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298A -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298A
KR20030019298A KR1020027005935A KR20027005935A KR20030019298A KR 20030019298 A KR20030019298 A KR 20030019298A KR 1020027005935 A KR1020027005935 A KR 1020027005935A KR 20027005935 A KR20027005935 A KR 20027005935A KR 20030019298 A KR20030019298 A KR 2003001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rol member
slide
movement
actu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드 바다르네흐
Original Assignee
지아드 바다르네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O995520A external-priority patent/NO995520D0/no
Priority claimed from NO996001A external-priority patent/NO996001D0/no
Priority claimed from NO20004375A external-priority patent/NO20004375L/no
Application filed by 지아드 바다르네흐 filed Critical 지아드 바다르네흐
Publication of KR2003001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위치 기능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단계적으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거나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어 부재의 이동은 통상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 부재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z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제어 부재와 연관하여 제 3 스위치가 제공되며, 제어 부재는 제 3 스위치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제 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y방향으로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 대해 x방향으로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functional equipment}
오늘날의 이동 전화기, 통신 장비 및 기타 전자 기능 장비는 점차 많은 기능을 가지며, 일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동전화기를 WAP로 알려진 새로운 GSM 표준에 적응시키는 것과 같은 목적을 위해서 넓은 디스플레이 유닛(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다. 이들 장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많은 메뉴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입력 및 찾아가기(navigation)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간단하고, 논리적이며 효율적인 작동을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장치 및 기능적 장비에서 발견되는 다수의 콘트롤 키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2 항, 제 13 항, 제 14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전자 기능 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동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작동 장치의 사용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상의 통상적인 스크린 이미지의 도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단면도로서, 그 제어 부재가 제 2 단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 6은 도 3의 VI-V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도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작동 장치의 상세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단면도로서, 그 제어 부재가 제 2 단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시도.
도 11은 도 8에서의 XI-X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12는 도 7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인 제 3 실시예의 도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와 x/y 관련 작동 매트릭스의 본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도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5 실시예의 도시도.
도 18은 예를 들어 도 18에 따른 작동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유용한 통상의 스크린 이미지의 도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작동 장치의 변형예의 도시도.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7에 따른 작동 장치의 상세도로서, 도 20은 도 17 및 도 23의 XX-XX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7 및 도 23의 XXI-XXI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3의 XXII-XXI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XIII-XIII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24는 도 18의 XXIV-XXIV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6 실시예의 도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XXVII-XXVI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XXVIII-XXVII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7 실시예의 도시도.
도 30은 도 29의 XXX-XXX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31은 도 29의 XXXI-XXX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32는 도 29의 XXXII-XXXII 선상에서 취한 단면도.
도 33은 도 30에서 참조부호 XXXIII-XXXIII로 표시되는 스위치 접촉점 및 제어 부재 미끄럼 접촉을 도시하는 개략 도시도.
도 34는 도 29내지 도 33에 따른 작동 장치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제 8 실시예의 도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 출원인 노르웨이 특허원 제 19985770호 및 19995723호에 개시되어 있는 해결책을 일부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본 출원인의 이전 노르웨이 특허원 제 19996001호 및 20004375호에 기재된 실시예들중 일부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를 도시하고, 상기 작동 장치는 스위치 기능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는 제어 부재(3)를 구비하고, 단계적으로 작동 장치 하우징(4)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가능하며(도 3 참조), 상기 제어 부재(3)의 이동은 통상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5-7; 8-10)을 구비한다. 제어 부재(3)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z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스위치(11, 12)가 각각 제공된다. 이들 스위치(11, 12)는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버튼(11', 12')을 구비한다. 도면부호 13으로 지칭되는 제 3 스위치가 상기 제어 부재와 함께 제공된다. 제어 부재(3)는 제 3 스위치(13)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하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제 2, 제 3 스위치(11, 12, 13)는 제어 부재(3)의 y방향으로의 각각의 단계적 조절을 위해 x방향으로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관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 부재(3)는 슬라이드(14)내에 하강가능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드의 하측에는 스위치(13)에 연결된 슬라이딩 접촉부재가 제공되고, 도면부호 13'와 13"로 지칭되는 슬라이딩 접촉부재는 버스 바아(busbar)(15, 16)와 접촉을 형성한다. 제어 부재(3)의 단계적 이동은 한쌍의 스프링-로딩된 러그(lug)(17, 18)에 의해 가능해지며, 이들 러그는 작동 장치 하우징(19)상의 치형성된 부분(17', 18')과 연속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어 부재(3)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그 각각이 한쌍의 수광기(light receiver)(6,7; 9,10) 각각과 연결되는 두 개의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어 부재(3)의 제 1 위치에서, 모든 수광기(6, 7, 9, 10)는 빛을 수용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다음 단계적 위치에서는 광원(5)과 수광기(6) 사이에 광 연결이 있게 될 것이며, 다음 위치에서 수광기(7)는 추가로 광을 수용할 것이고, 다른 위치에서는, 광원(8)과 수광기(9) 사이에도 광 연결이 있게 될 것이며, 제어 부재(3)의 최종 위치에서는 광원(8)과 수광기(10) 사이에 추가로 광연결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 부재(3)가 그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커서(20)(도 2 참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나타나는 관련 기호,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것이다. 실시예에서의 제어 부재(3) 위치에서는 숫자 7, 8, 9 의 마킹(9)이 나타나 있다. 스위치(1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부재(3)의 하강은 예를 들어 숫자 8을 선택할 것이고, 스위치 버튼(11')의 하강은 스위치(11)를 작동시켜 숫자 7을 선택할 것이다. 스위치(12)와 관련하여 숫자 9를 선택하기 위해서도 똑같은 작동이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형상을 도 7 내지 도 11에서도볼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제어 부재는 도면부호 21로 지칭되고, 스위치(11, 12)에 대한 스위치 키는 도면부호 11'와 12'로 지칭되고 있다. 그러나, 제어 부재(21) 그 자체는 샤프트(23) 주위에서 슬라이드(22)에 피봇 지지되고 이 경우 제 3 스위치(13)는 도면부호 24, 25로 지칭되듯이 두 개의 작동 스위치 위치를 갖는 로커(rocker) 스위치 실시예로 대체되고 있다. 샤프트(23) 주위로의 제어 부재(21)의 피봇을 검출하여 하나의 스위치(24) 또는 나머지 스위치(25)의 작동을 검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점(26)이 제공된다. 이 경우 간명함을 위해 제어 부재의 단계적 위치들의 광학적 검출이 사용되지 않지만 대신에 예를 들어 인쇄회로판과 같은 베이스(29)상에 배치된 버스 바아(27)와 전도성 접촉점(28)의 열(row)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어 부재(21)가 도 11에 도시된 것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위치(24)는 작동될 것이다.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스위치(25)를 작동시킬 것이다. 슬라이드(22)상의 슬라이딩 접촉부재(30, 31)는 연속 전도체(27) 및 단계적 접촉점(28)(도 10 참조)과 각각 접촉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 부재(21)의 단계적 위치를 항상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부재(21)의 단계적 위치들은 노치(32, 33)에 의해 작동 장치 하우징(34)상에 고정되며, 도 3 및 도 5와 관련하여 도시된 한쌍의 핀(17, 18)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한쌍의 스프링-로딩된 핀(35, 36)이 제공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다. 슬라이드의 위치 결정은 기본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따라서 반복하여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면부호 37로 지칭되는 제어 부재가 두 부분(37', 37")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제어 부재(37)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지만, 대신에 스위치(24)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부재 부분(37')이 또는 스위치(25)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부재 부분(37")이 선택적으로 하강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스위치(24, 25)를 둘다 작동시키기 위해 양 제어 부재 부분(37', 37")이 둘다 하강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23)용 장착 구멍이 도면부호 23'로 표시하듯이 긴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만들어지고, 두 스위치(24, 25)는 또한 제어 부재를 앞뒤로 회전시킬 가능성에 더하여 제어 부재의 직선 하강에 의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해서는, 스위치(11, 12, 24, 25)의 선택적 작동 또는 스위치(24, 25)의 조합이 슬라이드(22)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네 가지 또는 다섯 가지의 옵션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제어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한 부분 또는 다른 부분을 하강시키므로써 메뉴의 특정 부분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간단한 메뉴로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15를 검토해 보면, 도 2와 연관하여 도시 및 개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작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x/y 이동에 관련되어 있고, 여기서 y 이동은 제어 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단계적 이동을 나타내며 x 이동은 제어 부재의 각 y 위치에 존재하는 z방향으로의 스위치 작동 대안을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은 도 20 내지 도 24로부터 명백한 내용과 연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6은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어 부재(38)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어 부재(38)는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재의 (회전방향)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스위치(39)와 제 2 스위치(40)가 제공되며, 이들 스위치는 하강식 스위치 버튼(39', 40')에 의해 각각 작동된다.
제어 부재(38)와 연관하여, 광원(41)과 수광기(42)로 구성되는 회전 검출기가 제공되며, 이 회전 검출기는 상기 제어 부재가 회전하면 제어 부재에서 발견되는 연속 구멍(43)을 통해 빛의 통과 또는 비통과(non-passage)를 검출한다. 제어 부재(38)가 아래로 눌려지면, 제 3 스위치(44, 45)가 작동될 것이며,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는 광원(44)과 수광기(45)를 포함하며, 제어 부재(38)를 스프링(46)의 작용에 대항하여 하강시키므로써 광원(44)과 수광기(45)간의 광로가 차단될 것이다. 물론, 광원(44) 및 수광기(45) 대신에 제어 부재(38) 아래에, 즉 광원(41)과 수광기(42) 사이에 전자기 스위치가 직경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부재의 하강은 도 2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어 부재(38)의 단계적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어 부재는 링에 배치되는 다수의 리세스(47)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 리세스에는 스프링-로딩된 볼(48)이 연속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부재의 사용자는 그 단계적 이동을 상당히 정확하게 느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기계 스위치의 사용과 같은 다른 해결책을 고려해볼 수 도있겠으나,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광원 및 수광기와 같은 전자광학적 수단의 사용이 실질적으로 유용하다.
도면부호 39, 40 및 44, 45로 지칭되는 스위치 기능들은 각각 제 1, 제 2, 제 3 스위치를 각각 나타내며, 이들은 함께 제어 부재(38)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한다.
도 17에서 제어 부재는 상당히 큰 축방향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제어 부재는 도면부호 49로 지칭되며, 각각 제 1 및 제 2 스위치를 작동하게 되어 있는 스위치 버튼은 도면부호 50', 51'로 지칭된다. 또한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위치 버튼은 그 이동 평면과 평행하게 제어 부재의 각 측부에 제공된다. 이들 스위치 버튼(50', 51')은 도 24에 도시되었듯이, 하강되었을 때 각각의 스위치(50, 51)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 부재(49)는 도 20 내지 도 23과 연관하여 도시 및 개시된 것과 같은 작동 모드를 가질 것이며, 따라서 더이상의 설명은 필요치 않다. 또한 제어 부재(49)내의 광투과 구멍들은 또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43으로 지칭되고 있고 한 쌍의 검출기(41, 42)와 상호 작용한다. 도 21에서는 제어 부재(38)가 샤프트(38')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제어 부재(49)가 샤프트(49') 주위로 회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위치(50, 51)는 광원(44) 및 수광기(45)를 포함하는 것처럼 제 3 스위치와 함께 제어 부재(49)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할 것이다.
도 19는 메뉴 등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도면부호 49'로 지칭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 부재는 반드시 스위치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는 바, 그러한 스위치 기능은 제 3 스위치(49")를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49"')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버튼(50"', 51"')은 제 1 및 제 2 스위치(50", 51")를 각각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부재(49')는 y 이동을 제공할 것이며, 스위치 버튼들은 각각의 단계적 y위치에 대한 네 가지의 가능한 옵션중에서 x위치에서의 선택을 제어할 것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다른 작동 장치를 도시하는 바, 여기서 상기 장치는, 작동 장치 하우징(52)에 대해 이동 및 하강가능한 연속 벨트 형태의 제어 부재(53)를 가지며, 상기 제어 부재(53)의 이동은 통상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통상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광학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부재의 각 측부에는 그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각각 제 1 스위치(54)와 제 2 스위치(55)가 제공되는 바 이들 스위치는 각각의 스위치 키(54', 5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어 부재(53)의 하강 이동은 제 3 스위치(56)에 의해 검출되도록 설계된다. 제어 부재를 구성하는 벨트는 두 개의 롤러(57, 58) 주위로 연속하여 주행한다. 광원(59) 및 수광기(60) 형태의 제 4 스위치는 롤러(57, 58)의 회전을 초래하는 제어 부재(53)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한다. 그 주위로 벨트(53)가 주행하는 롤러(57)는 다수의 축방향 연장되는 구멍(61)을 가지며, 따라서 롤러(57)의 회전시에 이들 구멍(61)을 통한 광로 및 차단된 광로가 연속적으로 제 4 스위치(59, 60)에 의해 검출될 것이다. 스프링-로딩된 결합 볼(63)이 연속해서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리세스(62)가 통상 하나의 롤러(58)에 제공되므로써 벨트(53) 형태의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들 롤러(57, 58)는 각각 샤프트(57', 58')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7로부터는, 벨트(53)가 벨트 지지체(64) 위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벨트(53)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벨트 지지체(64)는 동시에 아래쪽으로 가압될 것이며, 이로 인해 선택적으로 실제 작동 장치 하우징(52)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기초부(65)에 의해 지지되는 스위치(56)가 작동될 것이다.
벨트의 단계적 이동 및 그에 따른 롤(57)의 단계적 회전을 검출하기 위해 광원(53) 및 수광기(60)를 사용하는 대신에, 스프링-로딩된 볼(63)은 예를 들어 제 4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4는 작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여기에서 작동 장치는 작동 장치 하우징(68)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 부재(67)를 갖는 슬라이드(66)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슬라이드와 제어 부재의 이동은 통상 표시가능한 것인 바, 그 이유는 작동 장치의 기초부(68')상에 제공되는 것이 다수의 접촉점(69) 및 접촉 바아(70)이고 이것들은 슬라이드(66)의 아래쪽에서 각각 슬라이딩 접촉부재(69', 7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각각 제 1 스위치(71) 및 제 2 스위치(72)가 제공되며 이들 스위치는 각각 스위치 키(71", 72")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 부재(67)와 연관하여 슬라이드(66)상에는 제어 부재(67)의 하강시에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 3 스위치(73)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의 접촉부재중하나의 접촉부재는 상기 기초부(68')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면부호 73'로 표시된다. 초기에 상기 제 1, 제 2, 제 3 스위치는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으로 제공된다.
슬라이드(66)가 제 1 스프링(74)의 작용에 대항하여 도면부호 75로 표시된 위치(도 34 참조)로 밀려가면, 슬라이딩 접촉부재(69')는 접촉점(69")(도 33 참조)와 접촉을 형성할 것이다. 만약에 제어 부재(67)를 사용하므로써 슬라이드(66)가 스프링(76)의 작용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면, 슬라이딩 접촉부재(69')는 접촉점(69"')과 접촉을 형성할 것이고, 슬라이드는 이후 도 34에서 표시된 위치 77에 있게 된다. 정상 위치(중심 위치)에서, 슬라이딩 접촉부재(69')는 접촉점(69"')과 접촉을 형성할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접촉부재(69')와 상기 접촉점(69", 69"', 69"")중 하나의 접촉점의 접촉시에 슬라이드의 이동은 슬라이드의 위치를 나타낼 것이며, 현재의 경로는 또한 버스 바아(70)와 슬라이딩 접촉부재(70')를 경유한다. 스위치(71, 72)와 연관하여, 접촉면(71", 72")이 상기 기초부(68')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작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5에 도시하듯이 한 세트의 기능-관련 스위치 버튼(78-82)이 제공되는 바, 이들 버튼은 각각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z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들 스위치(78, 79, 90)는 각각 x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를 형성한다. 제 4 스위치(81), 제 2 스위치(79) 및 제 5 스위치(82)는 함께 y방향으로 스위치 배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4 및 제 5 스위치(81, 82)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작동시키므로써 결정되는 y방향의 선택된 위치에 대해 x방향의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관련될 것이다. 작동 장치 하우징은 도면부호 83으로 표시된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스위치 기능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단계적으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거나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어 부재의 이동은 통상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제어 부재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z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어 부재와 연관해서 제 3 스위치가 제공되며, 제어 부재는 제 3 스위치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y방향으로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 대해 x방향으로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제 3 스위치가 두 개의 작동 스위치 위치에서 로커(rocker) 스위치로서 작용하도록 그리고 하나의 작동 스위치 위치에서 내리누름 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유발하기 위해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두 부분으로 구분되고, 제 3 스위치의 제 1 스위치 부분과 제 2 스위치 부분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스위치 부분은 상호 독립적이거나 그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4.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스위치 기능과 관련된 일련의 스위치 버튼이 배치되고, 이들 버튼중 하나 이상의 버튼의 작동은 통상 표시가능한, 작동 장치에 있어서,
    z방향으로 하강가능한 다섯 개의 스위치 버튼이 제공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x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4, 제 2 및 제 5 스위치가 y방향으로 스위치 어레이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4 또는 제 5 스위치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y방향에서의 선택된 위치에 대해 x방향으로의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5.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어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광원 및 수광기 세트가 제공되고 슬라이드의 이동이 상기 광원과 수광기 사이의 광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며,
    상기 제어 부재와 연관하여 슬라이드상에는 제 3 스위치가 제공되고 제어 부재는 제 3 스위치의 작동을 위해 하강가능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슬라이드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서 각각의 접촉 바아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재들은 슬라이드의 아래쪽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7.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어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하우징에는 접촉 바아가 제공되고 또한 이와 평행하게 다수의 접촉점이 제공되며, 슬라이드상의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부재는 슬라이드의 단계적 이동시에 접촉 바아 및 연속적인 접촉점들과 접촉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 부재와 연관하여 슬라이드상에는 제 3 스위치 및 제 4 스위치가 제공되며 이들은 제어 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 3 및 제 4 스위치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스위치를 둘다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스위치는 슬라이드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네 가지 또는 다섯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치는 슬라이드의 상기 단계적 위치 각각에서 하우징에 제공된 접촉점들과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및 제 4 스위치는 또한 상기 슬라이딩 접촉부재중 하나를 통해 접촉 바아와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9.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 및 하강할 수 있는 휠, 롤러 또는 실린더 형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제어 부재의 단계적 회전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광학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어 부재의 하강 이동은 광원 및 수광기로 구성되는 제 3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제어 부재의 하향 이동은 상기 광원과 수광기 사이의 광로를 차단하며,
    광원 및 수광기 형태의 제 4 스위치가 제어 부재의 단계적 회전 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0.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이동 및 하강할 수 있는 연속 벨트 형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단계적 회전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광학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어 부재의 하강 이동은 제 3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고,
    광원 및 수광기 형태의 제 4 스위치가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며,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중 하나의 롤러는 롤러의 회전시 광로 및 차단된 광로가 연속적으로 검출되도록 다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갖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는 벨트의 단계적 이동을 표시하기 위한 스프링-로딩된 볼과 해제가능한 결합을 하기 위한 다수의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2.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이동 및 하강할 수 있는 연속 벨트 형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단계적 회전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광학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어 부재의 하강 이동은 제 3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고,
    스프링-로딩된 볼을 갖는 제 4 스위치가 상기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며, 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중 하나의 롤러는 다수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따라서 스위치의 스위치 위치를 작동시키며 동시에 볼과 리세스의 해제가능한 결합시에는 벨트의 단계적 이동을 표시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3.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 부재를 갖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슬라이드의 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의 각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스위치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드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는 접촉 바아 및 이에 평행한 다수의 접촉점이 제공되고, 슬라이드상의 각각의 슬라이딩 접촉부재는 슬라이드가 그 중심 위치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접촉 바아 및 연속적인 접촉점들과 접촉을 형성하며,
    제어 부재와 연관하여 슬라이드상에는 제어 부재를 하강시켜 제 3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3 스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슬라이드의 각 단계적 위치에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4.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스위치 기능의 작동을 위해 하강될 수 있고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제어 부재의 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각각 z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는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는 y방향으로의 제어 부재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에 대해 x방향으로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도록 상호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5. 디스플레이 유닛과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로서, 작동 장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선택적으로 하강가능한 벨트, 롤러 또는 실린더 형태의 제어 부재를 구비하고, 제어 부재의 회전 운동은 통상 표시가능하며, 상기 제어 부재의 단계적 회전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광학 수단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의 그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일 부분을 따라서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제공되며,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제 4 스위치가 검출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3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각각의 단계적 위치서 작동 장치에 대해 세 가지의 가능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연속 벨트 형태이며,
    상기 제 4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검출하는 광원 및 수광기 형태이고, 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중 하나의 롤러에는 롤러의 회전시에 광로 및 차단된 광로가 연속적으로 검출되도록 다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는 벨트의 단계적 이동을 표시하기 위한 스프링-로딩된 볼과 해제가능한 결합을 하기위한 다수의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위치는 제어 부재의 단계적 이동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스프링-로딩된 볼을 구비하며, 그 주위로 벨트가 주행하는 롤러들중 하나의 롤러에는 다수의 오목부가 제공되어 스위치의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키고 동시에 볼과 각각의 리세스 사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에 벨트의 단계적 이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KR1020027005935A 1999-11-11 2000-11-07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KR20030019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19995520 1999-11-11
NO995520A NO995520D0 (no) 1999-11-11 1999-11-11 Flerfunksjons tastatur
NO996001A NO996001D0 (no) 1999-12-06 1999-12-06 Input system
NO19996001 1999-12-06
NO20004375 2000-09-01
NO20004375A NO20004375L (no) 1999-12-06 2000-09-01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fremvisning og assistering av manipuleringsbevegelser ved betjening av en manöverinnretning foret funksjonsutsty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298A true KR20030019298A (ko) 2003-03-06

Family

ID=2735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935A KR20030019298A (ko) 1999-11-11 2000-11-07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228417A1 (ko)
JP (1) JP2003514297A (ko)
KR (1) KR20030019298A (ko)
CN (1) CN1415086A (ko)
AU (1) AU778381B2 (ko)
BR (1) BR0015497A (ko)
CA (1) CA2391345A1 (ko)
HK (1) HK1050401A1 (ko)
MX (1) MXPA02004672A (ko)
PL (1) PL356169A1 (ko)
WO (1) WO2001035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20895L (no) * 2001-06-27 2002-12-30 Ziad Badarneh Interaktivt system i tilknytning til elektronisk utstyr
NO20015872L (no) * 2001-11-30 2003-06-02 Ziad Badarneh Manöverinnretning
NO20025188L (no) * 2002-04-22 2003-10-23 Ziad Badarneh Anordning ved elektroniske apparater og utstyr
BE1015238A6 (nl) * 2002-09-09 2004-11-09 Breukink Gerhardus Johannes Toestel voor het inbrengen van gegevens in een digitaal apparaat.
KR100675179B1 (ko) * 2005-05-16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크롤형 입력장치
KR100698316B1 (ko) * 2006-01-10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과 장치
US20150286295A1 (en) * 2012-11-07 2015-10-08 Davide Pepe Input device, particularly for computers or the like, and correspon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KR20200109947A (ko) * 2019-03-15 2020-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5388922A (en) * 1993-07-23 1995-02-14 Smith Corona Corporation Miniature keyboard
US5488392A (en) * 1994-04-28 1996-01-30 Harris; Thomas S. Precision, absolute mapping computer pointing device and versatile accessories
US5543818A (en) * 1994-05-13 1996-08-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JPH10207616A (ja) * 1997-01-20 1998-08-07 Sharp Corp 入力装置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312401A (en) 2001-06-06
HK1050401A1 (zh) 2003-06-20
CA2391345A1 (en) 2001-05-17
CN1415086A (zh) 2003-04-30
BR0015497A (pt) 2002-07-23
MXPA02004672A (es) 2002-09-02
AU778381B2 (en) 2004-12-02
EP1228417A1 (en) 2002-08-07
JP2003514297A (ja) 2003-04-15
PL356169A1 (en) 2004-06-14
WO2001035203A1 (en) 200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6990B1 (en) Mobile terminal
US20030094354A1 (en) Operating device
KR20040014296A (ko) 휴대용 전자기기
EP1111636A2 (en) A switch
KR20030019298A (ko) 전자 기능 장비용 작동 장치
JP4969472B2 (ja) 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4511864A (ja) 作動装置
US5164712A (en) X-Y direction input device
WO2003046822A1 (en) Manoeuvring device for control of user functions in an electronic appliance endowed with a display
JP2000231448A (ja) ホイール付きマウス
CN102331845A (zh) 具有可视显示器的交互式键盘
US20020142738A1 (en) Telephone comprising a perfected control keypad
US7705838B2 (en) Movable user interface
EP1006546A2 (en) Switch mechanism
EP1631976B1 (en) Drum-type control device having multiple switching ways and electronic appliance equipped with such devices
JP200302989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スクロール制御方法
ZA200203745B (en) 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functional equipment.
JP4617217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40034420A (ko)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7249459A (ja) データ入力装置
JP4033782B2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3701861B2 (ja) エンコーダ
KR200236188Y1 (ko) 이동 단말기의 볼타입 입력조작장치
KR20190106564A (ko)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JP2002150888A (ja) 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