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64A -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64A
KR20190106564A KR1020180028214A KR20180028214A KR20190106564A KR 20190106564 A KR20190106564 A KR 20190106564A KR 1020180028214 A KR1020180028214 A KR 1020180028214A KR 20180028214 A KR20180028214 A KR 20180028214A KR 20190106564 A KR20190106564 A KR 2019010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knob
detent
hold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2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564A/ko
Priority to CN201880093286.9A priority patent/CN112889124A/zh
Priority to US16/979,025 priority patent/US11462373B2/en
Priority to PCT/KR2018/009903 priority patent/WO2019172495A1/ko
Priority to EP18909131.7A priority patent/EP3780050A4/en
Publication of KR2019010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6Roller type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 조작할 시 상기 노브의 회전 동작을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디텐트 홀더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가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디텐트 홀더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롤 노브 본체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탄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디텐트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의 회전시 상기 디텐트가 타고 넘는 진동생성돌기 및 진동생성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 형성되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SCROLL SWITCH KNOB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의 종류로는 스위치 신호 입력부에 구비된 노브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상기 노브가 사용자의 푸쉬 동작으로 직선이동되어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푸쉬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소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각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 스위치 장치가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회전 스위치 장치는 노브의 모양에 따라 다이얼 스위치 장치, 조이스틱 스위치 장치 및 스크롤 스위치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는 자동차의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거나, 대시보드 및 센터페시아 등 차실 내의 다양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430호(이하, 종래 기술)에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 작동시킬 시, 상기 노브의 회전 동작을 촉각으로 전달해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상기 노브의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430호(2015.05.19.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 조작할 시 상기 노브의 회전 동작을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디텐트 홀더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가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디텐트 홀더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롤 노브 본체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탄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디텐트와,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의 회전시 상기 디텐트가 타고 넘는 진동생성돌기 및 진동생성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 형성되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재의 타면에는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반대편 면인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홀더의 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디텐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디텐트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홀더의 타면 중심에는 센터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센터홈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축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는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에 삽입되고,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롤 노브 본체를 회전 조작할 시, 캠부재에 교번 형성된 진동생성돌기 및 진동생성홈을 디텐트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된 채로 타고 넘는 느낌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롤 노브 본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감을 손가락의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탄성부재, 디텐트 및 캠부재의 결합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바디(10)와, 스위치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포함한다.
스위치 바디(10)의 내부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PCB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포토센서일 수 있다. 상기 포토센서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PCB는 상기 검출된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켜서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는 바디 본체(11)와 노브 홀더(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본체(11)의 상측면에는 상단이 개구된 설치부(1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11A)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PCB와 연통될 수 있다. 노브 홀더(12)는 설치부(11A)의 외측에서 설치부(11A)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설치부(11A)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12)는 설치부(11A)의 개구된 상단 및 설치부(11A)의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노브 홀더(12)가 설치부(11A)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타고 상기 PC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 홀더(12)는 설치부(11A)의 상단을 덮는 상면부(12A)와, 상면부(12A)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부(11A)의 측면 일부를 덮는 측면부(12B)와, 측면부(12B)의 내측에서 이격되고 상면부(12A)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부(11A)의 내부로 삽입되는 푸셔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 홀더(12)는 바디 본체(11)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회전시켜서 모니터 상의 커서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키거나, 원하는 메뉴를 모니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 상의 커가 원하는 메뉴에 위치하거나, 원하는 메뉴가 모니터 상에 표시되면,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사용자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노브 홀더(12)는 바디 본체(11)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브 홀더(1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노브 홀더(12)의 상기 푸셔부는 상기 PCB에 구비된 스위치(미도시)를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상기 푸셔부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PCB는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뉴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브 홀더(12)의 상측면에는 제1 결합리브(12D) 및 제2 결합리브(12E)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12D) 및 제2 결합리브(12E)는 상면부(12A)의 상측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결합리브(12D) 및 제2 결합리브(12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12D)에는 후술하는 디텐트 홀더(21)의 회전방지돌기(21A)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디텐트 홀더(21)는 회전방지돌기(21A)를 통해 제1 결합리브(12D)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어, 스위치 바디(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결합리브(12E)에는 후술하는 캠부재(27)의 회전축(27A)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캠부재(27)는 회전축(27A)을 통해 제2 결합리브(12E)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위치 바디(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7A)은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축(27A)이 될 수 있으며,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는 회전축(27A)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27A)에는 노브기어(29)가 설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12)의 상기 푸셔부에는 센서축(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설치부(11A)에는 센서축(30)이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센서축(30)은 설치부(11A)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되고, 설치부(11A)의 외부에 나머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축(30) 중 설치부(11A)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내부삽입부에는 상기 포토센서가 검출하는 검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에는 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센서축(3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검출부에 형성된 상기 홀 및 상기 홀이 아닌 부분을 차례로 검출하여 상기 검출부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축(30) 중 설치부(11A)의 외부에 돌출 배치되는 돌출부에는 제1 기어(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31)는 노브기어(29)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노브 홀더(12)의 외측면에는 제2 기어(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32)는 노브기어(29) 및 제1 기어(31) 사이에 배치되어, 노브기어(29) 및 제1 기어(31)에 각각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 스위치 노브(20)가 회전되면 센서축(30)은 회전될 수 있다. 제2 기어(32)의 직경은 노브기어(29)의 직경 및 제1 기어(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32)의 직경이 노브기어(29)의 직경 및 제1 기어(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각도를 크게 회전시켜야 센서축(30)이 회전되므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정밀제어를 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해, 반드시 노브기어(29), 제1 기어(31), 제2 기어(32), 센서축(30),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포토센서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축(27A)에 엔코더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엔코더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이한 엔코드값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엔코드값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 자체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는, 사용자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회전 조작할 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조작감을 촉각으로 전달해주기 위해 특별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탄성부재, 디텐트 및 캠부재의 결합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디텐트 홀더(21)와, 스크롤 노브 본체(22)와, 탄성부재(23,24)와, 디텐트(25,26)와, 캠부재(27)를 포함한다.
디텐트 홀더(21)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절단하였을 시 원형의 외형을 가진다.
스크롤 노브 본체(2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어 상기 손가락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으로서,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22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돌기(22A)는 사용자가 스크롤 노브 본체(22)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롤 노브 본체(22)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축방향 길이는 디텐트 홀더(21)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이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내부에는 디텐트 홀더(21)가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텐트 홀더(21)는 스위치 바디(10)에 회전방지돌기(21A)를 통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스크롤 노브 본체(22)는 디텐트 홀더(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탄성부재(23,24)는 스크롤 노브 본체(22) 내에 삽입되고, 디텐트 홀더(21)에 설치된다. 탄성부재(23,24)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축방향으로 압착 또는 인장될 수 있고,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23,2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탄성부재(23) 및 제2 탄성부재(24)를 포함한다.
디텐트(25,26)는 스크롤 노브 본체(22) 내에 삽입되고, 탄성부재(23,24)에 탄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디텐트 홀더(21)에 설치된다. 디텐트(25,26)는 탄성부재(23,24)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디텐트(25,26)에는 탄성부재(23,24)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돌기(25A,26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디텐트(25,26)는 지지돌기(25A,26A)에 의해 탄성부재(23,24)에 탄지될 수 있다. 디텐트(25,26)는 탄성부재(23,24)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디텐트(25) 및 제2 디텐트(26)를 포함한다.
캠부재(27)는 스크롤 노브 본체(22)와 결합되어 스크롤 노브 본체(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캠부재(27)에는 디텐트 홀더(21)와 대향하는 일면에 진동생성돌기(27B) 및 진동생성홈(27C)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 형성된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회전시 디텐트(25,26)는 진동생성돌기(27B) 및 진동생성홈(27C)을 타고 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진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20)를 회전시키는 조작감을 손가락의 촉각으로 느낄 수 있다.
캠부재(27)의 타면에는 스위치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7A)이 돌출 형성되고, 스크롤 노브 본체(22)는 회전축(27A)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7A)은 스위치 바디(10) 중 노브 홀더(12)의 제2 결합리브(12E)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27A)은 스크롤 스위치 노브(20)의 회전축(27A)이 될 수 있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에는 회전축(27A)의 반대편 면인 일면에 관통홀(22B)이 형성되고, 디텐트 홀더(21)의 일면에는 관통홀(22B)을 관통하여 스위치 바디(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21A)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21A)는 스위치 바디(10) 중 노브 홀더(12)의 제1 결합리브(12D)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디텐트 홀더(21)의 타면에는 탄성부재(23,24) 및 디텐트(25,26)가 삽입되는 삽입홈(21B,21C)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3,24) 및 디텐트(25,26)는 삽입홈(21B,21C)에 삽입되어 디텐트 홀더(21)에 설치될 수 있다. 디텐트(25,26)의 선단부는 삽입홈(21B,21C)으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캠부재(27)의 일면에 형성된 진동생성돌기(27B) 및 진동생성홈(27C)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삽입홈(21B,21C)은 탄성부재(23,24) 및 디텐트(25,26)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형성되어, 제1 삽입홈(21B) 및 제2 삽입홈(21C)을 포함한다. 제1 삽입홈(21B) 및 제2 삽입홈(21C)은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디텐트 홀더(21)의 타면 중심에는 센터홈(21D)이 형성되고, 캠부재(27)의 일면 중심에는 센터홈(21D)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축(27D)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노브 본체(22) 및 캠부재(27)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므로, 스크롤 노브 본체(22) 및 캠부재(27)가 일체로 회전될 시 센터축(27D)은 센터홈(21D) 내에서 회전되면서 스크롤 노브 본체(22) 및 캠부재(27)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타면은 개구될 수 있고,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개구된 타면을 통해 디텐트 홀더(21), 탄성부재(23,24), 디텐트(25,26) 및 캠부재(27)가 스크롤 노브 본체(2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캠부재(27)는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개구된 타면을 차폐할 수 있다.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내주면 및 캠부재(27)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22C)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22C)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27E)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노브 본체(22)의 내주면에 결합홈(22C)이 형성되고, 캠부재(27)의 외주면에 결합돌기(27E)가 형성된다. 결합홈(22C) 및 결합돌기(27E)는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롤 노브 본체(22)를 회전 조작할 시, 캠부재(27)에 교번 형성된 진동생성돌기(27B) 및 진동생성홈(27C)을 디텐트(25,26)가 탄성부재(23,24)에 의해 탄지된 채로 타고 넘는 느낌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롤 노브 본체(22)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감을 손가락의 촉각으로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위치 바디 20 : 스크롤 스위치 노브
21 : 디텐트 홀더 21A : 회전방지돌기
21B,21C : 삽입홈 21D : 센터홈
22 : 스크롤 노브 본체 22B : 관통홀
22C : 결합홈 23,24 : 탄성부재
25,26 : 디텐트 27 : 캠부재
27A : 회전축 27B : 진동생성돌기
27C : 진동생성홈 27D : 센터축
27E : 결합돌기

Claims (7)

  1.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디텐트 홀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가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디텐트 홀더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롤 노브 본체;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탄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디텐트 홀더에 설치되는 디텐트; 및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와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의 회전시 상기 디텐트가 타고 넘는 진동생성돌기 및 진동생성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 형성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타면에는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반대편 면인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텐트 홀더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홀더의 타면에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디텐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디텐트는 복수로 구비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홀더의 타면 중심에는 센터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센터홈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센터축이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에 삽입되고,
    상기 스크롤 노브 본체의 내주면 및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1020180028214A 2018-03-07 2018-03-09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20190106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14A KR20190106564A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CN201880093286.9A CN112889124A (zh) 2018-03-07 2018-08-28 汽车开关装置
US16/979,025 US11462373B2 (en) 2018-03-07 2018-08-28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PCT/KR2018/009903 WO2019172495A1 (ko) 2018-03-07 2018-08-28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EP18909131.7A EP3780050A4 (en) 2018-03-07 2018-08-28 AUTOMOTIVE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14A KR20190106564A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64A true KR20190106564A (ko) 2019-09-18

Family

ID=6807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14A KR20190106564A (ko) 2018-03-07 2018-03-09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5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86B1 (ko) * 2020-01-13 2021-05-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스크롤 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30B1 (ko) 2013-12-24 2015-05-1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30B1 (ko) 2013-12-24 2015-05-1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86B1 (ko) * 2020-01-13 2021-05-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스크롤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566B2 (en) Rotary pushbutton and touchpad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xial displacement and touchpad gestures
US11159161B2 (en) Button structure for touch panel, button for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20040132498A1 (en) Operating unit, especially for operating a multimedia system in a motor vehicle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11186176B2 (en)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CN105390320A (zh) 旋转操作型电气部件
EP2736058B1 (en) Operating device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5650295B1 (ja) 操作装置
KR20190106564A (ko)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JP2021082570A (ja) 多機能プッシュノブ
KR1019770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3996144B2 (ja) 2段スイッチユニット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U778381B2 (en) 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functional equipment
KR101946829B1 (ko)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KR102095718B1 (ko) 자동차의 스크롤 스위치 장치
KR101020902B1 (ko)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KR101190381B1 (ko) 햅틱 스위치 장치
EP3203355B1 (en) Flat cable wiring structure
KR2019004283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428114B1 (ko) 보조버튼을 구비한 햅틱 다이얼장치
CN112216546B (zh) 一种电子开关
KR101421739B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