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763A -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763A
KR20030017763A KR1020010050765A KR20010050765A KR20030017763A KR 20030017763 A KR20030017763 A KR 20030017763A KR 1020010050765 A KR1020010050765 A KR 1020010050765A KR 20010050765 A KR20010050765 A KR 20010050765A KR 20030017763 A KR20030017763 A KR 2003001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ata
unit
input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구
김경한
Original Assignee
지용구
김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구, 김경한 filed Critical 지용구
Priority to KR102001005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7763A/ko
Publication of KR2003001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763A/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1 또는 2차원 바코드를 컨테이너의 소정위치에 부착하고, 1 또는 2차원 바코드에 인식된 컨테이너 관련 데이터를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하여 다수의 컨테이너관리를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시킴으로서 무인관리가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소정부위에 부착되며 컨테이너 고유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고유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2차원 바코드 고유데이터를 전송받아서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장치부; 상기 처리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요청에 따른 데이터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중앙처리서버; 상기 중앙처리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ontainer usag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컨테이너의 소정위치에 부착하고, 2차원 바코드에 인식된 컨테이너 관련 데이터를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판독하여 다수의 컨테이너관리를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자동화시킴으로서 무인관리가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수출입시에 화물의 운반을 위하여 컨테이너(container)가 이용된다. 컨테이너는 재질이 목재 또는 철재로 제조되며 선박이나 화물차량에 적재되어서 운반된다. 선박에 의하여 운반되는 컨테이너는 전세계적으로 약 1200만 개에 달하고 있으며, 선박수송에 통상 7∼15일 이상, 장거리 수송의 경우에는 1∼2개 월 또는 더 많은 시일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수입의 증가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적재된 화물의 운송기간에 따라서 컨테이너의 사용상황이 변경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회수 및 재이용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화물을 하역 또는 적재하기 위하여 항구에 도착한 후에도 각 컨테이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부실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컨테이너의 재활용이 어려운 형편이었다.
종래 컨테이너의 관리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 컨테이너에는 소유회사 또는 소유주의 고유코드(owner code), 일련번호(serial number), 사이즈 및 타입코드(size & type code)가 적힌 라벨이 부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화물을 하역하는 경우에 게이트 또는 항구에서 관리자가 작업지시서에 의하여 지정된 컨테이너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화물의 하역이나 적재작업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화물 컨테이너에 대하여 후에 수작업으로 화물의 적재, 하역, 다음 행선지등에 대한 작업이행사항을 입력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입력이 늦어지게 되고, 작업스케쥴의 수립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서 컨테이너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화물의 적재를 의뢰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빈 컨테이너를 수배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단시간내에 화물의 적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소유주도 비어 있는 컨테이너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수익의 감소 및 컨테이너 보관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국내에서 사용된 컨테이너는 단시간 내에 회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도가 높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화물이송에 사용된 컨테이너는 수 개월 내지1년 동안 회수되지 않아서 현재의 사용상태 또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서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되며, 또한 컨테이너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도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상태를 수동입력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상태파악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전세계에 걸쳐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외에 유통되는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별도의 입력작업없이 컨테이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만에서의 컨테이너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관리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컨테이너의 상태를 해상운송 또는 육로운송의 경우를 불문하고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서 컨테이너의 재사용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처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컨테이너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식장치부의 외관사시도,
도 6a, 6b는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2차원 바코드,
도 7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표시화면의 일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컨테이너 인식장치부 12,12a: 컨테이너 인식장치부
20,22: 처리장치부 30,32: (모니터)출력부
40: 인터넷 50: 중앙처리서버
60: (모니터)출력부 70: 컨테이너
72,72a: 2차원 바코드 라벨 101: 라벨판독창
102: 광원방사창 103: 조정스위치
104: 광도조정스위치 201: 신호입력부
202: 주제어부 203: 입출력부
204: 데이터베이스 205: 통신제어부
501: 통신제어부 502: 신호입출력부
503: 주제어부 504: 입출력부
505: 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소정부위에 부착되며 컨테이너 고유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2차원 바코드 식별데이터를 전송받아서 각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장치부; 상기 처리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요청에 따른 데이터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중앙처리서버; 상기 중앙처리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소정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표시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라벨을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각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와,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에서 인식된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식별용 고유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부(20)와, 상기 처리장치부(20)로부터 인터넷(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테이너 고유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서버(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처리장치부(20)와 중앙처리서버(5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키보드부와 모니터출력부(30,32,60)가 더 연결되어서 필요한 자료검색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것이 후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컨테이너가 출입하는 위치, 즉 컨테이너이송용 크레인이나 컨테이너를 적재한 화물차량의 출입구마다 각각 설치되므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가 설치되어서컨테이너의 이동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서 증가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다른 장소에 위치한 다른 처리장치부(22)에도 역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2,12a)가 부착되어서 컨테이너의 이동상태를 감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컨테이너가 출입하는 장소의 어느 곳이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서 컨테이너가 하역, 적재되는 항구나, 소형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공항, 화물터미널, 또는 화물적재용 야드(yard)등의 게이트(gate)등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한 지역을 담당하는 처리장치부(20)에 연결된다.
상기 처리장치부(20)에는 다수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에는 모두 고유의 식별ID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후술된다. 상기 처리장치부(20)는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으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와 만일 바코드에 더 추가되어 있으면 이동상황에 관련된 데이터(행선지, 화물의 종류, 경유지등)을 각각의 컨테이너별로 분류, 저장한다. 이렇게 분류, 저장된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세데이터는 처리장치부(20)의 입출력장치(예를 들어서 키보드와 모니터등)를 통하여 소정의 형식으로 분류,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처리장치부(20)에 모니터(30)와, 키보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처리장치부(20)의 운영자는 처리장치부(20)가 설치된 특정장소,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항구의 야적장, 화물용 컨테이너의 보관창고등에 보관되어 있는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처리장치부(20)으로부터 전송되는 컨테이너관련 데이터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중앙처리서버(50)로 입력된다. 중앙처리서버(50)는 각 지에 산재한 다수의 처리장치부(20,22,..)으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전부 취합, 저장하였다가 전체 컨테이너를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처리장치부(20)와 상기 중앙처리서버(50)은 독자적인 모니터와 키보드를 연결하여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현재 상태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것은 화물적재에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어 있는 컨테이너를 추적하거나 현재 화물의 이동상태를 화물의뢰인에게 통보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또는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기능만을 보유한 PC를 인터넷에 연결한 상태에서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의뢰인들이 검색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서버(50)에서 접속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서버(50)는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운영자 또는 의뢰인이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컨테이너에 대한 이동상태, 화물적재상태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 또는 하역시에 컨테이너의 하역, 적재를 신속, 정확하게 하기 위한 위치배열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처리장치부(20)와 중앙처리서버(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부(20)의 블럭구성도로서, 컨테이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201)와, 상기 신호입력부(20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입력에 따라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것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2)와, 상기 주제어부(202)에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제어부(202)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입출력부(203)와, 2차원 바코드에 의한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204)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제어부(20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201)는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들, 예를 들면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와 컨테이너의 현재 이동 또는 화물적재등에 관련된 상태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한다.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인식된 2차원 바코드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처리장치부(20)로 입력시키거나 또는 2차원 바코드에 포함된 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식데이터를 주제어부(202)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제어부(202)는 인식가능한 형태로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분류, 저장한다. 이러한 분류, 저장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주제어부(202)에서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류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들은 외부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소정의 형식으로 출력가능하다.
상기 입출력부(203)는 처리장치부(20)에 특정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키보드(20a)와 모니터출력부(30)가 각각 연결된다. 키보드(20a)는 처리장치부(20)의 주제어부(202)에 명령어를 입력시키기거나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202)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운영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모니터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입출력부(203)에는 또한 명령입력수단으로서 마우스등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203)에 연결된 키보드(20a)와 모니터출력부(30)를 통하여 운영자는 현재 처리장치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반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들은 인터넷(40)과 연결되어 있는 통신제어부(205)를 통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처리서버(50)로 전송된다. 통신제어부(205)는 통신장치인 모뎀, 전용선등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주제어부(202)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들을 전송한다. 또한 특정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중앙처리서버(50)로부터 전송받는다. 중앙처리서버(50)는 전국 각지에 산재한 각각의 처리장치부(20,22,...)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분류, 저장한다. 이렇게 분류, 저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는 후에 운영자에 의하여 적절한 형태로 추출되어 컨테이너의 활용에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앙처리서버(50)의 일실시예의 블럭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40)을 통하여 각 지에 산재한 처리장치부(20,22,..)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제어부(501)와, 상기 통신제어부(5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소정의 신호로 변조하고 또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신호입출력부(502)와, 상기 신호입출력부(502)로부터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처리하고 또한 처리장치부(20)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처리된 특정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주제어부(503)와, 상기 주제어부(503)에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제어부(503)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입출력부(504)와, 각각의 처리장치부(20,22,..)으로부터 전송되어온 2차원 바코드에 의한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5)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제어부(501)는 각각의 처리장치부(20,22,..)로부터 전송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신호입출력부(502)로 전달한다. 신호입출력부(502)는 입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주제어부(503)에서 판독할 수 있는 신호형태로 변조한 후에 주제어부(503)로 입력시킨다. 주제어부(503)는 입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분류, 저장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처리장치부(20)에서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지만, 처리장치부(20)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가 국지적인 것에 비하여 중앙처리서버(50)에서는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가 분류, 저장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부(504)는 중앙처리서버(50)에 특정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키보드(50a)와 모니터출력부(60)가 각각 연결된다. 키보드(50a)는 중앙처리서버(50)의 주제어부(503)에 명령어를 입력시키기거나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503)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운영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모니터출력부(60)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입출력부(504)에는 또한 명령입력수단으로서 마우스등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504)에 연결된 키보드(50a)와 모니터출력부(60)를 통하여 운영자는 현재 중앙처리서버(5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컨테이너에 관련된 제반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주제어부(503)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처리장치부(20,22,..)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분류, 저장하는 것 뿐만 아니라, 만일 특정 처리장치부(20)로부터의 요청이 있으면,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처리장치부(20)의 모니터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한다. 다시말하면, 중앙처리서버(50)의 주제어부(503)는 처리장치부(20)로부터 특정컨테이너에 대한 현재 상태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5)로부터 추출한 후에 신호입출력부(502)로 전달한다. 신호입출력부(502)에서는 입력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변조한 후에 통신제어부(501)를 통하여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요청한 해당 처리장치부(20)으로 전송한다. 컨테이너에 관련된 데이터요청의 일례를 들면, 특정 처리장치부(20)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빈 컨테이너의 추적 또는 특정화주의 화물을 적재한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해당 처리장치부(20)에서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모니터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서 운영자가 요청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원격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컨테이너에는 소정의 위치에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와 상태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바코드 라벨이 부착된다. 도 4에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이 부착된 컨테이너(7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70)의 하단부에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들로부터 컨테이너에 관련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가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컨테이너(70)가 이동하는 길목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되는 컨테이너를 전부 검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의 설치위치나 높이등은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시키거나 또는 수동조작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컨테이너의 이동상황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갯수를 설치하여 이동상황을 체크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각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에는 서로 다른 식별기호(ID)가 할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창고 또는 야적장이 다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식별기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가 어느 창고 또는 야적장에 보관되어 있는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10a)가 다수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이것들이 연결되는 처리장치부(20)에서는 각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의 데이터를 컨테이너관련데이터에 추가하여 상태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은 컨테이너의 외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가혹한 외부기후조건에 노출되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특히 요구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들은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를 표시하는 2차원 바코드 라벨은 금속재를 사용하고, 화물의 적재상태에 따라서 비교적 단시간내에 교체하게 되는 화물적재표시용의 데이터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야간에 식별가능하도록 발광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에는 컨테이너의 고유데이터와 이동상태데이터를 표기한 2차원 바코드 라벨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고유데이터는, 도 6a를 참고하면, 각각의 컨테이너의 식별을 위한 고유번호로서 소유자코드, 일련번호, 크기 및 타입코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태데이터는 도 6b를 참고하면, 목적지(샌프란시스코)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각각의 데이터는 2차원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는 인식이 불가능하다. 물론 상태데이터는 목적지 뿐만 아니라 도착일시, 화물내역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원 바코드 라벨을 인식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는, 도 5를 참고하면, 라벨의 도형을 인식하도록 라벨과 대면하는 부분에는 상부측에는 라벨의 도형을 인식하기 위한 라벨판독창(101)과, 상기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에 식별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방사창(102)과, 상기 광원방사창(10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광도조정스위치(104)와, 온/오프용 조정스위치(103)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날씨가 흐리거나 우천등으로 인하여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광량을 증가시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라벨판독창(101)에 의하여 판독된 2차원 바코드 라벨 도형은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에서 특정문자데이터로 변조된다. 즉 도 6a의 하부에 표시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의 도형정보가 그에 상응하는 문자정보(ABZU 001234 3 45G1)로 변조되어서 출력된다. 물론 도형정보를 처리장치부(20)로 전달하고, 처리장치부(20)에서 직접 문자상응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에서는 2차원 바코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1차원 바코드의 사용도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컨테이너(70)가 이동하게 되면 컨테이너(70)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을 인식하고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처리장치부(20)로 전달한다. 처리장치부(20)에서는 컨테이너(70)의 고유데이터 및/또는 상태데이터를 인식하고 그것을 처리장치부(20)의 자체 내장된 데이터베이스(204)에 소정의 형식으로 분류, 저장한다. 이것은 상용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컨테이너(70)의 이동상황이 저장된 상태에서 운영자로부터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검색명령이 입력되면 처리장치부(20)의 주제어부(202)에서는 자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4)에서 검색을 시작한다.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검색결과가 추출되면 주제어부(202)는 그 결과를 운영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모니터출력부(30)의 화면에 출력한다.
도 8에 표시된 것은 모니터출력부(30)에 표시된 검색결과의 일례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고유번화, 행선지, 화물적재사항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고유데이터, 예를 들면 소유자코드, 일련번호, 크기 및 타입에 대한 데이터는 영구적인 바코드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비하여 동일한 컨테이너에 대하여 목적지(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등), 도착시일, 화물내역등은 일회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일회용 데이터에 대한 표시항목의 갯수는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가 표시되면 운영자는 해당 컨테이너의 현재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처리장치부(2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추출이 실패하면 주제어부(202)는 중앙처리서버(50)에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의뢰한다. 중앙처리서버(50)의 주제어부(503)는 각 지역에 위치한 처리장치부(20)으로부터 데이터추출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자체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505)에서 검색한다. 검색결과가 출력되면 출력된 검색결과를 관련데이터를 요청한 처리장치부(20)로 전송한다. 처리장치부(20)의 주제어부(202)는 전송된 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모니터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한다.
처리장치부(20)의 주제어부(202)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컨테이너의 관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한 후에, 중앙처리서버(50)으로 전송한다. 중앙처리서버(50)에서는 전송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해당 컨테이너에 대하여 분류, 저장한다. 이러한 분류, 저장기능은 처리장치부(20)에서 수행되는 분류, 저장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이다. 그러나 중앙처리서버(50)에서는 국지적인 장소가 아닌 전국, 또는 전세계에 걸친 모든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저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각각의 처리장치부(20)로부터 전송된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5)에 저장한 후에, 중앙처리서버(50)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중앙처리서버(50)에 연결된 키보드(50a)를 통하여 특정컨테이너에 대한 검색명령이 입력되면 주제어부(503)는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5)로부터 추출하여 모니터출력부(6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예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서버(50)에서는 각 지역에 위치한 처리장치부(2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컨테이너에 대한 검색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말하면, 처리장치부(20)의 운영자가 특정고유번호를 가진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다가 발견하지 못하고 중앙처리서버(50)에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에, 해당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추출하여 검색을 요청한 처리장치부(2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렇게검색기능을 제공함으로서 처리장치부(20) 또는 중앙처리서버(50)는 등록된 컨테이너에 대한 관련데이터를 즉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내구성있는 바코드라벨을 이용함으로서 컨테이너의 자동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다시말하면, 컨테이너에 부착된 고유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하역시에 컨테이너의 번호를 인식하고, 화물의 종류, 중량, 행선지, 하주등에 따른 최상의 조건으로 보관, 관리할 수 있어서 컨테이너의 보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신속, 정확하게 적재위치를 설정(이것은 컨테이너 하역의 순서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 있음)함으로서 적재시의 효율이 증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국내외에 유통되는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별도의 입력작업없이 컨테이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항만에서의 컨테이너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관리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의 상태를 해상운송 또는 육로운송의 경우를 불문하고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서 컨테이너의 재사용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컨테이너의 소정부위에 부착되며 컨테이너 고유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인식장치부;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2차원 바코드 식별데이터를 전송받아서 각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장치부; 상기 처리장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상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요청에 따른 데이터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중앙처리서버; 상기 중앙처리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소정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표시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부가 컨테이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201)와, 상기 신호입력부(20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외부로부터의 명령입력에 따라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것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주제어부(202)와, 상기 주제어부(202)에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제어부(202)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203)와, 2차원 바코드에 의한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204)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제어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서버가, 인터넷(40)을 통하여 각 지에 산재한 처리장치부(20)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통신제어부(501)와, 상기 통신제어부(5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소정의 신호로 변조하고 또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신호입출력부(502)와, 상기 신호입출력부(502)로부터 컨테이너관련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처리하고 또한 처리장치부(20)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처리된 특정컨테이너 관련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주제어부(503)와, 상기 주제어부(503)에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제어부(503)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504)와, 각각의 처리장치부(20)으로부터 전송되어온 2차원 바코드에 의한 컨테이너의 고유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인식장치부가, 라벨의 도형을 인식하도록 라벨과 대면하는 부분에는 상부측에는 라벨의 도형을 인식하기 위한 라벨판독창(101)과, 상기 2차원 바코드 라벨(72,72a)에 식별용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방사창(102)과, 상기 광원방사창(10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광도조정스위치(104)와, 온/오프용 조정스위치(103)를 포함하며, 인식된 2차원 바코드 라벨의 도형에 상응하는 문자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발광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발광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라벨이 컨테이너의 이동상태를 표시하는 바코드도영을 더 포함하여 컨테이너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판독,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KR1020010050765A 2001-08-22 2001-08-2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KR20030017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65A KR20030017763A (ko) 2001-08-22 2001-08-2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65A KR20030017763A (ko) 2001-08-22 2001-08-2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763A true KR20030017763A (ko) 2003-03-04

Family

ID=2772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765A KR20030017763A (ko) 2001-08-22 2001-08-2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77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888B1 (ko) *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0826B1 (ko) * 2008-09-02 2010-09-10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장착 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9548B1 (ko) * 2008-08-06 2011-0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공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146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06147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888B1 (ko) * 2005-11-02 2006-11-27 미래산전 주식회사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9548B1 (ko) * 2008-08-06 2011-0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공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980826B1 (ko) * 2008-09-02 2010-09-10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장착 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6146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06147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엘넷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071B2 (en) Manifest generation and download systems and methods
US72212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to communicating sorting information
CA275264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e sortation and delivery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US20030083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clustered items
CN112085446A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KR102142221B1 (ko)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자동스케줄링 및 배정과 배차관리 시스템
CN102004964A (zh) 基于rfid的公共仓库实时信息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102142222B1 (ko) 수출입항만 물류 효율화를 위한 운송관리방법
CN213024481U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US20240116080A1 (en) Integrated on-demand placarding
KR100657817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물류작업 자동 처리 시스템
KR2003001776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KR20050066917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운송 용기 자동 식별 및 처리 시스템
KR20050062328A (ko) 전파 식별 기술을 이용한 운송용기 자동수불관리 시스템및 그 방법
Pozo et al. Collaborative networks strategies of transportation systems with RFID: a case study for a depot of empty containers
Wang et al. Study on RFID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pplied in Grains' Circulations
CN116187721A (zh) 仓库的货箱管理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19279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e sortation and delivery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KR20050070875A (ko) 인터넷기반의 컨테이너 관리시스템
Soares et al. Strategies in networks of collaborative transportation systems with RFID for oil rigs: a case study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a depot of empty containers.
Ylitalo RFID technology's potential in warehouse management: perspective of VIktor Ek's Moving Di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