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202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202B1
KR100266202B1 KR1019970034330A KR19970034330A KR100266202B1 KR 100266202 B1 KR100266202 B1 KR 100266202B1 KR 1019970034330 A KR1019970034330 A KR 1019970034330A KR 19970034330 A KR19970034330 A KR 19970034330A KR 100266202 B1 KR100266202 B1 KR 10026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objective lens
light beam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289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2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5Beam splitters or comb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개발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켜 고출력을 갖는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픽업장치는,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하고 상기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는 제1광발생/검출 모듈과,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2 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광디스크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 부터의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집속 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 제2 광검출기 및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광경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광경로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개발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켜 고출력을 갖는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디스크는 기록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꾸준한 개발 노력에 의해 기존의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이하 "CD"라 함) 및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이하 "CD-R"이라 함) 보다 대용량의 기록용량을 갖는 디지탈 버서타일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이하 "DVD"라 함)가 개발되었다. DVD는 CD에 비하여 기록밀도(즉, 트랙 밀도)가 조밀할 뿐만아니라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정보 기록면까지의 거리가 짧다. 실제로, DVD는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정보 기록면까지의 거리가 0.6mm인 반면에 CD 및 CD-R은 1.2mm이다. 이로 인하여, DVD용 광픽업 장치와 CD 및 CD-R용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광빔의 파장(λ)과 빔 사이즈(BS) 그리고 대물렌즈의 개구수 (NA)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CD-R 및 CD용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광빔의 파장 (λC)과 빔사이즈(BSC)는 각각 780mm와 1.4㎛를 갖어야 하고, 그리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C)는 0.35~0.45를 유지하여야 한다. 반면에, DVD용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광빔의 파장(λD)과 빔사이즈(BSD)는 각각 635~650nm와 0.9㎛를 가져야 하고, 그리고 대물렌즈의 개구수(NAD)는 0.6을 유지하여야 한다. CD-R/CD와 DVD 모두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광픽업 장치는 다른 파장의 광빔을 발생하는 두개의 광원을 구비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종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재생 하기 위해서는 CD용 광원으로는 비교적 저가이면서 고출력의 780nm파장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이하 LD라 함)가 사용되고 있으며, DVD용 광원으로는 650nm의 파장을 발생하는 LD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650nm의 파장을 발생하는 LD는 현재의 기술로는 비용이 많이 들며, 광파워가 높고 파장이 짧은 LD의 개발이 상당히 어려워 실용화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종 광픽업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19)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광디스크(19)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제1 광발생/검출 모듈(1)과, 광디스크 (19)에 조사될 제2 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3)과, 광디스크(19)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25)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1), 제2 광원(3) 및 광디스크(19)사이에 위치한 대물렌즈(13)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1), 제2 광원(3) 및 대물렌즈(13) 사이에 나란히 위치한 다이크로닉 빔 스프리터 (9)를 구비한다.
제1 광발생/검출 모듈(1)은, 780nm의 파장을 갖는 제1 광빔을 발생하는 제1 광원과, 제1 광원과 나란히 배열되어 광디스크(19)로 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광검출부와, 제1 광원과 제1 광검출부로 광빔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CD, CD-R 기록 또는 재생용 모듈이다. 제2 광원(3)은, 650nm의 파장을 갖는 제2 광빔을 발생한다. 또한, 제2광 검출부(25)는 광디스크(19)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며, 제2광원(3)및, 제2 광검출부(25)는 DVD 기록 및 재생 시에 사용된다. 한편, 대물렌즈(13)는 제1 또는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19)의 기록면에 집속시킴과 아울러, 광디스크(19)에서 반사된 광빔을 다이크로닉 빔 스프리터(9)쪽으로 통과 시킨다.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9)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1)으로부터의 광빔을 대물렌즈(13)쪽으로 반사하거나 제2 광원(3)으로 부터의 광빔을 대물렌즈(13)쪽으로 통과시킨다. 또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는 대물렌즈(13)로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제1 광발생/검출 모듈(1)쪽으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제2 광검출부(25)쪽으로 통과시킨다.
광픽업장치는 대물렌즈(13), 제2 광원(3), 제2 광검출부(25) 및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 사이에 위치한 노멀 빔스프리터(7)와,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 및 대물렌즈(13)사이에 위치한 직각 프리즘(11)과, 직각 프리즘(11)과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사이에 위치한 시준렌즈(15)를 추가로 구비한다. 직각 프리즘(11)은 다이크로익 빔스프리터(9)로부터 시준렌즈(15)를 경유한 광빔의 경로를 수직방향으로 변경시켜 대물렌즈 (13)쪽으로 진행시킴과 아울러 대물렌즈(13)를 경유한 반사광빔의 광경로를 변경시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 쪽으로 반사광빔이 진행되게 한다. 한편, 노멀 빔스프리터 (7)는 제2 광원(3)으로부터의 광빔이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 쪽으로 진행하게끔 통과시킴과 아울러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로 부터의 반사광빔이 제2 광검출부(25)쪽으로 진행하게끔 반사시킨다. 시준렌즈(15)는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로부터의 발산 형태의 광빔이 직각 프리즘(11) 쪽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게 함과 아울러 직각 프리즘 (11)으로부터의 평행한 반사광빔이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진행하게 한다.
또한, 광픽업 장치는 대물렌즈(13)와 직각 프리즘(11)사이에 위치한 컬러흡수 필터(17)와,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와 노멀 빔스프리터(7) 사이에 위치한 λ/4판 (21)과, 노멀 빔스프리터(7)와 제2 광검출기(25) 사이에 위치한 센서렌즈(23)를 추가로 구비한다. 컬러흡수필터(17)는 유리판 상의 일정영역에 개구경을 주절하기 위한 유기색소(Dye)를 도포시키고, 나머지 영역에는 배치된 위상 보정판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 유기색소은 분광특성에 따라 특성 파장의 광빔을 통과시킨다. λ/4판(21)은 노멀 빔스프리터(7)로부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9)쪽으로 진행하는 광빔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종래의 광픽업 장치에서는 제2 광원(3)에서 발생되어진 광빔이 두 개의 빔스프리터를 경유함에 의하여 디스크에 도달하는 광량이 1/4 정도로 매우 적게 된다. 이로 인하여, 650nm의 파장의 광빔을 발생하는 제1 광원(3)의 광파워는 매우 높아야만 한다.
그러나, 650nm의 파장을 발생하는 LD는 현재의 기술로는 비용이 많이 들며, 광파워가 높고 파장이 짧은 LD의 개발이 상당히 어려워 실용화 하기 어렵고, 현재의 광학계의 광효율이 비교적 낮다는 문제점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개발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켜 고출력을 갖는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다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202,302,402,502,602 : 제1 광발생/검출 모듈
2,104,204,304,404,504,604 : 제2 광원
7,108,208,308,408,508 : 파셜 미러 플레이트
608 : 웨지 미러 플레이트
9,110,210,310,410,510,610 : 다이크로닉 빔 스프리터
11,610 : 직각 프리즘
13,116,216,316,416,516,616 : 대물렌즈
15,112,212,312,412,512,612 : 시준렌즈
17,114,214,414,514,616 : 컬러 필터
19,118,218,318,418,518,618 : 광디스크
21,122,222 : λ/4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하고 상기 광디스크에 의해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과,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2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광디스크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 부터의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 제2 광원, 제2 광검출기 및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광경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광경로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의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2의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118)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광디스크(118)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과, 광디스크 (118)에 조사될 제2 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104)과, 광디스크(118)로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120)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 (102), 제2 광원(104) 및 광디스크(118)사이에 위치한 대물렌즈(116)과,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 제2 광원(104) 및 대물렌즈(116) 사이에 위치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를 구비한다.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은 780nm의 파장을 갖는 제1광빔을 발생하는 제1 광원과, 제1 광원과 나란히 배열되어 광디스크(118)로 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시키기 위한 제1 광검출부와, 제1 광원과 제1 광검출부로 광빔을 회절 시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CD, CD-R 기록 또는 재생용 모듈이다. 제2 광원(104)은 650nm의 파장을 갖는 제2 광빔을 발생한다. 제2 광검출기 (120)는 광디스크(118)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제2 광원 (104) 및 제2 광검출기(120)는 DVD 기록 및 재생 시에 사용된다. 대물렌즈(116)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 및 제2 광원(104)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118)의 기록면(118a 또는 118b) 상에 집속시킴과 아울러 광디스크(118)의 기록면(118a 또는 118b)에서 반사된 광빔을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쪽으로 통과시킨다. 또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 및 제2 광원(104)으로부터의 광빔들이 대물렌즈(116)쪽으로 진행하게끔 반사시킴과 아울러 대물렌즈(116)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이 제1 광발생/검출 모듈(102) 또는 제2 광검출기(120)쪽으로 진행하게끔 반사시킨다.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의 반사막은 마그네슘 플루오라이트 (MgF2)와 징크실피드(ZnS)를 교번적으로 도포함에 의해 형성되어진 다이크로닉 코팅박(Dichroic Coating)에 의해 형성되어 광효율이 향상되게 한다. 또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의 밑면에는 전반사막이 코딩되어 있다. 이 전반사막은 다이크로닉 코팅막에 의해 반사된 광빔을 다시 재반사함으로써 광량이 크지 않아도 되는 CD의 재생이 가능하게 한다.
광픽업장치는 제2 광원(102), 제2 광검출기(120) 및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110) 사이에 설치된 제2 빔스프리터(108)과,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와 대물렌즈(116) 사이에 위치한 시준렌즈(112)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2 빔스프리터(108)는 제2 광원(104)로부터의 광빔을 전부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으로부터의 반사광빔은 제2 광검출기(120)쪽으로 대부분 통과시킨다. 시준렌즈(112)는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8)로부터의 발산 형태의 광빔이 대물렌즈(116)쪽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게 함과 아울러 광디스크(118)에서 반사된 평행한 광빔이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진행하게 한다.
또한, 광픽업장치는 대물렌즈(116)와 시준렌즈(112) 사이에 위치한 컬러필터 (112)와,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와 빔스프리터(118) 사이에 위치한 λ/4 판 (122)를 추가로 구비한다. 컬러필터(114)는 유리판 상의 일정영역에 개구경을 조절하기 위한 유기색소(Dye)를 도포시키고, 나머지 영역에는 위상 보정판을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유기색소은 분광특성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빔만을 통과시킴으로써 광빔의 선속경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780nm의 파장을 사용하는 CD 재생광빔은 유기색소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개구경이 작아 지게 되며, 650nm의 파장을 사용하는 DVD 재생광빔은 유기색소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개구경이 커지게 된다.
이 결과, 이종 광디스크, 즉 CD 및 CD-R과 DVD 모두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λ/4판(122)은 빔 스프리터(108)로부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0)쪽으로 진행하는 광빔의 편광특성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빔스프리터 (108)로부터의 광빔이 수직선편광 광빔일 경우, λ/4판(122)은 그 수직선편광 광빔을 우원편광빔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22)로부터의 광빔이 좌원편광빔이면, λ/4판(122)는 좌원편광빔을 수평선편광 광빔으로 변환시킨다. 그러면, 수평선편광 광빔은 대부분 빔스프리터(108)을 통과하여 제2 광검출기(120)에 조사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로, 도 3의 광픽업장치는 제2 빔스프리터(108)이 As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208)로 대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의 광픽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3의 광픽업장치에 포함되어진 도 2의 광픽업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As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208)는 자신의 반사면쪽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As의 허용한도를 2배이상 높일 수 있다.
또한, As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208)가 광학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비점수차(As) 에 대해서 살펴보면, LD는 자신의 발광구조에 의해 광빔의 단축에 대한 발광점과 장축에 대한 발광점 간의 거리차이로 인해 비점격차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서, 광학계에는 LD의 비점격차로 인해 비점수차(As)가 발생한다. 한편, 광파워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준렌즈의 개구수(NA)가 커져야 하는데, 이것 또한 LD의 비점수차에 의한 수차 비중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허용 가능한 비점수차가 낮아지면 LD의 가격은 상승한다. 상기, 제2 실시예 에서는 비점수차의 허용범위를 높일 수 있어, 저가격이며 고출력의 LD를 사용하여 고효율의 광픽업을 구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도시한다. 도 4의 광픽업 장치는 빔스프리터(108) 및 λ/4판(122) 대신에 파셜 미러 플레이트(308)가 대치되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4의 광픽업장치에 포함되어진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도 2에서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파셜 미러 플레이트(308)는 45°의 각도를 갖고 반사율은 80-90%이고, 투과율은 10-20%를 가진다. 제3실시예에서의 45°의 각도를 갖는 파셜 미러 플레이트(308)을 사용하므로, λ/4판을 제거하면서도 광픽업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광파워를 얻을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도시한다. 도 5의 광픽업장치는 파셜 미러 플레이트(308)이 As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408)로 대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5의 광픽업장치에 포함되어진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As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408)는 파셜 미러 플레이트의 반사면쪽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유리 또는 투명막을 부착함으로, 비점수차의 허용범위를 높일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4 실시 예에서는 비점수차의 허용범위를 높일수 있어, 저가격이며 고출력의 LD를 사용하여 고효율의 광픽업을 구현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의 광픽업 장치는 파셜 미러 플레이트(308)의 대신에 광빔 조절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508)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6의 광픽업장치에 포함되어진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광빔 조절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508)는 파셜 미러 플레이트의 반사면쪽에 웨지 플레이트(Wedge Plate)를 부착시킴으로, 비점수차를 허용범위를 높일뿐 아니라, 웨지 플레이트의 광빔 정형 기능을 통해 대물렌즈(116) 쪽을 진행되는 광빔의 모양이 원형이 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의 제5 실시 예에서는 비점수차를 높일수 있고, 광빔 정형 기능을 통해 대물렌즈의 시야를 개선시킴으로, 고효율의 광픽업을 구현 할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광픽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광픽업 장치는 광디스크(618)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광디스크(618)로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과, 광디스크(618)에 조사될 제2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604)과, 광디스크(618)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604)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제2 광원(604) 및 광디스크(618) 사이에 위치한 대물렌즈(616)와,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제2 광원(604) 및 대물렌즈(604) 사이에 위치한 직각 프리즘 (610)을 구비한다.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은 780nm의 파장을 갖는 제1 광빔을 발생하는 제1 광원과, 제1 광원과 나란히 배열되어 광디스크(618)로 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시키기 위한 제1 광검출부와, 제1 광원과 제1 광검출부로 광빔을 회절 시켜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CD, CD-R 기록 또는 재생용 모듈이다. 제2 광원(604)은 650nm의 파장을 갖는 제2 광빔을 발생한다. 제2 광검출기 (620)는 광디스크(618)로 부터 반사된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제2광원 (604) 및 제2 광검출기(620)는 DVD 기록 및 는 재생 시에 사용된다. 대물렌즈(616)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및 제2 광원(604)으로 부터의 광빔들을 광디스크 (618)의 기록면(618a 또는 618b)상에 집속시킴과 아울러 광디스크(618)의 기록면 (618a 또는 618b)에서 반사된 광빔을 직각 프리즘(610)쪽으로 통과시킨다. 직각 프리즘(610)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및 제2 광원(604)으로부터의 광빔을 수직으로 반사시켜 대물렌즈(616)쪽으로 진행하게 함과 아울러 대물렌즈(616)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및 제2 광검출기(620)쪽으로 반사시킨다.
광픽업장치는 제2 광원(604),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제2 광검출기(620) 및 직각 프리즘(610) 사이에 위치한 웨지 미러 플레이트(608)와, 직각 프리즘(610)과 대물렌즈(616) 사이에 위치한 시준렌즈(612)와, 대물렌즈(616)와 시준렌즈(612) 사이에 위치한 컬러필터(614)를 추가로 구비한다. 웨지 미러 플레이트 (608)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 및 제2 광원(604)으로부터의 광빔들을 직각 프리즘(610)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직각 프리즘(610)으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쪽으로 반사시키거나 또한 제2 광검출기(620) 쪽으로 통과시킨다. 시준렌즈(612)는 직각 프리즘(610)으로부터의 발산 형태의 광빔이 대물렌즈 (616)쪽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게 함과 아울러 광디스크(618)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 (616)을 경유하는 평행한 광빔이 직각 프리즘(610) 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진행하게 한다. 컬러필터(614)는 유리판 상의 일정영역에 개구경을 조절하기 위한 유기색소 (Dye)를 도포시키고, 나머지 영역에는 위상 보정판을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유기색소은 분광특성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빔만을 통과시킨다. 예를 들면, 780nm의 파장의 CD용 광빔은 유기색소을 통과 하지 못하므로 구경이 작아 지게 되며, 650nm의 파장의 DVD용 광빔은 유기색소을 통과 할수 있으므로, 개구경이 커지게 된다. 이 결과, CD, CD-R 및 DVD와 같은 이종 광디스크들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6 실시 예에서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602)과 웨지 미러 플레이트 (608)가 결합되어 광픽업의 폭을 축소할 수 있으며, 직각 프리즘(610)과 칼라필터 (614) 사이에 시준렌즈(612)가 위치하여 광픽업의 높이를 축소할수 있다. 나아가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110)를 직각 프리즘(610)으로 대체하여 비용절감을 할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픽업 장치는 광빔의 누설을 최소화함으로써 대부분의 광빔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되게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광픽업장치는 현재 개발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DVD 및 CD 계열의 디스크 모두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광픽업의 광효율을 향상시켜 고출력을 갖도록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이종 광디스크에 엑세스 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과;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2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상기 광디스크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 광원으로 부터의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 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제2 광원 및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들을 상기 대물렌즈쪽으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대물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또는 제2 광검출부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다이크로닉 빔 스프리터와; 상기 제2 광원에 향하는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의 일측에 부착되어 광빔의 편광특성을 변환 시키기 위한 λ/4판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쪽으로 진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2 광검출기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빔스프리터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사이에 위치하여 파장에 따라 광빔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개구경을 조절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가, 마그네슘 플루오라이트 (MgF2)와 징크 설피드(ZnS)를 교번적으로 도포함에 의해 형성된 반사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프리터가 자신의 반사면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비점수차의 허용한도를 2배이상 높일수 있는 비점수차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이종 광디스크에 엑세스 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는 제1광발생/검출 모듈과;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2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상기 광디스크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 광원으로 부터의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 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제2 광원, 제2광검출기 및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들을 상기 대물렌즈쪽으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대물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또는 제2 광검출부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다이크로닉 빔 스프리터와; 상기 제2 광원, 제2 광검출기 및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사이에 위치하여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쪽으로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2 광검출기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파셜 미러 플레이트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다이크로닉 빔스프리터 사이에 위치하여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통과 시켜 개구경을 조절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셜 미러 플레이트가, 자신의 반사면부에 웨지 플레이트, 소정의 두께를 갖는 유리 및 투명막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비점수차의 허용한도를 2배이상 높일수 있는 비점수차 보정용 파셜 미러 플레이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이종 광디스크에 엑세스 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1 광빔을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광디스크에서 반사된 광빔을 검출하는 제1 광발생/검출 모듈과;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될 제2광빔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상기 광디스크로 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 광원으로 부터의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집광 시키기 위한 대물렌즈와;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제2 광원, 제2 광검출기 및 대물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들을 상기 대물렌즈쪽으로 반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대물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또는 제2 광검출기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직각 프리즘과;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및 제2 광원으로부터의 광빔들을 상기 직각 프리즘 쪽으로 진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직각 프리즘로부터 입사되는 반사광빔을 상기 제1 광발생/검출 모듈 또는 제2 광검출기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웨지 미러 플레이트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직각 프리즘 사이에 위치하여 파장에 따라 광빔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개구경을 조절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19970034330A 1997-07-22 1997-07-22 광픽업장치 KR10026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30A KR100266202B1 (ko) 1997-07-22 1997-07-22 광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30A KR100266202B1 (ko) 1997-07-22 1997-07-22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89A KR19990011289A (ko) 1999-02-18
KR100266202B1 true KR100266202B1 (ko) 2000-09-15

Family

ID=1951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330A KR100266202B1 (ko) 1997-07-22 1997-07-22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15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50A (ko) * 2001-06-27 2003-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용 프리즘
KR100433523B1 (ko) * 2001-08-30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967A (ja) * 1995-11-09 1997-05-27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967A (ja) * 1995-11-09 1997-05-27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15A (ko) * 2002-03-28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89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223B1 (ko) 광픽업 장치
KR100242111B1 (ko) 이파장 광원모듈과 그를 이용한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US5784354A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737859B1 (ko) 광 기록/재생장치
US6341116B1 (en) Compact optical pick-up head employing non-diffractive element
KR10023426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266202B1 (ko) 광픽업장치
JP2000348367A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EP0862167B1 (en) Optical recording/pickup head compatible with compact disk-recordable (CD-R) and digital versatile disk (DVD) using polarization beam splitter
JP2877044B2 (ja) 光ヘッド装置
KR10029488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226864B1 (ko) 이종 광 디스크용 광 픽업장치
JP345567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26853B1 (ko) 이종 광 디스크용 광 픽업장치
KR100317278B1 (ko) 삼파장레이저다이오드모듈및그를이용한광픽업장치
KR100289719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100430364B1 (ko) 호환형 광 픽업장치
KR19980050656A (ko)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KR100447149B1 (ko) 이종광디스크용광픽업장치
KR100266201B1 (ko) 광픽업장치
KR100265734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100236005B1 (ko) 이종 광 디스크용 광 픽업장치
JPH10302295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912305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9990079526A (ko) 적응형 빔스프리터 및 이를 이용한 기록 가능형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