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428A -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428A
KR20030019428A KR1020027017072A KR20027017072A KR20030019428A KR 20030019428 A KR20030019428 A KR 20030019428A KR 1020027017072 A KR1020027017072 A KR 1020027017072A KR 20027017072 A KR20027017072 A KR 20027017072A KR 20030019428 A KR20030019428 A KR 20030019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advice
state data
respons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143B1 (ko
Inventor
키요시 카나자와
타카코 시라이시
히로요시 노무라
타카시 카시모토
테츠 코바야시
야수오 요시무라
마사요 야마모토
유키토시 카게야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험료를 적절히 설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은 보험 내용 조정 방법, 장치,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장치,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프로그램, 이들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포함된다. 보험 대상의 상태를 취득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이 그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의 의욕 정도나,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의욕 정도를 이용하여 조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료가 적절히 설정된다.

Description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INSURANCE DESCRIPTIONS ADJUSTING SYSTEM}
보험은 사람의 생사에 관계하여 보험금이 지불되는 생명 보험과, 의외의 사고에 의해 발생된 손해에 대해 보험금이 지불되는 손해 보험의 2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생명 보험에도 손해 보험에도 다양한 종류의 보험이 존재한다.
생명 보험중, 예를 들어 사망 보장을 행하는 정기 보험에서는 피보험자가 보험료 납부 기간내에 만일 사망한 경우, 미리 정한 보험 금액만큼 보험금 수취인에 대해 사망 보험금이 지불된다. 보험료 납부 기간내에 만일 사망하지 않으면, 그 후 피보험자가 만일 사망하여도 사망 보험금은 지불되지 않고, 기간이 완료되었을 때에도 만기금은 대부분 지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소멸형 보험은 만기금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만큼, 종신 보험이나 양로 보험 등의 저축형 또는 적립형 보험과 비교하여, 보험 계약자가 보험 회사에 납부하는 보험료가 저렴하게 된다.
보험료의 납부 방법에는 월납, 반년납, 연납, 선납, 일시납 등의 방법이 있다. 월납은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매달 납부하는 것이고, 일시납은 보험 기간 전체의 보험료를 일시에 납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1회에 납부되는 금액이 큰 만큼 보험료가 할인된다.
또한, 정기 보험과 같이 보험 기간이 제한된 것은 최초의 계약시와 같은 길이의 기간만큼 계약을 갱신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30년간의 보장을 얻기 위하여, 보험 기간이 30년인 계약을 1회만 행하거나, 보험 기간이 10년인 계약을 2회 갱신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와 같이, 비교적 긴 기간에 걸친 계약을 행하는 형의 보험은 전기형(全期型)의 보험이라 하고, 후자와 같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걸친 계약을 반복 갱신하는 형의 보험은 갱신형 보험이라 한다.
갱신형 보험의 경우, 각 보험료 납부 기간내에 보험 계약자가, 예를 들어 매달 납부하는 보험료는 일정하지만, 갱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때의 피보험자의 연령에 따라 갱신후의 보험료가 정해진다. 기본적으로 피보험자의 연령이 상승함에 따라 납부할 필요가 있는 보험료는 증가하기 때문에, 갱신을 행하면 갱신후의 보험료는 증가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갱신형 보험의 경우, 처음에는 전기형 보험보다도 납부하는 보험료가 적지만, 최종적으로는 전기형보다도 많은 보험료를 납부하게된다.
생명 보험의 기본적인 보험료는 일반적으로 예정 사망률, 예정 이율, 예정 사업비율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예정 사망률은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라, 피보험자가 소속되는 그룹의 사람이 사망하는 비율을 통계적으로 정한 것이다. 또한, 예정 이율은 보험 계약자가 납부한 보험료를 운용할 때에 예정하는 이율이다. 예정 사망률과 예정 이율에 근거하여 정해지는 보험료는 순보험료라 하고, 사망 보험금의 지불이나 만기 보험금의 지불에 이용된다. 보험 사업을 행하는데 필요한 경비 등에 의해 구해진 예정 사업비율에 근거하여 정해지는 보험료는 부가 보험료라 하며, 순보험료와 부가 보험료를 합한 것이 보험 계약자가 납부하는 기본적인 보험료로 되는 것이다.
한편, 손해 보험에는 화재 보험, 상해 보험, 자동차 보험 등이 있다. 이들중, 널리 보급된 것이 자동차 보험이다. 광의의 자동차 보험은 자동차 손해 배상 책임 보험(이른바 자배책(自賠責) 보험, 강제 보험)과 임의 보험을 포함한다. 자배책 보험은 인신(人身) 사고의 피해자를 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법률적으로 가입이 정해진 보험이고, 대인 배상 보험만으로 이루어진다. 임의 보험은 자배책 보험을 보완하는 것이고, 대인 배상 보험, 자손(自損) 사고 보험, 무보험차 상해 보험, 대물 배상 보험, 탑승자 상해 보험, 차량 보험의 몇 개를 조합한 것이다.
자동차 보험은 소멸형 보험이다. 자배책 보험의 보험 기간은 차량 검사 기간과 대응하고, 임의 보험의 보험 기간은 1년간이다. 자배책 보험의 보험료는 차량에 대해 그 차의 용도(자가용 차인지 영업용 차인지), 차종(보통 자동차, 소형 자동차등의 종별), 사용 지역 등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임의 보험의 보험료는 보험 계약자에 대해 차의 용도, 차종, 과거의 사고경력, 운전자의 연령, 성별, 사용 지역 등에 따라 정해진다. 임의 보험에서는 사고가 없는 경우에 보험료가 할인되는 논프릿 등급별 요율 제도가 취해져, 어느 연도내에 무사고이면, 등급이 상승되어 다음 연도의 계약시에는 보험료가 할인되고, 어느 연도내에 사고가 있으면, 등급이 하락되어 다음 연도의 계약시에는 보험료가 증가된다.
그런데, 최근 보험료의 저가화로 인해, 위험 세분형의 보험이 주목되고 있다. 자동차 보험으로부터 확대된 위험 세분형의 보험은 생명 보험에서도 매력있는 상품으로서 계속 인식되고 있다.
위험 세분형의 보험의 특징은 그 이름과 같이, 위험 구분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세분화함으로써, 보험료의 계산을 전제로 하는 가정의 위험과 실제의 위험의 괴리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여, 그 결과 보험료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생명 보험의 경우, 위험 구분이 미세화되지 않으면,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라 정해지는 비교적 대략적인 그룹중 같은 그룹에 속하면, 그 그룹에 속하는 다른 사람보다도 다소 건강하여도, 그 그룹에 속하는 다른 사람보다도 다소 건강하지 않아도, 보험료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의미에서, 건강한 피보험자에 대해 보험료를 납부하는 보험 계약자는 건강하지 않은 피보험자에 대해 보험료를 납부하는 보험 계약자보다도 고가의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고, 건강하지 않은 피보험자에 대해 보험료를 납부하는 보험 계약자는 건강한 보험자에 대해 보험료를 납부하는 보험 계약자보다도 저가의 보험료를납부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보험의 경우, 위험 구분이 미세화되지 않으면, 용도나 차종, 등급 등에 따라 정해진 비교적 대략적인 그룹중 동일 그룹에 속하면, 보험 계약자가 소유하는 차의 안전 성능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사람이 소유하는 차보다도 다소 우수하거나, 보험 계약자가 소유하는 차의 안전 성능이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사람이 소유하는 차보다 다소 떨어져도, 보험료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동일 그룹에 속하여도 보험 계약자에 따라 고가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저가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사람이 있게 된다.
이것에 대해, 위험 미세형의 생명 보험에서는 예정 사망률 등에 의해 정해진 기본적인 보험료에 대해, 피보험자의 보험 계약시의 건강 상태와 상관이 있는 지표에 근거하여, 할인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타액 검사 등에 의해 끽연 습관이 없는 것이 보험 계약시에 확인된 경우, 30% 정도까지 보험료가 할인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그 지표로서, 혈압값이나 BMI값을 고려한 위험 세분형의 생명 보험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BMI"는 신체 중량 치수(Body Mass Index)의 약어로서, BMI값은 (체중[kg])/(신장[m])×2로 정의되는 값이다.
한편, 위험 세분형의 자동차 보험에서는 차량의 용도나 종류 등에 따라 정해진 기본적인 보험료에 대해, 사고 발생률이나 사고마다의 평균 손해액 등과 관계가 있는 지표에 근거하여, 할인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에어백이나 ABS(Anti-lock Brake System)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등에, 기본적인 보험료에 대해 할인이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구분을 미세화하면 할수록, 고가 또는 저가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보험 계약자는 적게 되어, 불공평한 느낌이 억제된다. 또한, 보험 대상의 위험이 작으면, 그만큼 보험 계약자가 납부하는 보험료가 저가로 설정된다. 보험 회사측에서는 위험이 작은 보험 대상을 확인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차후 점차적으로 위험 구분의 미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차후, 위험 세분화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보험 회사측에서 볼 때 중요하게 되는 것은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 등의 보험 계약자측의 위험 관리에 대한 의식의 높이다. 보험 계약자측의 위험 관리에 대한 의식이 높으면, 현재 상태에서는 다른 보험 대상의 위험과 동일하여도, 장래적으로 다른 보험 대상과 비교하여 위험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생명 보험에 관해서는 피보험자가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의식의 높이는 일상적으로 혈압값이나 체중의 측정을 행하거나, 정기적으로 의료 기관에서 검진을 받는 등, 건강에 대한 피보험자의 평소의 의욕에 나타난다. 즉,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의 관리에 대한 의식의 높이는 피보험자의 적극적인 의욕을 개입시키지 않고서는 예측되지 않는다.
더욱이, 위험 세분형의 생명 보험에 이용되는 혈압값이나 BMI값 등의 지표는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검사후, 또는 검사와 검사 사이에 변동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지표이고, 그 변동을 예상하여 높은 빈도로 혈압값이나 BMI값을 얻고자 하면, 피보험자의 협력적인 의욕이 없어서는 안 된다.
또한, 자동차 보험에 관해서는 차량의 안전 성능(차량의 상태)을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의 의식의 높이는 6개월 점검이나 12개월 점검 등의 정기 점검을 확실히 행하는 등, 차량의 상태에 대한 보험 계약자의 의욕에 나타난다. 이 때문에, 보험 계약자측의 차량 상태의 관리에 대한 의식의 높이도 보험 계약자의 적극적인 의욕을 개입하지 않고서는 예측되지 않는다.
그러나, 생명 보험이나 자동차 보험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각종 보험에서는 검사 등에 취득된 데이터가 보험료나 보험 금액 등의 보험 내용에 반영되는 경우는 있어도,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가 적극적으로 행한 의욕이 보험 내용에 고려되지 않아, 장래 위험이 저하된다고 생각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적절한 보험 내용의 설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예를 들면, 일본 특표평11-511581호 공보에는 운전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차량에 탑재한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취득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자동차 보험의 보험료를 조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어떤 의미에서는 항상 검사가 행해지는 것이지만, 운전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같이,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취득될 수 있는 정보만으로는 정기 점검을 행하였는지 어떤지 등, 차량의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의 의욕을 평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그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얻어지지만, 장래적으로 어떻게 데이터가 추이되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동일하여도 운전 장소 등이 변경되면 데이터는 크게 변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험 회사가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험 계약자측의 위험 관리에 대한 의욕을 보험 내용에 고려할 뿐만 아니라, 보험 회사가 허락되는 범위에서 보험 계약자측에 어드바이스를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단, 보험 회사가 어드바이스를 행한다고 해도, 보험 대상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어드바이스가 효과를 발휘하는지, 보험 대상의 위험이 개선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가 어드바이스에 충실히 따른다고 해도,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즉시 보험 대상의 상태에 나타나지 않아, 보험 대상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어드바이스에 충실히 따르지 않은 것과 같이, 어떠한 개선도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쉽다.
이 경우에도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의 협력적인 의욕을 보험 내용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어드바이스에 충실히 따르는 것이 보험 회사에 의해 확인되면, 보험 대상의 위험이 장래적으로 경감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생명 보험이나 자동차 보험 등의 각종 보험에 대해, 피보험자 등의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료나, 보험 금액 등의 보험 내용을 조정하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 보험 내용 조정 장치,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장치 및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프로그램, 또는 이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을 실시하는데 이용 가능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개략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기기의 개략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보험료 납부일과 보험료 조정의 시간적인 관계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의 접속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건강 측정 기기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건강 측정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BMI값과 사망률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어드바이스의 실행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상태 데이터에 근거한 건강 상태의 판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한 건강 상태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을 자동차 보험에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측정 기기의 개략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과제를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또는 이를 위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 보험 내용 조정 장치,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장치, 및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된다.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은 보험 계약자측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에도, 그리고 보험 회사측이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을 다시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것이다. 그것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이 충분하면,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장래적인 보험 대상의 위험이 작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이 불충분하면,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낮아, 상태 데이터에 나타난 현재 상태의 위험이 장래적으로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이 예상된다.
즉, 보험 내용의 조정에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장래적인 위험의 변동을 예상한 보험 내용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충분하면,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불충분하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은 증대되지만, 그것에 의해 보험 계약자측의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의식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보험 회사는 보다 위험이 작은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의욕을 보험 계약자측이 협력적으로 행하면, 장래적으로 보험 대상의 위험이 작게 되는 가능성이 높다.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의욕을 보험 계약자측이 협력적으로 행한다고 해도, 즉시 그 의욕이 상태 데이터에 나타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을 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보험 내용에 반영하면, 장래적인 위험의 변동을 예상한 보험 내용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충분한 경우에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낮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은증대되지만, 그것에 의해 보험 계약자측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장래적으로 저감하고자 할 것이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은 보다 위험이 작은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양쪽을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그만큼 보험 대상의 장래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재료가 증가되기 때문에, 보험 내용의 조정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한 것으로 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한층 더 경감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더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은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수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수치외에 보험 대상의 상태를 분류하는 부호 등도 포함한다.
이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보험 내용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정표 또는 계산식에 근거하여 조정된다.
보험 내용의 조정을 조정표나 계산식에 근거하여 행하면,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얻는 것만으로, 정확하고 간단하게 보험 내용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는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평가된다.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보험 계약자측으로부터는 다양한 형태로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의욕에 대해 정보가 제공되지만, 보험 회사측이 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함으로써, 안정된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재취득 통지는,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경우나,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에 행해진다.
상태 데이터가 비교적 변동하기 쉬운 것인 경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길게 되면,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과 실제의 위험이 괴리되는 우려가 높게 된다. 보험 계약자측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에도, 보험 회사측이 보험 내용을 다시 정하는 데에도,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함으로써, 상태 데이터의 계속적인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임과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얻어질 가능성이 높아져,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함으로써,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예를 들어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가미하여 평가되는 경우가 있다. 재취득 통지의 내용은 보험 계약자측의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의식의 높이와, 보험 회사측이 행하는 재취득 통지의 비용에 관계된다. 보험 계약자측의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의식이 낮은 경우, 재취득 통지를 반복하여 행하지 않으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 때문에, 재취득 통지의 횟수가 많게 되거나, 재취득 통지의 글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하거나, 보다 명확하게 재취득을 재촉하기 위해 특별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등을 하면, 그만큼 보험 회사의 비용이 증대된다. 역으로, 재취득 통지의 횟수가 적으면, 그만큼 보험 회사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 때문에,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가미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보험 계약자측의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결과적으로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보험 회사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에는, 예를 들어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등에는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이 객관적으로 나타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을 보험 계약자측이 확실하게 행하거나, 될 수 있는 한 빨리 행하면, 보험 계약자측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충분히 관리하게 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더욱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는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평가되는 경우도 있다.
재취득 통지를 보험 회사측이 행하는지 어떤지에 관계없이, 상태 데이터의 취득이 많게 되거나, 보험 대상의 성상이 안정되는 시기에 상태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거나, 상태 데이터의 취득을 행한 것이 비교적 최근이면, 보험 계약자측이 적극적으로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예상된다.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를 이용하는 경우, 재취득 통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많게 되는 경우 등에는 그 적극적인 의욕을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이 조정되는 경우가 있다. 재취득하고자 하는 상태 데이터의 종류는 동일하여도, 재취득되는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은 경우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이 부적절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함으로써,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조정폭을 낮게 하는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은,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은 상태 데이터를 측정한 측정자나,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이용한 측정 기기, 상태 데이터를 측정할 때의 측정 방법 등으로 표시된다.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을 이용하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험 내용이 조정되는 경우도 있다. 상태 데이터가 표시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는 의료적 또는 기계적인 지식이나 경험, 통계 등에 의해 양호한지 불량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태 데이터가 표시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가 양호한 것이 확인되면, 보험 회사측의 위험은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보험 내용이 조정되는 경우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는, 항상 양호한지 불량인지와 같은 종류의 것이 아니라, 시계열적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정비 상태가 있을 때 불량인 것은 판별되어도, 그것이 개선되는 방향으로 추이되면, 그것을 적극적으로 보험 내용에 반영하고,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의 개선을 장려함으로써, 보험 회사측의 위험을 저감시켜 보험 계약자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있어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는 예를 들어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통지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평가된다.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의 개선이나 차량의 정비 상태의 유지 등에 대해 보험 회사가 어드바이스를 행하는 것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장래적으로 저감하는데 중요하다. 어드바이스의 효과는 반드시 즉시 나타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에는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여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의 높이가 나타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함으로써,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여,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어드바이스를 통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2 협렵적 의욕 정도는 예를 들어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가미하여 평가된다.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는 실행의 효과가 비교적 큰 것, 비교적 작은 것 등 다양한 것이 있다. 따라서, 단순히 상태 데이터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한 경우에는 어드바이스의 내용에 의해 불공평한 느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가미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공평한 느낌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보험 내용의 조정을 보다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에는, 예를 들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등에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 의욕 정도가 객관적으로 나타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어드바이스에 대해응답을 보험 계약자측이 확실히 행하거나, 될 수 있는 한 빨리 행하거나,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하면, 장래적으로 보험 대상의 위험이 저감되는 것이 예상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이 조정되는 경우가 있다. 보험 계약자측이 동일한 어드바이스에 따른다고 해도, 보험 계약자측에 의해 실제의 의욕 내용에 상위(相違)가 나는 경우가 있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이 낮은 경우에는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가미함으로써, 보험 내용의 보다 적절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은, 예를 들어 보험 계약자측이 어드바이스에 따르는 것의 승인 상황에 근거하여 판정된다. 승인 상황은 보험 계약자측이 어드바이스에 따라 행하는 의욕을 승인한 승인자나, 어드바이스에 따른 메뉴의 내용 등을 승인한 승인 내용, 어드바이스에 따른 내용을 실행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승인한 승인 기기 등으로 표시된다. 어드바이스에 따르는 것의 승인 상황에 근거하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보험 내용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는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서,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평가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 및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서는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이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다.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은 보험 계약자측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에도, 보험 회사측이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을 다시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것이다.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은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에 나타난다.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이 의욕을 지표화한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정한다.
또한,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의욕을 보험 계약자측이 협력적으로 행하면, 장래적으로 보험 대상의 위험이 작게 될 가능성이 높다.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이 의욕을 지표화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정한다.
그리고,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로 해도,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로 해도, 평가 결과가 높으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이 경감되어, 장래적으로 위험이 낮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가 낮으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은 증대되지만, 그것에 의해 보험 계약자측은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거나, 보험 대상의 위험을 장래적으로 저감하고자 한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은 보다 위험이 작은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양쪽을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그만큼 보험 대상의 장래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재료가 증대되기 때문에, 보험 내용의 조정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한 것으로 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한층 더 경감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더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 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변동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임과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얻어질 가능성이 높아져,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 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응답 상황에는 예를 들어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등에는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이 객관적으로 나타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을 보험 계약자측이 확실히 행하거나, 될 수 있는 한 빨리 행하면, 보험 계약자측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충분히 관리하게 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재취득 통지를 보험 회사측이 행하는지 어떤지에 관계없이, 상태 데이터의 취득이 많이 행해지거나, 보험 대상의 성상이 안정하는 시간에 상태 데이터의 취득을 행하거나, 상태 데이터의 취득을 행한 것이 비교적 최근이면, 보험 계약자측이 적극적으로 보험 대상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를 이용하여도,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많이 행해지는 경우 등에는 그 적극적인 의욕을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폭을 작게 하는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상태 데이터가 표시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가 양호한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고, 양호하면, 보험 회사측의 위험은 적게 되기 때문에,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보험 대상의 상태가 개선의 방향으로 향하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적극적으로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의 개선을 장려함으로써, 보험 회사측의 위험을 저감시켜 보험 계약자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보험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응답 상황에는, 예를 들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등에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 의욕 정도가 객관적으로 나타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어드바이스에 대해 응답을 보험 계약자측이 확실히 행하거나, 될 수 있는 한 빨리 행하거나,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하면, 장래적으로 보험 대상의 위험이 저감되는 것이 예상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더욱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어드바이스의 효과와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의 상관을 보험 회사측이 파악할 수 있어, 보험 내용의 조정을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이 동일하여도,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어드바이스 응답)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고,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폭을 작게 하는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 수단;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 데이터 송신 수단; 및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재취득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로 구성된다.
보험 내용 조정 장치는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이용하여,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적절하게 보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지만,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수단은 보험 내용 조정 장치측이 아니라 단말 장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취득 통지 수단이 단말 장치측에 설치되면, 재취득 통지를 받기 위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확보해 둘 필요가 없고, 본 발명에 의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변동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임과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얻어질 가능성이 높아져,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통신 가능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 및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에 표시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이다.
상기 단말 장치에서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등으로부터 전송된,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보험 회사와 보험 계약자측을 중개하는 중개업자가 이용하는 어드바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어드바이스 장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상술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를 중개하는 어드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를 대행하거나, 또는 그 양쪽을 행한다.
상기 어드바이스 장치는 보험 회사와 보험 계약자측을 중재하는 중개업자 등에 배치되어,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거나, 보험 회사측의 보험 내용 조정 장치 대신에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를 행한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이나 그 평가는 보험 내용의 조정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어드바이스의 생성이나 그 평가를 행하는데 있어서, 보험 회사측이 경영적인 관점을 중시하면, 보험 계약자측이 불리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고, 또한 보험 계약자측의 부담 경감을 중시하면, 보험 회사측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해진다.
상기 어드바이스 장치를 이용하면, 보험 회사도 아니고 보험 계약자측도 아닌 제 3자(중개업자)가 양자에 대해 중립적인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거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공평한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것은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술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술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어드바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술한 어드바이스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 어드바이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들은 상술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 어드바이스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을 실시하는데 이용 가능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건강 측정 기기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서의 보험료 조정의 시간적인 관계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건강 측정 기기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의 접속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복수의 측정 수단과, 개인 컴퓨터로부터 복수의 건강 측정 기기를 구성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건강 측정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BMI값과 사망률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은 어드바이스의 실행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상태 데이터에 근거한 건강 상태의 판별을 설명한다.
도 10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한 건강 상태에 관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 배율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은 예를 들어 사망 보장을 행하는 갱신형 정기 보험에 대해, 보험 계약자가 매달 보험 회사에 납부하는 보험료를 보험 기간내에서 수시 조정한다.
계약시에 정해지는 매달 일정의 기본적인 보험료의 결정 방법은 종래의 갱신형 정기 보험과 동일하다. 즉, 기본적인 보험료는 피보험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정해지는 예정 사망률이나, 보험금 수취인에게 지불되는 사망 보험금액, 보험 기간의 길이, 더욱이 예정 이율이나 예정 사업비율 등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BMI값이나 혈압값 등에 의해 위험 구분이 세분화되는 경우, 계약시의 검사에서 취득된 BMI값이나 혈압값 등이 양호한 것이면, 기본적인 보험료는 다소 할인된다.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험 기간내에서 매달 일정의 이 기본적인 보험료에 대해, 도 3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 조정을 행한다. 기본적인 보험료를 조정하는데 참조하는 기간은 도 3의 백색 삼각 기호로 표시되는 것이 각 달의 보험료 조정일인 것으로 하면, 예를 들어 그것보다 조금 전에 설정된 설정일로부터 1개월 소급한 그 전달의 설정일까지의, 도 3에서는 일점 쇄선 사이에 표시된 기간으로 된다. 보험료 조정일이 6월 23일이면, 보험료를 조정하는데 참조하는 기간은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의 기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을 실시하는데 이용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이하, 센터 장치로 칭함; 1)에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건강 측정 기기(2)가 예를 들어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접속된다. 센터 장치(1) 및 이것과 통신 가능한 건강 측정 기기(2) 등이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한다.
건강 측정 기기(2)는 가정이나 의료 기관 등에 설치되고, 피보험자의 혈압값, 혈당값, 심전도, 체온, 체중, 신장 등 건강 상태와 상관이 있는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부(4)로서 변형 센서(401), A/D 변환기(402), 체중 산출부(403)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 체중계에 해당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측정부(4)에서는 변형 센서(401)로부터 출력된 피보험자의 체중에 따른 전기 신호가 A/D 변환기(402)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체중 산출부(403)에 의해 체중으로 변환된다.
건강 측정 기기(2)는 측정부(4) 이외, 제어 장치(5), 통신부(6), 표시부(7), 입력부(8), 시계부(9), 기억부(10) 등을 갖는다.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건강 측정 기기(2) 전체를 제어한다.
통신부(6)는 센터 장치(1)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6)로서는 각종 모뎀이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등이 이용된다.
표시부(7)는 측정부(4)에 의해 측정된 상태 데이터나, 통신부(6)에 의해 수신된 센터 장치(1)로부터의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이다.
입력부(8)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텐키 등이다. 피보험자의 각 상태 데이터의 값을 손으로 입력하는 경우나, 피보험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사용자 ID)를 입력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또한,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경우 등을 위해, 입력부(8)의 하나로서 성문(聲紋) 분석 장치나 음성 인식 장치 등의 각종 음성 처리 장치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입력부(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제어 장치(5)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6)로부터 센터 장치(1)로 전송되거나, 표시부(7)에 표시되거나, 기억부(10)에 기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태 데이터의 취득은 측정부(4)나 입력부(8) 등을 이용한 상태 데이터의 측정 또는 입력을 말한다.
시계부(9)는 측정부(4)에 의해 측정이 행해진 일시나, 입력부(8)로부터 각종 정보가 입력된 일시를 특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시계부(6)로서는 예를 들어 시스템 클럭 등이 이용된다.
기억부(10)는 측정부(4)나 입력부(8), 시계부(9)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수단이다. 기억부(5)로서는 재기록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 등이 이용된다.
또한, 기억부(10)에는 사용자 ID를 기억하기 위한 사용자 ID 기억부(1001)가확보된다.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는 건강 측정 기기(2)가 구입된 직후 등에 사용자 ID가 등록된다.
사용자 ID를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등록할 때의 간단한 순서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입력부(8)로부터 예를 들어 피보험자가 기억하기 쉬운 사용자 ID가 적당하게 입력된다. 이 사용자 ID는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신부(6)로부터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센서 장치(1)로 송신된다. 센터 장치(1)에서, 상기 입력된 사용자 ID가 이미 등록된 다른 사람의 사용자 ID와 중복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 경우, 센터 장치(1)측에서 정규의 사용자 ID로서 등록이 행해진다. 센터 장치(1)측에서 등록이 행해지면, 그 취지를 표시하는 신호가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건강 측정 기기(2)로 송신되고,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ID가 상기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정규의 사용자 ID로서 등록이 행해진다.
한편 센터 장치(1)에서, 입력된 사용자 ID가 이미 등록된 다른 사람의 사용자 ID와 중복되는 것이 확인된 경우, 다른 사용자 ID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메시지가 센터 장치(1)로부터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통신부(6)로 송신된다.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그 메시지가 표시부(7)에 표시된다. 그리고, 입력된 사용자 ID가 이미 등록된 다른 사람의 사용자 ID와 중복되지 않은 것이 확인될 때까지, 또는 처리가 중단될 때까지,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까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ID의 등록 이외, 예를 들어 사용자측이 희망하는 경우에는 센터 장치(1)측이 이미 등록된 ID와 중복되지 않은 사용자 ID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등록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피보험자의 이름 등도 등록된다.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기억된 사용자 ID가 입력부(8)로부터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그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피보험자의 이름 등이 표시부(7)에 표시된다.
또한, 기억부(10)에는 사용자 ID 기억부(1001) 이외, 그 건강 측정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측정 기기 ID를 기억하는 측정 기기 ID 기억부(1002)도 확보된다. 측정 기기 ID는 본체를 출하하기 전에 미리 측정 기기 ID 기억부(1002)에 기억된다. 측정 기기 ID 기억부(1002)에는 측정 기기 ID 이외, 피보험자의 어느 부위에 대해 측정을 행하였는지 등의 측정 방법을 식별하기 위한 측정 방법 ID가 기억되는 것도 있다.
사용자 ID, 측정 기기 ID, 더욱이 측정 방법 ID는 필요에 따라 제어 장치(5)에 의해 읽어들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건강 측정 기기(2)의 구성은 측정하는 상태 데이터의 종류나 수가 변경되어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상태 데이터에 대해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상태 데이터에 대해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측정부(4)를 구비한 단일의 건강 측정 기기(2)를 이용하거나, 복수의 건강 측정 기기(2)를 이용하게 된다.
복수의 건강 측정 기기(2)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가지 형태가 있다.
측정부(4)의 구성이 다른 복수의 건강 측정 기기(2)를 이용하는 형태와, 도 2에 나타낸 건강 측정 기기의 일부의 구성을 하나의 장치에 집약하고, 측정 수단만을 개별적으로 복수 준비하는 형태이다.
후자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5), 통신부(6), 입력부(8), 시계부(9), 기억부(10)가 집약된 하나의 개인 컴퓨터(11)에, 측정하는 상태 데이터가 다른 복수의 측정부(4)가 적외선이나 무선 전파 등을 이용하여 접속된다. 물론, 개인 컴퓨터(11)와 측정부(4)를 신호선으로 접속하여도 무방하고, 전등선 등에 의해 양자를 접속하여도 무방하다.
상태 데이터의 측정 자체는 측정부(4)에 의해 행해지지만, 센터 장치(1)와의 통신이나 각종 연산 처리는 개인 컴퓨터(11)에 의해 행해진다.
후자의 형태에서는 개인 컴퓨터(11)측에서 복수 종류의 상태 데이터나 사용자 ID 등을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어느 쪽이든, 행해져야만 하는 많은 종류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그만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강 측정 기기(22)를 이용하여 취득된 상태 데이터는 보험료를 조정할 때의 주요한 기준의 하나로서 이용된다. 특히, BMI값이나 혈압값 등 보험 회사가 정하는 검사 후의 보험 기간이 종료되기까지, 또는 검사와 검사 사이에서 변동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경우에는 계약시에 이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험료(보험 내용)를 정하여도 보험 기간내에서 위험이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변동하는 상태 데이터에근거하여 보험료를 조정하는 것은 유효하다.
건강 측정 기기(2)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센터 장치(1)로 송신하는 경우,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 순서(S101∼S112)에 따라, 건강 측정 기기(2)를 동작시킨다.
건강 측정 기기(2)에는 단순히 측정부(4)로서(통상의 체중계 등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의 측정 모드와, 보험료를 조정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여 센터 장치(1)로 송신하는 보험료 조정 모드의 2가지 모드가 있는 것으로 한다. 건강 측정 기기(2)의 모드를 보험료 조정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 ID를 이용한다.
건강 측정 기기(2)가 동작되면, 입력부(8)의 입력이 감시된다(S101). 상기 입력부(8)로 입력이 행해지면, 건강 측정 기기(2)는 측정 모드로 설정된다(S102).
입력부(8)로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기억부(10)의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기억된 사용자 ID와 이 입력 내용이 비교된다(S103).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기억된 사용자 ID와 이 입력 내용이 일치하지 않으면, 측정 모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 ID 기억부(1001)에 기억된 사용자 ID와 이 입력 내용이 일치하면, 건강 측정 기기(2)가 보험료 조정 모드로 전환된다(S104).
건강 측정 기기(2)가 보험료 조정 모드로 전환되면, 건강 상태의 측정을 행하는지, 또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는지의 질문이 행해진다(S105).
처리 순서 S105에서, 건강 상태의 측정을 행하는 것을 선택하면, 측정부(4)를 이용한 상태 데이터의 측정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측정부(4)를 이용하여 상태데이터의 측정이 행해지면(S106), 측정부(4)에 의해 측정된 상태 데이터가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ID와 대응된 상태로 기억부(10)에 격납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가 취득되었을 때의 일시가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계부(9)로부터 취득되고(S107), 상태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ID와 대응된 상태로 기억부(10)에 격납된다.
다음에, 기억부(10)의 측정 기기 ID 기억부(1002)로부터 측정 기기 ID가 취득된다(S108).
더욱이, 센터 장치(1)로부터 건강 측정 기기(2)로 통지가 행해지는지 어떤지(이 통지는 후술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응한다)의 판정이 행해진다(s109).
센터 장치(1)로부터 건강 측정 기기(2)로 통지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억부(10)에 기억된 사용자 ID, 상태 데이터, 측정 일시, 측정 기기 ID 등으로부터 센터 장치(1)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S111).
즉, 이 경우의 송신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ID, 상태 데이터, 측정 일시, 측정 기기 ID 등이 포함된다.
송신 데이터가 생성되면, 통신부(6)에 의해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센서 장치(1)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된다(S112).
처리 순서 S109에서, 센터 장치(1)로부터 건강 측정 기기(2)로 통지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통지 ID의 입력의 요구를 행하여 통지 ID가 입력되면(S109), 통지 ID도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터 장치(1)는, 예를 들어 보험 회사 또는 그 대리점 등에 설치된 것이고, 컴퓨터(12)로 이루어진 부분과, 전용 장치(13)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컴퓨터(12)는 통신부(14)(수신부(141), 송신부(142)), 연산 처리 장치(15), 출력부(16), 기억 장치(17)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통신부(14)는 건강 측정 기기(2)와,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각종 모뎀이나 NIC 등이다.
연산 처리 장치(15)는 예를 들어 웹 서버나 GCI(Common Gateway Interface) 등의 프로그램에 따라, 기억 장치(17)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상기 출력부(16)는 CRT(Cathode Ray Tube)나 LCD 등의 표시 장치, 프린터 등이다.
기억 장치(17)는 예를 들어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다.
기억 장치(17)내에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 보험료 데이터베이스(172), 어드바이스베이스(173), 통지 트랜잭션파일(174) 등이 구축된다.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는 사용자 ID, 상태 데이터, 측정 일시, 측정 기기 ID 등을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가 격납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는 상기의 것 이외, 상태 데이터의 측정자를 식별하는 측정자 ID, 측정 방법 ID 등도 격납된다.
보험료 데이터베이스(172)는 연령이나 성별, 병력 등과 사망률, 유병률 등과의 관계, 더욱이 보험료와의 통계적인 관계를 정하는 데이터가 격납된다.
어드바이스베이스(173)는 이미 부여된 규칙과 어드바이스, 더욱이 각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推奬)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 등이 대응되어 격납된 어드바이스에 관한 규칙베이스이다.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은 통지 내용 및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격납하는 파일이다. 파일(174)은 예를 들어 통지를 식별하는 통지 ID를 키로 하여, 통지의 횟수, 통지 방법, 통지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응답의 유무, 응답의 시기,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 사용자 ID 등이 격납된다. 이 파일(174)은 보험료를 조정하는데 참조하는 기간이 종료되어 보험료의 조정 처리가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초기화 또는 일부 삭제된다.
한편, 전용 장치(13)는 재취득 판별부(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대응; 18), 어드바이스 생성부(19), 통지 실행부(20), 응답 상황 판정부(21),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 보험료 조정부(보험 내용 조정 수단에 대응; 25) 등을 구비한다.
재취득 판별부(18)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각 사용자 ID에 대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여,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통지 실행부(20)를 기동한다. 재취득 판별부(18)는 기본적인 보험료를 정할 때에 상태 데이터는 취득되지만, 그 이후의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계속적으로 행해지는지 어떤지를 판별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19)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피보험자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어드바이스를 생성하여 통지 실행부(20)로 공급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19)는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때, 상태 데이터 이외 보험료 데이터베이스(172),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참조한다.
보험료 데이터베이스(172)를 참조하는 것은 연령이나 성별, 병력에 맞는 어드바이스를 실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참조함으로써, 상태 데이터에 대한 적당한 어드바이스와, 그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 등이 정해진다.
통지 실행부(20)는 재취득 판별부(18) 또는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 의해 기동되었을 때, 전자 메일, 전화, 방문 등의 통지 방법과, 이 통지를 식별하기 위한 통지 ID를 정하고 나서, 통지 ID를 포함하는 통지를 생성하여, 송신부(142)나 출력부(16)로부터 통지를 송신 또는 출력시킨다.
재취득 판별부(18)에 의해 통지 실행부(20)가 기동되었을 때 생성되는 것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이다. 한편,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 의해 통지 실행부(20)가 기동되었을 때 생성되는 것은 피보험자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이다.
또한, 통지 실행부(20)는 통지를 송신 또는 출력시킴과 동시에, 통지 ID, 통지 방법을 식별하기 위한 통지 방법 ID, 통지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 등을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한다.
응답 상황 판정부(21)는 어느 달의 보험료를 조정하기 위해 참조하는 기간이 종료되면, 그 기간중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에 관한 판정과,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에 관한 판정을 행한다. 기간중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에 관한 판정은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상태 데이터, 측정 일시 등에 대해 행해진다. 그 기간내에 재취득된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가 구해지고, 또한 각 상태 데이터에 대응한 측정 일시가 취득된다. 더욱이, 각 상태 데이터에 대응한 측정자 ID, 측정 방법 ID, 측정 기기 ID 등도 취득된다.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나 측정 일시(취득 시기)를 이용하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의 의식이 나타나는,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자 ID, 측정 방법 ID, 측정 기기 ID는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표시하여,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에 관한 판정은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 통지 횟수, 통지 방법, 응답의 유무, 응답의 내용, 응답의 시기 등에 대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의 기간중에 행해진 통지 횟수를 구하는 집계 처리가 행해진다.
통지 횟수, 통지 방법은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의 일부이고, 재취득 통지에 관한 보험 회사측의 비용에 대응한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표시한다. 재취득 통지의 내용이나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대한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의 의식이 나타나는,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응답 상황 판정부(21)는 모든 처리를 실행하면, 그 처리 결과를 보험료 조정부(25)로 출력한다.
건강 상태 판정부(22)는 그 기간이 종료되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한다. 더욱이, 건강 상태 판정부(22)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보험료 연산부(25)로 출력함과 동시에,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사용자 ID와 대응하여 격납한다.
또한, 건강 개선 판정부(23)는 과거의 기간에 대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정해져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와, 이번의 기간에 대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정해진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시계열적인 변화)를 미분 연산하는 것 등을 해서 정하고,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며, 그 판정 결과를 보험료 조정부(25)로 출력한다.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는 그 기간이 종료하면,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통지 ID에, 대응되어 격납된 통지 횟수, 통지 방법, 통지를 행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의 시기,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 등에 대해 판정을 행한다.
모든 통지에는 서로 다른 통지 ID가 부여되기 때문에, 응답의 유무는 응답에 부가된 통지 ID를 검색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통지 횟수, 통지 방법은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에 관한 보험 회사측의 비용에 대응한다. 이들과, 통지를 행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는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의 내용, 응답의 시기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표시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도 포함하여, 어드바이스의 내용,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피보험자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의 의식이 나타나는, 피보험자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보험료 조정부(25)는 응답 상황 판정부(21),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중 적어도 하나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료의 조정 처리를 행한다.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한 보험료의 조정 처리는, 예를 들어 기본적인 보험료에 대해 응답 상황 판정부(21),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얻어진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정해진 배율을 곱셈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조정후의 보험료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기본적인 보험료) ×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 의욕 정도에 따른 배율)
또한, 응답 상황 판정부(21) 및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중 적어도 한쪽, 더욱이 응답 상황 판정부(21), 건강 상태 판정부(22) 또는 건강 개선 판정부(23), 및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를 조합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서의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구체예이다.
이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보험 기간 개시후, 건강 측정 기기(2)에 의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측정된다. 건강 측정 기기(2)를 이용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의 측정 순서는 이미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지만, 일부 보충한다.
측정은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와 상관이 있는 BMI값, 체지방률, 혈압값 등의 상태 데이터에 대해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측정된 상태 데이터의 구체적 수치가 동일하다고 해서, 복수의 피보험자의 실제의 값이 일치하는 것으로는 단정할 수 없다.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의 측정은 피보험자 자신이 행하는 것외, 피보험자의 가족, 의사나 간호사, 스포츠 트레이너 등 피보험자의 건강에 관여하는 사람이 행하는 경우도 있어, 측정 기량은 측정자에 따라 다양하다. 이 때문에, 측정하여 얻어진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도 측정자에 따라 편차가 존재한다. 또한, 측정자뿐만 아니라, 측정 기기, 측정 방법 등에 의해서도 신뢰성에 편차가 발생된다. 예를 들면, 혈압값의 측정에서는 손목에서의 측정보다도 상완(上腕)을 측정하는 기기의 쪽이 신뢰성이 높다.
특히, 의료 기관이 아니고 가정에서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측정자의 측정기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측정 기기의 측정 정밀도가 의료 기관의 것보다도 열화한 경우가 많다. 이들의 조건도 고려하지 않으면, 측정의 평가가 부적절·불공평한 것으로 될지도 모른다.
상술한 처리 순서 S108에서, 측정 기기 ID 등의 취득이 필요로 된 것은 이들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센터 장치(1)의 기억부(17)에는 측정 기기 ID 등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을 표시하는 각 ID에 대응하여 신뢰성의 정도를 표시하는 수치 등이 기억된다.
측정 기기 ID나 측정 방법 ID는 기기의 사양에 따라 미리 어느 정도 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에 건강 측정 기기(2)의 기억부(10)에 기억시켜 두면 된다. 측정 방법이 복수인 경우에는 입력부(8)나 표시부(7)를 이용하여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측정자 ID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의료 업무의 경험이나 이 측정 기기의 사용 경험의 차이에 의해 분류된 그룹에 따라 미리 정하고,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건강 측정 기기(2)의 입력부(8)로부터 입력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송신 데이터가 센터 장치(1)의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되었을 때, 어드바이스 생성부(19)가 기동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19)가 기동되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로부터 상태 데이터가 읽어들여진다. 또한, 상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ID에 대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로부터 연령, 성별, 병력 등이 읽어들여지고, 이들에 적당한 사망률 등의 데이터가 보험료 데이터베이스(172)로부터 추출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축에 나타낸 BMI값이나, 체지방률, 콜레스톨값 등 피보험자의 건강과 상관이 있는 상태 데이터와, 세로축에 나타낸 발병률이나 유병률, 사망률 등의 위험과의 관계는 대부분의 경우, 곡형(谷型)으로 된다.
즉, 건강과 상관이 있는 상태 데이터에는 사망률 등의 위험이 가장 작게 되는 최적값(Op)이 존재하고, 이것보다도 높거나 낮으면, 사망률 등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다. 위험이 증가하면, 보험료가 높게 되고, 물론 피보험자가 건강을 잃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런데,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서는 우선 상태 데이터가 최적값보다도 큰지 작은지가 판별된다. 크면 작게 하고, 작으면 크게 한다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어드바이스의 규칙으로 된다.
예를 들면, BMI값은 적정한 체중을 평가하는데 이용되지만, BMI값이 그 최적값보다도 작으면, 체중이 적은 것이다. 따라서, 체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매일 균형있게 식사를 한다」, 「결식을 하지 않는다」 등의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
한편, BMI값이 그 최적값보다도 크면, 체중이 많은 것이다. 따라서, 체중을 줄이기 위한 「간식을 하지 않는다」,「취침전에 식사를 하지 않는다」, 「운동을 한다」 등의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 또한, BMI값이 최적값과 거의 같으면, 체중이 적정한 것이기 때문에,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는, 운동이나 식사에 관한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
「매일 균형있게 식사를 한다」라는 구체적인 어드바이스는 어드바이스베이스(173)에 격납된다. 판별에 의해 정해진 조건에 따라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검색하면, 적당한 어드바이스가 추출된다.
또한, 어드바이스베이스(173)는 상기의 어드바이스 이외, 그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나, 추장 빈도,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에 예상되는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의 크기 등도 격납된다. 또한, 실행 난이도나 추장 빈도도 어드바이스 생성부(19)로부터 통지 실행부(20)로 공급된다.
통지 실행부(20)로 어드바이스 등이 공급되면, 전자 메일이나 전화 등의 통지 방법과, 그 통지를 식별하기 위한 통지 ID를 정하고 나서, 통지 ID와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가 생성된다.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통지 ID와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가 생성되면, 추정된 통지 방법에 따라, 보험 계약자측으로 그 통지가 송신된다.
또한, 통지 ID를 키로 하여, 통지 방법 ID, 통지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등이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다.
센터 장치(1)로부터 송신된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는, 예를 들어 건강 측정 기기(2)의 통신부(6)에 의해 수신되고,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7)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의 통지는 예를 들어 피보험자의 상태 데이터의 측정이 행하고 나서 즉시 실행된다. 보험 계약자측은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피보험자의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도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피보험자가 어드바이스에 따라 행한 실행 내용을 매일 정도의 빈도로, 보험 계약자측이 건강 측정 기기(2)의 입력부(8)로부터 입력하면,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이나 상태 데이터와의 인과 관계가 보험 회사측에서 파악하기 쉽다.
도 6에 나타낸 처리 순서 S113∼S118이 어드바이스에 따른 실행 내용을 입력하는 순서이다.
처리 순서 S105에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의 입력이 선택되면, 우선 통지 ID의 입력이 요구된다. 어드바이스에 응답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지 ID는 이미 전송된 것이다. 통지 ID가 입력되면(S113),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을 입력부(8)로부터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입력된 통지 ID는 사용자 ID와 대응되어, 기억부(10)에 기억된다.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그날의 섭취 칼로리나 소비 칼로리, 워킹이나 러닝을 행한 시간 등을 입력한다.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이 입력되면(S114), 제어 장치(5)의 제어에 따라 시계부(9)로부터 입력 일시가 취득되고(S115), 통지 ID에 대응된 상태로 기억부(10)에 기억된다.
입력 일시의 취득이 행해지면, 다음에 승인자 ID 등의 입력이 요구된다(S116).
승인자 ID는 어드바이스에 따라 행해진 실행의 내용을 승인하는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관련된다. 식사 요법, 운동 요법 등의 어드바이스에서는 피보험자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이 충분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어드바이스에 따른 행동을 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보험자 자신이 실행 내용의 진척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입력 내용이 불명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피보험자에게 영양사나 스포츠 트레이너 등이 곁에서 실행 내용을 지도 관리하여 그 실행 내용을 승인하면, 입력 내용의 신뢰성(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승인자 ID와 같은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에는 그것 이외, 어드바이스에 따른 메뉴의 내용 등을 승인한 승인 내용, 어드바이스에 따른 내용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승인한 승인 기기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데이터도 기억부(10)에 일시적으로 격납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억부(10)에 기억된 사용자 ID, 실행 내용(응답 내용), 입력 일시, 승인자 ID 등의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로부터 센터 장치(1)로 송신되는 응답 데이터가 생성된다(S117).
응답 데이터가 생성되면, 통신부(6)에 의해 공중 회선이나 인터넷(3) 등을 통해 센터 장치(1)로 응답 데이터가 송신된다(S118).
응답 데이터는 센터 장치(1)의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통지 ID에 대응된 상태로 격납된다.
보험료를 조정할 때에 참조하는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 응답 데이터 이외, 통지 횟수,통지 방법, 통지를 행한 어드바이스의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응답의 유무, 응답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 등에 따라, 어드바이스에 대해 어느 정도, 보험 계약자측이 협력적인 의욕을 행하였는지(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판정된다.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의 판정 결과는 보험료 조정부(25)로 공급된다.
통지 횟수가 많거나, 통지 방법이 노력을 요구하는 것인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측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식이 낮은 것이 예상된다. 보험 회사의 비용도 그만큼 증대되기 때문에,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저감된다. 또한, 어드바이스에 따라 응답이 확실히 행해지면, 보험 계약자측이 적극적으로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예상된다. 장래적으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는 같은 세대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되는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증대된다.
또한, 실행 난이도가 높은 경우나 추장 빈도가 많은 경우에는 어드바이스를 실행하는데 피보험자에게 상당한 노력이 필요로 된다. 그것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피보험자의 건강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식이 높은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게 추측된다.
또한, 통지를 행하고 나서 즉시 응답이 행해진 경우에도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높게 추측한다.
또한, 승인자 ID가 의사 등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에도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이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높게 추측한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따른 이동을 계속적으로 실행한 경우의 건강 상태 개선의 효과가 크다고 예상되는 만큼,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높게 추측한다.
또한,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의, 승인자, ID 등에 근거하여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의 판별을 행하는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에 대응한다.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로부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공급되면,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보험료가 조정된다.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 조정이 행해진다.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 및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행해지는, 어드바이스의 실행에 관한 보험료의 조정을 행할 때의 배율의 구체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의 유무, 내용, 통지에 대한 응답 내용, 응답 시기에 관해, 예를 들어 「실행의 효과가 큰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였다」라는 것이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는 그 판정에 따라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평가되어,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에 대응한 0.8의 배율이 할당되고, 그 배율에 근거하여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 경우, 보험료가 20% 할인된다. 또한, 「실행의 효과가 작은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였다」라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이 경우, 보험료의 조정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실행하지 않았다」라는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장래적으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는 것이 기대되지 않기 때문에, 보험료가 할증된다.
또한, 「실행이 곤란한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였다」, 「정기적으로 실행하였다」, 「실행 횟수가 많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0.8의 배율이 할당된다. 「실행이 용이한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였다」, 「실행 횟수가 작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또한, 어드바이스에 따른 경우의 승인자, 승인 내용, 승인 기기에 관해, 예를 들어 「트레이닝 기관이나 전문가가 승인하였다」, 「전문 계측기를 사용하여 어드바이스를 실행하였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0.9의 배율가 할당된다. 「본인, 가족 등 일반인이 승인하였다」, 「만보 계측 등 일반적인 기기로 실행의 승인을 하였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또한, 어드바이스에 적극적으로 따름으로써, 건강 상태의 악화가 회피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나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의 판정 결과에 따라 보험료를 조정하여도,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보험료 조정부(25)의 조정 결과나 상태 데이터, 어드바이스 등은 프린터 등의 출력부(18)로부터 출력되어, 보험 회사가 그 조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보험료 조정부(25)의 조정 결과는 송신부(142)를 통해 건강 측정 기기(2)로 송신되어, 건강 측정 기기(2)의 표시부(7)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대응한다.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의욕을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가 협력적으로 행하면, 장래적으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같은 연대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양호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의욕을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가 협력적으로 행하였다고 해도, 즉시 그 의욕이 상태 데이터에 나타난다고는 할 수 없지만,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험료를 정할 뿐만 아니라,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보험료에 반영하면, 장래적인 위험의 변동을 예상한 보험료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충분한 것인 경우에는 장래적으로 건강 상태가 우수한 피보험자에 대해, 보험 계약작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불충분한 것인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은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보험 계약자측은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장래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은 보다 위험이 작은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보험자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얻어지면, 그때에 따른 어드바이스를 피보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얻어지는 상태 데이터의 계속성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피보험자가 상태 데이터의 취득을 정기적으로 행하지 않고, 상태 데이터가 주 1회 정도의 빈도로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를 피보험자측에 대해 행하게 된다. 다음에 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재취득 판별부(18)에 의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기억된 각 사용자 ID에 대해, 각 사용자 ID에 대응하여 기억된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가 판별된다.
재취득 판별부(18)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이 상태 데이터에 대응된 사용자 ID가 추출되어, 통지 실행부(20)로 공급된다.
통지 실행부(20)에서는 통지 ID 및 통지 방법을 정한 후, 통지 ID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재취득 통지가 생성된다.
또한,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정해진 통지 ID와 통지 방법은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다.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생성된 재취득 통지는 미리 정해진 통지 방법에 따라 센터 장치(1)로부터 건강 측정 기기(2)로 전송되어, 건강 측정 기기(2)의 표시부(7)에 그 내용이 표시된다.
이 내용을 본 피보험자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행할 때의 건강 측정 기기(2)의 처리 순서는 이미 도 6에서 나타낸 S101∼S112의 처리 순서이다. 이 경우, 재취득 통지가 피보험자에게 행해지고 나서,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행해졌기 때문에, 통지 ID가 입력되기까지 순서 S110이 행해져, 통신 데이터에 통지 ID가 포함된다.
통지 ID를 포함한 송신 데이터는 센터 장치(1)로 송신되어, 센터 장치(1)의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다. 또한,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 데이터중, 통지 ID가 동일 데이터에 대해, 응답 유무의 항목이 응답 없음으로부터 응답 있음으로 기록된다.
보험료를 조정할 때에 참조되는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응답 상황 판정부(21)에서는 그 기간중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에 관한 판정과,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에 관한 판정이 행해진다.
판정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기간내에 판정된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게 평가된다. 또한, 측정 일시가 기간이 종료될 때로부터 가까운 경우에도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게 평가된다.
또한, 측정자 ID, 측정 방법 ID, 판정 기기 ID 등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도 취득되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판별된다. 예를 들면, 측정자 ID가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면, 신뢰성이 높고, 측정자 ID가 피보험자 본인이면 신뢰성은 그다지 높지 않는 판별이 행해진다.
또한, 응답 상황 판정부(21)가 행하는, 측정자 ID 등의 신뢰성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에 대응한다.
더욱이, 기간중에 행한 통지의 횟수, 통지 방법 등 재취득 통지의 내용으로부터 비용이 판정된다. 통지 횟수가 많으면 비용이 소요되는 것에 더하여,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피보험자의 의식이 낮은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제 1협력적 의욕 정도가 낮게 추측된다. 또한, 재취득 통지에 대해 응답이 있으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게 평가되고, 재취득 통지에 대해 응답이 없으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낮게 평가된다. 재취득 통지를 행하여도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간중의 통지 횟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매우 낮게 평가되기 쉽다.
또한, 그 기간이 종료되었을 때, 건강 상태 판정부(22) 및 건강 개선 판정부(23)도 동작한다.
건강 상태 판정부(22)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비교 판정시에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 데이터와 건강하지 않은 정도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가 참조된다.
도 9의 가로축은 상태 데이터의 구체예인 BMI값을 나타낸다. 도 9의 세로축은 사망률 등의 건강하지 않은 정도(건강 정도의 역수)을 나타낸다. 도 7과 마찬가지로, 도 9의 BMI값과 건강하지 않은 정도의 관계도 곡형으로 된다. 건강 상태 판정부(22)로 공급된 BMI값이 곡형의 저주변에 해당되는 소정 범위에 수용되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으로 판정된다. 이것에 대해, BMI값이 소정 범위에 수용되지 않으면, 건상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이상으로 판정된다.
건강 개선 판정부(23)에서는 과거의 기간에 대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정해져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171)에 격납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정상인지 이상인지)와, 이번의 기간에 대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정해진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 사이의 시계열적 변화가 미분 연산하는 것 등을 해서 정하여,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또한, 건강 상태 판정부(22)의 판정 결과를 이용하는 대신에, 도 9를 이용하는 것 등을 해서, BMI값으로부터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었는지 어떤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상태 데이터와 건강하지 않은 정도의 관계는,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과거의 BMI값과 이번의 BMI값 사이의 기울기가 소정치 이상이고 부이면, 개선된 것으로 판정하고, 기울기가 소정값보다 작으면, 변화 없음으로 판정하며, 기울기가 소정값 이상이고 정이면, 악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등을 하면 된다.
응답 상황 판정부(21),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에 의한 판정 결과는 보험료 조정부(25)로 공급된다.
이 경우, 보험료 조정부(25)에서는, 예를 들어 응답 상황 판정부(21)나,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3)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정해진 배율을 기본적인 보험료에 곱셈함으로써,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후의 보험료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기본적인 보험료) ×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 의욕 정도에 따른 배율)
응답 상황 판정부(21)의 판정 결과인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낮은 경우에는 부담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보험료가 조정된다. 더욱이, 신뢰성이 높은 경우에는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그대로 추측하거나 조금 높게 추측하지만, 신뢰성이 낮은 경우에는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낮게 추측된다. 그 결과, 신뢰성이 낮은 경우에는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높아도, 보험 계약자의 부담 경감이 작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응답 상황 판정부(21) 및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행해지는,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관한 보험료의 조정을 행할 때의 배율의 구체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취득 통지의 내용에 관해, 예를 들어 「통지 없음」이라는 판정이 응답 상황 판정부(21)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그것에 근거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추측된다. 더욱이,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에 대응한 0.9의 배율이 할당되고, 그 배율에 근거하여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재취득 통지가 행해지지 않은 것은 피보험자가 계속적으로 상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피보험자의 의식이 높은 것이 예상된다. 또한, 재취득 통지를 행하지 않으면, 보험 회사의 비용도 그만큼 적게 된다. 이 때문에, 보험료가 10% 할인된다.
또한, 「통지 내용의 표현이 느슨하다」이거나 「통지 횟수가 적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이 경우, 보험료의 조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통지 내용의 표현이 엄격하다」, 「통지 횟수가 많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피보험자는 위험 관리에 대한 의식이 낮아, 장래적으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는 것이 기대되기 어렵기 때문에, 보험료가 할증된다.
또한,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에 관해, 예를 들어 「통지하여 즉시 응답이 있었다」라고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0.9의 배율이 할당된다. 「통지하고 잠시 후에 응답이 있었다」라고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응답이 없다」라고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3의 배율이 할당된다.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없으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보험 회사가 파악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의 위험 관리에 대한 의식도 낮은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에는 다른 경우보다도 할증량이 약간 높게 설정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 취득 시기에 관해,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많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0.95의 배율이 할당된다. 「보통이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적다」,「일시적으로 많다」등의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5의 배율이 할당된다.
「일시적으로 많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 보험료가 할증되는 것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는 계속적인 의욕이 중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일시적으로 건강 상태가 양호하였다고 해도, 그 후 피보험자가 건강 상태를 관리하지 않으면 건강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예를 들면, 피보험자 본인의 의식과는 그다지 관계없고, 일시적으로 의료 기관 등에 의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많이 행해지고, 그 후 피보험자가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행하지 않은 경우 등이 고려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취득 횟수가 많은 경우에도, 그들이 일시적으로 행해진 경우에는 보험료가 할증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면, 상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많이 취득할 필요성은 통상 적다. 많이 취득하지 않아도, 보험료가 할인되기 때문이다. 상태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많이 취득되는 것은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 의욕과는 별개의 요인이 기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면, 취득한 상태 데이터가 표시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보험료의 증가를 억제하려면, 반복해서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취득 횟수가 많아도, 보험료를 할인하는 것이 적정한 조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유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부터도, 상태 데이터의 취득이 일시적으로 많이 행해진 경우에 보험료가 할증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태 데이터의 취득자, 취득 방법, 취득 기기, 취득 시간대에 관한 신뢰성에 관해, 예를 들어 「의료 기관이나 전문가가 취득하였다」, 「정밀도가 높은 의료용 기기로 취득하였다」, 「아침 일찍 등 안정(安靜)된 상태에서 취득하였다」 등의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0.9의 배율이 할당되어, 보험료의 할인이 행해진다. 한편, 「본인이나 가족 등 일반인이 취득하였다」, 「가정용 기기로 취득하였다」, 「운동한 직후에 취득하였다」 등의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되어, 보험료의 조정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한 판정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는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료가 조정된다. 또한, 판정 결과가 이상인 경우에는 부담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보험료가 조정된다.
또한, 건강 개선 판정부(23)에 의한 판정 결과가 개선이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방향으로 보험료가 조정된다. 판정 결과가 악화인 경우에는 부담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보험료가 조정된다.
건강 상태 판정부(22) 또는 건강 개선 판정부(23), 및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행해지는, 상태 데이터로부터 정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보험료의 조정을 행할 때의 배율의 구체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인지 이상인지에 관해, 예를 들어 「정상」이라는 판별이 건강 상태 판정부(22)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0.8의 배율이 할당된다. 이 배율에 근거하여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상」이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2의 배율이 할당된다.
또한, 시계열적 관계에 근거하여 개선되었는지 어떤지에 관해, 예를 들어 「개선되었다」라는 판별이 건강 개선 판정부(23)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0.8의 배율이 할당된다. 이 배율에 근거하여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변화되지 않음」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0의 배율이 할당된다. 더욱이, 「악화되었다」라는 판별이 행해진 경우에는 1.2의 배율이 할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 대응한다.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은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데에도, 보험 회사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험료를 다시 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것이다. 그것에 대한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 등의 협력적인 의욕이 충분한 것이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장래적인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가 같은 연대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이 예상된다. 이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협력적인 의욕이 불충분한 것이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낮아, 상태 데이터에 나타난 현재 상태의 위험이 장래적으로 증대하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이 예상된다.
즉, 보험료의 조정에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장래적인 위험의 변동을 예상한 보험료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충분한 것이면, 장래적으로 건강 상태가 우수한 피보험자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가 불충한 것이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은 증대되지만, 그것에 의해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의식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보험 회사는 건강 상태가 보다 우수한 피보험자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양쪽을 이용하여보험료를 조정하면, 그만큼 피보험자의 장래적인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재료가 증가된다. 따라서, 보험료의 조정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한 것으로 되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한층 더 경감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험 회사는 건강 상태가 보다 우수한 피보험자를 더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실시예에서는 사망 보장을 행하는 갱신형 정기 보험에 대해, 보험 계약자가 매달 보험 회사로 납부하는 보험료를 보험 기간내에서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험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 보험에 대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설비 기기나 가전 기기 등 각종 기기의 손해 보험이나 유지(maintenance) 보증 등에 대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손해 보험에 대해 적용하는 경우에도 보험 대상이 다르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상위 등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생명 보험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예를 들면, 자동차 보험의 보험 내용을 조정하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은 자동차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 측정 기기, 및 자동차 측정 기기와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센터 장치를 구비한다.
자동차 보험에 적용한 경우의 센터 장치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센터 장치(1)의 건강 상태 판정부(22), 건강 개선 판정부(223)를, 자동차의 정비 상태(정상인지 이상인지)를 진단하는 자동차 진단 판정부(22'), 자동차의 정비 상태가 개선되었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자동차 개선 판정부(23')로 대체한 구성에 상당한다.
또한, 자동차 측정 기기는 엔진의 정비 상태, 브레이크의 정비 상태, 소모품의 상태 등 자동차의 정비 상태와 상관이 있는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한 장치이다.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부(4') 이외, 건강 상태 측정 기기(2)와 다르지 않다. 이 자동차 측정 기기(2')는, 예를 들어 자동차 정비 공장이나 보험 계약자의 가정 등에 배치되어, 보험 계약자가 정기 점검을 행할 때 등에 이용된다.
보험 계약자가 정기 점검 등을 행하는 의욕에는 자동차의 정비 상태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의 의식의 높이가 나타난다. 또한, 매일의 오일 점검, 공기압의 확인을 빠트리지 않는 등의 어드바이스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의욕에는 자동차의 주행 성능이나 안전 성능을 유지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의 의식의 높이가 나타난다. 보험 계약자가 정기 점검을 행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거나, 정기 점검일에 앞서는 소정의 설정일로 되면, 정기 점검을 재촉하는 통지(재취득 통지)가 행해진다. 재취득 통지의 내용이나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등은 생명 보험의 경우와 다르지 않다. 예를 들면, 재취득 통지의 내용은 통지 횟수나 통지 방법이다. 보험 계약자가 재취득 통지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정기 점검을 행하지 않으면, 반복하여 재취득 통지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통지 횟수가 증가된다. 재취득되는 상태 데이터는 상술한 엔진의 정비 상태, 브레이크의 정비 상태, 소모품의 상태 등이다. 이들의 상태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 기기를 식별하는 측정 기기 ID나, 정비업자가 점검을 행하였는지 제 3자가 점검을 행하였는지 등 검점을 행한 사람을 식별하는 측정자 ID 등은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표시한다. 자동차의 상태나 어드바이스의 내용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계 공학적으로 정할 수 있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은 생명 보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행 난이도, 추장 빈도, 실행한 경우의 효과의 크기 등으로 표시된다.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 응답의 신뢰성도 생명 보험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들의 관계에 근거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정하고,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험 대상의 상태는 생명 보험에 적용한 경우,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이고, 자동차 보험에 적용한 경우, 자동차의 정비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험 계약자측은 생명 보험의 경우, 예를 들어 피보험자, 보험 계약자, 보험금 수취인 등이다. 자동차 보험의 경우, 보험 계약자, 그외의 탑승자 등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험료를 조정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망 보험금이나 만기금의 금액을 조정하거나, 연금액, 더욱이 보험 기간을 조정하여, 실질적으로 보험료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보험료에 배율을 곱셈하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보험료의 조정을 행하였지만, 이들의 관계를 표시해 두는 등을 하여, 보험료 조정 내용을 미리 정한 보험료 조정표(보험 내용 조정표)를 작성해 두고, 보험료 조정부(보험 내용 조정 수단; 25)는 그 보험료 조정표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의 조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보험료 조정표나 전술한 실시예의 계산식은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내용의 관계를 정한다. 따라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얻는 것만으로, 정확하고 간단하게 보험 내용이 조정되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표에 근거하여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도 본 발명에서의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일예이다.
또한, 보험 내용 조정표를 이용하는 것과 동등한 조작을 알고리즘에 의해 행하여도 물론 무방하다.
더욱이, 배율은 일정값일 필요는 없고, 하기와 같이 시간적으로 변동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어드바이스를 행하여도 즉시 그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수 없으면, 어드바이스 직후에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작은 동안은 상태 데이터에 근거한 보험 대상의 상태가 그만큼 변화하지 않아도 어드바이스의 실행을 확실하게 행하면, 높은 배율을 할당하도록 한다.
어드바이스로부터 시간이 경과하여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나는 정도로 되면, 어드바이스의 실행을 확실히 행하여도 상기의 높은 배율보다도 배율을 낮추도록 변화시킨다. 그 때, 보험 대상의 상태가 양호하게 되거나 개선되면, 그것에 대해 높은 배율을 할당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드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시간적으로 배율을 변화시키면, 어드바이스의 실행이 결과로서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것에 대한 구제적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험료를 조정할 때에 참조하는 기간이 어느 달의 보험료 조정일의 조금 전에 설정된 설정일로부터 1개월 소급한 그 전달의 설정일까지의 사이의 기간에 행해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험 기간이 개시되고 나서 상기 달의 설정일까지의 상태 데이터나 의욕 정도를 참조하도록 하여도 무방하고, 더욱이 보험 기간이 개시되기 전에 상태 데이터나 의욕 정도도 참조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센터 장치(1)의 재취득 판별부(18)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는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을 때,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재취득 통지가 행해진다.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을 때 대신에,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은 보험료를 조정하는데 중요한 것이다.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보험료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 보험료 조정일보다도 조금 전의 설정일까지 각종 데이터가 필요한 것으로 하면, 설정일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간으로 된다. 예를 들면, 재취득 판별부의 구성을 시스템 클럭 등에 의해 일시를 감시하여, 설정일에 앞서는 일시인지를 판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재취득 판별부는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대응한다.
더욱이, 재취득 통지를 행해야만 하는 시기를 판별하는 수단, 및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수단을 센터 장치(1, 1')측이 아니라,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자동차의 정비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센터 장치(1, 1')측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재취득에 관한 이들의 구성을 갖는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 대응한다.
재취득 통지를 행해야만 하는 시기를 판별하는 수단, 및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수단을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의 제어 장치(5), 시계부(9) 등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는 동작 모드가 보험료 조정 모드로 전환되고, 측정부(4)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측정된 경우, 초기치를 0으로 한 후에 계시를 시작한다. 계시값과 소정 기간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비교하여, 계시값이 설정값을 상회한 경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으로 판별한다. 더욱이, 기억부(10)로부터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읽어들이는 것 등을 해서 통지 내용을 취득하고, 표시부(7)에 재취득 통지를 표시시킨다. 표시부(7)에 표시된 재취득 통지를 보는 것 등을 하고 나서, 측정부(4)에 의해 취득된 상태 데이터는 통신부(6)에 의해 센터 장치(1, 1')로 송신된다. 센터 장치(1, 1')측에서는 통신부(6)에 의해 송신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의 조정이 행해진다.
제어 장치(5) 및 시계부(9)를 이용한 계시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대응하는 것이다.
측정부(4)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상태 데이터취득 수단에 대응한다. 더욱이, 제어 장치(5), 표시부(7) 및 기억부(10)를 이용한 재취득 통지의 출력에 관한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재취득 통지 수단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의 통신부(6)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상태 데이터 송신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제어 장치(5)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소정의 시기와 계시부(9)로부터의 일시를 비교하여, 소정의 시기와 시계부(9)로부터의 일시가 일치한 경우, 재취득 통지를 표시부(7)에 표시시키도록 프로그램하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제어 장치(5) 및 시계부(9)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취득 통지를 행해야만 하는 시기를 판별하는 수단, 및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수단을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측에 설치하면,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측이 센터 장치(1, 1')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보험자나 보험 계약자는 재취득 통지를 받을 수 있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측에서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경우, 통지 ID는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측에서 유지하고, 그 후에 응답의 유무 등을 센터 장치(1, 1')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어떤 피보함자에 대해 조정 내용 판정 기간중에 복수회 측정된 모든 상태 데이터를 반드시 이용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그중, 가장 보험 계약자에게 유리하게 되는 데이터만을, 또는 그들의 평균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드바이스의 생성이나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한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를 센터 장치(1, 1')에 의해 행하였지만, 이들의 처리를 센터 장치(1, 1')에 상당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의 단말 장치를 중개하는 어드바이스 장치에 의해 행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어드바이스 장치는 어드바이스 생성부(19)나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와 동등한 구성을 구비한다.
이 어드바이스 장치에 어드바이스 생성부(19)와 동등한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 이 어드바이스 장치는 예를 들어 어드바이스 생성 장치(19), 어드바이스베이스(173), 통지 실행부(20)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어드바이스 생성 장치(19),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설치해 둘 필요는 없고,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 보험료 조정부(25) 등을 설치해 두면 된다.
어드바이스 생성 장치(19)가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상태 데이터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가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로부터 수신한 후,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어드바이스 장치에서는 상태 데이터가 수신되면, 어드바이스베이스(173)가 참조되어,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 의해 어드바이스가 생성된다. 생성된 어드바이스는 통지 실행부(20)의 지시에 따라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으로 송신된다. 이 때,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부여된 통지 ID나 어드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되어,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데이터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된다.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서는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 통지 ID 등을 참조하면서,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평가되어,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응답 데이터를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직접 송신하지 않고, 어드바이스 장치를 통해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어드바이스 장치에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와 동등한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 어드바이스 장치는 이외, 예를 들어 통지 트랜잭션파일(174)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를 설치해 둘 필요는 없고, 어드바이스 생성 장치(19), 통지 실행부(20), 어드바이스베이스(173), 보험료 조정부(25) 등을 설치해 두면 된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를 이용하여 취득된 상태 데이터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된다.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서는 수신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 의해 어드바이스가 생성되고, 통지 실행부(20)의 지시에 따라 송신부(142)에 의해 어드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지가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으로 송신된다. 이 때, 통지 ID나 어드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부터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되어, 어드바이스 장치의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측정 기기(2')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데이터는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어드바이스 장치에서는 통지 트랜잭션파일(174)에 격납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장치 등을 참조하면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에 따라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가 행해진다. 이 평가 결과는 어드바이스 장치로부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되고,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보험료가 조정된다.
또한, 어드바이스 장치에 어드바이스 생성부(19) 및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와 동등한 구성을 설치하는 경우, 이 어드바이스 장치는 이외, 예를 들어 통지 실행부(20), 어드바이스베이스(173), 통지 트랜잭션파일(174)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어드바이스 생성부(19),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설치해 둘 필요는 없고, 보험료 조정부(25) 등을 설치해 두면 된다.
어드바이스 생성 장치(19)가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하는 상태 데이터는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로부터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어드바이스 장치에서는 어드바이스베이스(173)를 참조하면서, 수신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어드바이스가 생성되고, 통지 실행부(20)의 지시에 따라 이 어드바이스가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으로 통지된다.
또한, 어드바이스 장치에서 수신한 상태 데이터는 이 어드바이스 장치로부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도 송신된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 등을 이용하여 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생성되면, 응답 데이터는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어드바이스 장치에서는 통지 트렌잭션파일(174)을 참조하면서, 응답 데이터에 따라 어드바이스 실행 판정부(24)에 의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가 평가된다. 이 평가 결과는 어드바이스 장치로부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되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의 보험료 조정부(25)에 의해 보험료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어드바이스의 생성이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를 행하는 어드바이스 장치를 이용하면, 보험 회사와 보험 계약자측을 중개하는 중개업자 등이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정하거나, 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보험 회사의 경영 환경 등에 좌우되지 않고, 어드바이스의 내용이나 평가에 대한 공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어드바이스 생성부(19), 통지 실행부(20)를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어드바이스 장치에 설치된 경우에도, 어드바이스 생성부(19)에 의해 생성되고, 통지 실행부(20)에 의해 통지되는 어드바이스는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의 표시부(7)에 표시된다. 표시부(7)에 표시되는 것은 어드바이스만은 아니지만, 표시부(7)의 이 때의 동작이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에 대응한다.
더욱이, 표시부(7)에 표시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에 관한 응답 데이터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나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의 통지부(6)는 다른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제어장치(5)도 다른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여기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에 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험 내용 조정 장치나 어드바이스 장치로 송신할 때의 동작이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어드바이스 응답 송신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어드바이스 표시부, 어드바이스 응답 송신부를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2')와 반드시 일체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건강 측정 기기(2)나 자동차 측정 기기(2')가 설치되는 것과는 별개의 장소에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고, 그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스포츠 센터에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를 설치하고, 그곳에서 어드바이스를 보면서 실행하여 입력할 수 있으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이 실행하기 쉽게 되어 촉진된다. 또한, 가정에 있는 건강 측정 기기에 의해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조정한 보험 내용을 보는 것과 같이, 생활 장면에 따라 상태 데이터의 취득이나 어드바이스의 실행, 보험 내용의 확인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센터 장치(1)는 컴퓨터(12)와 전용 장치(13)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전용 장치(13)의 기능을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으로서 기술하고, 컴퓨터(12)의 연산 처리 장치를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센터 장치(1)를 컴퓨터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CD-ROM 등의 기록 매체가 본 발명에서의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일예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험 대상의 상태의 관리에 대한 의식이 높아, 재취득 통지를 모두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포함되지만, 기본적으로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취득 시기를 보험료의 조정에 가미하였다.
단,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는 재취득 통지가 없어도 정해지는 것이다. 재취득 통지를 행하지 않고,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충분히 행해지는 것으로 하면, 이와 같은 보험 계약자측의 보험 대상의 상태 관리에 대한 의식도 높은 것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재취득 통지를 전제로 하지 않고,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가 많거나,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가 최근이거나, 취득에 적합한 시기이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높게 추측한다.
이와 같은 재취득 통지를 필수로 하지 않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도 본 발명에서의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일예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건강 측정 기기(2)의 2가지 모드의 전환에 사용자 ID를 이용하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측정 모드로 측정을 행할 때도 사용자마다 그 측정값을 관리하도록 하면, 역시 사용자 ID를 이용하게 되어, 어떠한 모드에서도 우선 사용자 ID가 입력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드 전환용 스위치를 별도 설치하는 등을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방법에서는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하기 때문에,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은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보험 내용의 조정을 조정표 또는 계산식에 근거하여 행하면,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얻는 것만으로, 정확하고 간단하게 보험 내용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보험 회사측이 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함으로써, 안정된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변동하는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임과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얻을 가능성이 높아,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에재취득 통지를 행하면,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증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가미하여 평가하면, 재취득 통지에 필요한 비용, 나아가서는 보험 계약자측의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의식의 높이가 보험 내용에 반영되기 때문에,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보험 회사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면, 재취득 통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많이 행해지는 경우 등에는, 그 적극적인 의욕을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조정폭을 작게 하는 것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경우,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는 보험 대상의 상태가 양호한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험 대상의 상태가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보험 회사측의 위험은 적게 되기 때문에,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경우, 보험 대상의 상태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향하는지 어떤지를 적극적으로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보험 대상의 상태의 개선을 장려함으로써, 보험 회사측의 위험을 저감하여 보험 계약자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어드바이스에 대한 반영 상황을 이용하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가미하여 평가하면, 어드바이스의 내용의 다양성에 의해 조정에 대하여 불공평한 느낌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보험 내용을 보다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면, 어드바이스의 효과와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의 상관을 보험 회사측이 파악할 수 있어, 보험 내용의 조정을 보다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이 동일하여도,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고,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폭을 작게 하는 것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보험 계약자가 어드바이스에 따라 행하는 것의 승인 상황에 근거하여 판정하면,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험 내용 조정 장치에서는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그 때,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에 의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이 평가된다. 여기서, 보험 내용 조정 수단에 의해,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이 조정된다. 따라서,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보험 회사측은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상황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한다. 이 때, 변동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임과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얻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협력적 의욕 정도 비율 평가 수단이, 예를 들어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한다. 이 때, 재취득 통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상태 데이터를 재취득하고자 하는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이 높아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이 많이 행해지는 경우 등에는, 그 적극적인 의욕을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폭을 작게 하는 것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상태 데이터가 표시하는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가 양호한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어, 양호하면, 보험 회사측의 위험은 적은 것으로 된다. 그 때,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그 때, 보험 대상의 상태가 개선의 방향으로 향하는지 어떤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을 적극적으로 보험 내용에 반영하여, 피보험자의 건강 상태나 차량의 정비 상태의 개선을 장려함으로써, 보험 회사측의 위험을 저감하여 보험 계약자측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이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면,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객관적으로 지표화하여 평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어드바이스의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이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근거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어드바이스의 효과와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의 관계를 보험 회사측이 파악할 수 있어, 보험 내용의 조정을 보다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어드바이스의 내용이 동일하여도, 어드바이스의 실행 내용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고,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이 낮을 때에는 보험 내용의 조정폭을 작게 하는 것 등을 하여, 그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서는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 통지를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재취득 통지를 받기 위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확보해 둘 필요가 없고, 본 발명에 의해,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측에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통지 수단이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변동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재취득하는 것에 대해 보험 계약자측의 의식을 높인다. 동시에, 보험 회사측도 상태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얻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다 적정한 보험 내용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측에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구비하여, 재취득 통지 수단이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 재취득 통지를 행한다. 이 때, 필요시에 상태 데이터가 부족하여, 보험 계약자의 부담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보험 내용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에서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부터 송신된,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한 어드바이스의 표시와, 그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의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장래적으로 위험이 작게 되는 보험 대상에 대해 보험 내용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함께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드바이스 장치에 의하면, 어드바이스의 생성이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의 대행을, 보험 회사와 보험 계약자를 중개하는 중계업자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보험 회사의 경영 환경 등에 좌우되지 않고, 어드바이스의 내용이나 평가에 대한 공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는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이고, 상술한 보험 내용 조정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이고, 상술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이고, 상술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드바이스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어드바이스 프로그램이고, 상술한 어드바이스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9)

  1. 보험 내용 조정 방법으로서: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내용의 조정은 미리 설정된 조정표 또는 계산식에 근거하여 행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경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만 하는 시기에 앞서는소정의 시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취득 통지의 내용을 가미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상황은 상기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8.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기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9.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취득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1.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2.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를 통지하고, 이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가미하여 상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상황은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보험 계약자측이 어드바이스에 따르는 것의 승인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방법.
  18. 보험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평가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 및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을 재촉하는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상황은 상기 재취득 통지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상기 상태 데이터의 취득 횟수와 상기 상태 데이터의 취득 시기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은 상기 상태 데이터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신뢰성을 가미하여 상기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은 상기 상태 데이터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은 상기 상태 데이터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라 상기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상황은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유무, 응답 내용, 응답 시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을 판별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은 상기 어드바이스 응답 신뢰성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상기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의 신뢰성에 근거하여 상기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
  30. 제 19항의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 수단;
    상기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 데이터 송신 수단; 및
    상기 상태 데이터의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재취득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하였는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취득 통지 수단은 상기 재취득 기간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지 않은 기간이 소정 기간 경과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재취득되어야 하는 시기에 앞서는 소정의 시기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취득 통지 수단은 상기 재취득 시기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시기인 것이 판별된 경우에 상기 재취득 통지를 행하는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
  33. 제 27항의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통신 가능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 및
    상기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에 표시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
  34. 보험 대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취득된 상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서,
    상기 상태 데이터의 재취득에 대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1 협력적 의욕 정도와, 보험 대상의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보험 계약자측의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중 적어도 한쪽을 평가하는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 및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 내용을 조정하는 보험 내용 조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협력적 의욕 정도 평가 수단은 보험 대상의 위험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를 평가하는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와 통신 가능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로서,
    상기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 및
    상기 어드바이스 표시 수단에 표시된 어드바이스에 대한 응답 상황을 상기 보험 내용 조정 장치로 송신하는 어드바이스 응답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를 중개하는 어드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의 생성과 상기 제 2 협력적 의욕 정도의 평가의 대행중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어드바이스 장치.
  35. 제 1 내지 17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험 내용 조정 방법의 처리 순서를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보험 내용 조정 프로그램.
  36. 제 30 내지 32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태 데이터 취득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상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
  37. 제 33항에 기재된 어드바이스 응답용 단말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어드바이스 응답 프로그램.
  38. 제 34항에 기재된 어드바이스 장치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어드바이스 프로그램.
  39. 제 35 내지 38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027017072A 2000-06-15 2001-06-14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KR100543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0338 2000-06-15
JPJP-P-2000-00180338 2000-06-15
JP2001152077A JP2002073990A (ja) 2000-06-15 2001-05-22 保険内容調整システム
JPJP-P-2001-00152077 2001-05-22
PCT/JP2001/005085 WO2001097119A1 (fr) 2000-06-15 2001-06-14 Systeme d'adaptation de description d'assur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428A true KR20030019428A (ko) 2003-03-06
KR100543143B1 KR100543143B1 (ko) 2006-01-20

Family

ID=2659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072A KR100543143B1 (ko) 2000-06-15 2001-06-14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58758A1 (ko)
EP (1) EP1313043A4 (ko)
JP (1) JP2002073990A (ko)
KR (1) KR100543143B1 (ko)
CA (1) CA2412897A1 (ko)
TW (1) TWI235936B (ko)
WO (1) WO2001097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5062B2 (en) 2001-12-31 2011-02-22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 for optimization of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899688B2 (en) 2001-12-31 2011-03-01 Genworth Financial, Inc. Process for optimization of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818186B2 (en) 2001-12-31 2010-10-19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a confidence factor for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8005693B2 (en) 2001-12-31 2011-08-23 Genworth Financial, Inc. Process for determining a confidence factor for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844476B2 (en) 2001-12-31 2010-11-30 Genworth Financial, Inc. Process for case-based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8793146B2 (en) 2001-12-31 2014-07-29 Genworth Holdings, Inc. System for rule-based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844477B2 (en) 2001-12-31 2010-11-30 Genworth Financial, Inc. Process for rule-based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JPWO2003065261A1 (ja) * 2002-01-30 2005-05-26 富士通株式会社 個人の行動情報を用いた保険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416374B2 (ja) * 2002-03-26 2010-02-17 富士通株式会社 保険料設定方法、保険料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保険料設定装置
JP2003296575A (ja) * 2002-04-02 2003-10-17 Nippon Colin Co Ltd 保険料更新方法および装置
JP2004029872A (ja) * 2002-06-21 2004-01-29 Hitachi Ltd 保険料算出システム
JP2004062687A (ja) * 2002-07-30 2004-02-26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保険料算出装置、保険料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49995B2 (ja) * 2003-02-05 2009-04-08 東京海上日動火災保険株式会社 車輌の運行状況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装置、運行状況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13945B2 (en) 2003-04-30 2010-10-12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 and process for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classification for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801748B2 (en) 2003-04-30 2010-09-21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outliers for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7383239B2 (en) 2003-04-30 2008-06-03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 and process for a fusion classification for insurance underwriting suitable for use by an automated system
US9311676B2 (en) 2003-09-04 2016-04-12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sensor data
US7610210B2 (en) * 2003-09-04 2009-10-27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for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risk mitig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surance
US7711584B2 (en) 2003-09-04 2010-05-04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for reducing the risk associated with an insured building structure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selected technologies
US6999935B2 (en) * 2003-09-30 2006-02-14 Kiritharan Parankirinathan Method of calculating premium payment to cover the risk attributable to insureds surviving a specified period
US8725540B2 (en) * 2003-10-30 2014-05-13 Swiss Reinsurance Company Ltd.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insurable risks at point of sale
US7783505B2 (en) * 2003-12-30 2010-08-24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ized insurance rating
US8090599B2 (en) 2003-12-30 2012-01-03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ized insurance underwriting
US7698159B2 (en) 2004-02-13 2010-04-13 Genworth Financi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ata collection
US10282785B1 (en) 2004-11-19 2019-05-07 Allstate Insurance Company Delivery of customized insurance products and services
US7774217B1 (en) 2004-11-19 2010-08-10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automobile insurance
US9875508B1 (en) 2004-11-19 2018-01-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insurance
JP2005141781A (ja) * 2005-02-23 2005-06-02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保険料算出装置、保険料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18018A1 (en) * 2005-03-23 2006-09-28 Schmitt Brett A Interac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326989A1 (en) * 2005-03-23 2009-12-31 Schmitt Brett A Interact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8543418A (ja) * 2005-06-20 2008-12-04 ジンサン ファン 歯磨きパターン分析校正装置、双方向歯磨き習慣校正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6079640A (ja) * 2005-10-27 2006-03-23 Hitachi Ltd 保険料算出システム
US10468139B1 (en) 2005-12-28 2019-11-0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ing consideration of low body mass risk
US8041636B1 (en) * 2006-04-14 2011-10-18 Intui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etermining insurance coverage
US8589190B1 (en) * 2006-10-06 2013-11-19 Liberty Mutual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underwriting a prepackaged business owners insurance policy
US8358214B2 (en) 2007-02-02 2013-01-22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enhanced health evaluation
US8638228B2 (en) * 2007-02-02 2014-01-28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enhanced recovery evaluation
US9563919B2 (en) * 2007-02-02 2017-02-07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afety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and method
US20080312969A1 (en) * 2007-04-20 2008-12-18 Richard Raines System and method for insurance underwriting and rating
US20100094664A1 (en) * 2007-04-20 2010-04-15 Carfax, Inc. Insurance claims and rate evasion fraud system based upon vehicle history
US8046243B2 (en) * 2007-07-17 2011-10-25 Sap Ag Automatic insurance adjustments using real world awareness
US7890357B2 (en) * 2007-11-20 2011-02-15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evaluating nanomaterial-related risk
JP2009187100A (ja) * 2008-02-04 2009-08-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保健指導支援装置、保健指導支援システム、保健指導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65910B2 (en) 2008-02-20 2017-05-30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afety feedback
US20090055227A1 (en) * 2008-10-30 2009-02-26 Bakos Thomas L Risk Assessment Company
AU2010101547A4 (en) * 2009-05-29 2016-12-22 Quanis Licensing Limited Variable life protection based on dynamic inputs
US7941330B1 (en) * 2009-06-19 2011-05-1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inventory and insurance
CA2777838A1 (en) * 2009-10-15 2011-04-21 Brian Gale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practice and health risk reduction monitoring
JP5526825B2 (ja) * 2010-02-02 2014-06-1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口腔ケア装置
US8892632B2 (en) * 2010-06-04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Client-server interaction frequency control
US9460471B2 (en) 2010-07-16 2016-10-04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validation system
US8756074B2 (en) * 2010-11-19 2014-06-17 Michael R. Brzustowicz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al-time health risk assessment
US8484054B2 (en) * 2010-11-22 2013-07-09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accounts in response to disability data
US20120197669A1 (en) * 2011-01-27 2012-08-02 Kote Thejovardhana S Determining Cost of Auto Insurance
JP2011165220A (ja) * 2011-05-30 2011-08-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保険システムと保険方法並びに保険プログラムと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30090953A1 (en) * 2011-10-07 2013-04-11 Erlan Feria Method for determining life expectancy
US8595037B1 (en) 2012-05-08 2013-11-26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based on monitored characteristics of an autonomous drive mode selection system
US9558667B2 (en) 2012-07-09 2017-01-31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collision detection
US9000903B2 (en) 2012-07-09 2015-04-07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monitoring
US9165469B2 (en) 2012-07-09 2015-10-20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sensor operation for collision detection
JP2014132402A (ja) * 2013-01-07 2014-07-17 Seiko Epson Corp 医療保険紹介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端末装置、及び医療保険紹介方法
JP6323998B2 (ja) * 2013-07-29 2018-05-16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Ict−bcp策定支援装置、ict−bcp策定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69268B2 (en) 2013-07-31 2016-02-23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vehicle sensing systems
US9230442B2 (en) 2013-07-31 2016-01-05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vehicle sensing systems
US9776632B2 (en) 2013-07-31 2017-10-03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vehicle sensing systems
JP2015069531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Lsiメディエンス 団体保険事業運営システム
WO2015055248A1 (en) * 2013-10-17 2015-04-23 Swiss Reinsurance Company Ltd. Parametric draw-down system for risks sharing of critical illness risk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JP2016004430A (ja) * 2014-06-17 2016-01-12 晋平 小川 保険関連金額導出装置
US20160217531A1 (en) * 2014-11-28 2016-07-28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communication device
JP6803791B2 (ja) * 2016-08-01 2020-12-2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保険金算出装置、保険金算出方法及び保険金算出プログラム
WO2018033993A1 (ja) * 2016-08-18 2018-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および、管理システム
EP3500466A2 (en) * 2016-08-19 2019-06-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 attention buffer to improve resource allocation management
JP6521930B2 (ja) * 2016-11-17 2019-05-29 ヤフー株式会社 評価装置、評価方法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CN107798620A (zh) * 2017-07-25 2018-03-13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提供健康报告的判断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I645358B (zh) * 2017-10-03 2018-12-21 新光產物保險股份有限公司 Risk identification insurance recommendation and policy valu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7502B2 (ja) * 1990-11-19 1999-07-12 オムロン株式会社 保険料決定装置
US5638273A (en) * 1995-03-29 1997-06-10 Remote Control Systems, Inc. Vehicle data storage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s
US5797134A (en) * 1996-01-29 1998-08-18 Progressive Casualty Insurance Company Motor vehicle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 cost of insurance
JPH10295651A (ja) * 1997-04-28 1998-11-10 N T T Data:Kk 健康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CA2342573C (en) * 2000-04-03 2015-05-12 Ensera, Inc. System and method of administering, tracking and managing of claims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8758A1 (en) 2003-08-21
EP1313043A1 (en) 2003-05-21
WO2001097119A1 (fr) 2001-12-20
JP2002073990A (ja) 2002-03-12
TWI235936B (en) 2005-07-11
CA2412897A1 (en) 2002-12-13
KR100543143B1 (ko) 2006-01-20
EP1313043A4 (en)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143B1 (ko) 보험 내용 조정 시스템
Ching et al. The effects of detailing on prescribing decisions under quality uncertainty
Van Peursem et al. Health management performance: A review of measures andindicators
US78903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immediate and ongoing health care maintenance benefits
US20180197625A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Tracking Health Behaviors To Implement Health Actions
US20070088564A1 (en) Healthcare provider data submission and billing system and method
Harvey Improving judgment in forecasting
Sandier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nd physician income trends
Schauffler et al.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plan
Øvretveit Informed choice? Health service quality and outcome information for patients
Ingber Implementation of risk adjustment for Medicare
Steventon et al.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self-reported weight for th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pplication of fraud detection methods to a randomised trial of telemonitoring
KR101595822B1 (ko) 장기 보건의료복지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Barnsley et al. Selecting clinical outcome indicators for monitoring quality of care
US20230162140A1 (en) Forecast engine for fleet management
Smith et al. System change: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for Medicaid managed care
Ginsburg et al. Physician payment
WO2021070649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Harris The effect of unobserved plan attributes on the health plan choices of Twin Cities Medicare beneficiaries
Rubin For what should hospitals be accountable?
CN117059251A (zh) 基于成本管控的材料精细管理方法、装置、设备以及介质
JP202405892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ohnson Managing or Caring?
Slavitt Submitted electronically via http://www. regulations. gov.
Grimaldi Monitoring managed care's prog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