효능을 나타낸다.
식물의 생물화학적 구조상 에센셜오일은 그 식물의 중추적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여 세포사이에 존재하는 호르몬과 같은 역할
을 하며,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일을한다. 즉 식물이 자신을 해충이나 질병으로 부터 보호하고 부화와번식을 하는데 관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여 환경에 적응하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센셜오일을 인체에 흡수시키면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
특히 향입자가 코점막의 실리아에 접속되어 후각신경을 거쳐 대뇌변역계로 이어지는 후각신경 변역계축은 정신 기능을 강화시켜 주거나 또는 진정 이완상태등을 만들어 주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200종 이상에 달하는 에션셜 오일 중에 원하는 정신기능과 피부상태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이때 한가지 오일 보다는 2∼3가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치료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2∼3가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그 효과가 인정되면서도 각 오일이 가지고 있는 고유성분이 인체에 작용할 때에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미흡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되는 각 오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되나, 종래에는 각 오일의 함량을 1방울 또는 2방울등의 단위로 혼합하므로서 적절한 오일의 혼합양을 조절할 수 없었다.
때문에, 상기와같이 2∼3가지 오일의 혼합하면 그 효가가 상승됨에도 불구하고 부작용등의 염려가 있어 오일의 혼합사용을 꺼리는 실정이었다.
종래의 감기치료에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은 라벤다 오일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라벤다 오일을 실내에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감기치료에 적용되었으나 여러가지 증세가 나타나는 복잡한 현상의 감기치료에는 그 효능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비염치료에 유가리가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유가리는 비염에만 적용될뿐 감기예방, 치료등의 효과는 기대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혼합조성하여 치료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 종류의 에센셜오일을 혼합조성함에 있어 각각의 오일이 갖고 있는 고유효능을 상승시키면서 부작용이 제거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능이 발휘되는 에센셜오일을 혼합하여 감기 및 비염을 다양한 각도에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센셜오일이 혼합된 공지의 향 치료제에 있어서, 전체 중량비로서 유가리오일 30∼45%, 로즈마리오일 15∼45%와 기타 오일을 혼합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유가리 오일은 유가리 나무에서 추출되는 것으로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으므로 기도에 효과를 발휘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점박의 상태를 좋게 하여 주며, 유행성감기, 인후감열증, 부비감염, 천식, 폐결핵등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감기와 꽃가루 알레르기에 의한 코막힘을 해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살균, 소독작용, 해열작용등 여러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가리 오일은 매우 강력한 향이므로 고혈압 증세가 있거나 간질을 앓는 사람등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것으로서, 그 혼합비율이 전체 중량에 4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30%미만이 되면 그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므로 혼합비율을 30∼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즈마리 오일은 로즈마리의 잎과 꽃핀선단부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되는 것으로서, 뇌세포에 활기를 주어 두뇌를 명석하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정신적 과로, 무기력증세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감기, 천식, 만성기관지염, 유행성감기등에 유익하며, 중추신경의 근간을 이루는 뇌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뇌에 활기를 줄뿐 아니라 두통과 편두통에 효과가 있다.
더욱이 환자를 지나치게 진정시키지 않으면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제로서 통풍이나 류머티즘 통증을 진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많은 치료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로즈마리 오일은 자극성이 아주 강하므로 간질염이나 고혈압환자에게 적당치 않고 임산부등 허약체질인 환자에게 과다한 사용이 제한되는 것으로서, 향치료제의 전체 중량에 대한 혼합비율이 4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15%미만이 되면 그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므로 혼합비율을 15∼45%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향치료제에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오일로서 티트리(Tea Tree)오일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이 사용된다.
상기 티트리 오일은 티트리나무의 잎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되는 것으로서, 이 오일의 주요한 효능은 면역계의 힘을 빌려서 감임증을 치유시키고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체내에 침입된 유기체에 대한 방어력이 증대되어 병에 대한 치유기간을 단축시키며, 특히 강력한 살균소독력을 갖고 있어 몸에서 독소를 땀으로 배출시키므로 유행성 감기, 독감등에 효능이 있다.
그러나, 상기 티트리 오일은 피부의 민감한 부위에 자극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것으로서, 향치료제의 전체에 중량에 대한 혼합비율이 2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15% 미만이 되면 고유효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혼합비율을 15∼25%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약초인 박하풀의 잎과 꽃의 선단부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되는 것으로서, 몸이 더울때는 냉각시키고 추울때는 따뜻하게 해주는 역활을 하므로 점액의 유출을 차단시키고 열을 낮추어 발환시키므로 감기에 효능이 좋으며 헛기침, 코막힘은 물론, 천식, 기관지염등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강력한 성질이 있으므로 연약한 피부나 눈 언저리등과 같은 부위는 자극될 우려가 있으며, 임산부나 산모에게 해가 될 수 있는것으로서, 향치료제의 전체 중량에 대한 혼합비율이 2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15%미만이 되면 고유효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혼합비율을 15∼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전체 중량비로서 유가리오일 40%, 로즈마리오일 30%, 티트리오일 15%, 페퍼민트 오일 15%를 혼합하여 향치료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향치료제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초기 상태에 감기 환자 성인 20명을 선정하여 향 치료제를 램프로써 실내에 발산되게 한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호전되는 상태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체온, 기침상태, 콧물등이 초기 발병단계와 전일에 비하여 호전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표 1>
호전상태\시간 1일 2일 3일 4일 5일
A 19명 9명 4명 1명 없슴
B 1명 11명 8명 4명 1명
C 없슴 없슴 8명 15명 19명
(실험인원 : 20명 실험기간 5일)
A : 환자의 상태 악화되거나 진전없음
B : 환자의 상태가 진전됨
C : 완쾌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환자의 상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2일째부터 호전되어 4, 5일 경과후에는 완쾌되는 결과가 나왔다.
<실시예 2>
중량비로서 유가리 오일 33%, 로즈마리 오일 40%, 파인(Pine)오일 27%를 혼합하여 향치료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파인오일은 소나무의 침엽이나 솔방울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서 강력한 살균소독작용이 있고 기관지염, 후두염, 유행성감기등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민감한 외부를 사주할 염려가 있으므로 향치료제의 전체 중량에 대한 함유량이 35%를 초과하면 상기의 부작용이 발생되고 20%미만이 되면 그 효능이 저하되므로 그 함유량을 20∼35%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 치료제는 알러지성 비염 예방 및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자연발산이나 램프등을 이용하여 환자가 호흡할때에 코를 통하여 호흡기 계통에 공급되도록 한 결과, 상당한 호전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가리 오일과 로즈마리 오일은 주성분으로 하여 기타오일을 첨가하여서 된 향치료제 조성물은 여러 종류의 오일이 각각 갖고 있는 고유효능이 상승되면서 부작용 발생이 억제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감기나 비염등 환자의 증세에 따라 향치료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부가되는 오일을 선택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 및 예방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향치료제를 환자에게 시술하는 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하면서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에션셜오일이 혼합된 공지의 향치료제에 있어서, 전체 중량비로서 유가리오일 30∼45%, 로즈마리오일 15∼45%와 기타 혼합오일로서, 티트리오일 15∼25%, 페퍼민트 오일 15∼25%로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향치료제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혼합오일은 파인 오일을 전체 중량비로서 20∼35%첨가하여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성분으로 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KR1020010055079A 2001-09-07 2001-09-07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KR20030021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79A KR20030021698A (ko) 2001-09-07 2001-09-07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79A KR20030021698A (ko) 2001-09-07 2001-09-07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98A true KR20030021698A (ko) 2003-03-15

Family

ID=2772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079A KR20030021698A (ko) 2001-09-07 2001-09-07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6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51A2 (ko) * 2010-05-19 2011-11-24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135A (ja) * 1990-10-09 1992-05-22 Kureha Chem Ind Co Ltd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KR930019228A (ko) * 1992-03-13 1993-10-18 한동근 약리 효과가 있는 가습기용 방향제
JP2563109Y2 (ja) * 1992-12-08 1998-02-1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漏光防止構造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010084813A (ko) * 2000-02-29 2001-09-06 김종철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용 향유조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135A (ja) * 1990-10-09 1992-05-22 Kureha Chem Ind Co Ltd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KR930019228A (ko) * 1992-03-13 1993-10-18 한동근 약리 효과가 있는 가습기용 방향제
JP2563109Y2 (ja) * 1992-12-08 1998-02-18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漏光防止構造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010084813A (ko) * 2000-02-29 2001-09-06 김종철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용 향유조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851A2 (ko) * 2010-05-19 2011-11-24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11145851A3 (ko) * 2010-05-19 2012-05-18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bins The science and art of aromatherapy
Stiles The essential oils complete reference guide: Over 250 recipes for natural wholesome aromatherapy
CN103223015A (zh) 一种治疗肌肉酸痛及皮肤痕痒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865004A (zh) 治疗鼻炎的外用中药吸入剂
KR100505486B1 (ko) 바이오 신물질 소재를 이용한 섬유소재와 그 제조방법
CN101473857B (zh) 中医环境医学处理剂第一医科制剂
KR20030021698A (ko) 유가리와 로즈마리를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US20190083564A1 (en) Neurological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Methods
KR20040022829A (ko) 식물 건초를 포함하는 베개
KR20030021699A (ko) 페퍼민트와 까밀레로망을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KR100377319B1 (ko)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US20120219644A1 (en) Coconut oil-based intranasal composition and use
CN111388571A (zh) 一种治疗鼻炎和感冒的复方精油
CN104932726A (zh) 具有舒缓压力功能的电脑用鼠标脚垫
KR200302707Y1 (ko) 식물 건초를 포함하는 베개
CN110464749A (zh) 治疗鼻炎的外用中药药油
Sharma Aroma Therapy
CN107982101A (zh) 一种有效修复再生的天然修复因子、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982321A (zh) 一种鼻塞用通气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arma The secret benefits of aromatherapy
CN106336722A (zh) 一种改良型印刷油墨
CN106189513A (zh) 一种遮盖型纺织品喷墨印花颜料油墨
KR101897951B1 (ko) 향훈증 뜸기구
Sharma et al. Aromatherapy as an adjuvant therapy in dentistry
KR20030034273A (ko) 라벤다와 마죠람을 주원료로한 향치료제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