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689A -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이용한 광축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이용한 광축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689A
KR20030019689A KR1020010052953A KR20010052953A KR20030019689A KR 20030019689 A KR20030019689 A KR 20030019689A KR 1020010052953 A KR1020010052953 A KR 1020010052953A KR 20010052953 A KR20010052953 A KR 20010052953A KR 20030019689 A KR20030019689 A KR 2003001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splitter
recording medium
light sour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523B1 (ko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5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광픽업장치는, 제1광을 생성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에 비해 광학적으로 기록매체에 더 멀게 배치되어, 상기 제1광과 광축이 서로 나란한 제2광을 생성하는 제2광원; 광검출기; 대물렌즈; 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입사하는 제1면과, 상기 제1 및 제2광의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2면을 구비한 빔스프리터;를 구비한다. 색수차를 보정함으로써 광축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Optic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 optical axes compensating beam splitter and method of compensating of optic ax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검출기로 향하는 광의 광축편차를 보정하는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는 DVD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이지만, 종래의 CD(Compact disc)와의 호환성을 고려해 CD 및 DVD 를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CD 및 DVD용 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도록 광픽업장치에는 780nm의 파장을 가진 CD용 레이저 다이오드와 650nm의 파장을 가진 LD용 레이저 다이오드가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픽업장치에서는, CD, DVD 디스크를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재생광원으로 780nm의 파장을 가진 CD용 레이저 다이오드(이하 제1광원이라 함)(11)와 650nm의 파장을 가진 LD용 레이저 다이오드(이하 제2광원이라 함)(13)가 구비되어 있고, 광디스크(25)와 광검출기(29) 사이의 광경로 상에 대물렌즈(23), 콜리메이팅 렌즈(21), 큐빅 빔스프리터(17), 평판형 빔스프리터(19) 및 오목렌즈(29)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1 및 제2광원(11, 13)으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 13a)은 각각 큐빅빔스프리터(17)와 평판형 빔스프리터(19)에서 반사된 후 광축이 일치되어 기록매체(25)에 집속된다. 기록매체(25)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 13a)은 평판형 빔스프리터(19)에 동일 광축으로 입사하나, 파장에 따른 색수차로 인해 평판형 빔스프리터(19)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광축이 어긋나게 된다.
도 2는 도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평판형 빔스프리터(19)의 첫 번째 면에 45도 각도로 입사한 제1 및 제2광(11a, 13a)은 색수차에 의해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n1, n2로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수학식 1 및 2에 의해 얻어지는 φ1, φ2의 각도로 굴절되고, 스넬의 법칙에 의해 평판형 빔스프리터(19)의 두 번째 면에서 동일한 45도 각도로 굴절되어 나란하게 출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출사되므로 광축편차(d)를 보정하기가 어려워진다.
[수학식 1]
[수학식 2]
종래의 광픽업장치는 광검출기(19)로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광(11a, 13a)의 광축을 보정하기 위해 제1광원(11) 및 기타 광학소자를 정렬시킨 후 제2광원(13)의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광픽업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빔스프리터를 통과하는 경우, 빔스프리터의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색수차에 의해 두 파장에 대한 굴절각이 달라지게 되어 평판형 빔스프리터(19)를 통과한 제1 및 제2광(11a, 13a)은 그 광축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
빔스프리터의 두께가 100μm 이하인 경우 색수차에 의해 발생되는 광축편차는 크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비점수차가 작아지게 된다. 광검출기에 초점이 맺히는 제1 및 제2광의 신호를 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더 민감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빔스프리터의 두께는 적어도 1mm이상이 되어야 한다. 빔스프리터의 두께가 커지면 비점수차가 커져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신호를 더욱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으나, 광검출기에 수광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각 광의 초점 위치가 어긋나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빔스프리터를 이용하되 색수차를 보정하여 광축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수차를 보정함으로써 광축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C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51 : 제1광원 13, 53 : 제2광원
11a, 31a : 제1광 15, 45 : 회절격자
13a, 33a : 제2광 17, 57 : 큐빅 빔스프리터
19 : 평판형 빔스프리터 21, 51 : 콜리메이팅 렌즈
23, 53 : 대물렌즈 25, 55 : 기록매체
27, 37 : 오목렌즈 32 : 제1면
33 : 제2면 35 : 웨지 빔스프리터
36 : 제1층 37 : 이중층 빔스프리터
38 : 제2층 39 : 광검출기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광을 생성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 비해 광학적으로 기록매체에 더 멀게 배치되어, 상기 제1광과 광축이 서로 나란한 제2광을 생성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을 상기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입사하는 제1면과, 상기 제1 및 제2광의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2면을 구비한 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을 제공한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이 45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에는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이고,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콜리메이팅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큐빅빔스프리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원과 상기 큐빅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상에 회절격자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광픽업장치를 이용하여 광원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와 출사된 상기 광을 빔스프리터의 제1면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빔스프리터의 제1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빔스프리터의 제2면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면에서 출사된 상기 광을 광검출기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상기 제1면에 대해 45도로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면에는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이고,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광을 생성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에 비해 광학적으로 기록매체에 더 멀게 배치되어, 상기 제1광과 광축이 서로 나란한 제2광을 생성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을 상기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광의 색수차를 보정하도록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제1층 및 제2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이 45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에는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이고,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콜리메이팅 렌즈가 더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큐빅빔스프리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원과 상기 큐빅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상에 회절격자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광픽업장치를 이용하여 광원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와 출사된 상기 광을 빔스프리터의 제1층의 표면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제1층 및 제2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빔스프리터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층에서 출사된 상기 광을 광검출기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1 및 제2광이 45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의 표면에는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이고,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색수차로 인해 발생하는 광축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이용하여 광축을 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 및 광축보정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도시된 종래의 광픽업장치에서 빔스프리터를 개량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광원(51)으로부터 CD용 재생광(31a, 이하 제1광)이 출사되고, 제2광원(53)으로부터 DVD용 재생광(33a, 이하 제2광)이 출사되어 기록매체로 향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광원(51, 53)에서의 광출사는 기록매체(55)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광원(51, 53)과 기록매체(55) 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광(31a, 33a)을 기록매체(55)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4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록매체(55)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31a, 33a)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39)와 상기 대물렌즈(43) 사이의 광경로상에 마련된 웨지형 빔스프리터(35)는 제1광(31a) 및 제2광(33a)이 45도 각도로 입사하는 제1면(32)과 제1광(31a)과 제2광(33a)의 광축을 보정하도록 제1면(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α)를 가지는 제2면(33)을 가진다.
제1광원(51)과 대물렌즈(43)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큐빅 빔스프리터(57)가 더 설치되어 제1광원(51)으로부터 출사된 제1광(31a)의 광경로를 변환하여 기록매체(55)를 향해 반사시키게 된다.
제1광원(51)과 큐빅 빔스프리터(57)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CD용 격자(45)가 마련되어 제1광(31a)을 분기시켜 3개의 빔으로 만든다. 상기 3개의 빔은 CD 디스크에서 반사된 광을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39)에서 트래킹 오차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대물렌즈(43)와 기록매체(55)사이의 광경로상에는 콜리메이팅 렌즈(41)가 더 구비되어 대물렌즈(43)로 향하는 제1 및 제2광(31a, 33a)을 평행광으로 바꾼다.
제1광원(51)으로부터 출사된 제1광(31a)은 격자(45)를 지나면서 3개의 빔으로 분기되고, 상기 3개의 빔은 큐빅 빔스프리터(57), 콜리메이팅 렌즈(41), 대물렌즈(4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광디스크(55)에서 반사된 후 상기 경로를 역으로 진행하여 웨지형 빔스프리터(35)로 향한다.
제2광원(53)으로부터 출사된 제2광(33a)은 웨지형 빔스프리터(35), 큐빅 빔스프리터(57), 콜리메이팅 렌즈(41), 대물렌즈(4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광디스크(55)에서 반사된 후 상기 경로를 역으로 진행하여 웨지형 빔스프리터(35)로 향한다.
웨지형 빔스프리터(35)의 제2면(32)을 출사한 제1 및 제2광(31a, 33)은 제2면의 각도(α)에 의해 색수차가 보정되고, 이로부터 광검출기(39)로 향하는 상기 광의 광축편차가 보정된다.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은, 제1 또는 제2광원(51, 53)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와, 출사된 상기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웨지형 빔스프리터(35)의 제1면(32)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43)를 통과하여 기록매체(55)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와, 기록매체(55)에서 반사된 제1 또는 제2광(31a, 33a)의 색수차를 보정하도록 웨지형 빔스프리터(35)의 제1면(32)에 대해 소정의 각도(α)로 기울어진 웨지형 빔스프리터(35)의 제2면(33)에 기록매체(55)로부터 반사된 제1 또는 제2광(31a, 33a)를 입사시키는 제3단계와,제2면(33)에서 출사된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광검출기(39)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웨지형 빔스프리터(35)의 제1면(32)에 제1 또는 제2광(31a, 33a)이 45도 각도로 입사하고, 제1면(32)에서 제1광(31a)의 굴절각이 θ1-45°, 제2광(33a)의 굴절각이 θ2-45°이므로 스넬의 법칙에 의해 수학식 1 및 2로부터 θ1및 θ2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2]
여기서, n1은 제1광(31a)의 굴절률이고 n2는 제2광(33a)의 굴절률이다.
제2면(33)에서 제1광(31a)의 입사각은, θ1-α, 제2광(33a)의 입사각은, θ2-α이고, 제1광(31a)의 굴절각은 θD, 제2광(33a)의 굴절각은 θc 일 때 스넬의 법칙에 의해 수학식 3 및 4로부터 α와 θD및 θc 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
[수학식 4]
도 5를 참조하면, 점 C에서 점 H까지의 거리를 y″, 점 H에서 점 G까지의 거리를 x″이라 하면, 이 거리의 측정값을 다음의 수학식 5 및 6에 대입하면, θD및 θc 와 α사이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 3, 4, 및 5으로부터 α, θc 및 θD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5]
[수학식 6]
여기서 점 C와 점 D사이의 거리가 t3이고, 점 B와 점 C사이의 거리가 Δ일 때 제1 및 제2광의 광로차는 d는 Δ-t3 이고 수학식 6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x′-x 와 동일한 값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의 장점은, 웨지형 빔스프리터(35)에서 광이 입사하는 제1면(32)에 대해 광이 출사하는 제2면(33)을 소정 각도의 각도를 가지게 함으로써 간단히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종래의 광픽업장치에서 빔스프리터를 개량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매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층(36, 38)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된 이중층 빔스프리터(37)를 대물렌즈(43)와 광검출기(39)사이의 광경로상에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광원(51, 53), 대물렌즈(43), 콜리메이팅 렌즈(41), 광검출기, 큐빅빔스프리터 및 회절격자의 구성과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매체(55)로부터 반사되어 이중층 빔스프리터(37)에 입사한 제1 또는 제2광(31a, 33a)은 파장에 따른 색수차에 의해 제1층(36)에서 각기 다른 굴절률에 의해 상이한 각도( θ1,θ2)로 굴절하나, 제2층(38)에서 굴절각이 보상되어 광축이 일치되어 출사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을 확대한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축보정방법은, 제1 또는 제2광원(51, 53)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와, 출사된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이중층 빔스프리터(37)의 제1층(36)의 표면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43)를 통과하여 기록매체(55)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와, 기록매체(55)에서 반사된 제1 또는 제2광의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서로 다른 굴절률(n1, n2)을 가지는 제1층 및 제2층(36, 38)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이중층 빔스프리터(37)에 입사시키는 제3단계와, 제2층(38)에서 출사된 제1 또는 제2광(31a, 33a)을 광검출기(39)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광(31a, 33a)은 제1층(36)의 표면에 동일한 45도 각도로 입사하고, 제1광(31a)은 제1층(36)의 표면에서 θ1의 각도록 굴절하고, 제2광(33a)은 θ2의 각도로 굴절한다. 색수차에 의한 제1광(31a)의 굴절률은 n1, 제2광(33a)의 굴절률을 n2라면, 굴절각 θ1및 θ2는 수학식 1 및 2로부터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2]
제1광(31a) 및 제2광(33a)은 다시 제2층(38)의 표면에서 굴절각 Θ3, Θ4로 굴절하므로, 제2층(38)에서 제1광(31a)의 굴절률을 n1′, 제2광의 굴절률을 n2′라면 굴절각 Θ3, Θ4는 수학식 3 및 4로부터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
[수학식 4]
제1층(36)에서 발생되는 광축편차 Δ는 수학식 5로부터 구할 수 있는데, 이 광축편차는 제2층(38)의 굴절률 n1′, n2′에 따라 달라지는 제1광(31a)의 굴절각 θ3및 제2광(33a)의 굴절각 θ4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의 장점은 단층의 빔스프리터에서 발생되는 색수차를 상기 단층과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단층을 더 형성하여 서로 평행한 이층빔스프리터를 이용함으로써 색수차를 보정함과 동시에 광축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의 장점은, 색수차 보정용 빔스프리터를 이용함으로써 색수차를 보정하는 동시에 광축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2)

  1. 제1광을 생성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에 비해 광학적으로 기록매체에 더 멀게 배치되어, 상기 제1광과 광축이 서로 나란한 제2광을 생성하는 제2광원;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을 상기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입사하는 제1면과, 상기 제1 및 제2광의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2면을 구비한 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이 45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콜리메이팅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큐빅빔스프리터가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큐빅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상에 회절격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광원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
    출사된 상기 광을 빔스프리터의 제1면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빔스프리터의 제1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빔스프리터의 제2면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면에서 출사된 상기 광을 광검출기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상기 제1면에 대해 45도로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12. 제1광을 생성하는 제1광원;
    상기 제1광원에 비해 광학적으로 기록매체에 더 멀게 배치되어, 상기 제1광과 광축이 서로 나란한 제2광을 생성하는 제2광원;
    상기 제1 및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상기 제1 및 제2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
    상기 제1 및 제2광원과 상기 기록매체 사이의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을 상기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의 광로상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광의 색수차를 보정하도록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제1층 및 제2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는 상기 제1 및 제2광이 45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표면에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표면에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콜리메이팅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 사이의 광경로상에 큐빅빔스프리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과 상기 큐빅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상에 회절격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9. 광원에 전압을 인가하여 광을 출사시키는 제1단계;
    출사된 상기 광을 빔스프리터의 제1층의 표면에서 반사시킨 후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제2단계;
    상기 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의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제1층 및 제2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빔스프리터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입사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층에서 출사된 상기 광을 광검출기에 집속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이 상기 제1층의 표면에 대해 45도로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표면에 상기 제1광의 투과비율이 80%이상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표면에 상기 제2광의 반사 및 투과비율이 실질적으로 50%인 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보정방법.
KR10-2001-0052953A 2001-08-30 2001-08-30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KR10043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953A KR100433523B1 (ko) 2001-08-30 2001-08-30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953A KR100433523B1 (ko) 2001-08-30 2001-08-30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689A true KR20030019689A (ko) 2003-03-07
KR100433523B1 KR100433523B1 (ko) 2004-05-31

Family

ID=2772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953A KR100433523B1 (ko) 2001-08-30 2001-08-30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7244B (zh) * 2008-05-20 2011-10-05 台睿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组装校正装置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247A (en) * 1988-05-13 1990-05-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for optical disk system and optical head using the same
JP3297505B2 (ja) * 1992-08-07 2002-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及び光情報装置
JP3645319B2 (ja) * 1995-07-31 2005-05-1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KR100266202B1 (ko) * 1997-07-22 2000-09-15 구자홍 광픽업장치
KR100478559B1 (ko) * 1997-08-29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및재생가능형디스크를위한광픽업
KR100492995B1 (ko) * 1997-12-3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환형광픽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7244B (zh) * 2008-05-20 2011-10-05 台睿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组装校正装置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523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446B1 (ko) 수차 보정소자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장치
KR100348883B1 (ko) 비점수차 방지 광픽업 장치
JP2000090477A (ja) 光ピックアップ、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US6980505B2 (en) Optical head apparatus including two light sources and one photodetector
US6084842A (en) Reflective light beam focusing device with multiple focal points
JPH1055567A (ja) 光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H10228667A (ja) 対物レンズ、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US5734512A (en) Dual-focus objective lens of optical pickup
JP4044034B2 (ja) アクロマチックプリズムを具備し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33523B1 (ko)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JP3757962B2 (ja) 光ピックアップ用プリズム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製造方法
KR100470469B1 (ko) 광학식 헤드 장치
KR100421011B1 (ko) 다각형의 프리즘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축보정방법
JPH0434740A (ja) 光学ヘッド
KR20110025116A (ko) 광 픽업 장치
KR100403596B1 (ko) 직각삼각형 모양의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와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KR100403597B1 (ko) 홀로그램이 형성된 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광픽업장치 및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US7525896B2 (en) Optical head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6396638B1 (en) Optical pickup device capable of stable tracking
KR20040019946A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장치
KR100421012B1 (ko) 홀로그램이 형성된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와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KR100354749B1 (ko) 인접트랙에의한크로스토크를저감할수있는광픽업장치
KR100464419B1 (ko) 기록/재생용 호환형 광픽업
US7466643B2 (en) Optical pickup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421009B1 (ko) 광축 및 색수차 보정용 광학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