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798A -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 Google Patents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798A
KR20030020798A KR1020010054272A KR20010054272A KR20030020798A KR 20030020798 A KR20030020798 A KR 20030020798A KR 1020010054272 A KR1020010054272 A KR 1020010054272A KR 20010054272 A KR20010054272 A KR 20010054272A KR 20030020798 A KR20030020798 A KR 2003002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face plate
coupling
receiv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식
Original Assignee
박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식 filed Critical 박관식
Priority to KR102001005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0798A/ko
Priority to US09/995,089 priority patent/US20030044037A1/en
Publication of KR2003002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2Amplifying systems for the dea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6Non-customized, universal ear tips, i.e. ear tips which are not specifically adap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ear or ea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9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하게 형상이 변화되는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팁, 쉘,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 페이스 플레이트, 밧데리실 덮개등 보청기 부품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사이즈로 규격화하여 보청기 부품을 대량 생산하고 보청기 부품을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연결 제작하여 다양하게 보청기 형상을 변화시키고 밧데리실 덮개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밧데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밧데리실 체적이 변형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Free hearing aid providing multi-shape and multi-function }
본 발명은 다양하게 형상이 변화되는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팁, 쉘,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 페이스 플레이트, 밧데리실 덮개등 보청기 부품을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사이즈로 규격화하여 보청기 부품을 대량 생산하고 보청기 부품을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연결 제작하여 다양하게 보청기형상을 변화시키고 밧데리실 덮개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밧데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밧데리실 체적이 변형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청각 장애가 있는 환자가 보다 확실하고 쾌적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종래의 보청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5, 6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청기의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이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보청기(900) 구조는 보청기 사용자의 귓 바퀴와 외이도의 귓본을 떠서 그것을 바탕으로 수작업으로 제작된 쉘(700)과; 상기 쉘(700)과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며 마이크로폰(460), 증폭기(420), 리시버(360), 밧데리실(870), 음량 조절기(440)가 연결 장착된 페이스 플레이트(80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에 장착된 증폭기(420)에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460)과; 상기 마이크로폰(460)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전기 신호로 증폭시키는 역할로서 칩(chip) 모양으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에 장착된 증폭기(42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에 장착된 증폭기에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리시버(360)와; 상기 쉘(700) 상단 출구까지 리시버(3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가이드관(310)과; 상기 리시버(360)를 음향 가이드관(310)에 고정시키는 리시버 고정덮개(32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에 장착된 증폭기(420)에 연결되고 보청기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44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60), 증폭기(420), 리시버(3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을 저장하는 밧데리실(870);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밧데리실 도어(85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청기 사용자의 귓 바퀴와 외이도의 귓본을 떠서 그것을 바탕으로 수작업으로 제작된 상기 쉘(700)의 유형은 보청기 사용자마다 귓본의 유형이 다르므로 각각 다르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규격화하여 쉘을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보청기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상기 쉘(70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의 결합은 상기 쉘(700) 하단부의 외단면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의 상위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착하였다.
따라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 표면에 장착된 부품등의 결함으로 보청기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이 발생하면 상기 쉘(700)과 보청기 부품이 장착된 페이스 플레이트(800)를 분리시켜야 하며 상기 쉘(700) 하단부의 외단면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의 상위 표면의 접착 부분을 도구(칼등)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분리시키는 방법밖에 없으며 이 강제 분리 과정에서 상기 쉘 표면 또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800) 표면에 장착된 부품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강제 분리를 위한 도구(칼등)의 사용으로 분리 작업자에게 상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청기 체적은 보청기 사용자의 귓 바퀴와 외이도의 사이즈에 따라 그 크기가 약간 차이가 있지만 매우 작아서 밧데리실의 체적은 큰 대용량의 대형 사이즈보다 밧데리실의 체적이 작은 소용량의 소형 사이즈의 밧데리가 더 적합하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 보청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밧데리가 필요하지만 소용량의 밧데리를 사용하는 종래의 보청기(900)가 대용량의 밧데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밧데리실(870)의 체적을 증가해야 하지만 종래의 보청기의 밧데리실(870)의 체적은 일정 용량의 밧데리 사이즈만 가능하도록 제작되므로 보청기 외형 구조의 변경없이는 밧데리실(870)의 체적을 증가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보청기 사용자들의 귀는 본래 귀에지(일명 귀지)라고 불리는 물질을 분비한다. 귀에지는 귀에 내부 구조를 청결하게 하는 반면에 보청기의 음향 가이드관을 통해 리시버내로 흘러 들어간다. 귀에지가 리시버로 들어가면 리시버를 귀에지가 막아서 리시버의 적절한 작동을 간섭 방해하여 리시버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시켜 이어팁, 쉘, 페이스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 페이스 플레이트, 밧데리 덮개등을 대량 생산함으로서 대량 생산에 따른 보청기의 제조 단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청기 부품들을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제작하여 보청기 부품등의 결함이 발생되어도 보청기의 타 부품과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서 보청기 타 부품의 손상없이 보청기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의 일부 부품의 기능을 변경해도 타 부품의 구조 변경 없이 결합 구조에 의해 결합함으로서 보청기의 기능을 다양화시키고 보청기의 각 부품별로 독자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획기적인 보청기의 제조 공정을 구현하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기의 구조의 변형없이 밧데리를 삽입하는 밧데리실의 체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밧데리실 덮개를 제작하여 밧데리실 덮개의 변형만으로도 적은 용량의 소형 사이즈의 밧데리를 보청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의 대형 사이즈의 밧데리로 변형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시버 외부에 미세한 그물망 덮개를 설치하여 귀에지가 음향 가이드관을 통해 리시버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켜 리시버의 적절한 작동을 간섭 방해 및 리시버의 출력 저하에 따른 발생될 수 있는 보청기 고장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보청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은 종래의 보청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보청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이어팁과 쉘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쉘과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페이스 플레이트와 밧데리실 덮개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밧데리실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밧데리실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보청기의 밧데리실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4은 종래의 보청기의 밧데리실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다양한 사이즈의 셀과 이어팁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음향 가이드관의 걸림턱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리시버의 보호를 위한 그물망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8는 종래의 보청기의 쉘 제작 공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어팁 200 : 쉘(본 발명)
300 :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 400 : 페이스 플레이트(본 발명)
500 : 밧데리실 덮개(본 발명) 600 : 보청기(본발명)
700 : 쉘(종래 기술) 800 : 페이스 플레이트(종래 기술)
850 : 밧데리실 덮개(종래 기술) 900 : 보청기(종래 기술)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보청기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청기는 구조는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맞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이어팁(100)과; 상기 이어팁(100)과 결합 홈(220), 결합 턱(12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고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쉘(200)과; 상기 쉘(200)과 결합 홈(240), 결합 턱(31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결합 홈(350), 결합 턱(47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증폭기(420), 리시버(360), 밧데리실(560), 음량 조절기(440)가 장착된 페이스 플레이트(400)와;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증폭기(420)에 연결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마이크로폰(460)과; 상기 마이크로폰(460)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전기 신호로 증폭시키는 역할로서 칩(chip) 모양으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증폭기(420);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상기 증폭기(420)에 연결되고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리시버(360)와; 상기 리시버(3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쉘(200) 상단 출구까지 전달하는 음향 가이드관(26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상기 증폭기(420)에 연결되고 보청기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44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60), 증폭기(420), 리시버(3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을 저장하는 밧데리실(56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480, 495)과 밧데리실 덮개(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520, 54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밧데리실 덮개(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보청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에 대한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100)은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 맞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 하였다.
특히, 상기 이어팁(100)은 결합 홈(220), 결합 턱(120)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쉘(200)과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어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 맞도록 하였다.
또한, 이어팁의 재질은 외이도 표면에 접촉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없고 외이도의 내경 크기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사용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였다.
상기 쉘(200)은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시켰으며 상기 쉘(200)상단에는 상기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이어팁(100)과 결합 홈(220), 결합 턱(12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하고 하단에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결합 홈(240), 결합 턱(310)에 의해 결합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어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 맞도록 하였다.
상기 쉘(200) 내부에는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을 설치하고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을 통해서 외피의 출구(150)까지 음성신호는 이동시키고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에 90도 방향으로 4개의 걸림턱을 각각 설치하여 내부 밀도을변화시키도록 설치하여 음압을 향상시켰다.
상기 쉘(200)의 재질은 귓바퀴와 외이도 표면에 접촉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없고 귓 바퀴의 외형구조와 외이도의 내경 크기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사용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였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는 상단에는 상기 쉘(200)과 결합 홈(240), 결합 턱(31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어 하단에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와 결합 홈(350), 결합 턱(47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었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은 증폭기(420), 리시버(360), 밧데리실(560), 음량 조절기(440)를 장착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 상단에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결합 홈(350), 결합 턱(47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고 하단에는 상기 밧데리 덮개(500)와 결합 홈(480), 결합 턱(54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되도록 제작되었다.
상기 마이크로폰(460)은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상기 증폭기(420)에 3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있다.
상기 증폭기(420)는 상기 마이크로폰(460)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전기 신호로 증폭시키는 역할로서 칩(chip) 모양으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리시버(360)은 상기 증폭기(420)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상기 증폭기(420)에 3선으로 연결되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리시버(360)에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상기리시버(360)를 보호하는 그물망 필터로(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은 상기 리시버(3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쉘(200) 상단 출구까지 전달하고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은 내부에 90도 방향으로 4개의 걸림턱을 각각 설치하여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 밀도을 변화시킴으로서 음압을 향상시켰으며 음파의 방향성을 유지시켜 음파의 변형을 방지하였다.
상기 음량 조절기(440)은 보청기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상기 증폭기(420)에 부착되어있다.
상기 밧데리실(560)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60), 증폭기(420), 리시버(360), 음량 조절기(4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을 저장하여 공급한다.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과 보청기 외피의 출구(150)를 통해서 음성신호는 보청기 밖인 외이도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과된 음성신호는 사용자의 고막을 진동시킨다.
상기 밧데리실 덮개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480, 495)과 밧데리실 덮개(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520, 54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었다 .
도 7은 본 발명의 이어팁과 쉘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이어팁(100)과 상기 쉘(200)은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 맞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 하였으며 상기 이어팁(100) 하단에 형성된 결합턱(120)과 상기 쉘(200)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의해 결합 분리되도록 제작되었다.
특히, 상기 이어팁(100)과 상기 쉘(200)의 재질은 귓불의 외형과 외이도의 내경 크기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형되는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사용하여 미소한 하압력에 의해서도 결합 분리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쉘과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쉘(200)은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하였으며 상기 쉘(200) 내면의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24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310)에 의해 결합 분리되도록 제작되었다.
특히, 상기 쉘(200)의 재질은 귓불의 외형과 외이도의 내경 크기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형되는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사용하여 미소한 하압력에 의해서 결합 분리를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결합 분리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은 증폭기(420), 리시버(360), 밧데리실(560), 음량 조절기(440)를 장착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300) 커버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35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470)에 의해 결합 분리되도록 제작되었다.
특히, 상기 페이스 플레이스(400)의 결합턱(470) 하단에 결합 분리용 원터치버튼(480)을 형성하여 강제 삽입하거나 원터치 버튼(480)을 눌러서 분리되도록 제작되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보청기의 페이스 플레이트와 밧데리실 덮개의 결합 분리 단면도이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3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490, 495)과 상기 밧데리실 덮개(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520, 540)에 의해 결합 분리되도록 제작되어 미소한 하압력에 의해서 결합 분리할 수 있다.
도 11, 12은 본 발명의 보청기 밧데리실 덮개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보청기의 전원은 DC 1.4V이고 밧데리의 용량에 따라 밧데리 바닥 면적, 높이 및 밧데리실의 체적이 달라진다.
상기 밧데리실 덮개(500)은 결합턱(520)에 의해 결합 분리 되도록 제작하여 밧데리실 덮개을 변형하여 교체만으로도 밧데리를 삽입하는 밧데리실의 체적을 변형시켜 적은 용량의 소형 사이즈의 밧데리실(570)를 대용량의 대형 사이즈의 밧데리실(580)로 변경하여 밧데리를 삽입하였다.
도13, 14는 종래 보청기 밧데리실 도어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종래의 보청기(900)는 사용할 수 있는 밧데리실(870)의 체적을 일정용량의 밧데리 사이즈만 가능하도록 고정 제작하고 밧데리실 도어(850)에 의해 밧데리를 삽입 고정하였다.
도 15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다양한 사이즈의 이어팁과 셀의 단면도이다.
상기 이어팁(100)과 셀(200)은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꼭 맞도록 다양한사이즈(15-a, 15-b, 15-c)로 규격화 하였다.
따라서, 상기 이어팁(100)을 외이도 내경의 크기에 따라 내경을 일정하게 축소 변경하여 규격화된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하였고 상기 셀(200)은 귓바퀴 외형구조와 외이도의 내경 크기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인 실리콘을 일정하게 축소 변경하여 규격화된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하였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음향 가이드관의 걸림턱의 단면도이다.
상기 리시버(3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쉘(200) 상단 출구까지 전달하고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은 내부에 90도 방향으로 4개의 걸림턱을 각각 설치하여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음압을 향상시켰으며 음파의 방향성을 유지시켜 음파의 변형을 방지하였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보청기의 리시버의 보호를 위한 그물망 필터의 사시도이다.
상기 리시버(360) 외부에 미세한 그물망 필터(340)를 설치하여 귀에지가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을 통해 상기 리시버(360)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켜 상기 리시버(360)를 보호한다.
도 18는 종래의 보청기의 쉘 공정과정이다.
실리콘이 삽입된 주사기(730)를 통해 보청기 사용자의 귀(710)의 표면에 실리콘 분사하여 삽입하는 분사하는 분사 공정(18-a)와 상기 분사 삽입된 실리콘을 귀(710)의 표면에서 겔 상태로 굳어진 귀형을 본뜬 이어 몰드(730)를 귀(710)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공정(18-b)과 분리된 상기 이어 몰드(730)를 귀형에 맞게 절단하는 절단공정(18-c)과 절단된 이어 몰드(740)를 작업판 중앙부에 위에 놓고 그 위에 원기둥 모양의 양쪽면이 개방된 비이커(750)를 덮어서 화학 용액인 졸(sol) 상태의 아가(AGAR)를 상기 원기둥 내부에 붓어서 혼합하는 혼합 공정(18-d)과 상기 이어 몰드(740)와 그 위에 일정량 붓어진 아가가 담긴 상기 원기둥을 물에 담궈서 완전히 식힌 후 상기 작업판을 뒤집고 작업판과 원기둥을 제거하면 몰드와 그 위에 굳어진 아가가 180도 뒤집힌 원기둥 모양으로 남는다. 이때 원기둥의 상단부에 이어 몰드(740)가 놓여진다. 상단부에 놓여진 이어 몰드(740)를 굳어진 아가로부터 분리하면 분리된 몰드 모양이 아가의 상단부에 몰드 음형을 생성하는 몰드 음형 생성 공정(18-e)과 상기의 아가의 몰드 음형에 일정 혼합액인 레진을 주입하는 주입 공정(18-f)과 일정 시간 경화 후 완전히 경화된 레진을 아가로부터 빼내어 분리하여 레진을 자르고 다듬는 공정(18-g)으로 쉘(700)이 제작된다.
상기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자마다 개개인의 귓본 유형이 다르므로 보청기의 쉘 구조를 각각 수작업으로 제작해야하는 방법을 개선시켜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시켜 쉘을 제작함으로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공정 과정에서 수작업 공정이 적어짐에 따라 제조 기간이 크게 개선되어 제작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보청기 부품들을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상호 연결함으로서 보청기 부품등의 결함이 발생되어도 보청기 타 부품의 손상없이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청기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이 가능하며 보청기 일부 부품의 변경만으로도 보청기의 기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밧데리실 덮개의 변형만으로도 적은 용량의 소형 사이즈의 밧데리를 대용량의 대형 사이즈의 밧데리로 변형시켜 밧데리실에 교체 삽입하여 보청기의 교체없이 동일한 보청기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용량 밧데리가 더 적합하며 대용량의 밧데리 판매 가격은 소용량 밧데리의 판매 가격과 동일하므로 대용량의 밧데리를 사용하는 것이 보청기 사용자의 밧데리 사용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리시버 외부에 미세한 그물망 덮개를 설치하여 귀에지가 음향 가이드관을 통해 리시버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켜 리시버의 적절한 작동을 간섭 방해 및 리시버의 출력 저하를 초래하여 발생되는 보청기 고장을 방지함으로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80)은 가이드 관 내부 밀도에 변화시킴으로서 음압이 향상시켰으며 음파의 방향성을 유지하여 음파의 변형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되고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개념 혹은 필수적인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 본 설명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따라서, 전술한 설명에 의하기보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청구항의 균등의 의미와 범위내의 모든 변화는 본 청구항의 범위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4)

  1. 다양하게 형상이 변화되는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청기가 꼭 맞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이어팁(100)과;
    상기 이어팁(100)과 결합 홈(220), 결합 턱(12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고 보청기 사용자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꼭 맞는 귓본의 유형을 다양한 사이즈로 규격화된 쉘(200)과;
    상기 쉘(200)과 결합 홈(240), 결합 턱(31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커버(300)와 결합 홈(350), 결합 턱(47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증폭기(420), 리시버(360), 밧데리실(560), 음량 조절기(440)가 장착된 페이스 플레이트(400)와;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증폭기(420)에 연결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마이크로폰(460)과;
    상기 마이크로폰(460)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전기 신호로 증폭시키는 역할로서 칩(chip) 모양으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증폭기(420);
    상기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로서 상기 증폭기(420)에 연결되고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리시버(360)와;
    상기 리시버(360)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쉘(200) 상단 출구까지 전달하는 음향 가이드관(26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된 상기 증폭기(420)에 연결되고 보청기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440)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마이크로폰(460), 증폭기(420), 리시버(3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저장하는 밧데리실(560)과;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4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485, 495)과 밧데리실 덮개(5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턱(520, 540)에 의해 결합 분리 구조로 연결되는 밧데리실 덮개(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밧데리실 덮개(500)의 변형하여 교체만으로도 밧데리를 삽입하는 밧데리실(560)의 체적을 변형시켜 적은 용량의 소형 사이즈의 밧데리실(570)를 대용량의 대형 사이즈의 밧데리실(580)로 변경하여 밧데리를 삽입하는 밧데리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에서 상기 리시버(360)로 유입되는 귀에지를 차단시키는 그물망 필터(340)가 외부에 씌워진 리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음압을 향상시켰으며 음파의 방향성을 유지시켜 음파의 변형을 방지시키는 90도 방향으로 4개의 걸림턱을 음향 가이드관(260) 내부에 각각 설치된 음향 가이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KR1020010054272A 2001-09-03 2001-09-04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KR2003002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272A KR20030020798A (ko) 2001-09-04 2001-09-04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US09/995,089 US20030044037A1 (en) 2001-09-03 2001-11-27 Free hearing-aid providing multi-shape and multi-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272A KR20030020798A (ko) 2001-09-04 2001-09-04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798A true KR20030020798A (ko) 2003-03-10

Family

ID=1971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272A KR20030020798A (ko) 2001-09-03 2001-09-04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44037A1 (ko)
KR (1) KR200300207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672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페이스 플레이트의 연결구조
KR20220078972A (ko) * 2020-12-04 2022-06-13 박관식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4910B2 (en) * 2007-11-14 2012-03-27 Siemens Hearing Instruments, Inc. Composite receiver tube for a hearing instrument
WO2010151492A1 (en) 2009-06-22 2010-12-2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arphone sleeve assembly having integral barrier
EP3780655B1 (en) * 2019-08-16 2022-06-29 Sonova AG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plate for a hear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688A (en) * 1986-05-27 1989-09-26 Barry Voroba Mass production auditory canal hearing aid
JPH04156842A (ja) * 1990-10-20 1992-05-29 Rion Co Ltd 挿耳式補聴装置
JPH1066196A (ja) * 1996-08-22 1998-03-06 Rion Co Ltd 耳あな形補聴器
KR20020070665A (ko) * 2001-03-02 2002-09-11 박주화 탄성 물질을 이용하여 귀속에 밀착되도록 제작된 보청기 쉘
KR20030014072A (ko) * 2001-08-10 2003-02-15 박관식 결합 분리 구조의 귀속형 보청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0688A (en) * 1986-05-27 1989-09-26 Barry Voroba Mass production auditory canal hearing aid
JPH04156842A (ja) * 1990-10-20 1992-05-29 Rion Co Ltd 挿耳式補聴装置
JPH1066196A (ja) * 1996-08-22 1998-03-06 Rion Co Ltd 耳あな形補聴器
KR20020070665A (ko) * 2001-03-02 2002-09-11 박주화 탄성 물질을 이용하여 귀속에 밀착되도록 제작된 보청기 쉘
KR20030014072A (ko) * 2001-08-10 2003-02-15 박관식 결합 분리 구조의 귀속형 보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672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페이스 플레이트의 연결구조
KR20220078972A (ko) * 2020-12-04 2022-06-13 박관식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44037A1 (en)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127B2 (ja) 拡張可能な耳道内装置
JP4384360B2 (ja) 半永久的に装着可能なカナル型聴覚装置
CN105705119B (zh) 外耳配合式电子听力保护装置
US8265323B2 (en) Earphone with removable component
RU2191485C2 (ru) Слуховой аппарат шарнирного типа
US4069400A (en) Modular in-the-ear hearing aid
CN101026904B (zh) 带有通风通道的耳内式助听器
US8467556B2 (en) Canal hearing device with disposable battery module
US7372972B2 (en) Ear insert for hearing aids
US8218803B2 (en) Receiver facility with an elastically mounted receiver
US7793756B2 (en) Replaceable microphone protective membrane for hearing devices
CA2264673A1 (en) A compact modular in-the-ear hearing aid
US20090252362A1 (en) Hearing device to be carried in the auricle with an individual mold
AU2002234463A1 (en) Expandable in-ear device
JPS60105400A (ja) 耳に着用される補聴器
CN101953175A (zh) 模块化听力器械
JP2003348208A (ja)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H10126897A (ja) 補聴器のハウジング又は耳アダプタの音響入口開口及び又は音響出口開口のための防護器具
JPS62151100A (ja) 補聴器
JPH0414920B2 (ko)
US11523234B2 (en) Miniature ear canal type hearing aid
KR20030020798A (ko) 다형상과 다기능이 제공되는 프리형 보청기
WO2004078064A3 (en) A soft hearing aid with stainless steel wire
US20070195981A1 (en) Behind-the-ear hearing aid with integrally-molded instrument case
CN212413400U (zh) 独立腔体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