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908A -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908A
KR20030018908A KR1020010053509A KR20010053509A KR20030018908A KR 20030018908 A KR20030018908 A KR 20030018908A KR 1020010053509 A KR1020010053509 A KR 1020010053509A KR 20010053509 A KR20010053509 A KR 20010053509A KR 20030018908 A KR20030018908 A KR 2003001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orizontal
vertical
sealing materi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908A/ko
Publication of KR2003001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은, 수평방향으로 실링재가 토출되도록 실링노즐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공과,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실링재를 토출되도록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공과, 상기 수평공 및 상기 수직공과 연결되어 실링재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수평작동밸브와, 수직작동밸브가 구비된 실링건과;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이 개방되도록 이들에게 공압신호를 보내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와;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게 실링재의 공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2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및 수직으로 실링재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MULTI-DIRECTION SEALING GUN SYSTEM}
본 발명은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sealing gu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방향으로 실링재(sealer)를 토출할 수 있도록 개선된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실링재를 토출하는 실링건(10)의 작동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컨트롤러(11)로부터 전자밸브(12)를 오픈(open)하라는 전기신호가 나오면 전자밸브(12)가 열려 공압신호가 실링건(10)으로 들어간다.
상기한 공압신호에 의해 실링건(10)의 내부의 작동밸브(13)가 오픈되면 실링재가 실링노즐(14)의 내부 홀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실링건(10)은, 실링재가 실링건(10) 정면으로만 토출되므로 여러 각도의 부위의 실링을 위해서는 로봇에 여러 가지 자세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봇 티칭(robot teaching)이 복잡해지므로 티칭 작업공수 과다하게 소요된다.
그리고 로봇의 동작에 무효작업 발생으로 가동효율이 저하되고, 차체 하부 휠하우스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는 실링이 불가능한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차량의 차체(20)의 ①부위 도장 후, ②부위를 도장하기 위해서는 ③과 같은 로봇(30)의 자세전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방향으로 실링재(sealer)를 토출토록 하여 로봇의 티칭 작업 공수가 줄어들고, 가동효율이 상승하며, 실링 불가 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차체30. 로봇
40. 실링노즐41. 수평공
42. 수직공43. 수평작동밸브
44. 수직작동밸브50. 실링건
61. 전자밸브62. 로봇 컨트롤러
63,64. 제1,2공급라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은, 수평방향으로 실링재가 토출되도록 실링노즐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공과,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실링재를 토출되도록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공과, 상기 수평공 및 상기 수직공과 연결되어 실링재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수평작동밸브와, 수직작동밸브가 구비된 실링건과;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이 개방되도록 이들에게 공압신호를 보내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와;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게 실링재의 공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2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은, 실링노즐(40)의 수평방향으로 실링재가 토출되도록 실링노즐(40)의 수평방으로 형성된 수평공(41)과, 상기 실링노즐(40)의 수직방향으로 실링재가 토출되도록 실링노즐(4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공(42)과, 상기 수평공(41) 및 수직공(42)과 연결되어 실링재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수평작동밸브(43)와, 수직작동밸브(44)가 구비된 실링건(50)과,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43,44)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이 개방되도록 이들에게 공압신호를 보내는 전자밸브(61)와, 상기 전자밸브(61)와 연결 설치되어 이 전자밸브(61)를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62)와,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43,44)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게 실링재의 공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2공급라인(63,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공(41)은 실링노즐(40)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공(42)은 실링노즐(40)의 선단 측부에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70은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의 작용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은, 상기 제1,2공급라인(63,64)을 설치하여 실링재의 공급라인을 이원화하고, 실링노즐(40)에 90도 각도의 별도의 수직공(42)과 제어회로를 구성하여 실링재를 다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부위에 따라 실링재의 수직(90도) 토출이 필요할 때에는 로봇 컨트롤러(62)로부터 수직공(42) 노즐작동 신호가 나와 수직토출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수평(0도) 토출이 필요할 때는 로봇 컨트롤러(62)에서 0도 노즐작동 신호가 나와 수평토출이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수평공(41) 및 수직공(42)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20)의 ①부위 도장 후, ②부위를 도장할 때 로봇(30)의 암(arm)의 높이만 약간 높이면 도장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다방향으로 실링재를 토출할 수 있어 로봇의 티칭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로봇의 무효작업을 줄일 수 있어 로봇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로봇의 가동효율의 향상으로 동일작업에 대하여 로봇 설치 수를 줄일 수 있음으로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좁은 공간에서도 실링노즐만 들어갈 수 있다면 위치에 구애되지 않고 실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수평방향으로 실링재가 토출되도록 실링노즐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공과,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실링재를 토출되도록 상기 실링노즐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공과, 상기 수평공 및 상기 수직공과 연결되어 실링재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는 수평작동밸브와, 수직작동밸브가 구비된 실링건과;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이 개방되도록 이들에게 공압신호를 보내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와;
    상기 수평 및 수직작동밸브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에게 실링재의 공급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2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공은 상기 실링노즐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공은 상기 실링노즐의 선단 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KR1020010053509A 2001-08-31 2001-08-31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KR20030018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09A KR20030018908A (ko) 2001-08-31 2001-08-31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509A KR20030018908A (ko) 2001-08-31 2001-08-31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908A true KR20030018908A (ko) 2003-03-06

Family

ID=2772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509A KR20030018908A (ko) 2001-08-31 2001-08-31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9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57A (ko) 2015-07-08 2017-01-19 주식회사 비앤엠 자동차도어용 내부패널과 외부패널의 씰링을 위한 적정도포량의 제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359U (ko) * 1979-05-25 1980-12-09
JPS575858U (ko) * 1980-06-09 1982-01-12
JPH077753U (ja) * 1993-06-30 1995-02-03 ヤマホ技研株式会社 噴霧用ノズル
JPH0739456U (ja) * 1993-12-28 1995-07-18 宏至 浦 散布器
KR970009896A (ko) * 1996-05-27 1997-03-27 강문식 각 단위연결구마다 독립된 회동이 가능한 노즐연결구
KR19990028902A (ko) * 1995-07-12 1999-04-15 군나르 베르퀴스트 유체를 적용하는 장치
KR19990043996A (ko) * 1996-06-27 1999-06-25 마사토미 오츠카 분무용 노즐 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359U (ko) * 1979-05-25 1980-12-09
JPS575858U (ko) * 1980-06-09 1982-01-12
JPH077753U (ja) * 1993-06-30 1995-02-03 ヤマホ技研株式会社 噴霧用ノズル
JPH0739456U (ja) * 1993-12-28 1995-07-18 宏至 浦 散布器
KR19990028902A (ko) * 1995-07-12 1999-04-15 군나르 베르퀴스트 유체를 적용하는 장치
KR970009896A (ko) * 1996-05-27 1997-03-27 강문식 각 단위연결구마다 독립된 회동이 가능한 노즐연결구
KR19990043996A (ko) * 1996-06-27 1999-06-25 마사토미 오츠카 분무용 노즐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57A (ko) 2015-07-08 2017-01-19 주식회사 비앤엠 자동차도어용 내부패널과 외부패널의 씰링을 위한 적정도포량의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999B2 (en) Fluid pressure controller
CA1256691A (en) Highly viscous material coating apparatus
US20010045537A1 (en) Booster pilot valve
KR20190120077A (ko) 회전 드라이브 장치 및 그것을 갖춘 로봇의 로봇암
CN110374956B (zh) 旋转驱动装置和机器人的配备有该旋转驱动装置的机器人臂
KR20000017623A (ko) 흡인 밸브
US6729852B2 (en) Vacuum producing device
KR20030018908A (ko) 다방향 실링건 시스템
US7011290B2 (en) Pneumatically-controlled needle valve
US9902075B2 (en) Vacuum generator device
US6349627B1 (en) Electropneumatic positioner
CN107420366B (zh) 机床设备控制系统中的冷却气动功能自动切换共享阀块
KR20190120078A (ko) 회전 드라이브 장치 및 그것을 갖춘 로봇의 로봇암
ITMI20012240A1 (it) Dispositivo di bloccaggio con controllo ottico di posizione
JP2001349646A (ja) バルブコア付二方操作弁
JP4448587B2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CN217481655U (zh) 一种气动执行装置
US9371935B2 (en) Adapter for an assembly having a valve and a positioner
CA2502507A1 (en) Spraying head for granulating installation
CN214999752U (zh) 一种用于开门阀座的检测系统
CN214331646U (zh) 一种多阶段气动阀
JPS60161768A (ja) 塗装装置
CN213051140U (zh) 一种自动喷点机
CN216631273U (zh) 一种喷雾阀精密点胶应用的控制器
KR102628174B1 (ko) 부압 발생 구조 및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