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383A - 열교환 신발 - Google Patents
열교환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17383A KR20030017383A KR1020020049502A KR20020049502A KR20030017383A KR 20030017383 A KR20030017383 A KR 20030017383A KR 1020020049502 A KR1020020049502 A KR 1020020049502A KR 20020049502 A KR20020049502 A KR 20020049502A KR 20030017383 A KR20030017383 A KR 20030017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heat exchange
- shoes
- foot
- s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쿠션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쿠션 효과에 의해 보행시 편의성은 물론 착용자의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열교환기능에 의해 발냄새제거 및 무좀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열교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 중창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 중창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중 중창, 열교환부재 등을 생략하는 다른 실시예로 구성됨으로써 보행화, 운동화, 군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쿠션효과가 있음은 물론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쿠션효과에 의해 보행시 편의성은 물론 착용자의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열교환 기능에 의해 발냄새제거 및 무좀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열교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기본형의 신발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밑창(1),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2), 및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고 유지하며 발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보호하는 외피(3)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밑창(1)은 지면에 접촉하는 특성상 내구성이 크고 보행시 발의 편의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탄력성도 가지고 있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외피(3)는 신발의 기능성에 따라 통기성이 있는 직물, 내구성이 큰 가죽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신발은, 발이 밀착된 신발을 신고 장시간 운동을 하거나 걸으면, 발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로 인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뜨거워지며 발에서 땀이 나게 되므로 답답함과 피로감을 빨리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땀과 먼지의 혼합에 의한 습기와 세균의 번식으로 악취는 물론 무좀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여 발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 일반적으로 밑창(1)을 구성하는 재질의 경우 어느 정도 탄력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실내화가 아닌 실외화의 경우 주로 내구성 위주로 선택되는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쿠션 기능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장시간 보행시 발이 쉽게 피로해지고 급작스러운 움직임시 발의 부상을 초래하기도 하는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신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밑창(1), 안창(2) 및 외피(3) 이외에, 사람의 발이 밑창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통기성 등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기 기능을 부여하여 발냄새, 무좀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깔창과, 외피(3) 내부 표면에 접착 또는 봉제되어 구비되며 외피가 발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발바닥 이외의 발 부위의 열을 교환하고자 하는 기능성이 부여된 내피가 신발에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시도의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65420호에 보면, 여러 종류의 한약재와 톱밥, 빙초산, 크레오스오토, 에탄올 등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혼합물을 한지 및 면직물 재질의 내, 외포지로 구성되는 신발 깔창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발냄새 제거와 땀의 흡수, 무좀억제, 세균 및 곰팡이 억제, 방부기능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한 시도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신발 깔창에 부여되던 기능성을 신발 밑창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기능성 신발을 구성하고자 한 예도 찾을 수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88977호에 보면, 바닥 전면에 내부통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공실이 구성되고 이 공실은 밑창 측면에 구성된 다수개의 통풍구멍과 외부통기로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 신발 밑창이 개시된 바도 있다.
또한, 신발의 쿠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26235호에 보면, 신발의 중창과 밑창 사이에 다수개의 피스톤 로드를 형성시켜 쿠션기능을 강화하고자 한 시도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시도들은 모두 고유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65420호에 기재된 기능성 혼합물 함유 깔창의 경우, 흡착, 흡습 기능 등을 통해 탈취, 무좀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발생된 땀을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므로, 그 효과의 지속성에 한계가 있으며,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88977호에 기재된 통풍기능을 가지는 밑창의 경우 환기를 통해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로 배출할 수는 있으나, 통풍구멍에 단순한 캡을 사용함으로써 방수 기능이 완벽하지 못하고, 외부공기와의 수분, 열 및 악취 교환 기능 이외에 발의 건강 개선 기능 등 다른 장점은 없다고 할 수 있고,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26235호에 기재된 피스톤 구조의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제작시 어려움이 있고 쿠션기능 외에 열교환 및 흡습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볼 때, 열교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기능까지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열교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기능까지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 중창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 중창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로 구성되는 신발 또는 상기중 중창 또는 열교환부재 등을 생략한 형태로 구성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통상적인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중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b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통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3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4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쿠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농구화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구두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구두에 적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군화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을 군화에 적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밑창 11: 수용홈
20: 중창 21: 수평통풍홀
22: 수직통풍홀 211: 통풍구
30, 70: 열교환부재 31: 하부판
32: 중판 33: 상부판
40: 방수포 50: 안창
60: 외피 80: 열교환 밑창
800: 열교환쿠션부재
본 발명은 쿠션효과가 있음은 물론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쿠션효과에 의한 보행시 편의성은 물론 착용자의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열교환 기능에 의해 발냄새제거 및 무좀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열교환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65402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73371호에서, 상부 표면으로 돌기가 구성된 하부창, 상부 표면에 돌기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통공된 중창, 및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상부창으로 구성되는 열교환장치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열교환장치와 함께 쿠션 및 통풍 기능을 함께 가지는 중창을 구성함으로써 열교환 기능이 향상됨은 물론 쿠션 기능에 의한 보행시 편의성 및 발 건강개선 기능성이 추가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 도 4a 및 4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20), 중창(2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30), 중창(2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중창(20) 하부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11)이 구성된다.
상기 중창(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중앙부로 중창 두께의 1/2 내지 3/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수평통풍홀(21)이 다수개 관통되어 구성되고, 이 수평통풍홀(21)의 수직 중심선에 해당하는 중창(20)의 상면에는 수평통풍홀(21)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통풍홀(22)이 다수개 구성된다. 상기 수평통풍홀(21)의 각 입구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통풍구(211)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211)는 공기는 통과시키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고어텍스(goretex) 등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밀폐되어 신발 중창(20) 내부로 물 등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중창(20)에 구성되는 수평통풍홀(21) 및 수직통풍홀(22)은 보행시 각 통풍구(21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부재(30)로 전달하고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열교환시킨 공기를 다시 배출하는 통풍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중창(20)의 내부에 원형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발포효과와 같은 효과를 가짐으로써 보행시 발의 압력에 의한 중창(20)의 변형 정도를 더 크게 해주어 신발의 쿠션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고무, 합성수지 등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열교환부재(30)는 상부 표면으로 일정 간격 돌기(311)가 구성되고 이 돌기(311)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312)이 형성되는 하부판(31), 하부판(31)의 돌기(311)와 동일한 위치에 돌기(321)가 상부 표면에 구성되고 이 돌기(321)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322)이 형성되는 중판(32), 및 중판(32)의 통공(322)과 동일한 위치에 통공(332)이 형성되는 상부판(3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교환부재(30)는, 각 돌기(311)(321)의 위치가 일치할 수 있도록 아래로부터 하부판(31), 중판(32), 상판(33)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립시 내구성을 위하여 각 접촉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각 판을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40)는 밑창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통풍홀(21) 통풍구(2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기는 통과시키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고어텍스(goretex) 등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됨으로써 신발 중창(20)으로부터 혹시 유입될 지도 모르는 물 등 이물질을 방지하고, 반대로 신발 사용시 상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 열교환부재(30) 및 중창(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어텍스 등의 방수포(40)는 빗물 등 액체 형태의 물이 통과하는 것은 방지하나 공기에 포함된 습기 형태의 물은 공기와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열교환시 발에서 발생한 땀 등의 습기도 제거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1)와 흡습성, 미끄럼방지성 등의 기능을 가지는 통기성 직물 재질의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51)에는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됨으로써 중창(20), 열교환부재(30) 및 방수포(40)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통기성 상피(52)를 통해 발에서 발생한 열과 열교환하고 다시 방수포(40), 열교환부재(30) 및 중창(20)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외피(60)는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고 유지하며 발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신발 제조 공정상의 편의성을 위하여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신발이 추구하는 사용 목적 및 기능에 따라 직물, 가죽 등의 재질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신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창(10)의 수용공간(11)에 상기 중창(20)을 접착하여 안착시키고, 그 위에 상기 열교환부재(30)를 접착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외피(60)의 하부 선단의 함입부 하부에 상기 방수포(4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고, 함입부 상부에는 상기 안창(50)을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방수포(40) 및 안창(50)이 안착된 외피를, 상기 중창(20) 및 열교환부재(30)가 안착된 밑창(10)의 열교환부재(30) 상면에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면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작용을 도 4a 및 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 열교환부재(30)의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과 중창(20)의 앞꿈치 부분을 통과한 후, 상기 중창(20) 앞꿈치 부분의 수직통풍홀(22)을 거쳐 수평통풍홀(21) 통풍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앞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뒤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중창(20)의 뒤꿈치 부분 통풍구(21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평통풍홀(21), 수직통풍홀(22),열교환부재(30), 방수포(40), 안창(50) 등의 뒤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열교환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발에서 발생한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 열교환부재(30)의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과 중창(20)의 뒤꿈치 부분을 통과한 후, 상기 중창(20) 뒤꿈치 부분의 수직통풍홀(22)을 거쳐 수평통풍홀(21)의 통풍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뒤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앞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중창(20)의 앞꿈치 부분 통풍구(21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평통풍홀(21), 수직통풍홀(22), 열교환부재(30), 방수포(40), 안창(50) 등의 앞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열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완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열교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창(20)과 열교환부재(30)의 각 판이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짐으로써, 발냄새제거, 무좀방지 등 발의 건강개선 기능과 함께 쿠션기능까지 가지고 있는 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열교환부재(30)를 생략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도 5를 참고로 하여이와 같은 본 발명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20), 중창(2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10), 중창(20), 방수포(40), 안창(50) 및 외피(60)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예 신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밑창(10)의 수용공간(11)에 상기 중창(20)을 접착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외피(60)의 하부 선단의 함입부 하부에 상기 방수포(4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고, 함입부 상부에는 상기 안창(50)을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방수포(40) 및 안창(50)이 안착된 외피(60)를, 상기 밑창(10)에 안착된 중창(20)의 상면에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면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 및 중창(20)의 앞꿈치 부분을 통과한 후, 상기 중창(20) 앞꿈치 부분의 수직통풍홀(22)을 거쳐 수평통풍홀(21) 통풍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앞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뒤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중창(20)의 뒤꿈치 부분 통풍구(21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평통풍홀(21), 수직통풍홀(22), 방수포(40), 안창(50) 등의 뒤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열교환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발에서 발생한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 및 상기 중창(20) 뒤꿈치 부분의 수직통풍홀(22)을 거쳐 수평통풍홀(21)의 통풍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뒤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앞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중창(20)의 앞꿈치 부분 통풍구(21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평통풍홀(21), 수직통풍홀(22), 방수포(40), 안창(50) 등의 앞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열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완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열교환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창(20)과 열교환부재(30)의 각 판이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내부구조를 가짐으로써, 발냄새제거, 무좀방지 등 발의 건강개선 기능과 함께 쿠션기능까지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20)을 생략하고 변형된 열교환부재(70)를 적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도 6를 참고로 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70), 열교환부재(70)로부터 유입된 물 등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중창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중창의 하부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11)이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방수포(40), 안창(50) 및 외피(6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부재(70)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고무, 합성수지 등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제3 실시예의 열교환부재(70)는 상부 표면으로 일정 간격 돌기(711)가 구성되는 하부판(71)과 하부판(71)의 돌기(711)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통공(732)이 형성되는 상부판(7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교환부재(70)는, 하부판(71)의 돌기(711)와 상부판(73)의 통공(732)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아래로부터 하부판(71)과 상부판(73)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립시 내구성을 위하여 각 접촉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각 판을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본 발명 제3 실시예 신발은 열교환부재(70)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 즉 열교환부재(70) 하부판(71)과 상부판(73)이 하부판(71) 돌기(711)만큼의 두께로 이격되어 형성하는 측면 개방부 전체가 외부 공기의 유입과 열교환된 공기의 유출을 위한 통풍구(74)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 실시예 신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창(10)의 상면에 상기 열교환부재(70)를 접착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외피(60)의 하부 선단의 함입부 하부에 상기 방수포(4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고, 함입부 상부에는 상기 안창(50)을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방수포(40) 및 안창(50)이 안착된 외피를, 상기열교환부재(70)가 안착된 밑창(10)의 열교환부재(70) 상면에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면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을 생략하고 열교환부재를 중판을 생략한 단순화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쿠션기능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 축구화, 골프화, 볼링화 등에서 환기 기능만을 극대화시켜 적용하기 위한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열교환부재(70) 상부판(73)의 앞꿈치 부분 통공(732)을 통하여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통풍구(74)의 앞꿈치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앞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뒤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열교환부재(70) 뒤꿈치 부분의 통풍구(74)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부재(70) 상부판(73) 뒤꿈치 부분의 통공(732)을 통하여 방수포(40), 안창(50) 등의 뒤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열교환부재(70) 상부판(73)의 뒤꿈치 부분 통공(732)을 통하여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뒤꿈치 부분의 통풍구(7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뒤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앞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열교환부재(70) 앞꿈치 부분의 통풍구(74)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부재(70) 상부판(73) 앞꿈치 부분의 통공(732)을 통하여 방수포(40), 안창(50) 등의 앞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완성되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에 의한 쿠션 기능을 포기하고 열교환부재(70)에 의한 어느 정도의 쿠션 기능 및 열교환 기능만을 취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함으로 인한 발냄새제거, 무좀방지 등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대신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 열교환 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열교환 신발은 제3 실시예에서 변형된 열교환부재(70)가 하던 역할을 밑창에 부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도 7을 참고로 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 제4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열교환 밑창(80), 열교환 밑창(8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물 등의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외피(60)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 밑창(8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중창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중창의 하부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이 구성되지 않고, 열교환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열교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통풍구(81)가 구성된다.
상기 방수포(40), 안창(50) 및 외피(6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4 실시예 신발의 결합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피(60)의 하부 선단의 함입부 하부에 상기 방수포(4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고, 함입부 상부에는 상기 안창(50)을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방수포(40) 및 안창(50)이 안착된 외피를, 상기 열교환 밑창(80) 상면에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면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과 열교환부재를 생략하고 열교환 부재의 열교환 기능을 밑창에 부여하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쿠션기능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 축구화, 골프화, 볼링화 등에서 환기 기능만을 극대화시켜 적용하기 위한 변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3 실시예와 달리 열교환부재마저 생략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원가 절감이라는 장점 부분이 더 극대화된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4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면, 발의 앞꿈치 부분이 신발 안창에 밀착하면서 압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상기 밑창(80)의 통풍구(81)의 앞꿈치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신발 착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는 경우 뒤꿈치 부분의 발바닥은 안창(50) 상면에 접촉되었다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뒤꿈치 부분에는 흡입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뒤꿈치 부분에 발생한 흡입압력으로 인해 상기 열교환 밑창(80) 뒤꿈치 부분의 통풍구(8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방수포(40), 안창(50) 등의 뒤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면, 발의 뒤꿈치 부분이 신발 안창에 밀착하면서 압력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상기 밑창(80)의 통풍구(81)의 뒤꿈치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신발 착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는 경우 앞꿈치 부분의 발바닥은 안창(50) 상면에 접촉되었다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앞꿈치 부분에는 흡입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앞꿈치 부분에 발생한 흡입압력으로 인해 상기 열교환 밑창(80) 앞꿈치 부분의 통풍구(8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방수포(40), 안창(50) 등의 앞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완성되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에 의한 쿠션 기능을 포기함과 동시에 열교환부재의 복잡한 열교환방식을 포기한 매우 단순한 열교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 열 및 악취를 외부 공기와 교환하여 배출함으로 인한 발냄새제거, 무좀방지 등의 기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제조공정을 매우 간단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 열교환 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열교환 신발은, 상기 본 발명 제3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변형된 열교환부재(70)를 쿠션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다시 변형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 제5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5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신발은 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신발에 쿠션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쿠션부재(800), 열교환쿠션부재(800)로부터 유입된 물 등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방수포(40), 안창(50) 및 외피(6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쿠션부재(800)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고무, 발포성 합성수지 등 쿠션재질로 구성되는 제5 실시예의 열교환쿠션부재(800)는 상부 표면으로 돌기(811)가 일정 간격 구성되는 하부판(810)과, 하부판(810)의 돌기(811)와 거울상인 위치 및 모양으로 하부 표면으로 향하는 돌기(831)가 형성되고 하부판(810)의 돌기(811)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통공(832)이 형성되는 상부판(8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판(810) 및 상부판(830)의 각 돌기(811)(831)들중 각 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돌기들은 열교환쿠션부재(800) 완성후 그 모양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등의 통풍구(851)를 형성하게 되며, 이 통풍구(851)는 공기는 통과시키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고어텍스(goretex) 등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밀폐되어 신발 내부로 물 등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교환쿠션부재(800)는, 하부판(810)의 돌기(811)와 상부판(830)의 돌기(831)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아래로부터 하부판(810)과 상부판(830)을 순차적으로 접착하여 적층함으로써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쿠션부재(800)의 구조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신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창(10)의 상면에 상기 열교환쿠션부재(800)를 접착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상기 외피(60)의 하부 선단의 함입부 하부에 상기 방수포(40)를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고, 함입부 상부에는 상기 안창(50)을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방수포(40) 및 안창(50)이 안착된 외피를, 상기 열교환쿠션부재(800)의 상면에 접착 또는 봉제하여 안착시키면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을 생략하고 열교환부재를 중판을 생략한 단순한 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쿠션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농구화, 구두, 군화 등 쿠션기능과 열교환 기능을 모두 필요로 하는 신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5 실시예 열교환 신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앞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열교환쿠션부재(800) 상부판(830)의 앞꿈치 부분 통공(832)을 통하여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앞꿈치 부분의 통풍구(8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앞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뒤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쿠션부재(800) 뒤꿈치 부분의 통풍구(85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쿠션부재(800) 상부판(830) 뒤꿈치 부분의 통공(832)을 통하여 방수포(40), 안창(50) 등의 뒤꿈치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시 사용자의 하중이 발의 뒤꿈치에 걸리게 되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안창(50)의 상부에서 발에서 발생한 열을 열교환하고 땀을 습기 형태로 포함하는 공기가 방수포(40)를 지나 열교환쿠션부재(800) 상부판(830)의 뒤꿈치 부분 통공(832)을 통하여 각 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뒤꿈치 부분의 통풍구(85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이렇게 뒤꿈치 부분의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압력은 앞꿈치 부분에는 흡입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열교환부재(800) 앞꿈치 부분의 통풍구(85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부재(800) 상부판(830) 앞꿈치 부분의 통공(832)을 통하여 방수포(40), 안창(50) 등의 앞꿈치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발에서 발생하는 열 및 땀을 교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중창을 생략하고 열교환부재에 쿠션기능까지 부여한 열교환쿠션부재(800)를 사용함으로써, 농구화, 구두, 군화 등 쿠션기능과 열교환 기능을 모두 필요로 하는 신발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은 농구화의 경우와 같이 앞, 앞과 뒷부분이 두껍고 중간이 얇은 바닥구조에 적용되는 경우, 앞 부분과 뒷 부분에만 돌기 및 통풍구가 형성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14에, 이와 같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열교환 신발이 각각 농구화(도 10), 구두(도 11, 12) 및 군화(도 13, 14)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었다. 구두 및 군화에 대해서는 각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열교환구조를 가지는 예와 앞꿈치 및 뒤꿈치 부분에만 열교환구조를 가지고 있는 두가지 예를 도시하였는데, 이중 군화를 도시한 도 13 및 도 14에서는, 안창(5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탄력적으로 구성되어 쿠션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인체의 발에서 발생하는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으며, 쿠션 효과에 의해 보행시 편의성은 물론 착용자의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열교환기능에 의해 발냄새제거 및 무좀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0)
- 열교환 신발에 있어서,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20), 중창(2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30), 중창(2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되며,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중창(20) 하부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11)이 구성되고,상기 중창(20)은 신발에 쿠션기능을 주기 위한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측면 중앙부로 중창 두께의 1/2 내지 3/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수평통풍홀(21)이 다수개 관통되어 구성되고, 이 수평통풍홀(21)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중창(20)의 상면에는 수평통풍홀(21)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통풍홀(22)이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수평통풍홀(21)의 각 입구에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밀폐된 통풍구(211)가 구성되고,상기 열교환부재(30)는 상부 표면으로 일정 간격 돌기(311)가 구성되고 이 돌기(311)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통공(312)이 형성되는 하부판(31), 하부판(31)의 돌기(311)와 동일한 위치에 돌기(321)가 상부 표면에 구성되고 이 돌기(321)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322)이 형성되는 중판(32), 및 중판(32)의 통공(322)과 동일한 위치에 통공(332)이 형성되는 상부판(33)으로 구성되고,상기 방수포(40)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고,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질의 탄성부재(51)와 통기성 직물 재질의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된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고,상기 외피(60)는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제 1항에 있어서,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은 고어텍스임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열교환 신발에 있어서,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통풍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중창(20), 중창(2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되며,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중창(20) 하부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홈(11)이 구성되고,상기 중창(20)은 신발에 쿠션기능을 주기 위한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측면 중앙부로 중창 두께의 1/2 내지 3/4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수평통풍홀(21)이 다수개 관통되어 구성되고, 이 수평통풍홀(21)의 중심선에 해당하는 중창(20)의 상면에는 수평통풍홀(21)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통풍홀(22)이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수평통풍홀(21)의 각 입구에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밀폐된 통풍구(211)가 구성되고,상기 방수포(40)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고,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질의 탄성부재(51)와 통기성 직물 재질의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된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고,상기 외피(60)는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제 3항에 있어서,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은 고어텍스임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열교환 신발에 있어서,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부재(70), 열교환부재(70)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되며,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고,상기 열교환부재(70)는 상부 표면으로 일정 간격 돌기(711)가 구성되는 하부판(71)과 하부판(71)의 돌기(711)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통공(732)이 형성되는 상부판(73)으로 구성되며,상기 방수포(40)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고,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질의 탄성부재(51)와 통기성 직물 재질의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된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고,상기 외피(60)는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제 5항에 있어서,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은 고어텍스임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열교환 신발에 있어서,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열교환 밑창(80), 열교환 밑창(80) 부분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외피(60)로 구성되며,상기 열교환 밑창(8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통풍구(81)가 구성되고,상기 방수포(40)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고,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질의 탄성부재(51)와 통기성 직물 재질의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된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고,상기 외피(60)는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제 7항에 있어서,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은 고어텍스임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열교환 신발에 있어서,보행시 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인 밑창(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발바닥 부위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신발에 쿠션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쿠션부재(800), 열교환쿠션부재(800)로부터 유입된 물 등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40),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창(50), 및 발을 감싸 보호하고 신발의 외형을 결정하는 외피(60)로 구성되며,상기 밑창(10)은 보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고,상기 열교환쿠션부재(800)는 상부 표면으로 윗면이 사각 또는 원형인돌기(811)가 일정 간격 구성되는 하부판(810)과, 하부판(810)의 돌기(811)와 거울상인 위치 및 모양으로 하부 표면으로 향하는 돌기(831)가 형성되고 하부판(810)의 돌기(811)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통공(832)이 형성되는 상부판(8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810) 및 상부판(830)의 각 돌기(811)(831)들 중 각 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돌기들은 열교환쿠션부재(800) 완성후 통풍구(851)를 형성하게 되며, 이 통풍구(851)는 공기는 통과시키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고어텍스(goretex) 등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밀폐되고,상기 방수포(40)는 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으로 구성되고,상기 안창(50)은 발포성 탄성재질의 탄성부재(51)와 통기성 직물 재질의 일정 간격 통공(511)이 구성된 상피(52)를 접착제를 적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구성되고,상기 외피(60)는 그 하부 선단이 신발 내부를 향하여 ㄴ자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 제 9항에 있어서,통기성 방수 재질의 막은 고어텍스임을 특징으로 하는,열교환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9502A KR20030017383A (ko) | 2002-08-21 | 2002-08-21 | 열교환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9502A KR20030017383A (ko) | 2002-08-21 | 2002-08-21 | 열교환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17383A true KR20030017383A (ko) | 2003-03-03 |
Family
ID=2772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9502A KR20030017383A (ko) | 2002-08-21 | 2002-08-21 | 열교환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1738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792B1 (ko) * | 2004-04-12 | 2006-03-28 | 주식회사 트렉스타 |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
-
2002
- 2002-08-21 KR KR1020020049502A patent/KR2003001738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792B1 (ko) * | 2004-04-12 | 2006-03-28 | 주식회사 트렉스타 |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15126C (en) | Ventilated footwear | |
EP1201143B1 (en) | Breathable and waterproof sole for shoes | |
US20060283043A1 (en) | Article of footwear | |
EP1586248A1 (en) | Sole for shoes | |
US20060168846A1 (en) | Insole with improved internal air circulation | |
JPH0744139U (ja) | 換気と緩衝及びフアツシヨンを兼備した履物底 | |
KR100470751B1 (ko) |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 |
KR20030017383A (ko) | 열교환 신발 | |
KR101979998B1 (ko) |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 |
JPH1014605A (ja) | 靴底構造 | |
KR200248603Y1 (ko) |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 |
EP1749455A1 (en) |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 |
KR100733154B1 (ko) | 피쉬본형 신발창 | |
KR100510087B1 (ko) | 열교환 신발 | |
KR200318279Y1 (ko) | 열교환 신발 | |
KR101099708B1 (ko) |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 |
KR100564790B1 (ko) |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 |
KR200362059Y1 (ko) | 열교환 신발용 중창 | |
CN102132981A (zh) | 透气防尘按摩鞋垫 | |
KR200374015Y1 (ko) | 피쉬본형 신발창 | |
KR200278547Y1 (ko) | 공기가 순환되는 신발 | |
KR200313804Y1 (ko) | 열교환신발용 지지구 | |
KR200297996Y1 (ko) |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 |
KR200149960Y1 (ko) | 공기유통이 될 수 있게한 신발 | |
PL240356B1 (pl) | But wentylowany i klimatyzowan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